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1649U - 차단기의 상태표시수단을 갖는 배전반 - Google Patents

차단기의 상태표시수단을 갖는 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1649U
KR20100011649U KR2020090006163U KR20090006163U KR20100011649U KR 20100011649 U KR20100011649 U KR 20100011649U KR 2020090006163 U KR2020090006163 U KR 2020090006163U KR 20090006163 U KR20090006163 U KR 20090006163U KR 20100011649 U KR20100011649 U KR 2010001164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board
breaker
limit switch
front doo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61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0025Y1 (ko
Inventor
한현희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061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025Y1/ko
Publication of KR201000116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6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0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02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02Details
    • H02B11/10Indicating electrical condition of gear; Arrangement of test sock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6Accessories, e.g. window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8Hinged covers or do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단기의 상태표시수단을 갖는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내측에 차단기가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전반 본체; 상기 배전반 본체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면 도어; 및 상기 전면 도어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배전반 조작 레버;를 포함하는 배전반으로서, 상기 전면 도어의 전면에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감시창이 형성되고, 상기 감시창을 통해서 상기 배전반 본체의 내부가 외측에서 관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이 제공된다.
배전반, 차단기, 아크, 도어.

Description

차단기의 상태표시수단을 갖는 배전반{PANEL WITH AN INDICATOR FOR A STATE OF A CIRCUIT BREAKER}
본 고안은 차단기의 상태표시수단을 갖는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전반 내부에 설치되는 차단기의 온/오프 상태 등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갖는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단기 또는 진공차단기는 배전반에 내장되어 있고, 선로 상에서 사고전류의 차단 및 정격전류의 통전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정상부하시의 개폐 및 사고전류 차단 시에 발생되는 아크를 진공 용기 내에서 소호시켜 신속하게 회로를 분리시키는 회로 및 기기보호용 기기이다.
도 1은 종래의 배전반 도어를 연 상태에서 진공차단기를 각 위치로 이동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배전반(1)에는 진공차단기(2)가 내장 설치되는 바, 진공차단기(2)의 하부에는 배전반 도어(Door)(1a)를 열어놓은 상태에서 이동용 조작레버(3)에 결합되도록 전방으로 이동축(4a)이 구비됨과 아울러 이동용 조작레버(3)의 회전에 의해 진공차단기(2)를 인출, 시험 및 운전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선반(4)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진공차단기(2)의 내부에는 이동선반(4)을 이동시켜 진공차단기(2)가 인출, 시험 및 운전위치에 있을 경우, 진공차단기(2)의 전기적인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잠금(Locking)시키기 위한 잠금장치(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진공차단기(2)의 전방에는 전기가 흐르는 상태 즉,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진공차단기(2)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잠금상태를 해제(Unlocking)시키기 위한 잠금해제레버(5)가 일정각도 범위로 회전되도록 상기 잠금장치에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차단기에는 기종별로 220V 내지 36kV까지의 전압이 인가된다. 한편, 작업시에 상기 차단기의 인출 또는 인입작업시에는 배전반의 상기 도어(1a)를 열고 차단기(2)를 인출하거나 인입하여야 하지만, 만일 모선 부스바에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이러한 인입 및 인출 작업이 진행되는 경우 접속 부위에 아크가 발생되고, 발생된 아크가 전면 도어측으로 진행되어 작업자가 부상을 입을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안전사고의 발행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조작레버(3)를 상기 도어(1a)를 닫은 상태에서도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 배전반이 개시된 바 있다. 상기 배전반은 상기 조작레버를 도어을 관통하여 삽입하도록 함으로써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도 차단기의 인입 및 인출 작업이 가능케하여 아크에 의해 작업자가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조작레버가 도어 외측에 존재하여도 실제로 차단기가 인입 또는 인출되었는 지의 확인이 불가능하므로 접속의 차단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 서 도어를 개방할 우려가 있고, 이는 안전사고로 이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도어를 직접 확인하기 전까지는, 도어가 잠긴 상태인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 없어 작업 중 도어가 불시에 개방될 우려도 존재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배전반의 도어를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차단기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어 안전사고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배전반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본 고안은 또한, 배전반의 도어의 개방 상태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배전반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내측에 차단기가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전반 본체; 상기 배전반 본체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면 도어; 및 상기 전면 도어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배전반 조작 레버;를 포함하는 배전반으로서, 상기 전면 도어의 전면에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감시창이 형성되고, 상기 감시창을 통해서 상기 배전반 본체의 내부가 외측에서 관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이 제공된다.7
본 고안의 상기 측면에서는 배전반의 내부 상태가 확인될 수 있는 감시창을 배전반에 형성함으로써 육안으로도 배전반 내부에 설치된 차단기의 상태를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전반 본체의 내측에는 상기 차단기의 이동에 따라서 작동되는 제1 리미트 스위치가 설치되고, 상기 배전반 본체의 외측에는 상기 제1 리미트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점멸되는 발광 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차단기의 상태를 보다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되고, 상기 감시창과 더불어 보다 정확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전반 본체에는 상기 전면 도어의 개폐에 따라서 작동되는 제2 리미트 스위치가 설치되고, 상기 배전반 본체의 외측에는 상기 제2 리미트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서 점멸되는 발광 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리미트 스위치에 의해 도어가 닫혀 있는 지의 여부가 확인될 수 있으므로 조작 중에 도어가 열려서 안전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내측에 차단기가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전반 본체, 상기 배전반 본체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면 도어, 상기 전면 도어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배전반 조작 레버, 및 상기 배전반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배전반 및 차단기의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 수단을 포함하는 배전반; 및 상기 배전반의 감지 수단과 연결되어, 배전반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감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배전반 감시 장치에 의해서 중앙 조정실과 같은 원격지에서도 용이하게 배전반 및 차단기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지 수단은, 상기 배전반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차단기의 이동에 따라서 작동되는 제1 리미트 스위치가 포함되고, 상기 제1 리미트 스위치의 작동상태가 상기 표시 수단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 수단은, 상기 배전반 본체에는 상기 전면 도어의 개폐에 따라서 작동되는 제2 리미트 스위치가 포함되고, 상기 제2 리미트 스위치의 작동상태가 상기 표시 수단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측면들에 의하면, 감시창을 통해서 육안으로도 배전반 내부에 설치된 차단기의 상태를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배전반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배전반의 제1 실시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배전반(100)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태이고 내부가 비어있는 배전반 본체(102)와, 상기 배전반 본체(102)의 개구된 전면에 설치되어 배전반 본체(102) 내부를 개폐하는 전면 도어(110)를 포함한다.
상기 배전반 본체(102) 중 전면 도어(110)와 맞닺게 되는 부분에는 한 쌍의 제2 리미트 스위치(10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 리미트 스위치(10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 도어(110)가 열린 상태에서는 그 내부에 설치된 접점이 분리되며, 전면 도어(11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전면 도어(110)에 의해 눌려져서 접점이 접속된다. 이를 통해서, 전면 도어(110)의 개폐 상태에 따라서, 서로 다른 신호를 보낼 수 있다. 물론, 상기 제2 리미트 스위치(104)는 반드시 도시된 형태 에 한하는 것은 아니며, 임의의 적절한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면 도어(110)의 중앙부 상부에는 감시창(1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감시창(112)은 상기 전면 도어(110)의 일부를 절개한 뒤 투명한 합성 수지로 된 판재를 부착한 것으로서, 상기 합성 수지는 절연성 및 내열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절연성 및 내열성은 후술할 차단기의 접속 과정에서 발생되는 아크가 외부로 통전되거나 아크에 의해 발생되는 열에 의해 변형되지 않을 정도이어야 한다.
상기 감시창(112)의 하부에는 조작 레버 삽입구(114)가 형성된다. 상기 조작 레버 삽입구(114)는 후술할 조작 레버(3)가 삽입되기 위한 통로로서 기능하게 된다.
상기 조작 레버 삽입구(114)의 우측에는 도어 상태 표시부(116) 및 차단기 상태 표시부(118)가 각각 배치된다. 상기 도어 상태 표시부(116)는 두 개의 LED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부에 위치하는 LED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점등되며, 하부에 위치하는 LED는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점등되어 내부 도어의 상태를 각각 표시하게 된다. 상기 LED들은 상술한 제2 리미트 스위치(104)와 연동되어 작동하게 된다. 상기 차단기 상태 표시부(118) 역시 두 개의 LED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부에 위치하는 LED는 후술할 차단기가 접속된 상태에서 점등되며, 하부에 위치하는 LED는 차단기가 차단된 상태에서 점등되어 차단기의 상태를 각각 표시하게 된다.
사용자는 상기 감시창(112)을 통해서 차단기의 상태를 직접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차단기 상태 표시부(118)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차단기의 상태를 두 가지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므로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확인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상기 차단기 상태 표시부(118)는 상기 배전반 본체(102)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 리미트 스위치(106)에 의해 작동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리미트 스위치(106)는 차단기(2)가 인출된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106a)와 차단기(2)가 인입된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106b)를 포함하며, 각각은 상기 이동 선반(4)의 이동에 따라서 눌려지거나 복귀하게 되며, 이러한 제1 리미트 스위치(106)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차단기 상태 표시부(118)가 점멸된다.
한편, 상기 배전반(100)은 중앙 조정실과 같은 원격지에서도 상태확인이 가능하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리미트 스위치(106)와 제2 리미트 스위치(104)는 각각 상기 중앙 조정실의 내부에 구비된 제어부(120)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120)는 구비된 LCD 디스플레이(130)를 통해서 감지된 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는 배전반(2)이 위치한 장소로 이동할 필요없이 원격지에서 배전반(2)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배전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전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 1 상당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Claims (6)

  1. 내측에 차단기가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전반 본체;
    상기 배전반 본체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면 도어; 및
    상기 전면 도어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배전반 조작 레버;를 포함하는 배전반으로서,
    상기 전면 도어의 전면에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감시창이 형성되고, 상기 감시창을 통해서 상기 배전반 본체의 내부가 외측에서 관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 본체의 내측에는 상기 차단기의 이동에 따라서 작동되는 제1 리미트 스위치가 설치되고,
    상기 배전반 본체의 외측에는 상기 제1 리미트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점멸되는 발광 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 본체에는 상기 전면 도어의 개폐에 따라서 작동되는 제2 리미트 스위치가 설치되고,
    상기 배전반 본체의 외측에는 상기 제2 리미트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서 점멸 되는 발광 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4. 내측에 차단기가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전반 본체, 상기 배전반 본체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면 도어, 상기 전면 도어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배전반 조작 레버, 및 상기 배전반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배전반 및 차단기의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 수단을 포함하는 배전반; 및
    상기 배전반의 감지 수단과 연결되어, 배전반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감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수단은,
    상기 배전반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차단기의 이동에 따라서 작동되는 제1 리미트 스위치가 포함되고,
    상기 제1 리미트 스위치의 작동상태가 상기 표시 수단을 통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감시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수단은,
    상기 배전반 본체에는 상기 전면 도어의 개폐에 따라서 작동되는 제2 리미트 스위치가 포함되고,
    상기 제2 리미트 스위치의 작동상태가 상기 표시 수단을 통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감시 장치.
KR2020090006163U 2009-05-21 2009-05-21 차단기의 상태표시수단을 갖는 배전반 KR2004700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6163U KR200470025Y1 (ko) 2009-05-21 2009-05-21 차단기의 상태표시수단을 갖는 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6163U KR200470025Y1 (ko) 2009-05-21 2009-05-21 차단기의 상태표시수단을 갖는 배전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649U true KR20100011649U (ko) 2010-12-01
KR200470025Y1 KR200470025Y1 (ko) 2013-11-22

Family

ID=44204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6163U KR200470025Y1 (ko) 2009-05-21 2009-05-21 차단기의 상태표시수단을 갖는 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02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42155A (ko) * 2010-11-15 2013-12-27 엘엠알 테크놀로지스 리미티드 고전압 스위치기어 캐비넷을 위한 개선된 슬라이딩 정밀검사 창
KR102212005B1 (ko) 2020-07-30 2021-02-08 주식회사 리폼테크 아크발생시 아크로부터 보호받기 위한 아크차단용 조작구 및 이를 구비한 배전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8115B1 (ko) * 2014-06-11 2014-11-05 (주)성우피앤씨 배전반 안전 감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0100Y1 (ko) * 2003-08-19 2004-01-3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배전반용 진공차단기 위치의 외부 표시장치
KR100630497B1 (ko) * 2004-04-21 2006-09-29 (주)현대정밀 접속단자와 이를 이용한 배전반
KR100887420B1 (ko) * 2008-07-25 2009-03-06 가아전기(주) 양문형 수배전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42155A (ko) * 2010-11-15 2013-12-27 엘엠알 테크놀로지스 리미티드 고전압 스위치기어 캐비넷을 위한 개선된 슬라이딩 정밀검사 창
KR102212005B1 (ko) 2020-07-30 2021-02-08 주식회사 리폼테크 아크발생시 아크로부터 보호받기 위한 아크차단용 조작구 및 이를 구비한 배전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0025Y1 (ko) 2013-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4672B2 (en) Wireless remote racking mechanism
US8319123B2 (en) System, network protector enclosure, and automatic racking system
KR200470025Y1 (ko) 차단기의 상태표시수단을 갖는 배전반
KR102050403B1 (ko) 배전용 개폐기 동작표시기
KR101443314B1 (ko)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KR101874884B1 (ko) 수납박스가 구비된 배전반
JP2009131008A (ja) 分電盤
JP4406025B2 (ja) 分電盤
KR102449154B1 (ko) 통전 감지 경보장치
JP2009131010A (ja) 分電盤
WO2016197507A1 (zh) 一种中置柜自动控制的活门装置
EP2085994B1 (en) Safety switch
CN215911717U (zh) 一种具有稳压多分路检测控制的智能控制柜
KR101536943B1 (ko) 안전경보장치를 구비한 고압 개폐기 및 이를 구비한 수배전반
US20130285666A1 (en) Interlock Switch Circuit with Single Fault Detection
KR102378392B1 (ko) 전력 기기용 인입출 위치 검출 장치 및 이를 갖는 인입출 모니터링 시스템
EP2639902A1 (en) Draw-out switching device
TWI549395B (zh) 自動偵測電容跳脫裝置異常的方法與裝置
KR101251604B1 (ko) 전원차폐형 자동 접속 모터 컨트롤 센터
CN111835001A (zh) 一种400伏多功能旁路开关柜及其使用方法
CN201402764Y (zh) 一种开关操作装置
CN107706016B (zh) 带电开关仓自动安全警示装置
JP2021009122A (ja) プラグチェック装置
CN203423088U (zh) 线路通断指示灯和卷烟设备防护罩开合的检测装置
JP2013153565A (ja) 電気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