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2458Y1 - 배전반 - Google Patents

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2458Y1
KR200372458Y1 KR20-2004-0029767U KR20040029767U KR200372458Y1 KR 200372458 Y1 KR200372458 Y1 KR 200372458Y1 KR 20040029767 U KR20040029767 U KR 20040029767U KR 200372458 Y1 KR200372458 Y1 KR 2003724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door
outlet
switchboard
br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97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덕
Original Assignee
(주)현대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현대정밀 filed Critical (주)현대정밀
Priority to KR20-2004-00297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24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24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24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2Mounting of devices therein
    • H02B1/34Racks
    • H02B1/36Racks with withdrawable un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8Hinged covers or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르면, 배전반은 내부 공간부를 가지는 캐비넷과, 상기 캐비넷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내부 공간부를 밀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와 캐비넷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개폐수단과, 상기 캐비넷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접속장치와, 상기 캐비넷의 설치되어 상기 전속장치와 연결된 전선을 인출할 수 있는 것으로, 캐비넷의 일측에 설치되는 인출구와, 상기 캐비넷에 설치되어 상기 인출구를 개패하는 차단부재를 가지는 전선 인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전반{repair box}
본 고안은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케비넷 내의 접속장치와 연결되어 전력을 인출하기 위한 전선의 인출부가 개선된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전반, 배전반, 분전반 등은 상대적으로 높은 전력을 안전하게 공급하여 주기 위한 전기설비로서, 공간부을 가지는 캐비넷과, 이 캐비넷에 힌지 연결되어 공간부를 외부와 차단하기 위한 도어를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수전반, 배전반, 분전반은 전기의 사용량이 날로 증가하고, 전기의 설비가 대형화 및 첨단화됨으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커지고 있으며, 전기 사용의 다양화에 부응하여 수전부, 변압부, 배전부, 정류부, 차단부 및 콘센트 등을 구비한다. 이러한 수전반이나 배전반은 각 부하로 공급되는 케이블이나 전선이 연결되고 있는데, 상기 케이블이나 전선은 배전반의 바닥이나 측면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하여 배출되거나 인출된다.
그러나 배전반의 내부에 설치되는 접속장치 또는 콘센트 등에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을 연결하는 경우 전선의 인입 및 인출을 위한 관로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배전반의 캐비닛 도어를 열어 놓고 작업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나아가서는 배전반에 설치되는 전자기기의 불필요한 작동 및 오작동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내재되어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등록 실용신안 제 0356674호에는 작업 점검실과 전선 인출관로가 형성되는 수전반이 개시되어 있다. 이 수전반은 내부 도어를 갖는 작업 및 점검 공간실과, 상기 점검 공간실의 상부 양측으로 천장과 연통되는 상태로 형성된 전선 인출관로와, 저압배전부와 특고압 변압부의 사이에는 착탈 가능한 구조의 개폐판으로 구성된 작업 점검실과 전선인출관로가 형성된 구성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수전반은 천장에 전선인출관로가 형성되어 있고, 작업 점검실과 전선 인출관로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작업을 위한 전선의 인출이 용이하지 않고, 작업 점검시 전선인출관로을 통하여 인출되는 전선 또는 케이블로 인하여 작업에 많은 간섭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선의 인출이 용이하고, 캐비넷으로부터 전자기기의 전선인출에 따른 간섭을 줄일 수 있는 배전반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캐비넷으로부터 부하 전선의 비 인출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먼지나 오염물질의 유입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배전반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차단기의 작동과 연계하여 차단기가 내장된 캐비넷의 도어를 개폐할 수 있으며, 전선이 인출되는 캐비넷의 도어를 닫아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배전반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전반의 사시도,
도 2는 배전반의 전선인출부를 나타내 보인 일부절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선인출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4는 전속장치와 연결된 전선이 전선인출부로 인출되는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배전반
20; 차단기
40; 접속장치
70; 전선인출부
71; 인출부
72; 차단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배전반은
내부 공간부를 가지는 캐비넷과, 상기 캐비넷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내부 공간부를 밀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와 캐비넷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개폐수단과,
상기 캐비넷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접속장치와,
상기 캐비넷의 설치되어 상기 전속단자와 연결된 전선을 인출할 수 있는 것으로, 캐비넷의 일측에 설치되는 인출구와, 상기 캐비넷에 설치되어 상기 인출구를 개패하는 차단부재를 가지는 전선인출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대안으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배전반은
내부 공간부를 가지는 캐비넷과, 상기 캐비넷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내부 공간부를 밀폐하는 도어와,
상기 캐비냇의 내부에 본체가 설치되며 작동레버가 상기 캐비넷의 외부로 돌출되는 차단기와,
상기 차단기의 작동레버의 조작에 따른 차단기의 작동여부에 따라 상기 도어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수단과,
상기 캐비넷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차단기의 인출단자와 연결되어 외부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접속장치와,
상기 접속장치와 인접되는 캐비냇에 설치되는 것으로, 캐비넷의 일측에 설치되는 인출구와, 상기 캐비넷에 설치되어 상기 인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패하는 차단부재를 가지는 전선 인출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본 고안에 따른 배전반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고안에 따른 배전반(1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배전반(10)은 내부 공간부(11)를 가지는 캐비넷(12)과, 상기 캐비넷(12)에 힌지 연결되어 내부 공간부(11)를 밀폐하는 도어(13)와, 상기 캐비넷(12)에는 전선의 인입 및 인출을 위한 전선 인출부(70)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넷(12)의 상부는 노지에 설치되는 경우 내부 공간부(11)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붕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13)에는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투시창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캐비넷(12)의 내부에는 패널(미도시)이 구비되고, 이 패널에는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메인단자와 공급단자의 사이에 설치되어 전력을 단속하는 차단기(20)가 설치된다. 이 차단기(20)는 이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레버(21)가 상기 캐비넷(11)의 측면의 외측으로 인출되어 캐비넷(12)의 외부에서 차단기(20)를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차단기(20)의 조작레버(21)의 인출위치는 상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차단기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한편, 상기 기판에는 적어도 하나의 누전차단기(30)와, 인출커넥터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복수개의 접속장치(40)와 콘센트(5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넷(1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13)에는 상기 조작레버(21)를 회동시켜 차단기(20)가 작동되어 전력의 공급이 차단 될 때에 상기 도어(13)가 열리도록 하는 개폐수단(60)과, 상기 누전차단기(30)를 조작하기 위한 보조 조작버튼(31)을 구비한다.
상기 접속장치(40)들은 인출커넥터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되는 전선에 전원을공급하기 위하여 인출커넥터와 전선을 결합 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상기 개폐수단(60)은 상기 차단기(20)의 조작레버(21)의 작동을 감지하고 이에 연동하여 도어(13)를 개폐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차단기(20)의 조작레버(21)의 회전을 검출하여 차단기(20)의 차단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미도시)와, 상기 감지센서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도어(13)를 개폐하기 개폐기(62)를 구비한다. 상기 개폐기(62)는 도어(13)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도어(13)의 가장자리로부터 인입 및 인출되는 궤해정구(62a)와 이 궤해정구(62a)를 전 후진 시키는 솔레노이드(62b)를 구비한다. 상기 감지센서는 근접센서, 리미트 스위치 또는 수발광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조작레버(21)의 조작상태를 감지하여 차단기의 작동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접속장치(40) 및 콘센트(50)와 인접되는 측에는 상기 접속장치(40) 또는 콘센트(50)와 인접되는 측의 캐비넷(12)에 설치되는 상기 전선인출부(70)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전선인출부(70)는 캐비넷(12)의 일측 즉, 캐비넷(12)의 하면에 인출구(71)가 형성되고, 상기 캐비넷(12)에 설치되어 상기 인출구(7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차단부재(72)를 구비한다.
상기 인출구(71)는 캐비넷(12)의 하면에 격자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인출구(71)는 캐비넷(12)의 크기, 인출되는 전선의 굵기및 가닥수 등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출구(71)의 형성위치는 캐비넷(12)의 하면으로 한정되지 않고, 캐비넷(12)의 설치위치 접속장치(12)의 위치 등에 따라 가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넷(12)에 설치되어 상기 인출구(71)를 개폐하는 차단부재(7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구(71)의 대응되는 가장자리에 가이드 홈(73)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 홈(73)의 양측 가장자리가 지지되는 자바라(72a)로 이루어지거나, 도 3에 도시되 바와 같이 셔터(72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72)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상기 인출구(61)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예컨데, 슬라이딩 도어, 회동도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배전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배전반(10)은 차단기(20)가 캐비넷(11)의 내부에 설치되고 그 조작레버(21)가 캐비넷(11)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되어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그 조작상태를 투시창을 통하여 관찰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차단기(20)의 작동확인 불량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배전반(10)의 도어(13)의 도어 개폐수단(60)에 의해 차단기(20)가 작동되어 전력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만 열리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차단기(20)의 조작레버(21)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이 조작레버(21)의 조작상태에 근거하여 차단기(20)의 전력차단상태가 감지되고, 이 감지된 신호에 근거하여 도어(13)에 설치된 개폐기(62)의 솔레노이드(62b)가 작동된다. 이 솔레노이드(62b)의 작동으로 괘해정구(62a)가 후퇴되어 캐비넷(11)에 대한 도어(13)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따라서 조작레버(21)가 작동되지 않아 차단기(20)에 의해 전력 공급이 차단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어(13)가 열리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누전차단기(30)의 보조조작버튼(31)이 도어(13)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도어(13)를 열지 않고 보조조작버튼(31)을 누름으로써 작동로드(31b)가 후퇴되어 누전차단기(30)의 버튼을 눌러 조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13)가 열린 상태에서 접속장치(40)를 이용하여 전력을 인출할 수 있다. 먼저 전력을 인출하기 위해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선 인출부(70)의 차폐부재(72)인 자바라 또는 셔터(72b)를 캐비넷(12)의 후방 측으로 밀어 상기 인출구(71)가 열리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전력을 인출하기 위한 전선(100)들을 인출구(61)를 통하여 삽입한 후 그 단부를 접속장치(40)들과 각각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전선(100)들과 접속장치(40)들의 연결이 완료되면 상기 캐비넷(12)의 도어를 닫는다. 상기와 같은 전력의 인출로 인한 간섭을 배제시킬 수 있으며,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전반은 캐비넷의 하면부에 전선 인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캐비넷의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전선의 인출이 가능하므로 고압이 인가되는 단자들이 마련된 캐비넷의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작업함으로써 발생되는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전력을 인출하기 위한 전선인출부의 인출구를 개폐하는 차단부재는 자바라 또는 셔터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인출구의 개폐가 용이하며 도어의 개폐에 따른 점유 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내부 공간부를 가지는 캐비넷과, 상기 캐비넷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내부 공간부를 밀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와 캐비넷에 설치되어 도어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개폐수단과,
    상기 캐비넷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접속장치와,
    상기 캐비넷의 설치되어 상기 전속장치와 연결된 전선을 인출할 수 있는 것으로, 캐비넷의 일측에 설치되는 인출구와, 상기 캐비넷에 설치되어 상기 인출구를 개패하는 차단부재를 가지는 전선 인출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인출구의 대응되는 가장자리에 지지되는 자바라 또는 셔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3. 내부 공간부를 가지는 캐비넷과, 상기 캐비넷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내부 공간부를 밀폐하는 도어와,
    상기 캐비냇의 내부에 본체가 설치되며 작동레버가 상기 캐비넷의 외부로 돌출되는 차단기와,
    상기 차단기의 작동레버의 조작에 따른 차단기의 작동여부에 따라 상기 도어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수단과,
    상기 캐비넷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차단기의 인출단자와 연결되어 외부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접속장치와,
    상기 접속장치와 인접되는 캐비냇에 설치되는 것으로 캐비넷의 일측에 설치되는 인출구와, 상기 캐비넷에 설치되어 상기 인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패하는 차단부재를 가지는 전선 인출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차단기의 조작레버의 조작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감시된 신호에 근거하여 도어를 개폐하는 것으로 솔레노이드에 의해 전후진되는 괘해정구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인출구의 대응되는 가장자리에 지지되는 자바라 또는 셔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KR20-2004-0029767U 2004-10-21 2004-10-21 배전반 KR2003724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9767U KR200372458Y1 (ko) 2004-10-21 2004-10-21 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9767U KR200372458Y1 (ko) 2004-10-21 2004-10-21 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2458Y1 true KR200372458Y1 (ko) 2005-01-14

Family

ID=49444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9767U KR200372458Y1 (ko) 2004-10-21 2004-10-21 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2458Y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4290B1 (ko) * 2006-11-28 2007-03-14 박이규 선택적 배선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공동주택의 배선박스연결구조
KR100719603B1 (ko) 2006-11-28 2007-05-18 주식회사 엠피코씨엠 다세대주택의 조립형 분전박스
KR100722950B1 (ko) * 2005-11-25 2007-05-30 박성근 제어기, 분전반 또는 개폐기 캐비닛 시트
KR100722423B1 (ko) 2006-11-28 2007-06-04 주식회사 나우기술단 공동주택의 조립형 분전박스
KR100728166B1 (ko) * 2006-11-28 2007-06-13 황국주 정상적인 전기공급을 유지하는 송배전기
KR101039309B1 (ko) * 2010-07-16 2011-06-08 (주)부국전기 공간절약 및 작업자 안전을 위한 도어 개량형 수배전반
KR200469826Y1 (ko) * 2009-05-22 2013-11-0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인버터
KR101629739B1 (ko) 2014-12-08 2016-06-13 (주)뉴그린테크 배전반 분진 유입 방지유닛
KR102235942B1 (ko) * 2020-08-04 2021-04-02 최원철 다중작업을 지원하기 위한 용접기 분전함
KR102350163B1 (ko) * 2021-06-18 2022-01-17 구대원 공동주택 분전함
KR102467365B1 (ko) * 2022-06-28 2022-11-16 (주)에스엔에스 배터리 보관함 화재 방지시스템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950B1 (ko) * 2005-11-25 2007-05-30 박성근 제어기, 분전반 또는 개폐기 캐비닛 시트
KR100694290B1 (ko) * 2006-11-28 2007-03-14 박이규 선택적 배선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공동주택의 배선박스연결구조
KR100719603B1 (ko) 2006-11-28 2007-05-18 주식회사 엠피코씨엠 다세대주택의 조립형 분전박스
KR100722423B1 (ko) 2006-11-28 2007-06-04 주식회사 나우기술단 공동주택의 조립형 분전박스
KR100728166B1 (ko) * 2006-11-28 2007-06-13 황국주 정상적인 전기공급을 유지하는 송배전기
KR200469826Y1 (ko) * 2009-05-22 2013-11-0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인버터
KR101039309B1 (ko) * 2010-07-16 2011-06-08 (주)부국전기 공간절약 및 작업자 안전을 위한 도어 개량형 수배전반
KR101629739B1 (ko) 2014-12-08 2016-06-13 (주)뉴그린테크 배전반 분진 유입 방지유닛
KR102235942B1 (ko) * 2020-08-04 2021-04-02 최원철 다중작업을 지원하기 위한 용접기 분전함
KR102350163B1 (ko) * 2021-06-18 2022-01-17 구대원 공동주택 분전함
KR102467365B1 (ko) * 2022-06-28 2022-11-16 (주)에스엔에스 배터리 보관함 화재 방지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72458Y1 (ko) 배전반
EP2667467B1 (en) Shutter door assembly for an electrical panel
KR20120020658A (ko) 전원차폐형 자동접속 모터 컨트롤 센터
ZA201006059B (en) Functional unit for low-voltage panel with test position
CN201508796U (zh) 矿用隔爆型永磁真空馈电开关
CN208596883U (zh) 一种具有防尘功能的配电箱
CN203103794U (zh) 一种双门式配电箱
CN204287276U (zh) 新型低压计量箱
CN207021226U (zh) 一种用于断路器的电动操作机构的机械连锁结构
KR200354939Y1 (ko) 배전반의 셔터 배리어
CN213845172U (zh) 一种双电源开关保护外壳
JP5338961B2 (ja) 配電盤
CN211457763U (zh) 一种柜体结构及具有该柜体结构的电弧释放柜
CN203589490U (zh) 一种电控柜联锁板及电控柜
CN210838592U (zh) 一种带集线功能的配电箱
CN207010058U (zh) 一种集成的固定式ism断路器
JP2012095530A (ja) コントロールセンター
KR102304409B1 (ko) 배전용 전기 케이블 접속부 누수 방지 장치
KR100630497B1 (ko) 접속단자와 이를 이용한 배전반
CN206640036U (zh) 临时接地线在线监控锁闭装置
CN211788784U (zh) 一种10kv金属铠装移开式开关设备闭锁结构
CN208209323U (zh) 一种配电箱
CN211238954U (zh) 一种三防煤矿用电力配电箱
CN216850791U (zh) 一种节省空间的多功能室内配电箱
CN212849556U (zh) 一种室外防水配电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