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8392B1 - 전력 기기용 인입출 위치 검출 장치 및 이를 갖는 인입출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력 기기용 인입출 위치 검출 장치 및 이를 갖는 인입출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8392B1
KR102378392B1 KR1020200041144A KR20200041144A KR102378392B1 KR 102378392 B1 KR102378392 B1 KR 102378392B1 KR 1020200041144 A KR1020200041144 A KR 1020200041144A KR 20200041144 A KR20200041144 A KR 20200041144A KR 102378392 B1 KR102378392 B1 KR 102378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reaker
cradle
power device
curvatur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1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3685A (ko
Inventor
이상철
김영
정한백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200041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8392B1/ko
Priority to US17/916,710 priority patent/US12080502B2/en
Priority to EP21780262.8A priority patent/EP4131315A4/en
Priority to CN202180025662.2A priority patent/CN115428113A/zh
Priority to PCT/KR2021/003871 priority patent/WO2021201537A1/ko
Publication of KR20210123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3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8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8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02Details
    • H02B11/10Indicating electrical condition of gear; Arrangement of tes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4Means for indicating condition of the switch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6Distinguishing marks, e.g. colour co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 H01H71/52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comprising a cradle-mechanis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6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 H01H9/161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comprising light emit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4Means for indicating condition of the switching device
    • H01H2071/046Means for indicating condition of the switching device exclusively by position of operating part, e.g. with additional labels or marks but no other movable indic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 기기용 인입출 위치 검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전력 기기용 인입출 위치 검출 장치는 일측이 개구되며, 내부에 배치 공간이 형성되는 크래들; 상기 배치 공간에 가능하고, 일측부에 가이드 플레이트가 형성되는 전력기기 본체; 및, 상기 크래들이 상기 배치 공간에 인입 및 인출되는 동안에 상기 전력기기 본체의 이동 위치를 선형적으로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전력기기 인입출 위치 검출 장치를 갖는 인입출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력 기기용 인입출 위치 검출 장치 및 이를 갖는 인입출 모니터링 시스템{POSITION DETECTING APPARATUS FOR SWITCHGEAR AND POSITION MONITORING SYSTEM FOR SWITCHGEA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입출 위치 검출 장치 및 이를 갖는 인입출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크래들에서의 차단기 본체의 인입출 위치를 선형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전력 기기용 인입출 위치 검출 장치 및 이를 갖는 인입출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 차단기는 전기 회로상에 이상전류 또는 사고전류가 발생하는 경우 회로를 차단하여 부하 및 전원을 보호하는 장치이다.
이 중에서 기중 차단기는 송, 변전이나 전기회로 등에서 부하를 개폐하거나 접지 혹은 단락 등의 사고가 발생할 경우에 전류를 차단시키는 회로 차단기의 일종으로서 주로 저압기기용으로 사용된다.
회로 차단기에는 차단기 본체의 점검이나 사용 또는 교체의 편의를 위해 크래들(Cradle)이 마련된다.
차단기 본체가 크래들에 고정되는 고정형(fixed type) 차단기 및 차단기 본체가 크래들에 인입(Draw-in) 및 인출(Draw-out) 가능한 인출형(drawable type) 차단기가 있다.
이 중, 상기 인출형 차단기는 전류의 통전을 위해 차단기 본체가 크래들 내로 인입되고, 이러한 인입 상태에서 차단기가 투입(On) 및 트립(Off) 동작을 하게 된다. 차단기가 투입(On)된 상태에서 선로에 사고 전류가 발생하게 되면 차단기는 사고 전류의 크기에 따라 일정 시간 경과 후에 또는 즉시 사고 전류를 차단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전력 기기를 나타내는 구성도를 보여준다.
도 1을 참조 하면, 종래의 전력 기기(10)는 차단기 본체(13), 차단기 본체(13)가 내부에 위치하여 이동하는 크래들(11), 핸들(17)이 삽입되는 핸들 삽입부(15), 핸들 삽입부(15)에 삽입되어 회전됨으로써 차단기본체(13)를 인출위치(DISCONNECT), 시험위치(TEST), 인입위치(CONNECT) 등으로 이동시키는 핸들(17) 등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차단기 본체(13)가 크래들(11)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핸들 삽입부(15)에 핸들(17)을 삽입하여 회전시키면, 차단기 본체(13)는 크래들(11) 내에서 인출위치, 시험위치 또는 인입위치에 위치된다.
도 2는 종래의 다른 전력 기기에 구비되는 위치표시장치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를 참조 하면, 종래의 전력 기기는 위치표시장치(30)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위치표시장치(30)를 통해 전력 기기의 위치가 외부에 표시된다.
그러나 종래의 전력 기기의 위치표시장치(30)는 핸들 삽입부(33)가 인디케이터(31)의 상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핸들(17)을 사용하여 차단기 본체(13)의 위치를 조절할 때 핸들(17)을 통해 인디케이터(31)가 가려져 차단기 본체(13)의 현재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물론, 상기와 같이 윔 휠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핸들 삽입부의 상측에 인디케이터를 위치시키도록 구성하고는 있으나, 이는 단지 차단기 본체(13)가 크래들(11) 내에서 인출위치, 시험위치 또는 인입 위치인 경우에 한 해서 ㅗ확인할 수 있을 뿐이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차단기 본체가 크래들 내에서 인출위치, 시험위치 또는 인입위치에 이르는 동안에 선형적인 위치 검출이 사실상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151940 호가 있다.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크래들에서의 차단기 본체의 인입출 위치를 선형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전력 기기용 인입출 위치 검출 장치 및 이를 갖는 인입출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차단기 본체가 크래들이 인입 또는 인출하는 동안에 발생되는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출함과 아울러 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크래들에서의 차단기 본체의 인입출 위치를 선형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전력 기기용 인입출 위치 검출 장치 및 이를 갖는 인입출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전력 기기용 인입출 위치 검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전력 기기용 인입출 위치 검출 장치는 일측이 개구되며, 내부에 배치 공간이 형성되는 크래들; 상기 배치 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차단기 본체가 안착되는 가이드 플레이트; 상기 차단기 본체가 상기 크래들에 안착되어 인입 및 인출되는 동안에 상기 차단기 본체의 이동 위치를 선형적으로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크래들의 측부에는, 수평 방향을 따라 절개되는 일정 길이의 가이드 홀이 형성되되,
상기 위치 검출부는,
상기 가이드 홀에 노출되는 상기 크래들의 측부 일정 영역에 부착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광량을 반사하는 반사 영역이 형성되는 위치 검출 부재와,
상기 가이드 홀부 근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크래들에 설치되며, 상기 위치 검출 부재의 상기 반사 영역으로 광을 출사하여 반사되는 광량을 측정하여 상기 차단기 본체의 이동 위치를 측정하는 광 센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반사 영역은,
그라데이션 스티커 또는 상기 반사 영역의 일단에서 타단을 따라 점진적으로 낮아지거나 높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된 경사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크래들의 측부에는 설정된 곡률을 갖는 곡률홀이 형성되고,
상기 곡률홀에는 상기 크래들 내부에 배치되는 링크와 연결되는 접속핀이 돌출되어 상기 곡률홀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접속핀은,
상기 배치 공간에 상기 차단기본체가 인입 또는 인출됨에 연동되어, 상기 곡률홀을 따라 이동되되,
상기 위치 검출부는,
상기 곡률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의 곡률을 이루어 상기 곡률홀의 주변 영역에 배치되며, 서로 다른 광량을 반사하는 반사 영역이 형성되는 위치 검출 부재와,
상기 접속핀에 설치되며, 상기 위치 검출 부재의 상기 반사 영역으로 광을 출사하여 반사되는 광량을 측정하여 상기 차단기 본체의 이동 위치를 측정하는 광 센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사 영역은,
그라데이션 스티커 또는 상기 반사 영역의 일단에서 타단을 따라 점진적으로 낮아지거나 높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된 경사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술한 전력 기기용 인입출 위치 검출 장치와, 상기 위치 검출부로부터 상기 차단기 본체의 이동 위치를 선형적으로 검출받아 상기 이동 위치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된 상기 차단기 본체의 이동 위치를 외부에 표시하는 표시부와, 미리 설정된 3위치와 저장된 상기 차단기 본체의 이동 위치를 서로 오버랩하여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인입출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크래들에서의 차단기 본체의 인입출 위치를 선형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차단기 본체가 크래들이 인입 또는 인출하는 동안에 발생되는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출함과 아울러 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크래들에서의 차단기 본체의 인입출 위치를 선형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상술한 효과들과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종래의 전력 기기를 나타내는 구성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다른 전력 기기에 구비되는 위치표시장치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크래들 및 차단기 본체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크래들의 삽입 공간에 차단기 본체가 삽입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검출부의 일 예에서 위치 검출 부재의 제 1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검출 부재의 제 2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검출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검출부의 다른 실시예에서 위치 검출 부재의 제 1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검출 부재의 제 2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선 A-A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입출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구비 또는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구비 또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구비 또는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 하여, 본 발명의 전력 기기용 인입출 위치 검출 장치 및 이를 갖는 인입출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크래들 및 차단기 본체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크래들의 삽입 공간에 차단기 본체가 삽입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검출부의 일 예에서 위치 검출 부재의 제 1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검출 부재의 제 2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입출 위치 검출 장치는 크게 크래들(100)과, 차단기 본체(200)와, 위치 검출부(300)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크래들(100)은 내부에 삽입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크래들(100)의 전방은 개구된다. 상기 삽입 공간은 상기 차단기 본체(200)가 인입되는 공간이다.
상기 삽입 공간에는 상기 차단기 본체(200)가 이동되는 위치에 따라 인출위치, 시험위치 또는 인입 위치가 미리 설정된다. 여기서 상기 인출위치, 시험위치, 인입 위치 간 거리는 미리 설정된다. 상기 거리를 이동 거리라 한다.
상기 크래들(100)의 양측부에는 가이드 플레이트(210)가 배치된다. 상기 크래들(100)에는 차단기 본체(200)가 안착된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10)는 크래들(100) 내부에 형성되는 배치 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에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10)에 차단기 본체(100)가 안착되기 때문에, 가이드 플레이트(210)의 이동은 차단기 본체(100)의 이동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10)는 수평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갖고, 상하를 따라 일정 폭을 갖는다.
또한 상기 크래들(100)의 양측벽에는 수평 방향을 따라 수평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갖는 가이드 홀(110)이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홀(110)의 길이는 상술한 이동 거리에 대응하는 길이를 이루도록 절개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10)의 외측면은 상기 가이드 홀(11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10)의 외측면 일부 영역은 상기 가이드 홀(11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홀(110)을 통해 노출되는 가이드 플레이트(210)의 외측면 일부 영역을 설치 영역이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검출부(300)는 차단기 본체(200)가 안착된 가이드 플레이트(210)가 크래들(100)의 배치 공간에서 인입 및 인출되는 동안에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10)의 이동 위치를 선형적으로 검출한다.
상기 위치 검출부(300)는 위치 검출 부재(310)와, 광 센서(320)로 형성된다.
상기 위치 검출 부재(310)는 상술한 설치 위치에 부착된다. 상기 부착의 방식은 볼트 등을 사용한 결합 방식일 수도 있고, 접착제를 통해 부착되는 방식일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검출 부재(310)는 상기 가이드 홀(110)에 노출되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10)의 측부 일정 영역에 부착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광량을 반사하는 반사 영역(311)이 형성된다.
상기 위치 검출 부재(310)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10)의 측부에 형성되는 설치 영역에 부착된다.
상기 광센서(320)는 상기 가이드 홀(110) 근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크래들(100)에 설치되며, 상기 위치 검출 부재(310)의 상기 반사 영역으로 광을 출사하여 반사되는 광량을 측정하여 상기 차단기 본체(200)의 이동 위치를 측정한다.
즉, 상기 가이드 홀(110)의 근방 일성 위치에는 브라켓(321)이 설치된다. 상기 브라켓(321)은 상기 가이드 홀(110)의 근방 일정 위치에서 측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 홀(110)과 중첩되는 위치에 위치되도록 연장되는 부재 일 수 있다. 그리고 광센서(320)는 상기 가이드 홀(110)에 노출되도록 상기 브라켓(321)에 고정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반사 영역(311)은 그라데이션 스티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검출 부재(310)는 상기 외면에 그라데이션이 형성되는 반사 스티커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차단기 본체(200)가 삽입 공간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동안에 차단기 본체(200)는 크래들(100)의 내부에서 위치가 선형적으로 이동된다.
이때, 어느 한 위치에 고정된 광센서(320)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갖는다.
상기 발광부는 이동되는 그라데이션 영역인 반사 영역(311)으로 광을 조사한다. 그리고 반사 영역(311)에서 반사되는 광은 수광부에서 수광되어 반사되는 광량을 측정한다.
예컨대, 반사 영역(311)은 일정 길이를 가지며, 그라데이션 영역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반사되는 광량이 반사 영역의 위치마다 다르게 형성된다.
따라서 반사 영역(311)의 일단에서 타단을 따라 반사되는 광량을 점진적으로 증가되거나 감소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위치 검출 부재(310)가 이동되는 차단기 본체(200)가 안착된 가이드 플레이트(210)와 동시에 이동되기 때문에, 반사 영역(311)의 일정 위치에서의 반사 광량을 측정하고, 이 측정되는 반사 광량에 따라 차단기 본체(200)의 이동 위치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단기 본체(200)의 3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 뿐 만이 아니라, 일정 이동 범위 내에서의 이동 위치를 선형적으로 검출하여 정확한 차단기 본체(200)의 이동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검출 부재(310)는 상기 가이드 홀(110)에 노출되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10)의 측부 일정 영역에 부착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광량을 반사하는 반사 영역(312)이 형성된다.
상기 위치 검출 부재(310)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10)의 측부에 형성되는 설치 영역에 부착된다.
상기 광센서(320)는 상기 가이드 홀(110) 근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크래들(100)에 설치되며, 상기 위치 검출 부재(310)의 상기 반사 영역(312)으로 광을 출사하여 반사되는 광량을 측정하여 상기 차단기 본체(200)가 안착된 가이드 플레이트(210)의 이동 위치를 측정한다.
여기서 상기 반사 영역(312)은 일단에서 타단을 따라 경사면(312a)이 형성되는 경사 부재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차단기 본체(200)가 가이드 플레이트(210)에 안착된 상태로 삽입 공간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동안에 가이드 플레이트(210)는 크래들(100)의 내부에서 위치가 선형적으로 이동된다.
이때, 어느 한 위치에 고정된 광센서(320)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갖는다.
상기 발광부는 이동되는 경사면(312a)으로 광을 조사한다. 그리고 경사면(312a)에서 반사되는 광은 수광부에서 수광되어 반사되는 광량을 측정한다.
예컨대, 경사 부재는 일정 길이를 가지며, 경사면(312a)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반사되는 광량이 반사 영역(312)의 위치마다 다르게 형성된다.
따라서 경사면(312a)의 일단에서 타단을 따라 반사되는 광량을 점진적으로 증가되거나 감소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위치 검출 부재(310)가 이동되는 가이드 플레이트(210)와 동시에 이동되기 때문에, 반사 영역(312)의 일정 위치에서의 반사 광량을 측정하고, 이 측정되는 반사 광량에 따라 차단기의 이동 위치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단기 본체(200)의 3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뿐 반이 아니라, 일정 이동 범위 내에서의 이동 위치를 선형적으로 검출하여 정확한 차단기 본체 (200)의 이동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물론, 경사 부재를 사용하는 경우, 경사면(312a)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이 측정된 거리값을 기준으로 차단기의 이동 위치를 검출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검출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검출부의 다른 예에서 위치 검출 부재의 제 1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검출 부재의 제 2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선 A-A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크래들(100)의 측부에는 설정된 곡률을 갖는 곡률홀(120)이 형성된다.
상기 곡률홀(120)에는 상기 크래들(100) 내부에 배치되어 차단기 본체(200)와 연결되는 링크(미도시)와 연결되는 접속핀(130)이 돌출되어 상기 곡률홀(12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에 상기 접속핀(130)은 차단기 본체(200)의 이동과 연동된다.
상기 접속핀(130)은, 상기 배치 공간 상기 차단기 본체(200)가 인입 또는 인출됨에 연동되어, 상기 곡률홀(120)을 따라 이동된다.
상기 위치 검출부(400)는, 상기 곡률홀(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의 곡률을 이루어 상기 곡률홀(120)의 주변 영역에 배치되며, 서로 다른 광량을 반사하는 반사 영역(411)이 형성되는 위치 검출 부재(410)와, 상기 접속핀(130)에 설치되며, 상기 위치 검출 부재(410)의 상기 반사 영역(411)으로 광을 출사하여 반사되는 광량을 측정하여 상기 차단기 본체(200)의 이동 위치를 측정하는 광 센서(420)를 구비한다.
상기 위치 검출 부재(410)는 상기 곡률홀(120)의 주변 영역에서 상기 곡률홀(120)의 곡률을 따라 크래들(100)의 외면에 설치된다.
상기 광센서(400)는 상기 접속핀(130)에 설치된다. 상기 광센서(400)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갖는다. 상기 광센서(400)는 접속핀(130)에서 상기 반사 영역(411)으로 광을 출사 및 수광할 수 있는 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접속핀(130)의 상단에는 측방을 따라 연장되는 브라켓(421)이 설치된다. 상기 브라켓(421)은 곡률홀(120)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421)에는 광 센서(420)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광 센서(420)는 곡률홀(120)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광센서(420)는 상기 위치 검출 부재(410)의 상기 반사 영역(411)으로 광을 출사하여 반사되는 광량을 측정하여 상기 차단기 본체(200)의 이동 위치를 측정한다.
여기서 상기 반사 영역(411)은 그라데이션 스티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검출 부재(410)는 상기 외면에 그라데이션이 형성되는 반사 스티커일 수 있다. 상기 스티커는 곡률 스티커다.
이를 통해, 상기 차단기 본체(200)가 삽입 공간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동안에 차단기 본체(200)는 크래들(100)의 내부에서 위치가 선형적으로 이동된다.
이때, 접속핀(130)은 곡률홀(120)을 따라 이동된다. 여기서 접속핀(130)에 설치된 광센서(400)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갖는다.
상기 발광부는 이동되는 그라데이션 영역인 반사 영역(411)으로 광을 조사한다. 그리고 반사 영역(411)에서 반사되는 광은 수광부에서 수광되어 반사되는 광량을 측정한다.
예컨대, 반사 영역(411)은 일정 길이를 가지며, 그라데이션 영역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반사되는 광량이 반사 영역(411)의 위치마다 다르게 형성된다.
따라서 반사 영역(411)의 일단에서 타단을 따라 반사되는 광량을 점진적으로 증가되거나 감소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광센서(420)가 접속핀(130)에 부착되어 이동되기 이동되기 때문에, 이동되는 동안에 반사 영역(411)의 일정 위치에서의 반사 광량을 측정하고, 이 측정되는 반사 광량에 따라 차단기 본체(200)의 이동 위치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단기 본체(200)의 3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뿐 반이 아니라, 일정 이동 범위 내에서의 이동 위치를 선형적으로 검출하여 정확한 차단기의 이동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한편, 도 9 및 도 10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검출 부재(410)는 상기 곡률홀(120) 주변 영역에 설치된다. 상기 위치 검출 부재(410)는 곡률홀(120)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형성한다.
상기 광센서(400)는 상기 접속핀(130)에 설치되며, 상기 위치 검출 부재(410)로 광을 출사하여 반사되는 광량을 측정하여 상기 차단기 본체(200)의 이동 위치를 측정한다.
여기서 상기 반사 영역(412)은 일단에서 타단을 따라 경사면(412a)이 형성되는 경사 부재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차단기 본체(200)가 삽입 공간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동안에 차단기 본체(200)는 크래들(100)의 내부에서 위치가 선형적으로 이동된다.
이때, 어느 한 위치에 고정된 광센서(420)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갖는다.
상기 발광부는 이동되는 경사면(412a)으로 광을 조사한다. 그리고 경사면(412a)에서 반사되는 광은 수광부에서 수광되어 반사되는 광량을 측정한다.
예컨대, 경사 부재는 일정 길이를 가지며, 경사면(412a)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반사되는 광량이 반사 영역(412)의 위치마다 다르게 형성된다.
따라서 경사면(412a)의 일단에서 타단을 따라 반사되는 광량을 점진적으로 증가되거나 감소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위치 검출 부재(410)가 이동되는 차단기 본체(200)와 동시에 이동되기 때문에, 반사 영역(412)의 일정 위치에서의 반사 광량을 측정하고, 이 측정되는 반사 광량에 따라 차단기의 이동 위치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단기 본체(200)의 3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뿐 반이 아니라, 일정 이동 범위 내에서의 이동 위치를 선형적으로 검출하여 정확한 차단기의 이동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물론, 경사 부재를 사용하는 경우, 경사면(412a)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이 측정된 거리값을 기준으로 차단기의 이동 위치를 검출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입출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1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입출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술한 인입출 위치 검출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인입출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위치 검출부(300, 400)로부터 상기 차단기 본체(200)의 이동 위치를 선형적으로 검출받아 상기 이동 위치를 저장하는 저장부(500)와, 상기 저장된 상기 차단기 본체(200)의 이동 위치를 외부에 표시하는 표시부(600)와, 미리 설정된 3위치와 저장된 상기 차단기 본체(200)의 이동 위치를 서로 오버랩하여 상기 표시부(600)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포함한다.
이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검출부(300, 4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차단기 본체(200)가 크래들(100)의 삽입 공간에 인입 되거나 인출되는 중에, 차단기 본체(200)의 이동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부(500)로 전송한다.
상기 저장부(500)는 이동되는 차단기 본체(200)의 이동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저장함과 아울러 표시부(600)를 통해 이동되는 위치 또는 이동된 위치 정보를 가시적으로 표시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차단기 본체(200)가 크래들(100)의 내부에서 이동된 위치를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700)는 미리 설정된 3위치와 저장된 상기 차단기 본체(200)의 이동 위치를 서로 오버랩하여 상기 표시부(600)를 통해 표시함을 통해, 설정된 3위치에 차단기 본체가 정확히 위치되는 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설정된 3위치와 실제 차단기 본체(200)의 이동 위치가 일치되지 않는 경우, 핸들과 같은 장치를 사용하여 강제로 차단기 본체(200)의 위치를 보정할 수도 있고, 별도의 이동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차단기 본체(200)를 강제적으로 이동시켜 위치를 보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차단기 본체(200)가 크래들(100)의 내부에서 이동되는 위치를 선형적으로 검출함과 아울러, 미리 설정된 동작 위치들에서의 일치 여부를 확인 및 오차를 보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크래들
110 : 가이드 홀
120 : 곡률홀
130 : 접속핀
200 : 차단기 본체
210 ; 가이드 플레이트
300, 400 : 위치 검출부
310, 410 : 위치 검출 부재
311, 312, 411, 412 : 반사 영역
312a, 412a : 경사면
320, 420 : 광센서
500 : 저장부
600 : 표시부
700 : 제어부

Claims (6)

  1. 일측이 개구되며, 내부에 배치 공간이 형성되는 크래들;
    상기 배치 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전력기기 본체가 안착되는 가이드 플레이트;
    상기 전력기기 본체가 상기 크래들에 안착되어 인입 및 인출되는 동안에 상기 전력기기 본체의 이동 위치를 선형적으로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크래들의 측부에는 설정된 곡률을 갖는 곡률홀이 형성되고,
    상기 곡률홀에는 상기 크래들 내부에 배치되는 링크와 연결되는 접속핀이 돌출되어 상기 곡률홀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접속핀은,
    상기 배치 공간에 상기 전력기기 본체가 인입 또는 인출됨에 연동되어, 상기 곡률홀을 따라 이동되되,
    상기 위치 검출부는,
    상기 곡률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의 곡률을 이루어 상기 곡률홀의 주변 영역에 배치되며, 서로 다른 광량을 반사하는 반사 영역이 형성되는 위치 검출 부재와,
    상기 접속핀에 설치되며, 상기 위치 검출 부재의 상기 반사 영역으로 광을 출사하여 반사되는 광량을 측정하여 상기 전력기기 본체의 이동 위치를 측정하는 광 센서를 구비하는,
    전력 기기용 인입출 위치 검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영역은,
    그라데이션 스티커 또는 상기 반사 영역의 일단에서 타단을 따라 점진적으로 낮아지거나 높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된 경사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전력 기기용 인입출 위치 검출 장치.
  6. 제 1항 및 제 5항 중 어느 한 항의 전력 기기용 인입출 위치 검출 장치와,
    상기 위치 검출부로부터 상기 전력기기 본체의 이동 위치를 선형적으로 검출받아 상기 이동 위치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된 상기 전력기기 본체의 이동 위치를 외부에 표시하는 표시부와,
    미리 설정된 3위치와 저장된 상기 전력기기 본체의 이동 위치를 서로 오버랩하여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인입출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200041144A 2020-04-03 2020-04-03 전력 기기용 인입출 위치 검출 장치 및 이를 갖는 인입출 모니터링 시스템 KR102378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144A KR102378392B1 (ko) 2020-04-03 2020-04-03 전력 기기용 인입출 위치 검출 장치 및 이를 갖는 인입출 모니터링 시스템
US17/916,710 US12080502B2 (en) 2020-04-03 2021-03-29 Entrance and exit position detection device for power device, and entrance and exit monitoring system including same
EP21780262.8A EP4131315A4 (en) 2020-04-03 2021-03-29 INPUT AND EXIT POSITION DETECTION DEVICE FOR A POWER DEVICE AND INPUT AND EXIT MONITORING SYSTEM THEREFOR
CN202180025662.2A CN115428113A (zh) 2020-04-03 2021-03-29 电力设备用引入引出位置检测装置及具有该装置的引入引出监控系统
PCT/KR2021/003871 WO2021201537A1 (ko) 2020-04-03 2021-03-29 전력 기기용 인입출 위치 검출 장치 및 이를 갖는 인입출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144A KR102378392B1 (ko) 2020-04-03 2020-04-03 전력 기기용 인입출 위치 검출 장치 및 이를 갖는 인입출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685A KR20210123685A (ko) 2021-10-14
KR102378392B1 true KR102378392B1 (ko) 2022-03-24

Family

ID=77929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1144A KR102378392B1 (ko) 2020-04-03 2020-04-03 전력 기기용 인입출 위치 검출 장치 및 이를 갖는 인입출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2080502B2 (ko)
EP (1) EP4131315A4 (ko)
KR (1) KR102378392B1 (ko)
CN (1) CN115428113A (ko)
WO (1) WO20212015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8389B1 (ko) * 2020-04-03 2022-03-24 엘에스일렉트릭(주)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
USD1040115S1 (en) * 2021-04-29 2024-08-27 Abb S.P.A. Component for circuit breakers
USD1032548S1 (en) * 2021-04-29 2024-06-25 Abb S.P.A. Component for circuit breakers
USD1023979S1 (en) * 2021-04-29 2024-04-23 Abb S.P.A. Component for circuit breaker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31819A1 (de) 1991-09-20 1993-03-25 Siemens Ag Messeinrichtung zur bestimmung des weges an elektrischen schaltgeraeten
JPH06215669A (ja) * 1993-01-13 1994-08-05 Fuji Electric Co Ltd 直流真空遮断器
KR200340100Y1 (ko) * 2003-08-19 2004-01-3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배전반용 진공차단기 위치의 외부 표시장치
KR101151940B1 (ko) 2010-12-16 2012-06-0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의 위치검출스위치 어셈블리
KR101466030B1 (ko) * 2011-06-22 2014-12-0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인출형 회로차단기의 위치검출장치
JP2014033590A (ja) * 2012-08-06 2014-02-20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スイッチギヤ
US10373170B2 (en) 2012-10-22 2019-08-06 Long Range Systems, Llc Utilizing user devices in venues
US9673595B2 (en) 2013-10-31 2017-06-06 Eaton Corporation Withdrawable contactor trucks with integral motorized levering-in, related switchgear, kits and methods
EP3078247B1 (en) * 2013-12-05 2020-09-02 Schneider Electric USA, Inc. Retracting mechanism for sensing components in a switchgear cabinet
WO2017011536A1 (en) 2015-07-13 2017-01-19 Abb Schweiz Ag Mechanical rack position indicator
KR101839090B1 (ko) * 2016-11-02 2018-04-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기중차단기의 배전반 도어 록 장치
KR101890681B1 (ko) * 2016-12-27 2018-09-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기중 차단기의 위치표시장치
KR20180117457A (ko) * 2017-04-19 2018-10-29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비접촉 스위치 유닛
CN109861125A (zh) 2019-04-01 2019-06-07 银川市立恒电气设备有限公司 本安型智能电气开关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31315A1 (en) 2023-02-08
US12080502B2 (en) 2024-09-03
WO2021201537A1 (ko) 2021-10-07
EP4131315A4 (en) 2023-09-13
KR20210123685A (ko) 2021-10-14
CN115428113A (zh) 2022-12-02
US20230154711A1 (en) 2023-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8392B1 (ko) 전력 기기용 인입출 위치 검출 장치 및 이를 갖는 인입출 모니터링 시스템
EP0308868B1 (en) Enclosed switchboard
US8159362B2 (en) Method of detecting faults using graduated fault detection levels
KR101171723B1 (ko) 배전반과 자동제어반의 온습도 감지부 및 그를 이용한 배전반과 자동제어반의 온습도 감지 및 원격 자동 제어 시스템
KR101086455B1 (ko) 스마트 수배전반의 상태표시시스템
CA2917798A1 (en) Contact voltage detection system and method
KR102459064B1 (ko) 배전반 감시시스템
KR102449154B1 (ko) 통전 감지 경보장치
KR102485050B1 (ko) 시험단자대 잠금장치
JP5069575B2 (ja) 分電盤
KR102441232B1 (ko) 분전반의 열화 및 전력이상 진단 시스템
WO2006134178A1 (es) Dispositivo de control/protección para redes de distribución eléctrica
KR100562940B1 (ko) 지하 구조물의 화재 감지 시스템
KR101306969B1 (ko) 공동주택 설치 전용 엘이디의 전원 배치를 위한 배전반
JP2021139796A (ja) 電流センサ
KR20100011649U (ko) 차단기의 상태표시수단을 갖는 배전반
KR101170711B1 (ko) 열화감지 분전반
KR101697178B1 (ko) 스위치기어 차단기 자동 시험 장비
JPH0636310U (ja) 温度監視用反射鏡付電気機器
JP2021009122A (ja) プラグチェック装置
US10042001B2 (en) Testing apparatus usable with circuit interruption apparatus
US8779752B2 (en) Pass through device for non-contact voltage detectors
CN217305513U (zh) 一种测量精度高的三相电能表现场校验仪
KR102576724B1 (ko) 철도용 친환경 단로기 부착형 케이블 접속반
KR102379093B1 (ko) 온도 감시카메라를 구비한 수배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