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2005B1 - 아크발생시 아크로부터 보호받기 위한 아크차단용 조작구 및 이를 구비한 배전반 - Google Patents

아크발생시 아크로부터 보호받기 위한 아크차단용 조작구 및 이를 구비한 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2005B1
KR102212005B1 KR1020200095236A KR20200095236A KR102212005B1 KR 102212005 B1 KR102212005 B1 KR 102212005B1 KR 1020200095236 A KR1020200095236 A KR 1020200095236A KR 20200095236 A KR20200095236 A KR 20200095236A KR 102212005 B1 KR102212005 B1 KR 102212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
blocking
tool
hole
switch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5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폼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폼테크
Priority to KR1020200095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20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2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28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6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having associated enclosures, e.g.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pa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반의 일측에 설치되어 아크발생시 작업자가 아크로부터 안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아크발생시 아크로부터 보호받기 위한 아크차단용 조작구에 관한 것으로, 작업자가 배전반 외부에서 배전반 내에 구비된 차단기 또는 단자함 등의 제어기기를 조작하고자 형성된 조작홀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아크 및 아크가스를 차단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아크발생시 아크로부터 보호받을 있도록 한 아크차단용 조작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아크발생시 아크로부터 보호받기 위한 아크차단용 조작구 및 이를 구비한 배전반{Operation tool for arc cut-off for protection from arcs in case of arc generation and A switchboard equipped with it}
본 발명은 배전반의 일측에 설치되어 아크발생시 작업자가 아크로부터 안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아크발생시 아크로부터 보호받기 위한 아크차단용 조작구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배전반 외부에서 배전반 내에 구비된 차단기 또는 단자함 등의 제어기기를 조작하고자 형성된 조작홀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아크 및 아크가스를 차단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아크발생시 아크로부터 보호받을 있도록 한 아크차단용 조작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압폐쇄배전반(metal-clad switchgear(MCSG), 이하, '배전반'이라 칭함)은 전력을 사용자에게 안전하게 공급해주는 전기용 설비로써, 차단장치, 주모선, 분기모선, 변성기 등의 고압용 기기들을 철재로 형성된 외함의 내부에 배치하여 전로의 개폐나 기기의 제어를 용이하게 하도록 이루어진다.
보통 배전반은 전기계통의 감시, 제어, 보호 등을 수행하는 기기로서 계기, 계전기, 개폐장치 등의 기구류와, 이를 지지하는 구조물 및 기구 사이를 접속하는 부스바 및 전선 등으로 이루어진 집합체이다.
이러한 배전반의 내부에 설치된 전기기기가 단락 또는 지락 등의 사고의 경우에 아크가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고온 고압 상태의 아크가스가 발생된다. 이 발생한 고온 고압 상태인 아크가스는 배전반 외부로 방출시켜야 하되, 사용자의 안전을 위하여 배출하기 위한 압력가스용 방출구는 배전반 상부에 위치한다.
이 압력가스용 방출구는, 평상시에 외부의 이물질이 배전반 내부에 침입하지 못하도록 방출구 커버로 막혀 있으며, 배전반 내부에서 고온 고압의 아크가스가 발생할 경우에 개방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러한 종래 기술로는 등록특허 10-0720293호인 배전반용 압력방출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기술들이 제시되어있다.
또한, 배전반의 경우 일측에 배전반용 도어가 구비되고, 이 배전반용 도어에는 배전반의 내부에 구비되는 차단기 또는 단자함을 외부에서 조작레버 등과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배전반용 도어를 열지 않고도 조작할 수 있도록 조작용 공구가 삽입되는 조작홀이 구비된다(공개실용신안 20-2010-0011649 참조).
이와 같이 배전반용 도어의 일측에 조작홀이 형성되는 경우, 아크 발생시 고온 고압 상태의 아크가스가 상부에 위치한 압력가스용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기 전에 조작용 홀을 통하여 순간적으로 배출됨으로써 안전사고 및 인명피해를 일으킬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등록특허 10-1493432호인 아크가스로부터 보호를 위한 배전반용 도어를 제공하였다.
상기 등록특허 10-1493432호인 아크가스로부터 보호를 위한 배전반용 도어에서는 배전반용 도어에 형성되어 있는 조작홀에 아크 발생시 아크가스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외측에 설치되는 외측 차단수단과, 내측에 설치되는 내측 차단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아크가스 차단수단에 대한 기술이 제공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 10-1493432호인 아크가스로부터 보호를 위한 배전반용 도어에서 제공된 아크가스 차단수단에서는 조작홀을 통하여 도구의 삽입시 내측과 연통하여 아크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KR) 공개실용신안 공보 20-2010-0011649 (KR) 등록특허공보 10-0720293 (KR) 등록특허공보 10-1493432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배전반 조작을 위하여 조작홀을 통하여 도구를 삽입시에도 내부에서 발생된 아크가스가 조작홀을 통해 배출되지 않도록 이루어진 아크발생시 아크로부터 보호받기 위한 아크차단용 조작구를 제공하고, 또한 아크발생시 아크로부터 보호받기 위한 아크차단용 조작구를 구비하는 배전반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본 발명인 아크발생시 아크로부터 보호받기 위한 아크차단용 조작구는, 조작시 조작용 공구을 사용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조작용 공구의 일측을 삽입되는 조작홀을 개방할 수 있도록 중앙부분에 조작홀이 형성되고 배전반 외측에 고정설치되는 외측차단용 고정부재와, 상기 외측차단용 고정부재의 일측에 회동점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상기 조작홀을 개폐시키도록 이루어진 외측차단용 회동부재를 포함하는 개폐용 외측차단부재와; 배전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개폐용 외측차단부재와 연결설치되는 내측차단용 케이스와, 상기 내측차단용 케이스 내에 형성된 작동용 공간부에 탄성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조작홀을 통하여 공구가 삽입된 경우에도 아크 또는 아크가스가 외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공구로 가해지는 축방향의 힘에 의하여 이동하여 단자함에 구비된 회전축과 연결되어 공구의 회전시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아크차단용 연결회전구를 포함하는 연결용 내측차단부재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용 내측차단부재는, 배전반 도어를 사이에 두고 개폐용 외측차단부재와 고정설치되며 조작홀과 연통하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된 내측차단용 제1 케이스와; 상기 내측차단용 제1 케이스와 일체형태로 고정설치되어 연결용 내측차단부재의 작동용 공간부를 제공하도록 이루어지고, 전면으로 연결용 내측차단부재의 일측이 돌출되어 단자함에 구비된 회전축과 연결될 수 있도록 제2 관통홀이 형성된 내측차단용 제2 케이스와; 상기 작동용 공간부에 위치하여 아크차단용 연결회전구를 탄성지지하도록 하고 축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지지하도록 일측에 탄성부재가 설치되고 제3 관통홀이 형성된 회전지지용 탄성이동판과; 상기 회전지지용 탄성이동판과 일측이 접촉하는 원판형의 차단용 회전판과, 상기 차단용 회전판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3 관통홀에 삽입되며 단부에 회전축의 일단이 삽입되는 회전축연결용 삽입홈이 형성된 회전축용 연결단축과, 상기 차단용 회전판의 타측에 형성되어 제1 관통홀에 삽입되며 단부에 조작홀로 삽입된 공구의 단부가 삽입되는 공구연결용 삽입홈이 형성된 공구용 연결단축을 포함하는 아크차단용 회전구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회전지지용 탄성이동판의 제3 관통홀에는 회전축용 연결단축을 가이드하고 회전시 흔들림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회전지지를 위한 부싱용 돌기부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인 아크발생시 아크로부터 보호받기 위한 아크차단용 조작구는 작업자가 조작을 위하여 공구를 삽입하는 조작홀을 개방시키고, 개방한 상기 조작홀에 공구를 삽입하여 조작시에도 배전반 내부와 외부가 조작홀을 통하여 아크가스가 배출되지 않는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조작홀에 공구를 삽입하여 조작시 사고로 인한 아크가 발생할 경우에도 개방한 조작홀을 통하여 아크 또는 아크가스가 작업자에게 누출되지 않음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인 아크발생시 아크로부터 보호받기 위한 아크차단용 조작구가 설치되어 사용되는 일반적인 배전반에 대한 개략도.
도 2는 배전반의 도어 일측에 본 발명인 아크발생시 아크로부터 보호받기 위한 아크차단용 조작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인 아크발생시 아크로부터 보호받기 위한 아크차단용 조작구에 대한 배전반 내측에서 본 설치상태를 나타낸 입체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아크발생시 아크로부터 보호받기 위한 아크차단용 조작구에 대한 분리상태의 입체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아크발생시 아크로부터 보호받기 위한 아크차단용 조작구에 대한 개략도로써, (a)는 배전반 내측에서 본 정면개략도이며, (b)는 배전반 내측에서 본 정면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아크발생시 아크로부터 보호받기 위한 아크차단용 조작구의 구성 중 아크차단용 연결회전구에 대한 개략도로써, (a)는 우측면 개략도이며, (b)는 정면 개략도이며, (c)는 좌측면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아크발생시 아크로부터 보호받기 위한 아크차단용 조작구에 대한 단면개략도.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아크발생시 아크로부터 보호받기 위한 아크차단용 조작구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인 아크발생시 아크로부터 보호받기 위한 아크차단용 조작구의 주요부분에 대한 입체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인 아크발생시 아크로부터 보호받기 위한 아크차단용 조작구에 대한 단면개략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보통 배전반에 구비된 배전반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어 조작홀을 통하여 배전반 내에 구비되어 있는 차단기 또는 단자함 등의 제어기기(이하, '단자함'이라 칭함.)를 조작하고자 할 때 아크 발생과 같은 사고시 아크 또는 아크가스로부터 작업자가 안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아크발생시 아크로부터 보호받을 있도록 한 아크차단용 조작구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배전반 내에 구비되어 있는 단자함을 조작하고자 조작을 위하여 조작홀을 개방한 경우와, 개방한 상기 조작홀에 조작을 위한 공구를 삽입했을 경우 모두 아크 발생시 아크 및 아크가스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아크차단용 조작구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실시 예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아크발생시 아크로부터 보호받기 위한 아크차단용 조작구(A)가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배전반(1)이다.
상기 배전반(1)의 일측면에 개방을 위한 손잡이(2a)를 가지는 배전반 도어(2)가 구비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단자함(3)이 구비되며, 상부에는 아크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압력가스용 방출구(5)가 구비된다.
상기 단자함(3)은 양측 하단부분에 구비된 슬라이드 블록(3a)에 의하여 전후 이동할 수 있으며, 중앙 하단부분에 구비된 스크류가 형성된 회전축(3b)을 이용한 전후 이동수단에 의하여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배전반(1) 내에 설치된 차단기 또는 단자함(3)을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보통 배전반(1)의 일측에 설치된 배전반 도어(2)에 봉과 같은 형태로 형성된 조작을 위한 공구(T)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작홀(4)이 구비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단자함(3)을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조작홀(4)에 본 발명인 아크발생시 아크로부터 보호받기 위한 아크차단용 조작구(A)가 설치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아크발생시 아크로부터 보호받기 위한 아크차단용 조작구(A)는, 크게 배전반 도어(2)를 중심으로 배전반 외측에 구비되어 조작홀(4)의 개폐를 담당하도록 하는 구성인 개폐용 외측차단부재(10)와, 배전반 내측에 구비되어 단자함(3)의 조작을 위하여 회전축(3b)과 연결을 담당하도록 하는 구성인 연결용 내측차단부재(20)로 구성된다.
상기 개폐용 외측차단부재(10)는 배전반(1) 외부에서 조작홀(4)을 필요시 개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조작홀 개폐수단으로, 중앙에 조작홀(4)을 형성하도록 관통홀(11b)이 형성되고 일측에 멈춤돌기(11a)를 포함하는 한편 배전반 도어(2) 또는 에 연결용 내측차단부재(20)의 내측차단용 제1 케이스(21)와 함께 연결되어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고정설치되는 외부몸체(11)와, 상기 외부몸체(11)에 수평방향의 외측 힌지축(13)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조작홀(4)을 개폐시키는 외측 차단부재(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부몸체(11)는 보통 배전반 도어(2) 내측에 위치한 내측차단용 제1 케이스(21)와 함께 나사 또는 고정용 볼트 등의 체결부재로 고정설치된다.
상기 외측 차단부재(12)의 일측에는 보통 멈춤돌기(11a)와 대응하도록 잠금용 돌기(12a)를 포함한다.
상기 멈춤돌기(11a)와 잠금용 돌기(12a)에 별도의 고정용 핀, 자물쇠 등과 같은 잠금수단을 설치할 수 있도록 잠금용 홀을 형성하여 외측 차단부재(12)가 힌지축(13)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압력의 아크가스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한편, 사용자 이외의 다른 사람들이 무분별하게 조작홀(4)을 개방하도록 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외측 힌지축(13)은 조작홀(4)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외측 차단부재(12)가 자중에 위하여 원래위치(즉, 조작용 홀(4)을 막는 위치) 복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외측 차단수단(10)은 조작홀(4)을 막아 압력의 아크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되, 구조상 큰 압력의 아크가스를 차단하기에는 역부족인 한편, 조작홀(4)에 공구(T)가 삽입된 경우에는 아크가스가 외부로 누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없다. 이런 구조상의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조작홀(4)에 아래와 같이 이루어지는 연결용 내측차단부재(20)을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높은 압력의 아크가스를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단자함(3)을 조작하기 위하여 공구(T)가 삽입된 경우에도 아크 및 아크가스가 외부로 누출되어 작업자가 피해입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연결용 내측차단부재(20)는, 배전반(1) 내부에서 구비되어 단자함(3)을 조작하기 위하여 위하여 조작홀(4)에 공구(T)가 삽입되어 축방향으로 힘이 가해질 경우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단자함(3)에 구비되어 있는 회전축(3a)과 연결됨으로써 공구(T)의 조작으로 단자함(3)을 조작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연결용 내측차단부재(20)는, 배전반 도어(2)를 사이에 두고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개폐용 외측차단부재(11)와 고정설치되며 조작홀(4)과 연통하는 제1 관통홀(21a)이 형성된 내측차단용 제1 케이스(21)와, 상기 내측차단용 제1 케이스(21)와 나사, 볼트, 리벳 등과 같은 체결부재를 사용하여 일체형태로 고정설치되어 작동용 공간부(S)를 제공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지고, 전면으로 아크차단용 연결회전구(25)의 일측이 돌출되어 단자함(3)에 구비된 회전축(3a)과 연결될 수 있도록 제2 관통홀(22a)이 형성된 내측차단용 제2 케이스(22)와, 상기 작동용 공간부(S)에 위치하여 아크차단용 연결회전구(25)를 탄성지지하도록 하고 축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지지하도록 일측에 탄성부재(24)가 설치되고 아크차단용 연결회전구(25)의 일측에 삽입되는 제3 관통홀(23a)이 형성된 회전지지용 탄성이동판(23)과, 상기 회전지지용 탄성이동판(23)과 일측이 접촉하여 탄성지지되며 제3 관통홀(23a)에 일측이 삽입되고 타측은 제1 관통홀(21a)에 삽입되어 외부몸체(11)의 관통홀(11b)과 연결되는 아크차단용 회전구(25)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재(24)는 보통 다수개의 코일 스프링을 사용한다.
상기 아크차단용 회전구(25)는 탄성부재(24)가 설치되고 회전지지용 탄성이동판(23)로 탄성지지되어 공구(T)로 가해지는 축방향의 힘으로 이동하여 단자함(3)의 회전축(3a)과 일측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상기 회전지지용 탄성이동판(23)과 일면이 접촉하여 탄성지지되는 원판형의 차단용 회전판(26)과, 상기 차단용 회전판(26)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3 관통홀(23a)에 삽입되며 단부에 회전축(3a)의 일단이 삽입되는 회전축연결용 삽입홈(27a)이 형성된 회전축용 연결단축(27)과, 상기 차단용 회전판(26)의 타측에 형성되어 제1 관통홀(21a)에 삽입되며 단부에 조작홀(4)로 삽입되는 공구(T)의 단부가 삽입되는 공구연결용 삽입홈(28a)이 형성된 공구용 연결단축(28)을 포함한다(도 6과 도 7 참조).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이와 같이 이루어진 상기 아크차단용 회전구(25)는 조작홀(4)로 삽입되는 공구(T)로 가해지는 축방향의 힘에 의하여 이동하여 회전축용 연결단축(27)의 단부가 내측차단용 제2 케이스(22)의 제2 관통홀(22a)을 통하여 도출되어 단자함(3)의 회전축(3a)과 연결된다.
이와 같이 연결이 이루어지면 공구(T)를 이용하여 회전축(3a)을 회전시켜 단자함(3)을 조작하게 된다.
이때, 아크가 발생하는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배전반 내부에서 발생된 아크 또는 아크가스는 연결용 내측차단부재(20)의 구성들에 의하여 완벽하게 차단될 수 있게 된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것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도면에 도시된 도면부호와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으로 추가로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으며, 동일한 도면부호로 미 전술된 설명된 부분은 전술된 내용을 참조하도록 한다.
본 발명인 아크발생시 아크로부터 보호받기 위한 아크차단용 조작구(A)는, 크게 배전반 도어(2)를 중심으로 배전반 외측에 구비되어 조작홀(4)의 개폐를 담당하도록 하는 구성인 외부몸체(11)와 외측 차단부재(12)를 포함하는 개폐용 외측차단부재(10)와, 배전반 내측에 구비되어 단자함(3)의 조작을 위하여 회전축(3b)과 연결을 담당하도록 하는 구성인 제1 관통홀(21a)이 형성된 제1 케이스(21)와, 상기 제1 케이스(21)와 결합되어 작동용 공간부(S)를 제공하도록 내부공간을 가지는 제1 관통홀(22a)이 형성된 제2 케이스(22)와, 상기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아크차단용 연결회전구(25)를 탄성지지하고 회전지지하도록 하는 일측에 탄성부재(24)가 구비되고 중앙부분에 제3 관통홀(23a)이 형성된 회전지지용 탄성이동판(23)과, 상기 회전지지용 탄성이동판(23)과 일측이 접촉하여 탄성지지되며 제3 관통홀(23a)에 일측이 삽입되고 타측은 제1 관통홀(21a)에 삽입되어 외부몸체(11)의 관통홀(11b)과 연결되는 아크차단용 회전구(25)를 포함한다.
상기 아크차단용 회전구(25)는, 원판형으로 이루어진 차단용 회전판(26)과, 상기 차단용 회전판(26)의 일측에 형성되고 단부에 회전축연결용 삽입홈(27a)이 형성된 회전축용 연결단축(27)과, 상기 회전축용 연결단축(27)과 반대측인 타측에 형성되어 단부에 공구연결용 삽입홈(28a)이 형성된 공구용 연결단축(28)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지지용 탄성이동판(23)은 아크차단용 회전구(25)를 탄성지지하여 공구(T)로 가해지는 힘에 의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아크차단용 회전구(25)를 회전지지하는 것으로 공구(T)가 회전할 경우 제3 관통홀(23a)에 삽입된 회전축용 연결단축(27)을 지지함으로써 아크차단용 회전구(25)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제3 관통홀(23a)에는 회전축용 연결단축(27)을 가이드하고 회전시 흔들림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회전지지를 위한 부싱용 돌기부(23b)가 형성된다.
즉, 상기 부싱용 돌기부(23b)는 회전축용 연결단축(27)의 회전시 흔들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도록 회전지지용 탄성이동판(23)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가지며, 이 돌출부에는 확실한 회전지지를 위하여 베어링 기능을 가지는 부싱 등이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회전지지용 탄성이동판(23)의 제3 관통홀(23a)에 부싱용 돌기부(23b)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공구(T)의 가압시 및 회전시 아크차단용 회전구(25)의 흔들림과 떨림 현상을 줄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적은 힘으로 인한 조작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소음 및 마모 현상 등을 줄일 수 있게 된다.
A : 아크차단용 조작구 S : 작동용 공간부
1 : 배전반 2 : 배전반 도어
3 : 단자함 4 : 조작홀
10 : 개폐용 외측차단부재
11 : 외측차단용 고정부재 12 : 외측차단용 회동부재
20 : 연결용 내측차단부재
21 : 내측차단용 제1 케이스 21a : 제1 관통홀
22 : 내측차단용 제2 케이스 22a : 제2 관통홀
23 : 회전지지용 탄성이동판 23a : 제3 관통홀
23b : 부싱용 돌기부 24 : 탄성부재
25 : 아크차단용 연결회전구 26 : 차단용 회전판
27 : 회전축용 연결단축 27a : 회전축 연결용 삽입홈
28 : 공구용 연결단축 28a : 공구 연결용 삽입홈

Claims (4)

  1. 조작시 조작용 공구을 사용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조작용 공구의 일측을 삽입되는 조작홀을 개방할 수 있도록 중앙부분에 조작홀이 형성되고 배전반 외측에 고정설치되는 외측차단용 고정부재와, 상기 외측차단용 고정부재의 일측에 회동점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상기 조작홀을 개폐시키도록 이루어진 외측차단용 회동부재를 포함하는 개폐용 외측차단부재와;
    배전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개폐용 외측차단부재와 연결설치되는 내측차단용 케이스와, 상기 내측차단용 케이스 내에 형성된 작동용 공간부에 탄성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조작홀을 통하여 공구가 삽입된 경우에도 아크 또는 아크가스가 외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공구로 가해지는 축방향의 힘에 의하여 이동하여 단자함에 구비된 회전축과 연결되어 공구의 회전시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아크차단용 연결회전구를 포함하는 연결용 내측차단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용 내측차단부재는,
    배전반 도어를 사이에 두고 개폐용 외측차단부재와 고정설치되며 조작홀과 연통하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된 내측차단용 제1 케이스와; 상기 내측차단용 제1 케이스와 일체형태로 고정설치되어 연결용 내측차단부재의 작동용 공간부를 제공하도록 이루어지고, 전면으로 연결용 내측차단부재의 일측이 돌출되어 단자함에 구비된 회전축과 연결될 수 있도록 제2 관통홀이 형성된 내측차단용 제2 케이스와; 상기 작동용 공간부에 위치하여 아크차단용 연결회전구를 탄성지지하도록 하고 축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지지하도록 일측에 탄성부재가 설치되고 제3 관통홀이 형성된 회전지지용 탄성이동판과; 상기 회전지지용 탄성이동판과 일측이 접촉하는 원판형의 차단용 회전판과, 상기 차단용 회전판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3 관통홀에 삽입되며 단부에 회전축의 일단이 삽입되는 회전축연결용 삽입홈이 형성된 회전축용 연결단축과, 상기 차단용 회전판의 타측에 형성되어 제1 관통홀에 삽입되며 단부에 조작홀로 삽입된 공구의 단부가 삽입되는 공구연결용 삽입홈이 형성된 공구용 연결단축을 포함하는 아크차단용 회전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발생시 아크로부터 보호받기 위한 아크차단용 조작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용 탄성이동판의 제3 관통홀에는 회전축용 연결단축을 가이드하고 회전시 흔들림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회전지지를 위한 부싱용 돌기부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발생시 아크로부터 보호받기 위한 아크차단용 조작구.
  3. 제1항 또는 제2항으로 이루어진 아크발생시 아크로부터 보호받기 위한 아크차단용 조작구를 구비한 배전반.
  4. 삭제
KR1020200095236A 2020-07-30 2020-07-30 아크발생시 아크로부터 보호받기 위한 아크차단용 조작구 및 이를 구비한 배전반 KR102212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236A KR102212005B1 (ko) 2020-07-30 2020-07-30 아크발생시 아크로부터 보호받기 위한 아크차단용 조작구 및 이를 구비한 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236A KR102212005B1 (ko) 2020-07-30 2020-07-30 아크발생시 아크로부터 보호받기 위한 아크차단용 조작구 및 이를 구비한 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2005B1 true KR102212005B1 (ko) 2021-02-08

Family

ID=74560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5236A KR102212005B1 (ko) 2020-07-30 2020-07-30 아크발생시 아크로부터 보호받기 위한 아크차단용 조작구 및 이를 구비한 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20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4453A (ko) * 2021-12-21 2023-06-28 엘에스일렉트릭(주) 전력기기의 인입출 조작 장치
KR20240009790A (ko) 2022-07-14 2024-01-23 선도전기주식회사 진공차단기의 핸들 툴 가이드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0836A (ja) * 1994-08-09 1996-02-20 Fuji Electric Co Ltd キー操作安全スイッチ
KR100720293B1 (ko) 2007-01-19 2007-05-21 주식회사 부창엔지니어링 배전반용 압력방출장치
KR20100011649U (ko) 2009-05-21 2010-12-0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차단기의 상태표시수단을 갖는 배전반
KR20110011961U (ko) * 2010-06-22 2011-12-28 이병규 배전반용 도어 잠금장치
KR101480846B1 (ko) * 2013-10-16 2015-01-0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차단기의 인입출 핸들 삽입구 안전 장치
KR101493432B1 (ko) 2014-08-21 2015-02-17 주식회사 리폼테크 아크가스로부터 보호를 위한 배전반용 도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0836A (ja) * 1994-08-09 1996-02-20 Fuji Electric Co Ltd キー操作安全スイッチ
KR100720293B1 (ko) 2007-01-19 2007-05-21 주식회사 부창엔지니어링 배전반용 압력방출장치
KR20100011649U (ko) 2009-05-21 2010-12-0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차단기의 상태표시수단을 갖는 배전반
KR20110011961U (ko) * 2010-06-22 2011-12-28 이병규 배전반용 도어 잠금장치
KR101480846B1 (ko) * 2013-10-16 2015-01-0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차단기의 인입출 핸들 삽입구 안전 장치
KR101493432B1 (ko) 2014-08-21 2015-02-17 주식회사 리폼테크 아크가스로부터 보호를 위한 배전반용 도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4453A (ko) * 2021-12-21 2023-06-28 엘에스일렉트릭(주) 전력기기의 인입출 조작 장치
KR102629428B1 (ko) * 2021-12-21 2024-01-24 엘에스일렉트릭(주) 전력기기의 인입출 조작 장치
KR20240009790A (ko) 2022-07-14 2024-01-23 선도전기주식회사 진공차단기의 핸들 툴 가이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2005B1 (ko) 아크발생시 아크로부터 보호받기 위한 아크차단용 조작구 및 이를 구비한 배전반
US10643809B2 (en) Medium-voltage electric distribution cubicle
US20120013227A1 (en) Arc resistant switchgear modular compartment for instrumentation and circuit breakers
KR101493432B1 (ko) 아크가스로부터 보호를 위한 배전반용 도어
KR101297551B1 (ko) 내아크 특성강화 모듈러 수배전반
KR101480846B1 (ko) 진공차단기의 인입출 핸들 삽입구 안전 장치
KR20170008506A (ko) 진공차단기용 양방향 개폐조작기
KR101830669B1 (ko) 모터 컨트롤 센터 유닛
KR20140134134A (ko) 도어 인터록 장치를 가지는 개폐기
KR101963688B1 (ko) 무정전작업용 분기함
US7262519B1 (en) Actuator unit with at least two actuators and a secure control unit
US9429312B2 (en) Component for electric power system and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a power circuit in an electric power system is open or closed
KR102276577B1 (ko) 기밀성이 향상된 차단기용 개폐장치
US10923890B2 (en) Heat exhaust and dustproof system of multi-stage distributing board
KR101381848B1 (ko) 고압폐쇄배전반용 압력가스방출장치
KR102466937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보호커버
KR100505053B1 (ko) 다회로 차단기의 토글형 접지 스위치
KR102281673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단로기 및 접지개폐기
KR20200110042A (ko) 배전반의 아크 배출 시스템
US20170149218A1 (en) Arc-resistant switchgear racking system
KR102506011B1 (ko) 가스절연개폐장치용 단로기 및 접지개폐기
KR100339331B1 (ko) 배전반의 차단기와 단로기의 인터록 장치
KR102648597B1 (ko) 배전반의 아크 배출 시스템
WO2019161519A1 (en) Switch device for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systems
KR101036585B1 (ko) 방전 기능이 구비된 자동 부하 전환 개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