KR20090126931A - 누전차단기 자동복구장치 - Google Patents

누전차단기 자동복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6931A
KR20090126931A KR1020080053299A KR20080053299A KR20090126931A KR 20090126931 A KR20090126931 A KR 20090126931A KR 1020080053299 A KR1020080053299 A KR 1020080053299A KR 20080053299 A KR20080053299 A KR 20080053299A KR 20090126931 A KR20090126931 A KR 20090126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ker
ground fault
earth leakage
overcurrent
lea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3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1762B1 (ko
Inventor
이상헌
이정렬
신철호
이남우
주일랑
정진흥
박성근
최형석
정용석
하현진
Original Assignee
토즈테크놀로지 주식회사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즈테크놀로지 주식회사,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토즈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3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1762B1/ko
Publication of KR20090126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6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1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1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06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current falling below a predetermined valu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02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arth fault curr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1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xcess voltage, e.g. for lightning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2Deta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1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reversal of direct current

Abstract

본 발명은 누전차단기 자동복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누전차단기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누설전류가 발생하였는지 검출하는 누전검출부; 누전차단기에 서지전압이 입력되었는지 검출하는 서지검출부; 누전차단기에 일정 전압 및 일정 전류 이상의 과전류가 입력되었는지 검출하는 과전류검출부; 및, 누전검출부, 서지검출부, 과전류검출부로부터 누설전류, 서지전압, 과전류 중 적어도 하나가 검출되면, 누설전류의 발생이 중지된 경우와 서지전압이 검출된 경우에는 누전차단기가 복구되도록 제어하고, 누설전류의 발생이 지속되는 경우와 과전류가 검출된 경우에는 누전차단기의 차단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일회성 누전이나 서지전압에 의해 누전차단기가 차단되는 경우에도 일일이 관리자가 방문하여 누전차단기를 점검하고 복구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으며, 제어 장비의 가동률을 높이고 관리에 필요한 인력을 최소로 할 수 있다. 또한, 누설전류가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거나 과전류 등의 위험상황에서는 수용가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관리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Figure P1020080053299
누전차단기, 누설전류, 과전류, 서지전압, 수동차단, 자동복구

Description

누전차단기 자동복구장치{Automatic Releasing Apparatus for Electric Leakage Breaker}
본 발명은 누전차단기 자동복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누설전류가 종료된 경우에도 계속 누전차단기가 차단되거나, 서지전압에 의해 누전차단기가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고, 작업자에 의해 수동차단된 경우에는 차단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누전차단기 관리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수용가의 안정성 및 관리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누전차단기 자동복구장치에 관한 것이다.
누전차단기는 누전 및 감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가정이나 산업현장 또는 도로변 등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마련된 배전반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기존의 누전차단기의 경우, 누전에 의한 트립 후에 자동으로 재투입되는 복구 기능이 없었다. 따라서, 어떠한 원인에 의해 누전차단기가 작동하는 경우에는, 항상 관리자가 일일이 해당 현장까지 가서 상황을 파악하여 조치한 후에 수동으로 누전차단기의 스위치를 복구하도록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누전차단기는 매우 민감하게 작동되므로 누전이나 감전 등의 경우뿐만 아니라 주변의 낙뢰 또는 임펄스성 노이즈 등의 원인에 의해서도 작동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따라서, 주변의 낙뢰 또는 전원의 노이즈 등의 일회성 원인에 의해 누전차단기가 작동하는 경우에도 항상 관리자가 해당 현장까지 가서 일정 조치를 마치는 동안에는 각종 제어 장비는 그 기능을 멈추고 있어야만 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가 개발되었다.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는 누전으로 인해 차단스위치가 온된 경우, 다시 정상전류가 흐르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주전원을 릴레이 등의 계전기를 통해 다시 통전시켜 주도록 한다.
그런데, 이러한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는, 누전이 중지된 경우 관리자가 일일이 차단스위치를 수동으로 턴오프시켜야 하므로, 원격지에 설치된 철주나 가로등, 교통 관련 각종 제어기 등의 장비에 접속된 누전차단기의 경우 관리자가 일일이 찾아가서 차단스위치를 턴오프시켜야 하므로 번거롭다.
이에 따라, 누전이 중지된 경우, 자동으로 누전차단기의 차단스위치를 턴오프시키고, 통전시켜 원격지에 직접 관리자가 방문하지 아니하여도 되도록 자동복구 기능을 구비하며, 누전차단기의 작동원인에 따라 대처할 수 있는 누전차단기 자동복구장치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누설전류가 종료된 경우에도 계속 누전차단기가 차단되거나, 서지전압에 의해 누전차단기가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고, 작업자에 의해 수동차단된 경우에는 차단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누전차단기 관리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수용가의 안정성 및 관리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누전차단기 자동복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누전차단기 자동복구장치는, 누전차단기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누설전류가 발생하였는지 검출하는 누전검출부; 상기 누전차단기에 서지전압이 입력되었는지 검출하는 서지검출부; 상기 누전차단기에 일정 전압 및 일정 전류 이상의 과전류가 입력되었는지 검출하는 과전류검출부; 및, 상기 누전검출부, 상기 서지검출부, 상기 과전류검출부로부터 누설전류, 서지전압, 과전류 중 적어도 하나가 검출되면, 누설전류의 발생이 중지된 경우와 서지전압이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누전차단기가 복구되도록 제어하고, 누설전류의 발생이 지속되는 경우와 과전류가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누전차단기의 차단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압을 일정 이상으로 승압시키는 전원승압부; 상기 전원승압부에서 승압된 전압을 상기 누전차단기로 제공하여 접지 사이에 검출되는 누설전류의 크기에 따라 누전여부를 검출하는 누전해제검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누전해 제검출부로부터의 검출결과에 따라 상기 누전차단기의 차단을 유지시키거나 복구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누전차단기로부터 전원 입력이 차단된 경우, 상기 누전검출부, 상기 서지검출부, 상기 과전류검출부로부터 누설전류, 서지전압, 과전류 중 적어도 하나가 검출되지 아니하면, 상기 누전차단기의 차단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외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장치와 통신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상기 누전차단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거나 상기 누전차단기의 동작 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 제공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누전차단기 자동복구장치는, 누설전류, 과전류, 서지전압, 수동조작에 의한 누전차단기의 차단을 각각 감지하고, 각 원인에 따라 누전차단기의 전원차단을 유지시키거나 복구함으로써, 일회성 누전이나 서지전압에 의해 누전차단기가 차단되는 경우에도 일일이 관리자가 방문하여 누전차단기를 점검하고 복구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으며, 제어 장비의 가동률을 높이고 관리에 필요한 인력을 최소로 할 수 있다. 또한, 누설전류가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거나 과전류 등의 위험상황에서는 직접 관리자가 점검하여 수동으로 누전차단기를 복구시킬 때까지 차단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수용가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관리자에 의해 수동으로 누전차단기가 차단된 경우에는 차단기가 복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관리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누전차단기 자동복구장치의 블럭구성도이고, 도 2는 전원부 및 전원승압부의 회로도, 도 3은 누전검출부의 회로도, 도 4는 누전해제검출부의 회로도, 도 5는 서지검출부의 회로도, 도 6은 과전류검출부의 회로도, 도 7은 제어부와 표시부의 회로도이다.
본 누전차단기 자동복구장치(10)는, 전원부(11), 전원승압부(15), 누전검출부(25), 누전해제검출부(40), 서지검출부(30), 과전류검출부(35), 통신부(45), 표시부(50), 저장부(47), 제어부(20)를 포함한다.
전원부(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전차단기(5)로부터 부하전원 AC 220V의 전원을 공급받아 제어부(20)와 배터리로 전원을 공급하며, 제1트랜스포머(12), 제1브릿지 다이오드(13), 레귤레이터(14)를 포함한다. 제1트랜스포머(12)는 AC 220V의 부하전원을 AC 9V의 전원으로 변환하고, 제1브릿지 다이오드(13)는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한다. 레귤레이터(14)는 제1브릿지 다이오드(13)로부터의 DC 9V의 전원을 DC 5V로 평활하여 제어부(20)와 배터리로 전달한다.
전원승압부(15)는, 전압을 승압시켜 누전해제검출부(40)와 솔레노이드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생성하며, 배터리(16), 스텝업 회로(17), 제2트랜스포머(18), 제2브릿지 다이오드(19), 고압 커패시터(C28)를 포함한다. 배터리(16)는 대용량의 커패시터 또는 축전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스텝업 회로(17)는 배터리(16)에 저장된 전원이 DC 5V로 일정하게 출력되도록 처리한다. 제2트랜스포머(18)는 전원부(11)로부터 제공받은 DC 5V의 전원을 AC 220V로 승압시켜 제2브릿지 다이오드(19)로 제공하고, 제2브릿지 다이오드(19)에서 DC 300V로 변환된 전원은 고압 커패시터(C28)에 충전되며, 고압 커패시터(C28)의 용량은 DC 350V/33uF 이다.
누전검출부(25)는, 15 ~ 30 mA의 누설전류를 검출하여 제어부(20)로 누설전류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신호를 제공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변류기(26)(ZCT), 증폭기(27)를 포함한다. 영상변류기(26)에서는 누설전류를 검출하고, 증폭기(27)에서는 영상변류기(26)에서 검출된 미약한 전류신호를 증폭하여 DC 8V의 신호를 제어부(20)로 제공한다. 누전검출부(25)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으면, 제어부(20)는 누전이 발생하여 누전차단기(5)의 차단스위치가 오프되었다고 인식한다.
누전해제검출부(40)는, 전원승압부(15)로부터 제공받은 전원을 이용하여 누전차단기(5)의 누전이 멈추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레이(RY2)(41), 포토커플러(43)를 포함한다. 릴레이(41)를 통해 누전차단기(5)의 부하단에 전원을 인가하면, 접지 간의 누설전류가 15mA 이상인 경우에는 포토커플 러(43)가 작동하고, 포토커플러(43)의 작동에 따라 신호가 제어부(20)로 제공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20)는 누전이 멈추지 아니하였다고 인식한다. 한편, 접지 간의 누설전류가 15mA 이하인 경우에는 포토커플러(43)가 작동하지 아니하고, 신호가 제어부(20)로 제공되지 아니하므로, 제어부(20)는 누전차단기의 누전이 멈추었음을 인식하게 된다. 제어부(20)는 누전차단기의 누전이 멈추었다고 인식되면, 누전차단기(5)를 복구할 수 있도록 솔레노이드를 작동시킨다.
서지검출부(30)는, 누전차단기(5)의 입력전원으로 275V 이상의 서지전압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서지검출부(30)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리스터(미도시)와 제2포토커플러(33)를 포함한다. 배리스터는 전원부(11)의 제1트랜스포머(12)의 2차측 제1브릿지 다이오드(13)에 연결되어 일정 전압 이상에서 동작하며, 본 발명의 배리스터는 DC 9V 이상에서 턴온되고, 배리스터의 턴온신호는 제2포토커플러(33)에 전달되어 제2포토커플러(33)를 턴온시킨다. 제2포토커플러(33)가 턴온되면, 신호가 제어부(20)로 전달되어 제어부(20)는 서지전압이 입력되어 누전차단기(5)에서 전원이 차단되었음을 인식한다.
과전류검출부(35)는, 누전차단기(5)에 과전류가 입력되는 것을 검출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류기(CT)(36), 증폭기(37)(OP-AMP)를 포함한다. 변류기(36)는 AC 220V/30A 이상의 과전류를 검출하며, 증폭기(37)는 변류기(36)에서 검출된 미약한 전류신호를 증폭시킨다. 증폭된 신호는 제어부(20)로 제공되어 누전차단기(5)가 과전류에 의해 차단작동되었음을 감지하게 된다.
저장부(47)는, EEPROM으로 마련되며, 누전차단기(5)의 차단원인에 대한 이력 이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누전차단기(5)가 차단된 원인, 발생날짜/시간, 복구날짜/시간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통신부(45)는 RS 232C 통신을 이용하여 누전차단기 자동복구장치(10)를 외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장치와 통신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누전차단기 자동복구장치(10)를 이용하여 누전차단기(5)를 원격으로 제어하거나 누전차단기(5)의 동작 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장치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45)는 저장부(47)에 저장된 누전차단기(5)의 차단원인 이력을 유선 또는 무선 통신장치로 제공한다.
표시부(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차단 LED(51), 누전차단 LED(52), 전류차단 LED(53), 서지차단 LED(54)를 포함하며, 각 LED는 제어부(20)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점멸 또는 온/오프된다. 접지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20)는 모든 LED가 점멸하도록 제어신호를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해 누전차단기(5)가 수동으로 차단된 경우에는 수동차단 LED(51)를 턴온시키고, 누전검출부(25)에 의해 누전이 검출된 경우 제어부(20)는 누전차단 LED(52)를 턴온시킨다. 과전류검출부(35)에 의해 과전류가 검출된 경우, 제어부(20)는 전류차단 LED(53)를 턴온시키고, 서지검출부(30)에 의해 서지전압이 검출된 경우, 제어부(20)는 서지차단 LED(54)를 턴온시킨다.
제어부(20)는 누전검출부(25), 서지검출부(30), 과전류검출부(35)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누전차단기(5)의 작동여부를 판단하여 각 LED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0)는 누전에 의해 누전차단기(5)가 작동한 경우에는 누전해제검출 부(40)를 작동시켜 누전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누전해제 테스트를 수행하고, 누전이 종료된 경우에는 누전차단기(5)를 복구시키고, 누전이 계속되는 경우에는 누전여부를 반복적으로 체크한다. 이때, 제어부(20)는 최초의 누전해제 테스트는 누전신호가 검출된 후 1분 후 수행하고, 누전이 계속되는 경우, 3분 후에 다시 한번 누전해제 테스트를 수행한 다음, 5분마다 누전해제 테스트를 수행한다. 이렇게 반복적으로 누전해제 테스트를 수행한 다음, 2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20)는 누전해제 테스트의 수행을 중단한다.
또한 제어부(20)는 서지검출부(30)에 의해 누전차단기(5)가 작동한 경우에는 즉시 또는 일정 시간 경과후에 누전차단기(5)를 복구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20)는 누전차단기(5)의 스위치를 미는 솔레노이드에 전원을 공급하여 스위치가 턴온되어 누전차단기(5)가 복구되도록 한다.
한편, 과전류검출부(35)로부터 과전류가 검출된 경우와 수동 작동에 의해 누전차단기(5)가 전원을 차단한 경우, 제어부(20)는 누전차단기를 복구하지 아니한다. 또한, 제어부(20)는 누전차단기(5)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전원이 차단된 수동차단 상태로 판단하고, 누전차단기(5)의 전원차단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누전차단기 자동복구장치(10)의 작동과정을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누전차단기 자동복구장치(10)를 누전차단기(5)에 설치하면, 제어부(20)는 각 LED가 점멸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며, 접지가 연결되면 제어 부(20)는 수동차단 LED(51), 누전차단 LED(52), 전류차단 LED(53), 서지차단 LED(54)를 순차적으로 턴온시킨다.
그런 다음, 제어부는 누전검출부(25), 서지검출부(30), 과전류검출부(35)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누전, 서지, 과전류가 발생하였는 여부를 판단한다(S800).
누전검출부(25)의 영상변류기(26)에서 15 ~30 mA의 누설전류를 검출하면, 신호증폭기에서 증폭되어 제어부(20)로 전달된다. 제어부(20)는 누설전류의 검출신호를 입력받으면, 누전차단 LED(52)를 턴온시킨다(S810). 그런 다음, 제어부(20)는 누전해제검출부(40)를 이용하여 누전해제 테스트를 상술한 바와 같이, 1분, 3분, 5분 간격으로 수행한다(S811).
누전해제검출부(40)에서 릴레이를 통해 누전차단기(5)의 부하단에 전원을 인가하면, 접지 간의 누설전류가 15mA 이상인 경우에는 포토커플러(43)가 작동하고, 접지 간의 누설전류가 15mA 이하인 경우에는 포토커플러(43)가 작동하지 아니한다. 포토커플러(43)가 작동하면 제어부(20)는 누전이 종료되지 아니하였다고 판단하고, 포토커플러(43)가 작동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누전이 종료되었다고 판단한다(S812). 제어부(20)는 누전이 종료되었다고 인식되면, 누전차단기(5)를 복구시킬 수 있도록 솔레노이드를 작동시킨다. 반면, 누전이 종료되지 아니한 경우, 누전이 시작된지 2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하고(S813), 2시간이 경과하여도 누전이 계속되면, 제어부(20)는 누전해제검출부(40)의 작동을 종료시킨다. 2시간이 경과하지 아니한 경우, 제어부(20)는 일정 시간마다, 예를 들면 5분마다 누전해제검출부(40)를 작동시켜 누전의 종료 여부를 판단한다(S814).
250V 이상의 전압을 갖는 전원이 입력되어 누전차단기(5)가 차단되는 경우, 서지검출부(30)에서는 서지차단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20)로 전달하고, 제어부(20)에서는 서지차단 LED(54)를 점등시킨다(S820). 그런 다음, 제어부(20)는 즉시 또는 1분 후 솔레노이드로 전원을 제공하여 누전차단기(5)의 차단스위치를 턴온시켜 누전차단기(5)가 복구되도록 한다(S821).
한편, 30A 이상의 과전류가 발생하면, 누전차단기(5)가 차단되고, 과전류검출부(35)에서는 영상변류기(26)는 AC 220V/30A 이상의 과전류를 검출 및 증폭하여 증폭된 신호를 제어부(20)로 제공한다. 제어부(20)는 과전류신호가 입력되면, 전류차단 LED(53)를 턴온시킨다(S830). 제어부(20)는 과전류에 의해 누전차단기(5)가 차단된 경우에는 복구과정을 수행하지 아니하고, 외부에서 인위적으로 누전차단기(5)를 복구하는 과정을 수행할 때까지 동작을 정지한다(S831).
만약 사용자가 누전차단기(5)의 동작점검을 위해 누전차단기(5)의 차단스위치를 이용하여 전원을 차단하는 경우(S840), 누전차단기(5)로부터 전원 공급이 중단된다. 이때, 제어부(20)는 전원이 차단되었다는 신호만이 제공되고 누전검출부(25), 서지검출부(30), 과전류검출부(35)로부터 입력이 없으면, 제어부(20)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누전차단기(5)의 전원이 차단된 것으로 판단하여, 수동차단 LED(51)를 턴온시키고, 전원을 복구시키는 과정은 수행하지 아니한다(S831).
이와 같이, 본 누전차단기 자동복구장치(10)는, 누설전류, 과전류, 서지전압, 수동차단을 각각 감지하여 전원 차단의 원인을 외부로 표시하고, 누전차단기(5)를 복구하거나 차단 상태를 유지시킨다. 본 누전차단기 자동복구장치(10)는, 누설전류가 발생한 경우에는 누전이 종료되면, 누전차단기(5)를 복구시키고, 서지전압이 발생한 경우에는 즉시 누전차단기(5)를 복구시킨다. 그리고 과전류가 발생한 경우와 수동차단의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별도의 조작이 있을 때까지 전원 차단을 유지시키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누전차단기 자동복구장치의 블럭구성도,
도 2는 도 1의 누전차단기 자동복구장치의 전원부 및 전원승압부의 회로도,
도 3은 도 1의 누전차단기 자동복구장치의 누전검출부의 회로도,
도 4는 도 1의 누전차단기 자동복구장치의 누전해제검출부의 회로도,
도 5는 도 1의 누전차단기 자동복구장치의 서지검출부의 회로도,
도 6은 도 1의 누전차단기 자동복구장치의 과전류검출부의 회로도,
도 7은 도 1의 누전차단기 자동복구장치의 제어부와 표시부의 회로도,
도 8은 도 1의 누전차단기 자동복구장치의 작동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누전차단기 10 : 자동복구장치
11 : 전원부 15 : 전원승압부
20 : 제어부 25 : 누전검출부
30 : 서지검출부 35 : 과전류검출부
40 : 누전해제검출부 45 : 통신부
47 : 저장부 50 : 표시부

Claims (4)

  1. 누전차단기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누설전류가 발생하였는지 검출하는 누전검출부;
    상기 누전차단기에 서지전압이 입력되었는지 검출하는 서지검출부;
    상기 누전차단기에 일정 전압 및 일정 전류 이상의 과전류가 입력되었는지 검출하는 과전류검출부; 및,
    상기 누전검출부, 상기 서지검출부, 상기 과전류검출부로부터 누설전류, 서지전압, 과전류 중 적어도 하나가 검출되면, 누설전류의 발생이 중지된 경우와 서지전압이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누전차단기가 복구되도록 제어하고, 누설전류의 발생이 지속되는 경우와 과전류가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누전차단기의 차단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 자동복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전압을 일정 이상으로 승압시키는 전원승압부;
    상기 전원승압부에서 승압된 전압을 상기 누전차단기로 제공하여 접지 사이에 검출되는 누설전류의 크기에 따라 누전여부를 검출하는 누전해제검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누전해제검출부로부터의 검출결과에 따라 상기 누전차단기의 차단을 유지시키거나 복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 자동복구장 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누전차단기로부터 전원 입력이 차단된 경우, 상기 누전검출부, 상기 서지검출부, 상기 과전류검출부로부터 누설전류, 서지전압, 과전류 중 적어도 하나가 검출되지 아니하면, 상기 누전차단기의 차단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 자동복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장치와 통신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상기 누전차단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거나 상기 누전차단기의 동작 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 제공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 자동복구장치.
KR1020080053299A 2008-06-05 2008-06-05 누전차단기 자동복구장치 KR100981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3299A KR100981762B1 (ko) 2008-06-05 2008-06-05 누전차단기 자동복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3299A KR100981762B1 (ko) 2008-06-05 2008-06-05 누전차단기 자동복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6931A true KR20090126931A (ko) 2009-12-09
KR100981762B1 KR100981762B1 (ko) 2010-09-13

Family

ID=41687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3299A KR100981762B1 (ko) 2008-06-05 2008-06-05 누전차단기 자동복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17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231B1 (ko) * 2013-06-25 2014-01-22 (주)오은씨엔아이 범용 누전차단기 조합형 지능형 아크차단장치
KR102325098B1 (ko) * 2020-11-09 2021-11-11 (주)큐센텍 누전 차단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1155B1 (ko) * 2019-03-25 2019-07-18 케이앤제이계전(주) 메인 마이컴의 감시 및 재부팅 기능을 갖는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
KR20210007596A (ko) 2019-07-12 2021-01-20 최준성 버튼형 전기차단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053Y1 (ko) 1995-12-28 2000-09-01 이구택 누전 차단기의 단락과 누전사고 구분 표시장치
KR100694639B1 (ko) * 2005-07-20 2007-03-13 주식회사 이씨플랫폼 누전차단기 자동복구 시스템
KR100712672B1 (ko) 2005-09-20 2007-05-02 세기이테크 주식회사 일체식 2단 접점 개폐구조를 갖는 자동복귀형 누전차단기
KR20070092469A (ko) * 2006-03-10 2007-09-13 새턴정보통신(주) 전원 분리형 오토 리셋 차단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231B1 (ko) * 2013-06-25 2014-01-22 (주)오은씨엔아이 범용 누전차단기 조합형 지능형 아크차단장치
KR102325098B1 (ko) * 2020-11-09 2021-11-11 (주)큐센텍 누전 차단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1762B1 (ko) 2010-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23511C1 (ru) Устройство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повторного включения,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управляемых током нулевой последовательности выключателей
KR101442527B1 (ko) 감전사고방지용 누전차단장치
EA030501B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истанционной проверки угольной шахты на утечку
CN104090208A (zh) 电压型配电网故障处置方法
KR100981762B1 (ko) 누전차단기 자동복구장치
CN102983547A (zh) 不间断供电式漏电试验综合保护系统
JP3953495B2 (ja) 電力供給システムにおける保安管理方法
KR101410745B1 (ko) 누전차단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70011027A (ko) 누전차단기 자동복구 시스템
CN103354352A (zh) 一种基于分布式智能的配电网安全保护方法
KR20190067564A (ko) 배전계통 전원선로 고장시 실시간 탐지/복구시스템 및 그 공사방법
CN100592094C (zh) 迅速查找低压线路漏电的方法
US20150077122A1 (en) Safety device and method for an electric installation
JP2010121810A (ja) 空気調和機の通信制御装置
CN105529681A (zh) 低压不接地系统的漏电保护回路及实现方法
CN202888794U (zh) 基于路灯物联网工作的路灯灯杆漏电保护装置
KR102038635B1 (ko) 서지 프리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
KR200440531Y1 (ko) 누전 차단기
KR20160019657A (ko) 서지 보호기 일체형 누전 차단기
KR102147899B1 (ko) 배전선로 고장 복구시 진공차단기 자동투입장치 및 방법
KR100806773B1 (ko) 지능형 누전차단기의 자동 복귀장치
US9923377B2 (en) Electrical tester
KR20110112966A (ko) 자동복구 누전차단기의 전자회로 및 신호처리방법
KR20130063771A (ko)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
JP2010161850A (ja) 微地絡区間標定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