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8506A - 진공차단기용 양방향 개폐조작기 - Google Patents

진공차단기용 양방향 개폐조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8506A
KR20170008506A KR1020150099775A KR20150099775A KR20170008506A KR 20170008506 A KR20170008506 A KR 20170008506A KR 1020150099775 A KR1020150099775 A KR 1020150099775A KR 20150099775 A KR20150099775 A KR 20150099775A KR 20170008506 A KR20170008506 A KR 20170008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unit
spring
contact
vacu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9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3760B1 (ko
Inventor
이창훈
Original Assignee
(주)서전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전기전 filed Critical (주)서전기전
Priority to KR1020150099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3760B1/ko
Publication of KR20170008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8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3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3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6Oper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06Termin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4Contacts; Arc-extinguishing means, e.g. arcing rings

Landscapes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 High-Tension Arc-Extinguishing Switches Without Spraying Means (AREA)

Abstract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연결부스바; 상기 연결부스바의 일단에 설치되며 일측이 개방된 구조의 안내홈을 형성한 가이드접점부; 상기 가이드접점부 사이에 설치되는 진공 인터럽터 유닛; 상기 진공 인터럽터 유닛의 일측과 타측에 설치되는 스프링 유닛; 상기 스프링 유닛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접점부로 통전되는 전류를 차단 및 투입하는 접촉단자; 및 상기 케이스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진공 인터럽터 유닛을 회전가능하게 조작하는 조작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전류의 차단 및 투입작용의 신속성은 물론 개폐동작을 위한 구성 수를 대폭 줄여 개폐 조작기의 전체 크기를 컴팩트하게 축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진공차단기용 양방향 개폐조작기{both-way switchgear for Vacuum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진공차단기용 양방향 개폐조작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진공차단기를 직접 회전시키는 로터리방식으로 구현하여 전류의 차단 및 투입작용의 신속성은 물론 개폐동작을 위한 구성 수를 대폭 줄여 조작기의 전체 크기를 컴팩트하게 축소시킬 수 있는 진공차단기용 양방향 개폐조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폐장치는 22,000V 이상의 고전압의 전원을 공장 등의 산업시설로 전달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상기 개폐장치는 동력발생장치 등의 부하로 연결하도록 고전압의 전류를 차단 및 투입(연결)하는 구조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전류를 통전시키는 고정도체와 가동도체를 구비한 주가동접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개폐장치의 주가동접점을 통한 고전압의 전류를 차단 및 투입하는 과정에서 고정도체와 가동도체 간의 근접 또는 이격시 아크가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고압의 기체로 이루어진 절연가스가 충전된다.
절연가스 개폐장치는 절연 및 개폐 능력이 가스압에 의해 좌우되므로, 항상 가스의 누설 여부 및 가스 압력을 감시하여야만 하는 어려움이 있고, 이에 따른 유지관리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아크 발생시 생성되는 유해 물질로 말미암아 환경 파괴 등의 문제점 이 있으며, 압력 상승시 폭발로 인한 인명 손상 우려도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절연가스를 사용하는 대신 개폐장치 내부에 진공차단기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제작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진공차단기를 설치한 개폐장치의 경우, 진공차단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력전달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동력전달수단과 진공차단기 사이를 연결하는 복잡한 작동구성을 가지는 링크연결유닛을 설치해야 하므로 이때, 상기 링크연결유닛에 따른 기구적 연동작용에 의해 동력전달 속도가 느렸을 뿐만 아니라, 개폐장치의 전체 크기를 효율적으로 줄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링크연결유닛의 동력전달방식은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가변시키는 과정에서 구성부품 간의 흔들림과 마찰충격이 빈번하게 발생하므로 작동신뢰성을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20983호(2006.06.3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발명의 목적은 진공차단기를 직접 회전시키는 로터리방식으로 구현하여 전류의 차단 및 투입작용의 신속성은 물론 개폐동작을 위한 구성 수를 대폭 줄여 조작기의 전체 크기를 컴팩트하게 축소시킬 수 있는 진공차단기용 양방향 개폐조작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명의 목적은 진공차단기를 작동시키는 구성 부품 간의 마찰충격을 최소화하여 작동의 신뢰성 및 제품수명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공차단기용 양방향 개폐조작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진공차단기용 양방향 개폐조작기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연결부스바; 상기 연결부스바의 일단에 설치되며 일측이 개방된 구조의 안내홈을 형성한 가이드접점부; 상기 가이드접점부 사이에 설치되는 진공 인터럽터 유닛; 상기 진공 인터럽터 유닛의 일측과 타측에 설치되는 스프링 유닛; 상기 스프링 유닛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접점부로 통전되는 전류를 차단 및 투입하는 접촉단자; 및 상기 케이스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진공 인터럽터 유닛을 회전가능하게 조작하는 조작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홈은 일측에 출입구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폐단부를 형성한 곡선형으로 이루어지, 상기 출입구로부터 폐단부로 갈수록 곡률반경이 점차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촉단자의 양측면에는 상기 안내홈에 결합되어 경로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이드 돌기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공 인터럽터 유닛은 일측과 타측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접점부재와, 상기 접점부재를 직선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가동단자와, 상기 접점부재와 가동단자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상태로 밀폐시키는 진공케이스와, 상기 진공케이스를 감싸는 상태로 절연시키며 외면의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의 연결구를 형성한 절연용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프링 유닛은 상기 가동단자의 단부에 연결되는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진공케이스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가동단자를 탄성지지하는 제1 스프링과, 상기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접촉단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접촉단자를 탄성지지하는 제2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프링 유닛을 측면에서 바라볼 볼 때, 상기 진공 인터럽터 유닛가 회전된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스프링은 상하방향으로 압축작용하며, 상기 제2 스프링은 길이방향의 압축변형 및 측방향의 탄성변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프링 유닛은 상기 제1 스프링과 제2 스프링을 감싸는 상태로 보호하는 보호케이스가 추가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 내면에는 상기 절연용 케이스의 연결구에 대응하는 절연용 회전축이 형성되며, 상기 절연용 회전축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조작유닛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의 외면 일측에는 상기 조작유닛을 감싸는 상태로 보호하는 조작용 케이스를 형성하고, 상기 조작유닛은 수동조작하는 회전 레버이거나 전류로부터 구동력을 발생시켜 정역회전 운동하는 모터 또는 액추에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가이드접접부의 안내홈에 대하여 상기 진공 인터럽터 유닛이 직접 회전하여 전류를 단속하는 로터리방식을 구현함으로써, 전류의 차단 및 투입작용의 신속성은 물론 개폐동작을 위한 구성 수를 대폭 줄여 개폐 조작기의 전체 크기를 컴팩트하게 축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진공 인터럽터 유닛과 접촉단자 사이에 스프링 유닛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접촉단자와 가이드접점부가 상호 접촉하는 마찰충돌시 상기 스프링 유닛이 탄력적으로 유동하여 이를 흡수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른 상기 접촉단자 및 가이드접점부가 마찰충돌에 의해 쉽게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동 신뢰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차단기용 양방향 개폐조작기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차단기용 양방향 개폐조작기의 전류가 차단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차단기용 양방향 개폐조작기의 진공 인터럽터 유닛이 회전하여 전류를 통전시키기 위한 진입단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차단기용 양방향 개폐조작기의 스프링 유닛의 압축작용에 의해 진공 인터럽터 유닛이 작동하여 전류가 투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차단기용 양방향 개폐조작기가 크래들에 대하여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공차단기용 양방향 개폐조작기는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 내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연결부스바(200)와, 상기 연결부스바(200)의 일단에 설치되며 일측이 개방된 구조의 안내홈(310)을 형성한 가이드접점부(300)와, 상기 가이드접점부(300) 사이에 설치되는 진공 인터럽터 유닛(400)과, 상기 진공 인터럽터 유닛(400)의 일측과 타측에 설치되는 스프링 유닛(500)과, 상기 스프링 유닛(500)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접점부(300)로 통전되는 전류를 차단 및 투입하는 접촉단자(600)와, 상기 케이스(100)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진공 인터럽터 유닛(400)을 회전가능하게 조작하는 조작유닛(7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케이스(100)는 내부에 설치공간부(101)를 형성한 외함 구조물로서, 상기 설치공간부(101)에 설치될 각종 구성품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케이스(100)는 다수의 플레이트를 서로 조합하여 육면체의 박스 구조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의 구조로 제작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케이스(100)에는 유지보수를 위한 개폐용 도어(미도시)가 설치되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100) 내면에는 후술할 절연용 케이스(100)의 연결구(441)에 대응하여 결합이 이루어지는 절연용 회전축(120)이 마주보는 방향의 일측과 타측에 형성된다(도 2참조).
아울러, 상기 절연용 회전축(120) 중 어느 하나에는 후술할 조작유닛(700)과 결합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케이스(100)의 외면 일측에는 상기 조작유닛(700)을 감싸는 상태로 보호하는 조작용 케이스(13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스바(200)는 상기 케이스(100) 내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전원측(A)으로부터 전류를 공급받고 부하측(B)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2 개의 구성요소가 서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연결부스바(200)는 길이방향의 일단이 상기 케이스(100) 내에 위치하며 타단은 상기 케이스(100) 외측으로 돌출된 구조로 설치가 이루어진다.
즉, 상기 연결부스바(200)의 상기 케이스(100)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은 다른 전원측 부스바(A') 및 부하측 부스바(B')와 전기적인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도 5참조).
한편, 상기 가이드접점부(300)는 상기 연결부스바(200)의 일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후술할 진공 인터럽터 유닛(400)의 전류 차단 및 투입 작용이 가능하도록 경로를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접점부(300)에는 일측이 개방된 구조의 안내홈(310)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내홈(310)의 일측은 출입구(311)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폐단부(312)를 형성한 곡선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출입구(311)로부터 폐단부(3112)로 갈수록 곡률반경이 점차 작아지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안내홈(310)의 출입구(311)로부터 폐단부(312)로 갈수록 원호의 곡률반경이 점차 작아지는 이유는 상기 진공 인터럽터 유닛(400)을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진공 인터럽터 유닛(400)에 연결되는 스프링 유닛(500)의 압축 및 복원 작용을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안내홈(310)의 경로를 따라 회전하는 상기 진공 인터럽터 유닛(400)은 상기 스프링 유닛(500)의 압축 및 복원 작용에 따라 전류의 차단 및 투입 작용을 실시한다.
상기 진공 인터럽터 유닛(400)은 상기 가이드접점부(30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조작유닛(700)의 회전시키는 조작에 의해 직접 회전운동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차단기용 양방향 개폐조작기는 상기 진공 인터럽터 유닛(400)에 대하여 상기 연결부스바(200)가 가동되어 접촉하는 구성이 아닌 상기 진공 인터럽터 유닛(400)이 회전운동하여 상기 연결부스바(200)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 및 투입시키는 구성이다.
즉, 상기 진공 인터럽터 유닛(400)을 직접 회전시키는 구조로 구성하여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상기 진공 인터럽터 유닛(400)을 작동시키기 위한 복잡한 작동구성을 가지는 링크연결유닛을 추가적으로 설치해야하는 것과, 복잡한 작동구성에 따른 개폐속도 저하 및 개폐장치의 크기를 효율적으로 줄이지 못하는 문제점을 모두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진공 인터럽터 유닛(400)은 일측과 타측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접점부재(410)와, 상기 접점부재(410)를 직선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가동단자(420)와, 상기 접점부재(410)와 가동단자(42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상태로 밀폐시키는 진공케이스(430)와, 상기 진공케이스(430)를 감싸는 상태로 절연시키며 외면의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의 연결구(441)를 형성한 절연용 케이스(44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진공 인터럽터 유닛(400)의 접점부재(410)는 상기 가동단자(420)에 의해 서로 접촉하는 방향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접점부재(410)는 어느 하나는 고정되고 다른 하나가 이동하여 접촉 또는 이격되는 구성이 아닌 상호 소정 거리만큼 이동하여 접촉하거나 멀어지는 작동구성이다.
기본적으로 상기 진공 인터럽터 유닛(400)은 전류 투입, 차단 및 접지 시 발생하는 아크 전류를 소호시켜 상기 연결부스바(200)의 전기적 손상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진공 인터럽터 유닛(400)은 상기 절연용 케이스(440) 구성에 의해 전류가 외부로 통전되는 감전 사고의 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스프링 유닛(500)은 상기 진공 인터럽터 유닛(400)의 일측과 타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가동단자(420)와 후술할 접촉단자(60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스프링 유닛(500)은 상기 가동단자(420)의 단부에 연결되는 연결플레이트(510)와, 상기 연결플레이트(510)와 상기 진공케이스(43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가동단자(420)를 탄성지지하는 제1 스프링(520)과, 상기 연결플레이트(510)와 상기 접촉단자(60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접촉단자(600)를 탄성지지하는 제2 스프링(5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 유닛(500)을 측면에서 바라볼 볼 때, 상기 진공 인터럽터 유닛(400)이 회전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스프링(520)은 상하방향으로 압축작용하며, 상기 제2 스프링(530)은 길이방향의 압축변형 및 측방향의 탄성변형 작용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가동단자(420)는 상기 제1 스프링(520)의 압축작용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직선운동을 실시하며, 상기 제2 스프링(530)은 상기 제1 스프링(520)을 가압하여 압력을 전달하는 압축변형 작용을 수행한다.
특히, 상기 제2 스프링(530)은 상기 접촉단자(600)와 연결되어 상기 접촉단자(600)가 안내홈(310)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폐단부(312)에 접촉하는 마찰충격 발생시 상기 접촉단자(600)에 연결된 제2 스프링(530)이 측방향으로 유동하는 탄성변형으로부터 마찰충격을 흡수하게 되므로 상기 접촉단자(600) 및 가이드접점부(300)가 쉽게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 유닛(500)은 상기 제1 스프링(520)과 제2 스프링(530)을 감싸는 상태로 보호하는 보호케이스(540)가 추가적으로 설치된다.
이는 상기 스프링 유닛(500)이 압축 및 복원 작용하는데 있어 다른 이물질이 침입하여 작동에 방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접촉단자(600)는 상기 스프링 유닛(500)의 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접점부(300)로 통전되는 전류를 차단 및 투입할 수 있도록 접촉하는 중간 매개체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접촉단자(600)의 양측면에는 상기 안내홈(310)에 결합되어 경로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이드 돌기(610)가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접촉단자(600)는 상기 스프링 유닛(500)에 연결되며 상기 진공 인터럽터 유닛(400)의 회전시 회전방향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610)가 안내홈(310)에 진입할 경우 상기 가이드접점부(300)의 전류 통전이 이루어지며 이탈할 경우 전류는 차단된다.
상기 가이드접접부(300)의 안내홈(310)을 따라 이동하는 접촉단자(600)는 폐단부(312)로 갈수록 회전반경이 줄어들게 된다. 이때 줄어든 회전반경에 의해 상기 스프링 유닛(500)이 압축되고, 압축된 상기 스프링 유닛(500)이 상기 가동단자(420)를 직선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접점부재(410)는 상호 밀착하는 상태로 접촉됨에 따라 전원측(A)으로부터 부하측(B)으로 전류가 투입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안내홈(310) 폐단부(312)에 위치한 접촉단자(600)가 출입구(311) 쪽으로 이동할 경우,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 유닛(500)은 복원력이 작용하여 상기 가동단자(420)를 반대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접점부재(410)는 상호 멀어짐에 따라 전원측(A)으로부터 부하측(B)으로 투입되는 전류의 차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조작유닛(700)은 상기 케이스(100)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진공 인터럽터 유닛(400)을 회전가능하게 조작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조작유닛(700)은 수동조작하는 회전 레버(710)이거나 전류로부터 구동력을 발생시켜 정역회전 운동하는 모터(미도시) 또는 액추에이터(미도시)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차단기용 양방향 개폐조작기는 교류 3상에 대응하여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스바(200), 가이드접점부(300), 진공 인터럽터 유닛(400), 스프링 유닛(500) 및 접촉단자(600)를 각각 3개씩 구성하고 상기 케이스(100) 내에 일체형 연결구조로 설치할 수 있다(도 2참조).
또한, 상기 케이스(100)에는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가이드레일 또는 바퀴(800)를 설치하여 출입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는 별도의 크래들(C, cradle)에 대하여 착탈결합이 이루어지는 구조로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이드접접부(300)의 안내홈(310)에 대하여 상기 진공 인터럽터 유닛(400)이 직접 회전하여 전류를 단속하는 로터리방식을 구현함으로써, 전류의 차단 및 투입작용의 신속성은 물론 개폐동작을 위한 구성 수를 대폭 줄여 개폐 조작기의 전체 크기를 컴팩트하게 축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진공 인터럽터 유닛(400)과 접촉단자(600) 사이에 스프링 유닛(500)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접촉단자(600)와 가이드접점부(300)가 상호 접촉하는 마찰충돌시 상기 스프링 유닛(500)이 탄력적으로 유동하여 이를 흡수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른 상기 접촉단자(600) 및 가이드접점부(300)가 마찰충돌에 의해 쉽게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동 신뢰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 케이스
200 : 연결부스바
300 : 가이드접점부
310 : 안내홈
400 : 진공 인터럽터 유닛
410 : 접점부재
420 : 가동단자
430 : 진공케이스
440 : 절연용 케이스
500 : 스프링 유닛
510 : 연결플레이트
520 : 제1 스프링
530 : 제2 스프링
600 : 접촉단자
610 : 가이드 돌기
700 : 조작유닛

Claims (9)

  1.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연결부스바;
    상기 연결부스바의 일단에 설치되며 일측이 개방된 구조의 안내홈을 형성한 가이드접점부;
    상기 가이드접점부 사이에 설치되는 진공 인터럽터 유닛;
    상기 진공 인터럽터 유닛의 일측과 타측에 설치되는 스프링 유닛;
    상기 스프링 유닛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접점부로 통전되는 전류를 차단 및 투입하는 접촉단자; 및,
    상기 케이스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진공 인터럽터 유닛을 회전가능하게 조작하는 조작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용 양방향 개폐조작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은 일측에 출입구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폐단부를 형성한 곡선형으로 이루어지, 상기 출입구로부터 폐단부로 갈수록 곡률반경이 점차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용 양방향 개폐조작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단자의 양측면에는 상기 안내홈에 결합되어 경로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이드 돌기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용 양방향 개폐조작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인터럽터 유닛은,
    일측과 타측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접점부재와,
    상기 접점부재를 직선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가동단자와,
    상기 접점부재와 가동단자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상태로 밀폐시키는 진공케이스와,
    상기 진공케이스를 감싸는 상태로 절연시키며 외면의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의 연결구를 형성한 절연용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용 양방향 개폐조작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유닛은,
    상기 가동단자의 단부에 연결되는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진공케이스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가동단자를 탄성지지하는 제1 스프링과,
    상기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접촉단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접촉단자를 탄성지지하는 제2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용 양방향 개폐조작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유닛을 측면에서 바라볼 볼 때, 상기 진공 인터럽터 유닛가 회전된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스프링은 상하방향으로 압축작용하며, 상기 제2 스프링은 길이방향의 압축변형 및 측방향의 탄성변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용 양방향 개폐조작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유닛은 상기 제1 스프링과 제2 스프링을 감싸는 상태로 보호하는 보호케이스가 추가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용 양방향 개폐조작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면에는 상기 절연용 케이스의 연결구에 대응하는 절연용 회전축이 형성되며, 상기 절연용 회전축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조작유닛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용 양방향 개폐조작기.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외면 일측에는 상기 조작유닛을 감싸는 상태로 보호하는 조작용 케이스를 형성하고, 상기 조작유닛은 수동조작하는 회전 레버이거나 전류로부터 구동력을 발생시켜 정역회전 운동하는 모터 또는 액추에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용 양방향 개폐조작기.
KR1020150099775A 2015-07-14 2015-07-14 진공차단기용 양방향 개폐조작기 KR101703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775A KR101703760B1 (ko) 2015-07-14 2015-07-14 진공차단기용 양방향 개폐조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775A KR101703760B1 (ko) 2015-07-14 2015-07-14 진공차단기용 양방향 개폐조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8506A true KR20170008506A (ko) 2017-01-24
KR101703760B1 KR101703760B1 (ko) 2017-02-22

Family

ID=57993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9775A KR101703760B1 (ko) 2015-07-14 2015-07-14 진공차단기용 양방향 개폐조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376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33770A (zh) * 2017-12-12 2018-03-23 博耳(无锡)电力成套有限公司 一种联锁控制装置
CN107993883A (zh) * 2018-01-12 2018-05-04 刘素杰 一种改进的户外永磁真空断路器
CN108461347A (zh) * 2017-02-21 2018-08-28 Ls产电株式会社 具有电路操作装置的断路器
CN109308979A (zh) * 2017-07-27 2019-02-05 Ls产电株式会社 直流空气断路器
CN112216533A (zh) * 2020-10-29 2021-01-12 阜阳中骄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电弧屏蔽结构的触点防护机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4093B2 (ja) * 1991-11-20 1995-12-06 ジエ・ウー・セー・アルストム・エス・アー 屋内または屋外用の中電圧用サーキットブレーカ
KR100420983B1 (ko) 2001-05-04 2004-03-02 주식회사 신성이엔지 웨이퍼 반송 로봇용 핸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5874A1 (ja) 2017-06-23 2018-12-27 東伸工業株式会社 布地印刷方法及び布地印刷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4093B2 (ja) * 1991-11-20 1995-12-06 ジエ・ウー・セー・アルストム・エス・アー 屋内または屋外用の中電圧用サーキットブレーカ
KR100420983B1 (ko) 2001-05-04 2004-03-02 주식회사 신성이엔지 웨이퍼 반송 로봇용 핸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61347A (zh) * 2017-02-21 2018-08-28 Ls产电株式会社 具有电路操作装置的断路器
US10424453B2 (en) 2017-02-21 2019-09-24 Lsis Co., Ltd. Circuit breaker having circuit operating device
CN109308979A (zh) * 2017-07-27 2019-02-05 Ls产电株式会社 直流空气断路器
US10453637B2 (en) 2017-07-27 2019-10-22 Lsis Co., Ltd. Direct current air circuit breaker
CN107833770A (zh) * 2017-12-12 2018-03-23 博耳(无锡)电力成套有限公司 一种联锁控制装置
CN107833770B (zh) * 2017-12-12 2020-01-17 博耳(无锡)电力成套有限公司 一种联锁控制装置
CN107993883A (zh) * 2018-01-12 2018-05-04 刘素杰 一种改进的户外永磁真空断路器
CN107993883B (zh) * 2018-01-12 2019-03-26 福建德普乐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改进的户外永磁真空断路器
CN112216533A (zh) * 2020-10-29 2021-01-12 阜阳中骄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电弧屏蔽结构的触点防护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3760B1 (ko) 201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3760B1 (ko) 진공차단기용 양방향 개폐조작기
KR100675984B1 (ko) 가스절연 차단기
JP5238632B2 (ja) ガス遮断器及びガス絶縁開閉装置
JP2022504421A (ja) ガス絶縁開閉装置の高速接地スイッチ
KR101939828B1 (ko) 진공 인터럽터 타입 기체절연 개폐장치
JP2016173960A (ja) 接地開閉器付断路器及びスイッチギヤ
KR20120053410A (ko) 회로차단기의 접점장치
RU2584144C2 (ru) Коммутационный элегазовый аппарат
KR20180088222A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단로기 및 접지개폐기
KR20160039082A (ko) 접지 스위치
KR20170086368A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이중 구동장치
KR101147869B1 (ko) 아크 소호 진공밸브를 구비한 개폐장치
KR20220080873A (ko) 가스절연개폐장치용 단로기 및 접지개폐기
KR101869720B1 (ko) 가스절연차단기
KR101053384B1 (ko) 부하개폐용 단로기
KR101797023B1 (ko) 부하개폐기의 과투입 방지 구조
KR102506011B1 (ko) 가스절연개폐장치용 단로기 및 접지개폐기
CN110676114A (zh) 一种用于配网自动化的断路器
WO2019073671A1 (ja) ガス遮断器
KR101707966B1 (ko) 가스절연 개폐기의 인터락 장치
KR20160001271U (ko) 가스절연 차단기
KR200295509Y1 (ko) 부하 개폐기
KR102529792B1 (ko) 배전반의 접지스위치 구동장치
KR101147867B1 (ko) 아크 소호 진공밸브 구비한 개폐장치를 적용한 패드 마운트 스위치기어
KR102094870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가스 차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