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9603B1 - 다세대주택의 조립형 분전박스 - Google Patents

다세대주택의 조립형 분전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9603B1
KR100719603B1 KR1020060118530A KR20060118530A KR100719603B1 KR 100719603 B1 KR100719603 B1 KR 100719603B1 KR 1020060118530 A KR1020060118530 A KR 1020060118530A KR 20060118530 A KR20060118530 A KR 20060118530A KR 100719603 B1 KR100719603 B1 KR 100719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inlet
conducting
terminal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8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영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피코씨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피코씨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피코씨엠
Priority to KR1020060118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96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9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9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6Assembled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covered by H02G

Abstract

본 발명은 다세대주택의 조립형 분전박스에 관한 것으로, 한 쌍의 제1통전바아를 갖추고 전기가 유입되는 플러그형 전기공급단자; 상기 제1통전바아가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구를 갖는 통전부와, 한 쌍의 하기 제2통전바아가 삽입되어 통전되는 한 쌍의 삽입구를 갖는 삽입부와, 상기 통전부와 삽입부를 전기적으로 병렬연결하는 내전선과, 상기 내전선과 전기적으로 병렬연결되는 제1통전단자를 갖는 배전체; 내측에 상기 배전체가 배치되는 수용홈을 갖는 다면체 형상을 이루되, 상기 수용홈은 하기 탄발체가 위치하는 탄발체 안착홈과, 상기 전기공급단자가 외부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통전부에 끼워지도록 절개 형성된 제1인입구와, 하기 전기배전단자가 외부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삽입부에 끼워지도록 절개 형성된 제2인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인입구의 입구 쪽 양측에는 각각 안쪽에 형성되는 이동홈과 상기 이동홈를 개구하는 인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홈에 끼워져 이동하는 이동대와 상기 이동대와 연결되어 상기 인출구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고 전면은 상기 제2인입구의 중심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돌출사면대로 된 걸림구와, 상기 이동홈 내에 배치되어서 상기 이동대를 제2인입구를 향해 밀어내는 탄발부재와, 상기 제1통전단자를 외부로 공개하는 개구부를 구비하되 상기 개구부는 일단부가 개구된 맞물림홈 내에 위치하고 상기 맞물림홈 내에는 전도성 재질의 통전매개체가 돌출되게 구비된 제1배전함; 한 쌍의 하기 제2통전바아가 삽입되어 통전되는 한 쌍의 삽입구를 갖는 삽입부와, 하기 끼움바아의 외면에 위치하면서 하기 끼움바아가 상기 맞물 림홈으로의 내입시 상기 제1통전단자와 접촉하는 제2통전단자와, 상기 삽입부와 제2통전단자를 전기적으로 병렬연결하는 추가내전선을 갖는 추가배전체; 내측에 상기 추가배전체가 배치되는 수용홈을 갖는 다면체 형상을 이루되, 상기 수용홈은 하기 탄발체가 위치하는 탄발체 안착홈과, 하기 전기배전단자가 외부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삽입부에 끼워지도록 절개 형성된 제2인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인입구의 입구 쪽 양측에는 각각 안쪽에 형성되는 이동홈과 상기 이동홈를 개구하는 인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홈에 끼워져 이동하는 이동대와 상기 이동대와 연결되어 상기 인출구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고 전면은 상기 제2인입구의 중심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돌출사면대로 된 걸림구와, 상기 이동홈 내에 배치되어서 상기 이동대를 제2인입구를 향해 밀어내는 탄발부재와, 상기 맞물림홈으로 탈부착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통전매개체가 맞물려 끼워지는 오목부를 갖는 끼움바아와, 상기 추가내전선과 전기적으로 병렬연결되어 외면에 배치되는 확인등과, 상기 확인등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회로에 연결되되 상기 오목부에서 공개되도록 마주하게 이격 배치되어 상기 회로를 단전하며 상기 통전매개체와의 접촉으로 서로 통전하는 한 쌍의 이격단자를 구비한 제2배전함; 일단부에 한 쌍의 제2통전바아가 돌출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제2통전바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선이 연결되며 상기 일단부의 편중된 위치에는 회동홈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타단부의 양측에는 상기 돌출사면대가 맞물려 끼워지는 걸림홈을 갖는 본체와, 중심각이 직각인 부채꼴 기둥형상으로 상기 중심각 쪽에는 상기 회동홈에 상응하는 회동구멍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상기 제2통전바아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회동구멍을 기준으로 이동방향 선상 에 있는 곡면부의 일지점에는 회동홈을 갖는 덮개와, 상기 회동홈과 회동구멍으로 삽입되어 이를 중심으로 상기 덮개를 회동가능하게 고정하는 회동축대와, 상기 회동축대를 감싸면서 일단은 상기 덮개와 맞닿고 타단은 상기 본체와 맞닿아 상기 덮개가 상기 제2통전바아를 덮도록 탄발지지하는 토션스프링으로 된 전기배전단자; 및 한 쌍의 태엽스프링과, 상기 태엽스프링을 각각 내장하며 상기 탄발체 안착홈에 배치되는 상판 및 하판과, 양단이 각각 상기 상판의 태엽스프링과 상기 하판의 태엽스프링에 연결되어서 상기 제2인입구로 삽입되는 상기 전기배전단자의 끼움홈과 맞물릴 수 있도록 배치되는 걸림대와, 상기 상판 및 하판을 각각 덮어 폐구하되 상기 전기배전단자의 이동에 의한 압력으로 상기 태엽스프링을 조일 수 있도록 상기 걸림대의 이동을 안내하는 호 형상의 가이드라인을 갖는 덮개판을 갖는 탄발체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다세대주택의 조립형 분전박스{Distributing wire box}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전박스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함을 수평방향으로 절단하여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배전단자의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탄발체의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상기 전기배전단자와 배전함 간의 결합과정을 순차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체의 배전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함 간의 연결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10 ; 분전박스 100, 100', 100" ; 제1,2,3배전함
101 ; 제1인입구 102 ; 제2인입구
110 ; 수용홈 111 ; 탄발체 안착홈
112 ; 이동홈 113 ; 인출구
114 ; 레일 120 ; 탄발체
121 ; 상판 122 ; 하판
123, 123' ; 가이드라인 124 ; 걸림대
125 ; 덮개판 126 ; 태엽스프링
131 ; 걸림구 132 ; 탄발부재
140 ; 배전체 141 ; 삽입부
142 ; 삽입구 143 ; 통전부
144 ; 내전선 200 ; 전기공급단자
210 ; 제1통전바아 300 ; 전기배전단자
310 ; 본체 311 ; 가이드홈
312 ; 걸림홈 313 ; 제2통전바아
314 ; 회동홈 315 ; 사면
320 ; 덮개 321 ; 공간
323 ; 회동구멍 324 ; 끼움홈
325 ; 사면 330 ; 회동축대
340 ; 토션스프링
본 발명은 다세대주택의 조립형 분전박스에 관한 것이다.
외부로부터 실내로 유입되는 전기는 전신주로부터 단선으로 인입된 전선을 통하며, 이렇게 인입된 전선으로부터 세대별로 전기를 배전하기 위해 분전박스가 활용된다.
종래 분전박스는 해당 건물의 건축 시 외부로부터 인입된 전선을 세대별로 분리된 다수의 전선과 연결하여 배전한 후 이를 영구적으로 고정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의 경우 해당 건물의 증축 또는 일부 철거 등의 사후 변동에 대응하여 배전 수를 변경할 수 없고, 개별 세대에 대한 전기공급 제어가 일지점에서 총괄 제어하기 곤란하여 많은 불편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전기를 배전하는 분전박스에서 배전 수를 관리자가 임의로 조절 및 변경할 수 있고, 이러한 제어가 일지점에서 안전하고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다세대주택의 조립형 분전박스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한 쌍의 제1통전바아를 갖추고 전기가 유입되는 플러그형 전기공급단자;
상기 제1통전바아가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구를 갖는 통전부와, 한 쌍의 하기 제2통전바아가 삽입되어 통전되는 한 쌍의 삽입구를 갖는 삽입부와, 상기 통전부와 삽입부를 전기적으로 병렬연결하는 내전선과, 상기 내전선과 전기적으로 병렬연결되는 제1통전단자를 갖는 배전체;
내측에 상기 배전체가 배치되는 수용홈을 갖는 다면체 형상을 이루되, 상기 수용홈은 하기 탄발체가 위치하는 탄발체 안착홈과, 상기 전기공급단자가 외부로부 터 삽입되어 상기 통전부에 끼워지도록 절개 형성된 제1인입구와, 하기 전기배전단자가 외부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삽입부에 끼워지도록 절개 형성된 제2인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인입구의 입구 쪽 양측에는 각각 안쪽에 형성되는 이동홈과 상기 이동홈를 개구하는 인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홈에 끼워져 이동하는 이동대와 상기 이동대와 연결되어 상기 인출구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고 전면은 상기 제2인입구의 중심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돌출사면대로 된 걸림구와, 상기 이동홈 내에 배치되어서 상기 이동대를 제2인입구를 향해 밀어내는 탄발부재와, 상기 제1통전단자를 외부로 공개하는 개구부를 구비하되 상기 개구부는 일단부가 개구된 맞물림홈 내에 위치하고 상기 맞물림홈 내에는 전도성 재질의 통전매개체가 돌출되게 구비된 제1배전함;
한 쌍의 하기 제2통전바아가 삽입되어 통전되는 한 쌍의 삽입구를 갖는 삽입부와, 하기 끼움바아의 외면에 위치하면서 하기 끼움바아가 상기 맞물림홈으로의 내입시 상기 제1통전단자와 접촉하는 제2통전단자와, 상기 삽입부와 제2통전단자를 전기적으로 병렬연결하는 추가내전선을 갖는 추가배전체;
내측에 상기 추가배전체가 배치되는 수용홈을 갖는 다면체 형상을 이루되, 상기 수용홈은 하기 탄발체가 위치하는 탄발체 안착홈과, 하기 전기배전단자가 외부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삽입부에 끼워지도록 절개 형성된 제2인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인입구의 입구 쪽 양측에는 각각 안쪽에 형성되는 이동홈과 상기 이동홈를 개구하는 인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홈에 끼워져 이동하는 이동대와 상기 이동대와 연결되어 상기 인출구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고 전면은 상기 제2인입구의 중심 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돌출사면대로 된 걸림구와, 상기 이동홈 내에 배치되어서 상기 이동대를 제2인입구를 향해 밀어내는 탄발부재와, 상기 맞물림홈으로 탈부착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통전매개체가 맞물려 끼워지는 오목부를 갖는 끼움바아와, 상기 추가내전선과 전기적으로 병렬연결되어 외면에 배치되는 확인등과, 상기 확인등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회로에 연결되되 상기 오목부에서 공개되도록 마주하게 이격 배치되어 상기 회로를 단전하며 상기 통전매개체와의 접촉으로 서로 통전하는 한 쌍의 이격단자를 구비한 제2배전함;
일단부에 한 쌍의 제2통전바아가 돌출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제2통전바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선이 연결되며 상기 일단부의 편중된 위치에는 회동홈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타단부의 양측에는 상기 돌출사면대가 맞물려 끼워지는 걸림홈을 갖는 본체와, 중심각이 직각인 부채꼴 기둥형상으로 상기 중심각 쪽에는 상기 회동홈에 상응하는 회동구멍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상기 제2통전바아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회동구멍을 기준으로 이동방향 선상에 있는 곡면부의 일지점에는 회동홈을 갖는 덮개와, 상기 회동홈과 회동구멍으로 삽입되어 이를 중심으로 상기 덮개를 회동가능하게 고정하는 회동축대와, 상기 회동축대를 감싸면서 일단은 상기 덮개와 맞닿고 타단은 상기 본체와 맞닿아 상기 덮개가 상기 제2통전바아를 덮도록 탄발지지하는 토션스프링으로 된 전기배전단자; 및
한 쌍의 태엽스프링과, 상기 태엽스프링을 각각 내장하며 상기 탄발체 안착홈에 배치되는 상판 및 하판과, 양단이 각각 상기 상판의 태엽스프링과 상기 하판의 태엽스프링에 연결되어서 상기 제2인입구로 삽입되는 상기 전기배전단자의 끼움 홈과 맞물릴 수 있도록 배치되는 걸림대와, 상기 상판 및 하판을 각각 덮어 폐구하되 상기 전기배전단자의 이동에 의한 압력으로 상기 태엽스프링을 조일 수 있도록 상기 걸림대의 이동을 안내하는 호 형상의 가이드라인을 갖는 덮개판을 갖는 탄발체;
를 포함하는 다세대주택의 조립형 분전박스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전박스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전박스(10)는 제1배전함(100)과, 상기 제1배전함(100)으로 탈부착하는 전기공급단자(200) 및 전기배전단자(3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기공급단자(200)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전기가 흐르는 것이고, 전기배전단자(300)는 상기 전기공급단자(200)에서 배전된 전기를 세대별로 공급하는 것이다. 따라서, 전기배전단자(300)는 다수 개가 구비될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분전박스(10)는 상기 전기공급단자(200) 및 전기배전단자(300)가 제1배전함(100)과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상기 전기공급단자(200) 및 전기배전단자(300)는 일반적인 플러그 구조를 이루고, 이에 상응하여 상기 제1배전함(100) 또한 일반적인 콘센트 구조를 이룬다.(콘센트 구조를 이루는 제1배전함(100)의 일부분은 하기 배전체(140 ; 도 2 참조)의 삽입부(141) 및 통전부(143)이다.) 결국, 상기 전기공급단자(200) 및 전기배전단자(300)는 제1통전바아(210)와 제2통전바아(313 ; 도 3 참조)를 각각 갖추고, 이에 대응하여 제1,2인입구(101, 102)에는 상기 제1,2통전바아(210, 313)에 대응하는 삽입구(142, 143a ; 도 2 참조)를 갖는다.
상기 제1배전함(100)은 전기공급단자(200)가 삽입되는 제1인입구(101)와, 전기배전단자(300)가 삽입되는 다수의 제2인입구(102)를 구비한다. 상기 제1인입구(101)는 하나의 전기공급단자(200)가 전선(W)으로부터 흘러오는 전기를 제1배전함(100)으로 통전하기 위한 장소이고, 제2인입구(102)는 전기배전단자(300)가 상기 제1배전함(100)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전선(W')으로 흘려보내기 위한 장소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전기공급단자(200)의 경우 제1배전함(100)과 연결되면 제1배전함(100)을 교체하지 않는 이상 쉽게 분리되지 않을 것이므로, 제1배전함(100)과 전기공급단자(200)를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분전박스(10)의 장점인 제1배전함(100)의 용이한 교체 및 수리를 위해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공급단자(200) 또한 제1배전함(100)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함을 수평방향으로 절단하여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배전단자의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배전함(100)은 안쪽에 수용홈(110)을 가지며, 상기 제1,2인입구(101, 102)는 상기 수용홈(110)과 연통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수용홈(110)은 다양한 구역으로 격실되고, 이렇게 격실된 구역에는 탄발체(120)가 안착되는 탄발체 안착홈(111)과 상기 제2인입구(102)를 갖는다. 이때, 상기 탄발체 안착홈(111)은 제2인입구(102)와 연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인입구(102)는 전기배전단자(300)가 삽입되는 곳으로, 상기 제2인입구(102)의 내벽에는 전기배전단자(300)의 이동방향을 따라 레일(114)이 형성되고, 전기배전단자(300)의 본체(310) 외벽에는 상기 레일(114)과 이동가능하게 맞물려서 상기 제2인입구(102)로의 삽입시 흔들림없이 정확히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홈(311)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110)은 개구부(115)를 통해 외부로 개구된다. 상기 개구부(115)는 배전체(140)의 인출부(145)가 끼워지면서 외부로 공개되는 곳이다. 참고로, 제1배전함(100)은 상기 인출부(145)가 하나만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인출부(145)에는 제1통전단자(146)가 배치된다. 상기 제1통전단자(146)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전선(144)과 전기적으로 병렬연결되어서 전기가 흐른다. 이는 하기 제2,3배전함(100', 100")과의 통전을 위한 것이다.
그런데, 상기 제1통전단자(146)는 외부에 직접 공개되지 않으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맞물림홈(116a) 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는 상기 제1통전단자(146)에 전기가 흐르고 있으므로 관리자의 부주의로 감전사고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맞물림홈(116a)은 일정한 깊이를 갖는 홈으로 하기 제2,3배전함(100', 100")에 형성된 끼움바아(116b)가 탈부착 가능하게 삽입되어 맞물리게 된다. 이를 위한 상기 끼움바아(116b)는 'ㄱ' 형상으로 되어서 그 말단부가 상기 맞물림홈(116a)으로 삽입된다.
이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한다.
계속해서, 상기 본체(310)에 돌출 형성된 제2통전바아(313)는 상기 본체(310)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320)에 의해 보호된다. 상기 덮개(320)는 안쪽에 공간(321)을 가지며 중심각이 직각인 부채꼴 기둥형상을 이루고, 중심각 쪽의 꼭지점 부분에는 회동구멍(323)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본체(310)의 편중된 위치에는 상기 회동구멍(323)에 상응하는 회동홈(314)이 형성된다. 결국, 상기 덮개(320)는 상기 회동구멍(323) 및 회동홈(314)을 관통하는 회동축대(330)에 의해 상기 본체(310)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제2통전바아(313)는 상기 공간(321)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덮개(320)는 회동축대(330)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제2통전바아(313)를 덮거나 공개되도록 여닫힌다.
여기서, 상기 제2통전바아(313)는 제1배전함(100)과의 결합시 고압(110V, 220V)의 전기가 흐르므로, 관리자는 감전의 위험을 항시 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기배전단자(300)의 탈부착 작업을 관리자가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덮개(320)가 구비되는 것이며, 평상시에는 덮개(320)가 제2통전바아(313)를 덮어 관리자와 접촉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회동축대(330)는 토션스프링(340)과 맞물리고, 상기 토션스프링(340)의 양단은 각각 덮개(320)와 본체(310) 에 맞대어져 지지된다. 물론, 상기 토션스프링(340)은 상기 덮개(320)가 제2통전바아(313)를 덮는 방향으로 탄발하므로, 전기배전단자(300)가 제1배전함(100)과 분리된 상태에서는 상기 덮개(320)는 제2통전바아(313)를 덮게 된다.
상기 제2인입구(102)로 삽입된 전기배전단자(300)는 상기 토션스프링(340) 및 상기 탄발체(120)의 탄발력으로 인해 탄발하여 제2인입구(102)로부터 투출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전기배전단자(300)가 제2인입구(102)로 삽입되면 재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제2인입구(102)의 입구에는 걸림구(131)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구(131)는, 제2인입구(102)의 입구 쪽에서 수평방향으로 서로 마주하게 위치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이동홈(112)과 상기 이동홈(112)을 각각 외부로 개구시키는 인출구(113)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데, 이를 위해 상기 걸림구(131)는 상기 이동홈(112)과 맞물리는 이동대(131b)와, 상기 이동대(131b)와 연결되며 인출구(113)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고 전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된 돌출사면대(131a)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구(131)는 제2인입구(102) 별로 한 쌍이 각각 마주하게 배치되고, 이때 상기 돌출사면대(131a)는 서로를 향해 제2인입구(102) 쪽으로 돌출된다.
계속해서, 상기 이동홈(112)에는 탄발부재(132)가 배치된다. 상기 탄발부재(132)는 상기 이동홈(112) 내에서 상기 이동대(131b)의 말단과 맞물려 탄발하므로, 한 쌍의 걸림구(131)가 항시 제2인입구(102)의 중심을 향해 돌출되도록 한다.
이를 위한 상기 탄발부재(132)는 코일스프링, 판스프링 등 다양한 종류가 적 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판스프링을 적용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탄발체의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탄발체(120)는 상기 탄발체 안착홈(111)에 조적된다.
상기 탄발체(120)는 상판(121)과 하판(122)으로 구분되고, 상기 상판(121)과 하판(122)은 걸림대(124)를 매개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상판(121)은 수용홈(110)의 상부에 위치한 탄발체 안착홈(미도시됨)에 위치하고, 하판(122)은 수용홈(110)의 하부에 위치한 탄발체 안착홈(111)에 위치한다. 결국, 상기 상판(121)과 하판(122) 사이에 위치하는 걸림대(124)는 전기배전단자(300)가 삽입되는 제2인입구(102)의 수평선상에 배치될 것이다.
상기 상판(121)과 하판(122)에는 각각 태엽스프링(126)이 내장된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태엽스프링(126)은 회전력에 대해 탄발하는 것으로, 상기 태엽스프링(126)의 말단과 상기 걸림대(124)가 연결되면서 상기 걸림대(124)의 이동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탄발한다. 한편, 상기 걸림대(124)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라인(123, 123')이 상기 상판(121) 및 하판(122)을 각각 덮는 덮개판(125)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라인(123, 123')은 호를 따라 절개 형성되므로, 상기 걸림대(124)의 이동 또한 상기 가이드라인(123, 123')의 호를 따르게 된다. 물론, 상기 호를 따르는 걸림대(124)의 이동은 상기 태엽스프링(126)을 조이는 방향이다.
도 5 및 도 6은 상기 전기배전단자와 배전함 간의 결합과정을 순차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a)는 전기배전단자(300)가 제2인입구(102)로 삽입되기 직전의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덮개(320)는 토션스프링(340)의 탄발력에 의해 제2통전바아(313)가 위치한 본체(310)의 일면을 덮고, 상기 걸림구(131)는 탄발부재(132)의 탄발력으로 제2인입구(102)의 양측면을 일부 가리며, 상기 걸림대(124)는 태엽스프링(126)에 의해 가이드라인(123)에서 상기 제2인입구(102) 쪽인 일단에 위치한다.
도 5(b)는 전기배전단자(300)가 제2인입구(102)로 일부 삽입된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덮개(320)의 말단이 걸림대(124)와 맞닿는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른 덮개(320)는 부채꼴 형상을 이루므로, 상기 걸림대(124)가 미끄러질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대(124)와 접하는 덮개(320)의 곡면부에는 끼움홈(324)이 형성되어서, 상기 걸림대(124)와의 접촉 시 긴밀하게 맞물릴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걸림구(131)는 돌출사면대(131a)가 전기배전단자(300)의 일면과 맞닿으면서 좌우로 이동한다. 물론, 탄발부재(132)는 좌우로 이동하는 걸림구(131) 밀어내려는 탄발력을 갖게 된다. 이때, 상기 돌출사면대(131a)는 전면에 제2인입구(102)의 중심으로 갈수록 기울어진 사면이 형성되어서, 전기배전단자(300)와의 맞물림 시에 전기배전단자(300)의 압력으로 좌우 이동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5(c)는 도 5(b) 상태에서 전기배전단자(300)가 제2인입구(102)로 더 삽입 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전기배전단지(300)의 이동으로 상기 끼움홈(324)과 맞물린 걸림대(124)가 밀려 가이드라인(123)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덮개(320)는 걸림대(124)의 이동을 따라 조금씩 회동한다. 따라서, 상기 끼움홈(324)과 상기 회동홈(314) 및 회동구멍(323)은 상기 전기배전단자(300)의 이동선 상에 위치해야 할 것이다.
도 6(a) 및 도 6(b)는 제2인입구(102)로 더욱 삽입된 전기배전단자(300)의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덮개(320)는 가이드라인(123)을 따라 이동하는 걸림대(124)와 맞물려서 제2통전바아(313)가 드러나도록 열린다.
여기서, 상기 덮개(320)가 부채꼴 형상을 한 이유는 제1배전함(100)의 공간활용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상기 덮개(320)의 회동시 덮개(320)가 점유하게 되는 이동공간을 최소화시켜서 제1배전함(100)이 불필요하게 확장되는 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도 6(c)는 전기배전단자(300)가 제2인입구(102)에 완전히 삽입되어 상기 제2통전바아(313)가 삽입부(141)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덮개(320)는 가이드라인(123)의 타단까지 밀려 이동한 걸림대(124)와 더불어 회동하여 완전히 열리고, 상기 제2통전바아(313)는 삽입부(141)에 결합되어 통전된다.
한편, 상기 태엽스프링(126)과 토션스프링(340)의 탄발력으로 전기배전단자(300)가 이동할 수 있는바, 상기 걸림구(131)가 제2인입구(102)로 삽입된 전기배전단자(300)의 말단을 덮어 지지함으로서 전기배전단자(300)의 이탈을 막는다.
전기배전단자(300)의 본체(310) 타면에는 걸림홈(312)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312)으로는 걸림구(131)가 맞물려 삽입되면서, 전기배전단자(300)가 제2인입구(102)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더라도 상기 걸림구(131)에 걸려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덮개(320)가 완전히 회동하여 열리면 본체(310)와 접할 수 있는데, 이때의 간섭을 없애기 위해 상기 덮개(320)와 맞닿게 되는 본체(310)의 일지점에 사면(315)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사면(315)과 맞닿게 되는 덮개(320)의 일지점에 사면(325)을 형성한다.
따라서, 도 6(c)와 같이 상기 덮개(320)가 본체(310)와 겹쳐지는 범위까지 회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렇게 연결된 전기배전단자(300)를 제1배전함(100)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한 쌍의 걸림구(131)를 양방향으로 밀어내어 상기 전기배전단자(300)가 상기 태엽스프링(126)과 토션스프링(340)의 탄발력으로 투출되도록 하면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체의 배전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과정에 따라 탈부착하는 전기배전단자(300)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배전함(100)에 다수 개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배전함(100)은 전기배전단자(300)가 삽입되는 제2인입구(102)를 다수 개 갖추어야 하고, 이에 상응하여 상기 탄발체(120) 또한 제2인입구(102) 별로 하나씩 구비되어야 한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상기 전기배전단자(300)의 제2통전바아(313)가 삽입되는 삽입부(141)가 다수 구비되어야 하고, 이렇게 구비되는 삽입부(141) 모두는 전기공급단자(200)가 삽입되는 통전부(14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배전체(140)는, 다수의 삽입부(141)가 통전부(14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내전선(144)에 각각 병렬연결되어 상기 전기배전단자(300)가 상기 삽입부(141) 어디에 삽입되더라도 통전될 수 있다.
이러한 전기적 구조는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전기적 구조이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런데, 상기 제1배전함(100)이 갖는 삽입부(141)는 그 개수에 한계가 있으므로, 그 이상의 배전을 요할 경우 상기 삽입부(141)가 충분히 구비된 다른 배전함으로 교체해야 한다. 이러한 교체 작업은 전기공급단자(200)와 전기배전단자(300)를 분리시키고 고정설치된 이전의 배전함을 제거해야 하므로, 작업수가 늘어나 비교적 어려운 점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제1배전함(100)은 부족한 삽입부(141)를 보충하기 위해 다른 제2,3배전함(100', 100")을 손쉽게 추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2,3배전함(100', 100")은 확인등(119)을 구비한다. 상기 확인등(119)은 추가내전선(144')과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되는데, 그 회로는 한 쌍의 이격단자(118)에 의해 단전된다. 즉, 상기 이격단자(118)가 서로 떨어지게 배치되어서 이곳에서 전기가 단전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함 간의 연결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2,3배전함(100, 100', 100")은 제1통전단자(146)와 제2통전단자(147)를 가지며, 상기 제1통전단자(146)와 제2통전단자(147)는 배전체(140)의 내전선(144)와 추가배전체(140')의 추가내전선(144')과 전기적으로 병렬연결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배전함(100)에 형성된 맞물림홈(116a)으로 이웃하는 다른 제2배전함(100')의 끼움바아(116b)가 삽입되고, 이를 통해 상기 인출부(145)에 있는 제1통전단자(146)와 상기 끼움바아(116b)에 있는 제2통전단자(147)가 맞닿으면서, 제1배전함(100)의 내전선(144)과 이웃하는 다른 제2배전함(100')의 추가내전선(144')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통전한다.
결국, 전기공급단자(200)가 연결되는 제1배전함(100)에 새로운 제2,3배전함(100', 100")을, 전기적으로는 제1,2통전단자(146, 147)가 연결하고, 물리적으로는 상기 맞물림홈(116a)과 끼움바아(116b)가 연결하게 되어서, 전기배전단자(300)를 추가해야 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끼움바아(116b)의 말단에는 절개된 오목부(116c)가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이격단자(118)는 각각 상기 오목부(116c)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다. 즉, 상기 이격단자(118)는 오목부(116c)를 통해 외부로 공개되면서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는 것이다.
도 2를 보면, 상기 맞물림홈(116a)의 내측에는 통전매개체(117)가 돌출형성된다. 상기 통전매개체(117)는 전도성 재질로 되어서, 그 형상과 크기는 상기 오 목부(116c)에 상응한다. 결국, 상기 끼움바아(116b)가 맞물림홈(116a)으로 충분히 삽입되면, 상기 통전매개체(117)는 오목부(116c)와 맞물리고, 한 쌍의 이격단자(118)는 통전매개체(117)를 매개로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져서 해당 회로선 상에 있는 상기 확인등(119)이 전기를 공급받아 발광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2,3배전함(100', 100")의 외면에 배치된 확인등(119)의 발광여부를 통해 상기 끼움바아(116b)와 맞물림홈(116a)이 정상적으로 결합되었는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2, 도 7 및 도 8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3배전함(100, 100', 100")이 전기공급단자(200)가 연결되는 제1배전함(100)과 상기 제1배전함(100)에 추가로 끼워지는 제2,3배전함(100', 100")이 다른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이러한 구분없이 모든 제1,2,3배전함(100, 100', 100")을 동일하게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제1인입구(101)와 제2인입구(102)로 구분된 상기 제1,2인입구(101, 102)를 제2인입구(102)의 구조로 통일하고, 이에 대응하여 전기공급단자(200) 또한 전기배전단자(300)의 구조와 동일하게 하며, 하나의 제1,2,3배전함(100, 100', 100")에 상기 제1통전단자(146)와 상기 제2통전단자(147)를 외면에 갖는 끼움바아(116b)를 하나의 쌍으로서 구비함으로서, 제1,2,3배전함(100, 100', 100")의 통일을 이룰 수 있다.
참고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체(140)와 추가배전체(140')가 전기배전 을 어떻게 하는지를 보이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안정된 분전을 위한 안정기 등과 같은 일반적인 배전장치에 대한 구성은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배전장치는 당업자가 본원발명의 실시예를 기초로 용이하게 적용 실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전기를 배전하는 분전박스에서 배전 수를 관리자가 임의로 조절 및 변경할 수 있고, 이러한 제어를 일지점에서 안전하고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한 쌍의 제1통전바아를 갖추고 전기가 유입되는 플러그형 전기공급단자;
    상기 제1통전바아가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구를 갖는 통전부와, 한 쌍의 하기 제2통전바아가 삽입되어 통전되는 한 쌍의 삽입구를 갖는 삽입부와, 상기 통전부와 삽입부를 전기적으로 병렬연결하는 내전선과, 상기 내전선과 전기적으로 병렬연결되는 제1통전단자를 갖는 배전체;
    내측에 상기 배전체가 배치되는 수용홈을 갖는 다면체 형상을 이루되, 상기 수용홈은 하기 탄발체가 위치하는 탄발체 안착홈과, 상기 전기공급단자가 외부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통전부에 끼워지도록 절개 형성된 제1인입구와, 하기 전기배전단자가 외부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삽입부에 끼워지도록 절개 형성된 제2인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인입구의 입구 쪽 양측에는 각각 안쪽에 형성되는 이동홈과 상기 이동홈를 개구하는 인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홈에 끼워져 이동하는 이동대와 상기 이동대와 연결되어 상기 인출구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고 전면은 상기 제2인입구의 중심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돌출사면대로 된 걸림구와, 상기 이동홈 내에 배치되어서 상기 이동대를 제2인입구를 향해 밀어내는 탄발부재와, 상기 제1통전단자를 외부로 공개하는 개구부를 구비하되 상기 개구부는 일단부가 개구된 맞물림홈 내에 위치하고 상기 맞물림홈 내에는 전도성 재질의 통전매개체가 돌출되게 구비된 제1배전함;
    한 쌍의 하기 제2통전바아가 삽입되어 통전되는 한 쌍의 삽입구를 갖는 삽입 부와, 하기 끼움바아의 외면에 위치하면서 하기 끼움바아가 상기 맞물림홈으로의 내입시 상기 제1통전단자와 접촉하는 제2통전단자와, 상기 삽입부와 제2통전단자를 전기적으로 병렬연결하는 추가내전선을 갖는 추가배전체;
    내측에 상기 추가배전체가 배치되는 수용홈을 갖는 다면체 형상을 이루되, 상기 수용홈은 하기 탄발체가 위치하는 탄발체 안착홈과, 하기 전기배전단자가 외부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삽입부에 끼워지도록 절개 형성된 제2인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인입구의 입구 쪽 양측에는 각각 안쪽에 형성되는 이동홈과 상기 이동홈를 개구하는 인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홈에 끼워져 이동하는 이동대와 상기 이동대와 연결되어 상기 인출구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고 전면은 상기 제2인입구의 중심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돌출사면대로 된 걸림구와, 상기 이동홈 내에 배치되어서 상기 이동대를 제2인입구를 향해 밀어내는 탄발부재와, 상기 맞물림홈으로 탈부착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통전매개체가 맞물려 끼워지는 오목부를 갖는 끼움바아와, 상기 추가내전선과 전기적으로 병렬연결되어 외면에 배치되는 확인등과, 상기 확인등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회로에 연결되되 상기 오목부에서 공개되도록 마주하게 이격 배치되어 상기 회로를 단전하며 상기 통전매개체와의 접촉으로 서로 통전하는 한 쌍의 이격단자를 구비한 제2배전함;
    일단부에 한 쌍의 제2통전바아가 돌출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제2통전바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선이 연결되며 상기 일단부의 편중된 위치에는 회동홈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타단부의 양측에는 상기 돌출사면대가 맞물려 끼워지는 걸림홈을 갖는 본체와, 중심각이 직각인 부채꼴 기둥형상으로 상기 중심각 쪽에는 상 기 회동홈에 상응하는 회동구멍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상기 제2통전바아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회동구멍을 기준으로 이동방향 선상에 있는 곡면부의 일지점에는 회동홈을 갖는 덮개와, 상기 회동홈과 회동구멍으로 삽입되어 이를 중심으로 상기 덮개를 회동가능하게 고정하는 회동축대와, 상기 회동축대를 감싸면서 일단은 상기 덮개와 맞닿고 타단은 상기 본체와 맞닿아 상기 덮개가 상기 제2통전바아를 덮도록 탄발지지하는 토션스프링으로 된 전기배전단자; 및
    한 쌍의 태엽스프링과, 상기 태엽스프링을 각각 내장하며 상기 탄발체 안착홈에 배치되는 상판 및 하판과, 양단이 각각 상기 상판의 태엽스프링과 상기 하판의 태엽스프링에 연결되어서 상기 제2인입구로 삽입되는 상기 전기배전단자의 끼움홈과 맞물릴 수 있도록 배치되는 걸림대와, 상기 상판 및 하판을 각각 덮어 폐구하되 상기 전기배전단자의 이동에 의한 압력으로 상기 태엽스프링을 조일 수 있도록 상기 걸림대의 이동을 안내하는 호 형상의 가이드라인을 갖는 덮개판을 갖는 탄발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세대주택의 조립형 분전박스.
KR1020060118530A 2006-11-28 2006-11-28 다세대주택의 조립형 분전박스 KR100719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8530A KR100719603B1 (ko) 2006-11-28 2006-11-28 다세대주택의 조립형 분전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8530A KR100719603B1 (ko) 2006-11-28 2006-11-28 다세대주택의 조립형 분전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9603B1 true KR100719603B1 (ko) 2007-05-18

Family

ID=38277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8530A KR100719603B1 (ko) 2006-11-28 2006-11-28 다세대주택의 조립형 분전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96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4047B1 (ko) * 2021-04-29 2021-08-02 (주)대화 건축용 조립형 배전박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2458Y1 (ko) 2004-10-21 2005-01-14 (주)현대정밀 배전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2458Y1 (ko) 2004-10-21 2005-01-14 (주)현대정밀 배전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4047B1 (ko) * 2021-04-29 2021-08-02 (주)대화 건축용 조립형 배전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783611B (zh) 带有至少两个接线盒的外壳构造
US20100124849A1 (en) Electrical Box
US20110117760A1 (en) Electrical box
KR100719603B1 (ko) 다세대주택의 조립형 분전박스
US8369068B2 (en) Transfer switch enclosure
KR100722423B1 (ko) 공동주택의 조립형 분전박스
KR100684362B1 (ko) 다세대 건물에 설치되는 배전함
KR100697846B1 (ko) 공동주택의 조립형 배전박스
KR100684963B1 (ko) 공동주택용 분전박스
EP0925620A1 (en) An electrical track and adapter assembly
KR100699001B1 (ko) 배전선 연결이 용이한 다세대 주택의 배선구조
KR100728166B1 (ko) 정상적인 전기공급을 유지하는 송배전기
KR100694290B1 (ko) 선택적 배선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공동주택의 배선박스연결구조
KR100697848B1 (ko) 다세대 주택의 전기배전구조
CN105633755A (zh) 多接口安防式进线转接组件
KR100657026B1 (ko) 공동주택용 전원공급기의 안전형 설치구조
KR100699002B1 (ko) 탈부착식 전선연결 구조를 갖는 건물용 배전박스
KR101597195B1 (ko) 벽면 매입방식 콤팩트 분전반
KR100657022B1 (ko)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공동주택 내 콘센트 구조
CN111585100B (zh) 插座
KR100697847B1 (ko) 배전관리가 용이한 건물 내설형 분전함
KR102284047B1 (ko) 건축용 조립형 배전박스
JP4835777B1 (ja) 充電スタンド
KR100999524B1 (ko) 천장 배선용 분배기의 레듀셔
KR100669914B1 (ko) 건축물용 안전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