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9090B1 - 기중차단기의 배전반 도어 록 장치 - Google Patents

기중차단기의 배전반 도어 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9090B1
KR101839090B1 KR1020160145356A KR20160145356A KR101839090B1 KR 101839090 B1 KR101839090 B1 KR 101839090B1 KR 1020160145356 A KR1020160145356 A KR 1020160145356A KR 20160145356 A KR20160145356 A KR 20160145356A KR 101839090 B1 KR101839090 B1 KR 101839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radle
plate
circuit breaker
hook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5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재관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5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9090B1/ko
Priority to EP17170813.4A priority patent/EP3319104B1/en
Priority to ES17170813T priority patent/ES2729032T3/es
Priority to US15/638,236 priority patent/US10090120B2/en
Priority to CN201710791204.5A priority patent/CN108022773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9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9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20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 H01H9/22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for interlocking between casing, cover, or protective shutter and mechanism for operating contacts
    • H01H9/226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for interlocking between casing, cover, or protective shutter and mechanism for operating contacts the casing containing electrical equipment other than and operated by the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20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 H01H9/22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for interlocking between casing, cover, or protective shutter and mechanism for operating contac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03Locking bars, cross bars, security ba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10Hook fastenings; Fastenings in which a link engages a fixed hook-like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4Means for indicating condition of the switch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009Interconnected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 H01H71/52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comprising a cradle-mechanis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20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 H01H9/28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for locking switch parts by a key or equivalent removable member
    • H01H9/286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for locking switch parts by a key or equivalent removable member making use of a removable locking part acting directly on the operating par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 H02B11/133Withdrawal mechanism with interloc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73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drawer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26Arrangements of fuses, resistors, voltage arrester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21/00Arrangements or combinations of wing fastening, securing, or holding devices, not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main group; Locking k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중차단기의 배전반 도어 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커넥트 상태에서만 배전반의 문을 열 수 있도록 한 기중차단기의 배전반 도어 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배전반 도어 록 장치는 크래들 내부에 설치되어 차단기 본체를 인입출시키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달축; 상기 전달축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축링크; 일단이 상기 축링크의 일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로드; 상기 링크로드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차단기 본체를 밀거나 당길 수 있는 캠 플레이트; 배전반 도어에 설치되는 구속판;을 포함하는 기중차단기의 배전반 도어 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링크로드의 일부에 돌출 형성되는 가압부; 상기 크래들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은 상기 가압부에 접촉하여 회전력을 받고, 타단은 상기 구속판을 구속 또는 해방하는 후크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디스커넥트 위치에서 상기 후크 플레이트는 상기 구속판을 해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중차단기의 배전반 도어 록 장치{Distributor Door Locking Device of Air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기중차단기의 배전반 도어 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커넥트 상태에서만 배전반의 문을 열 수 있도록 한 기중차단기의 배전반 도어 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로 차단기는 송,변전이나 전기회로 등에서 부하를 개폐하거나 접지 혹은 단락 등의 사고가 발생할 경우에 회로를 차단시키는 전기기기이다. 이러한 차단기 중에서 기중차단기는 공기를 소호 매질로 사용하는 차단기로서 주로 저압기기용으로 사용된다.
기중차단기는 배전반이나 기타 장소에 고정되어 사용되는 고정형과 차단기 본체가 크래들에 인,입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인출형이 있다. 인출형의 경우 차단기 본체의 유지보수에 유리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인출형 차단기의 경우, 차단기 본체와 크래들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크래들로부터 차단기 본체가 인출되어 제어 (전원) 단자가 완전히 분리된 디스커넥트(Disconnect) 위치(상태), 차단기 본체가 크래들에 소정거리 인입하여 제어 단자가 접속되어 차단기의 접속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테스트(Test) 위치(상태), 차단기 본체가 크래들에 완전히 인입되어 주회로터미널이 접속되어 주회로가 통전될 수 있는 커넥트(Connect) 위치(상태)의 3가지 위치(상태)로 나누어진다.
도 1 및 도 2에 선행기술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도어 록 장치가 나타나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45173호 "회로차단기와 배전반도어의 연동장치"에 개시된 기술이다.
선행기술은 배전반 내에 수납되는 회로차단기가 투입 위치(통전 위치)일 때 전기적 안전을 위해서 배전반도어의 개방을 허용하지 않도록 동작하는 회로차단기와 배전반도어의 연동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으로, 주축(1), 주축 레버(2), 제1 연동 레버 기구(110), 제2 연동 레버 기구(120), 동력전달 수단(E, W1, W2, W3) 및 구속판(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연동 레버 기구(110)는 회로차단기(CB)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주축 레버(2)에 접속되어 주축 레버(2)의 회전에 따라서 연동하여 회동가능하다. 제1 연동 레버 기구는, 제1 기판(7)과 제1 레버(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레버(3)는 제1 기판(7)을 관통하게 설치되는 제1 회전축(4)을 통해서 제1 기판(7)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주축 레버(2)의 회전에 따른 동력을 동력전달 수단(E, W1, W2, W3)에 전달한다. 제1 레버(3)는 접속홈부(3a1)가 주축 레버(2)의 접속돌부(2a)에 결합되어 주축 레버(2)의 회동에 따라 제1 회전축(4)을 중심으로 시소(seesaw) 운동을 할 수 있다. 제1 레버(3)의 하부에는 받침 볼트(5)가 제1 레버(3)의 하부면을 지지한다.
제1 레버(3)의 시소 운동에 따라 와이어 지지캡(6)과 함께 말단 머리부(E)가 상승 또는 하강하면, 말단 머리부(E)와 일체로 접속된 와이어 제1 단부(W2)와 와이어 제2 단부(W3)는 끌어당겨지거나 밀어진다.
제2 연동 레버 기구(120)는 배전반 외함(40)의 내벽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연동 레버 기구(110)에 동력전달수단(와이어)에 의해 연결되어, 주축(1)의 회로 개방 위치 또는 회로 폐로 위치로의 회전에 따라서 배전반 도어(41)의 개방을 불허하는 잠금 위치와 배전반 도어(41)의 개방을 허용하는 해방 위치로 회동가능하다. 제2 연동 레버 기구(120)는, 제2 기판(121) 및 제2 레버(1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2 레버(122)는 제 2 기판(121)에 지지되는 제 2 회전축(12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제 2 레버(122)는 후크부(122a)와, 스프링 접속부(122b) 및 동력전달 수단 접속부(122c)를 포함한다.
제1 레버(3)에 의해 발생하고 동력 전달 수단을 거쳐 전달된 힘은 동력전달 수단 접속부(122c)를 밀거나 당겨서 후크부(122a)가 구속판(130)에 걸리거나 벗어나게 함으로써, 배전반 도어(141)의 개방을 구속하거나 해제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배전반 도어 록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 구성이 매우 복잡하여 생산비용 및 유지보수비용이 증대하고 연결요소가 많으므로 작동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디스커넥트 상태에서만 배전반의 문을 열 수 있도록 한 기중차단기의 배전반 도어 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배전반 도어 록 장치는 크래들 내부에 설치되어 차단기 본체를 인입출시키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달축; 상기 전달축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축링크; 일단이 상기 축링크의 일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로드; 상기 링크로드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차단기 본체를 밀거나 당길 수 있는 캠 플레이트; 배전반 도어에 설치되는 구속판;을 포함하는 기중차단기의 배전반 도어 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링크로드의 일부에 돌출 형성되는 가압부; 상기 크래들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은 상기 가압부에 접촉하여 회전력을 받고, 타단은 상기 구속판을 구속 또는 해방하는 후크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디스커넥트 위치에서 상기 후크 플레이트는 상기 구속판을 해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의 일부에는 상기 후크 플레이트에 탄성에 의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 스프링 또는 인장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크래들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삽입 설치될 수 있는 스프링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링크로드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상기 캠 플레이트 및 축링크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홀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의 하면은 상기 링크로드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크 플레이트의 일단에는 상기 가압부에 접촉할 수 있는 가압부축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의 하부에는 소정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축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는 작동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크 플레이트의 타단에는 상기 구속판에 걸릴 수 있는 걸림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크 플레이트의 중앙부에는 회전축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크래들의 측면에는 상기 회전축이 삽입 설치될 수 있는 회전축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크래들의 측면에는 상기 가압부축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설치될 수 있는 가압부축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축슬릿은 상기 회전축홀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면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축과 회전축은 상기 후크 플레이트에 가까운 부분으로부터 제1단 축부, 제2단 축부, 제3단 축부의 3단 구조로 단차 형성되고, 상기 제3단 축부는 제1단 축부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단 축부는 상기 제3단 축부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홀과 가압부축슬릿의 일측에는 각각 상기 제3단 축부보다는 크고 상기 제1단 축부보다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조립홀이 연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배전반 도어 록 장치에 의하면 크래들의 링크 기구에 연동하여 작용하는 후크 플레이트에 의해 배전반 도어의 구속판의 동작이 구속 또는 허용되므로 간단한 구성에 의해 배전반 도어의 개방을 구속하거나 허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배전반 도어 록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회로차단기와 배전반 도어의 연동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배전반 도어 록 장치가 적용되는 기중차단기의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3은 차단기 본체가 크래들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다. 크래들의 측면부는 내부가 나타나도록 일부 절개된 상태이다. 도 4는 차단기 본체가 크래들에 인입된 상태를 나타낸다. 디스커넥트 상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배전반 도어 록 장치가 적용되는 기중차단기의 측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배전반 도어 록 장치에 적용되는 링크 로드 및 후크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작용도이다. 각각 디스커넥트 상태, 테스트 상태, 커넥트 상태를 나타낸다.
도 12는 도 9 내지 11에서 주요부분만 중첩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배전반 도어 록 장치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배전반 도어 록 장치가 적용되는 기중차단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배전반 도어 록 장치가 적용되는 기중차단기의 측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배전반 도어 록 장치에 적용되는 링크 로드 및 후크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배전반 도어 록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배전반 도어 록 장치는 크래들(10) 내부에 설치되어 차단기 본체(30)를 인입출시키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달축(18); 상기 전달축(18)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축링크(19); 일단이 상기 축링크(19)의 일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로드(20); 상기 링크로드(20)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차단기 본체(30)를 밀거나 당길 수 있는 캠 플레이트(21); 배전반 도어에 설치되는 구속판(102);을 포함하는 기중차단기의 배전반 도어 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링크로드(20)의 일부에 돌출 형성되는 가압부(20c); 상기 크래들(10)의 측면(10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은 상기 가압부(20c)에 접촉하여 회전력을 받고, 타단은 상기 구속판(102)을 구속 또는 해방하는 후크 플레이트(40);를 더 포함하고, 디스커넥트 위치에서 상기 후크 플레이트(40)는 상기 구속판(102)을 해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크래들(10)은 전면이 개방된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차단기 본체(30)를 수용할 수 있다. 크래들(10)의 일 측면(10a)의 일부에는 후크 플레이트(40)의 회전축(41)이 삽입 설치될 수 있는 회전축홀(11)이 형성된다. 회전축홀(11)의 일측으로 제1조립홀(11a)이 연통하여 형성된다. 회전축홀(11)에 소정거리 이격하여, 후크 플레이트(40)의 가압부축(42)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설치될 수 있는 가압부축슬릿(12)이 형성된다. 가압부축슬릿(12)은 상기 회전축홀(11)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면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호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축슬릿(12)의 일측으로 제2조립홀(12a)이 연통하여 형성된다. 이때, 회전축홀(11)의 제1조립홀(11a)과 가압부축슬릿(12)의 제2조립홀(12a)은 서로 동일한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축홀(11)의 제1조립홀(11a)과 가압부축슬릿(12)의 제2조립홀(12a)은 서로 같은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즉, 제1조립홀(11a)은 회전축홀(11)의 북동측에 형성되고, 제2조립홀(12a)은 가압부축슬릿(12)의 상단부의 북동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크 플레이트(40)를 크래들(10)에 조립할 경우, 후크 플레이트(40)의 회전축(41)을 크래들(10)의 제1조립홀(11a)에 끼우고, 후크 플레이트(40)의 가압부축(42)을 크래들(10)의 제2조립홀(12a)에 끼운 상태에서 남서 방향으로 밀어서 각각 회전축홀(11) 및 가압부축슬릿(12)에 삽입시킬 수 있다. 각 조립홀(11a,12a)이 회전축홀(11) 또는 가압부축슬릿(12)의 상측에 존재하므로 정상 상태에서 후크 플레이트(40)는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크래들(10)의 측면(10a)의 타부에는 탄성부재(50)을 설치할 수 있는 스프링홀(13)이 형성된다. 스프링홀(13)은 소정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홀(13)은 수직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홀(13)의 상단부에는 탄성부재(50)의 상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돌기(13a)가 형성될 수 있다.
크래들(10)의 전면 상부에는 제어전원 모듈(25)이 마련되고, 차단기 본체(30)에는 상기 제어전원 모듈(25)에 접속되어 제어 회로를 이루는 제어전원 커넥터(36)가 마련된다.
크래들(10)의 내측면에는 차단기 본체(30)를 거치하여 크래들(10)의 내외부로 인입출시킬 수 있는 레일(14)이 마련된다. 한편, 크래들(10)의 측부 및 하부에는 레일(14) 상에 거치된 차단기 본체(30)를 크래들(10) 내외부로 인입출하기 위해 이송장치가 구비된다.
이송장치는, 크래들(10)의 하부에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고 수동 핸들(미도시) 또는 전동장치(미도시)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는 나사축(15), 상기 나사축(15)의 회전에 따라 크래들(10)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된 래크(16), 래크(16)에 치합된 피니언(17)에 의해 회전하는 전달축(18), 상기 전달축(18)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된 축링크(19), 각 축링크(19)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로드(20), 링크로드(2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캠 플레이트(21), 캠 플레이트(21)에 형성된 캠 슬롯(22)에 결합될 수 있도록 차단기 본체(30)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캠 팔로워(35)를 포함한다.
상기 캠 플레이트(21)의 캠 슬롯(22)은 캠 플레이트(21) 회전시 캠 슬롯(22)에 삽입된 캠 팔로워(35)를 밀거나 당겨서 차단기 본체(3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며, 여기서 상기 캠 팔로워(35)는 마찰 감소를 위해 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링크로드(20)는 일자형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링크로드(20)는 상단과 하단에 각각 캠 플레이트(21) 및 축링크(19)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홀(20a,20b)이 형성된다. 링크로드(20)의 중앙부에는 일측으로 후크 플레이트(40)에 힘을 가할 수 있는 가압부(20c)가 돌출 형성된다. 가압부(20c)의 하면은 링크로드(20)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크 플레이트(40)에 대해 작용하는 힘을 크게 할 수 있다.
가압부(20c)의 하부에는 작동홈(20d)이 형성될 수 있다. 작동홈(20d)은 소정 길이로 형성되어 후크 플레이트(40)의 가압부축(42)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는 부분이다.
후크 플레이트(40)는 상기 크래들(10)의 측면(10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후크 플레이트(40)는 일단이 상방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정의 높이 차를 가지고 있는 가압부(20c)에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동시에 회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후크 플레이트(40)의 일단에는 가압부축(42)이 구비된다. 후크 플레이트(40)의 가압부축(42)이 링크로드(20)의 가압부(20c)에 접촉하여 힘을 받고 이에 따라 후크 플레이트(40)가 회동하게 된다. 후크 플레이트(40)의 중앙부(45)에는 회전축(41)이 구비된다. 회전축(41)은 가압부축(42)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회전축(41)과 가압부축(42)은 공용제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후크 플레이트(40)의 중앙부(45)는 다른 부위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회전축(41)이 설치되고 운동하는데 있어서 충분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회전축(41)은 3단 구조체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회전축(41)은 후크 플레이트(40)에 가까운 부분으로부터 제1단 축부(41a), 제2단 축부(41b), 제3단 축부(41c)의 3단 구조로 단차 형성될 수 있다. 제1단 축부(41a), 제2단 축부(41b), 제3단 축부(41c)는 각각 디스크 또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단 축부(41a), 제2단 축부(41b), 제3단 축부(41c)는 서로 직경이 다르게 형성된다. 상기 제3단 축부(41c)는 제1단 축부(41a)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단 축부(41b)는 상기 제3단 축부(41c)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크래들(10)의 제1조립홀(11a)의 직경은 상기 제3단 축부(41c)의 직경보다는 크고 상기 제1단 축부(41a)의 직경보다는 작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회전축(41)을 제1조립홀(12a)에 삽입하기 용이해진다. 여기까지 회전축(41)과 제1조립홀(11a)에 대해 설명한 내용은 가압부축(42)과 제2조립홀(12a)에 대해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회전축홀(11)의 직경 및 가압부축슬릿(12)의 폭은 제3단 축부(41c)의 직경보다는 작고 제2단 축부(41b)의 직경보다는 크게 형성된다. 제2단 축부(41b)는 회전축홀(11)에 끼워져 동작하게 된다. 가압부축(42)의 제2단 축부도 가압부축슬릿(12)에 끼워져 동작하게 된다. 이에 따라, 회전축(41) 및 가압부축(42)은 정상상태에서 각각 회전축홀(11) 및 가압부축슬릿(12)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위에서, 상기 제1단 축부(41a), 제2단 축부(41b), 제3단 축부(41c)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후크 플레이트(40)의 중앙부(45) 일측 상부에는 절곡 형성되는 스프링 고정부(43)가 마련된다. 스프링 고정부(43)의 일부에는 고정돌기(43a)가 형성되어 탄성부재(50)의 하단부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후크 플레이트(40)가 크래들(10)에 결합되는 경우 고정돌기(43a)는 스프링홀(13)의 하부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스프링홀(13)의 고정돌기(13a)와 후크 플레이트(40)의 고정돌기(43a) 사이에 탄성부재(50)가 설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50)가 스프링홀(13)의 고정돌기(13a)와 후크 플레이트(40)의 고정돌기(43a) 사이에 설치된다. 탄성부재(50)에 의해, 후크 플레이트(40)는 탄성력에 의한 회전력을 받게 된다. 이때, 탄성부재(50)는 압축 스프링 또는 인장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스프링홀(13)에 압축 스프링이 설치되는 경우 후크 플레이트(4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받게 된다.
후크 플레이트(40)의 타단에는 배전반 도어의 구속판(102)에 걸릴 수 있는 걸림부(44)가 돌출 형성된다. 걸림부(44)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 작동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걸림부(44)의 후면에 인접하여 걸림홈(44a)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44a)에는 구속판(102)의 상단부가 접촉하게 된다.
도 5 및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배전반 도어 록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9 내지 도 11은 각각 디스커넥트 상태, 테스트 상태, 커넥트 상태를 나타낸다.
먼저, 차단기 본체(30)의 인입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기로 한다. 차단기 본체(30)는 크래들(10)에 인입된 상태에 있고, 디스커넥트 위치에 놓여 있다. 차단기 본체(30)의 제어전원 커넥터(36)는 크래들(10)의 제어전원 모듈(25)로부터 분리된 상태에 있다. 축링크(19)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링크로드(20)는 하단으로 이동한 상태에 있다. 캠 플레이트(2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캠 팔로워(35)는 캠 슬롯(22)의 입구에 접한 상태에 있다.
후크 플레이트(40)의 가압부축(42)은 가압부(20c)에 눌려 후크 플레이트(40)는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후크 플레이트(40)의 타단은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걸림부(44)는 구속판(102)으로부터 벗어나 배전반 도어는 개방이 가능한 상태이다.
도 10을 참조하기로 한다. 차단기 본체(30)는 테스트 위치에 있다. 디스커넥트 위치에서 사용자가 나사축(15)을 인입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축링크(19)는 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고, 이에 연결된 링크로드(20)는 상방으로 소정 거리 이동하게 된다. 링크로드(20)에 연결된 캠 플레이트(2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캠 팔로워(35)는 캠 슬롯(22)에 물려 내부로(후방으로) 당겨진다. 이에 따라, 차단기 본체(30)는 소정거리 이동하여 테스트 위치로 이동한다. 차단기 본체(30)의 제어전원 커넥터(36)는 크래들(10)의 제어전원 모듈(25)에 접속된다.
링크로드(20)의 가압부(20c)가 후크 플레이트(40)의 가압부축(42)으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후크 플레이트(40)는 탄성부재(50)의 힘에 의해 회전축(41)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걸림부(44)가 구속판(102)에 걸린다. 이에 따라, 후크 플레이트(40)는 배전반 도어의 개방을 구속하게 된다.
도 11을 참조하기로 한다. 차단기 본체(30)는 커넥트 위치에 있다. 테스트 위치에서 사용자가 나사축(15)을 인입방향으로 더 회동시키면 축링크(19)는 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더 회전하고, 이에 연결된 링크로드(20)는 최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링크로드(20)에 연결된 캠 플레이트(21)가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하고, 캠 팔로워(35)는 캠 슬롯(22)에 물려 내부로(후방으로) 더 당겨진다. 이에 따라, 차단기 본체(30)는 소정거리 이동하여 커넥트 위치로 이동한다. 차단기 본체(30)의 제어전원 커넥터(36)는 크래들(10)의 제어전원 모듈(25)에 접속된 채로 후방으로 이동한다.
후크 플레이트(40)는 가압부(20c)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탄성부재(50)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부(44)가 구속판(102)에 걸린 상태에 있다. 따라서, 후크 플레이트(40)는 배전반 도어의 개방을 구속하게 된다.
다음으로, 차단기 본체(30)의 인출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1을 참조하기로 한다. 차단기 본체(30)는 크래들(10)에 인입된 상태에 있고, 커넥트 위치에 놓여 있다. 차단기 본체(30)의 제어전원 커넥터(36)는 크래들(10)의 제어전원 모듈(25)에 접속된 채 후방으로 이동한 상태에 있다. 축링크(19)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링크로드(20)는 상단으로 이동한 상태에 있다. 캠 플레이트(2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캠 팔로워(35)는 캠 슬롯(22)에 깊숙히 물린 상태에 있다.
후크 플레이트(40)의 가압부축(42)은 링크로드(20)의 가압부(20c)로부터 분리되어 후크 플레이트(40)는 탄성부재(50)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걸림부(44)가 구속판(102)에 걸려 있다. 이에 따라, 후크 플레이트(40)는 배전반 도어의 개방을 구속하고 있다.
도 10을 참조하기로 한다. 차단기 본체(30)는 테스트 위치에 있다. 커넥트 위치에서 사용자가 나사축(15)을 인출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축링크(19)는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고, 이에 연결된 링크로드(20)는 하방으로 소정 거리 이동하게 된다. 링크로드(20)에 연결된 캠 플레이트(2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캠 팔로워(35)는 캠 슬롯(22)에 물린 채 전방으로 밀어진다. 이에 따라, 차단기 본체(30)는 소정거리 이동하여 테스트 위치로 이동한다. 차단기 본체(30)의 제어전원 커넥터(36)는 크래들(10)의 제어전원 모듈(25)에 접속된 상태로 전방으로 이동한다.
후크 플레이트(40)는 가압부(20c)에 근접하였지만 아직 가압부(20c)에 접촉하지는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걸림부(44)는 구속판(102)에 걸려 배전반 도어의 개방을 구속하고 있다.
도 9를 참조하기로 한다. 차단기 본체(30)는 디스커넥트 위치에 있다. 테스트 위치에서 사용자가 나사축(15)을 인출방향으로 더 회동시키면 축링크(19)는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더 회전하고, 이에 연결된 링크로드(20)는 최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링크로드(20)에 연결된 캠 플레이트(21)가 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하고, 캠 팔로워(35)는 캠 슬롯(22)에 물린 채 전방으로 더 밀어진다. 이에 따라, 차단기 본체(30)는 소정거리 이동하여 디스커넥트 위치로 이동한다. 차단기 본체(30)의 제어전원 커넥터(36)는 크래들(10)의 제어전원 모듈(25)로부터 분리된다.
링크로드(20)의 가압부(20c)가 후크 플레이트(40)의 가압부축(42)에 접촉하여 누르게 된다. 후크 플레이트(40)는 회전축(4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걸림부(44)가 구속판(102)으로부터 벗어난다. 이에 따라, 후크 플레이트(40)는 배전반 도어의 개방을 허용하게 된다.
도 12에는 전술한 기중차단기의 배전반 도어 록 장치의 작용을 시각적으로 이해하기 쉽게 도시하였다.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배전반 도어 록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 실시예는 전 실시예와 동일하되 탄성부재(50)의 위치가 다른 곳에 설치된다. 스프링홀(13a)은 후크 플레이트(40)의 일단 측에 형성된다. 탄성부재(50)는 인장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재(50)는 스프링홀(13a)의 상단에 형성된 홀 및 후크 플레이트(40)의 일단에 돌출된 부분에 형성된 홀에 양단부가 끼워져 설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50)는 후크 플레이트(40)에 반시계 방향으로 작동하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배전반 도어 록 장치에 의하면 크래들의 링크 기구에 연동하여 작용하는 후크 플레이트에 의해 배전반 도어의 구속판의 동작이 구속 또는 허용되므로 간단한 구성에 의해 배전반 도어의 개방을 구속하거나 허용할 수 있다. 따라서, 추가적인 작업공정이나 생산비용이 감소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실시예들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크래들 10a 측면
11 회전축홀 11a 제1조립홀
12 가압부축슬릿 12a 제2조립홀
13 스프링홀 13a 고정돌기
14 레일 15 나사축
16 래크 17 피니언
18 전달축 19 축링크
20 링크로드 20a,20b 결합홀
20c 가압부 20d 작동홈
21 캠 플레이트 22 캠 슬롯
25 제어전원 모듈 30 차단기 본체
35 캠 팔로워 36 제어전원 커넥터
40 후크 플레이트 41 회전축
41a 제1단 축부 41b 제2단 축부
41c 제3단 축부 42 가압부축
43 스프링 고정부 43a 고정돌기
45 중앙부 50 탄성부재
102 구속판

Claims (13)

  1. 크래들 내부에 설치되어 차단기 본체를 인입출시키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달축; 상기 전달축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축링크; 일단이 상기 축링크의 일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로드; 상기 링크로드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차단기 본체를 밀거나 당길 수 있는 캠 플레이트; 배전반 도어에 설치되는 구속판;을 포함하는 기중차단기의 배전반 도어 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링크로드의 일부에 돌출 형성되는 가압부;
    상기 크래들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은 상기 가압부에 접촉하여 회전력을 받고, 타단은 상기 구속판을 구속 또는 해방하는 후크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크 플레이트의 일단에는 상기 가압부에 접촉할 수 있는 가압부축이 구비되고,
    상기 크래들의 측면에는 상기 가압부축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설치될 수 있는 가압부축슬릿이 형성되고,
    디스커넥트 위치에서 상기 후크 플레이트는 상기 구속판을 해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의 배전반 도어 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의 일부에는 상기 후크 플레이트에 탄성에 의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 스프링 또는 인장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의 배전반 도어 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삽입 설치될 수 있는 스프링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의 배전반 도어 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로드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상기 캠 플레이트 및 축링크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홀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의 배전반 도어 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의 하면은 상기 링크로드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의 배전반 도어 록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의 하부에는 소정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축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는 작동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의 배전반 도어 록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플레이트의 타단에는 상기 구속판에 걸릴 수 있는 걸림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의 배전반 도어 록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플레이트의 중앙부에는 회전축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크래들의 측면에는 상기 회전축이 삽입 설치될 수 있는 회전축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의 배전반 도어 록 장치.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축슬릿은 회전축홀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면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의 배전반 도어 록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축과 회전축은 상기 후크 플레이트에 가까운 부분으로부터 제1단 축부, 제2단 축부, 제3단 축부의 3단 구조로 단차 형성되고, 상기 제3단 축부는 제1단 축부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단 축부는 상기 제3단 축부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의 배전반 도어 록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홀과 가압부축슬릿의 일측에는 각각 상기 제3단 축부보다는 크고 상기 제1단 축부보다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조립홀이 연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의 배전반 도어 록 장치.
KR1020160145356A 2016-11-02 2016-11-02 기중차단기의 배전반 도어 록 장치 KR101839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356A KR101839090B1 (ko) 2016-11-02 2016-11-02 기중차단기의 배전반 도어 록 장치
EP17170813.4A EP3319104B1 (en) 2016-11-02 2017-05-12 Door locking device of distribution board of air circuit breaker
ES17170813T ES2729032T3 (es) 2016-11-02 2017-05-12 Dispositivo de bloqueo de puerta de cuadro de distribución de disyuntor de circuito de aire
US15/638,236 US10090120B2 (en) 2016-11-02 2017-06-29 Door locking device of distribution board of air circuit breaker
CN201710791204.5A CN108022773B (zh) 2016-11-02 2017-09-05 空气断路器的配电箱的门锁定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356A KR101839090B1 (ko) 2016-11-02 2016-11-02 기중차단기의 배전반 도어 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9090B1 true KR101839090B1 (ko) 2018-04-26

Family

ID=58707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5356A KR101839090B1 (ko) 2016-11-02 2016-11-02 기중차단기의 배전반 도어 록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090120B2 (ko)
EP (1) EP3319104B1 (ko)
KR (1) KR101839090B1 (ko)
CN (1) CN108022773B (ko)
ES (1) ES2729032T3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4520A (ko) * 2018-08-28 2020-03-09 한국전력공사 배전용 래치장치
WO2021157947A1 (ko) * 2020-02-03 2021-08-12 엘에스일렉트릭(주) 진공차단기용 플러그 인터록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45909S1 (en) * 2017-03-13 2019-04-16 Lsis Co., Ltd. Air circuit breaker
CN110931286B (zh) * 2019-11-05 2021-10-22 许继集团有限公司 开关设备及其三工位开关与断路器连锁装置
KR102378392B1 (ko) * 2020-04-03 2022-03-24 엘에스일렉트릭(주) 전력 기기용 인입출 위치 검출 장치 및 이를 갖는 인입출 모니터링 시스템
CN112787233B (zh) * 2020-12-30 2022-11-18 河南宇和电气有限公司 一种便于检修的高压成套设备
CN113299501B (zh) * 2021-06-12 2022-04-08 广东正超电气有限公司 高压开关柜的前后柜门闭锁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57990B2 (ja) 2002-04-12 2009-04-30 三菱電機株式会社 引出形遮断器
CN1577684A (zh) * 2003-07-29 2005-02-09 浙江华一电器厂 大电流塑壳式断路器新型带机械联锁的抽出式装置
US7019229B1 (en) * 2004-09-03 2006-03-28 Eaton Corporation Door interlock assembly and draw-out circuit breaker assembly employing the same
KR100852436B1 (ko) 2004-12-23 2008-08-1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진공차단기의 도어 및 투입 인터록장치
US7531761B2 (en) * 2007-02-12 2009-05-12 Eaton Corporatio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interlock assembly therefor
US7863534B2 (en) 2008-04-15 2011-01-04 General Electric Company Spring discharge mechanism for circuit breaker
US7821775B2 (en) * 2008-04-15 2010-10-26 General Electric Company Racking mechanism for a circuit breaker
KR101106899B1 (ko) 2009-10-07 2012-01-2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포지션 스위치 및 이를 구비한 회로 차단기
KR101345173B1 (ko) 2010-05-20 2013-12-2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와 배전반도어의 연동장치
KR101158645B1 (ko) 2011-02-24 2012-06-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크래들을 구비한 회로차단기
CN103295815B (zh) * 2012-02-24 2015-07-22 株式会社理光 联动开关机构和图像形成装置
KR200472734Y1 (ko) 2012-09-14 2014-05-1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차단기의 핸들 인터록 장치
US9142899B2 (en) * 2013-04-26 2015-09-22 Eaton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powering motor control centers using backfeed modules
KR101305103B1 (ko) 2013-06-26 2013-09-12 주식회사 광명전기 배전반의 차단기, 변압기 또는 계기용 변압변류기와 도어 인터록장치
US9607784B2 (en) 2014-03-14 2017-03-28 Eaton Corporation Cradle assist devices and related kits and methods
US9531169B2 (en) * 2014-06-30 2016-12-27 Eaton Corporation Motor control center units with retractable stabs and interlocks using portal shutters
CN104201593B (zh) * 2014-08-27 2016-02-24 华通机电股份有限公司 万能式断路器抽屉座
KR101598422B1 (ko) * 2014-12-03 2016-02-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의 원방 핸들 조작 장치
US9460881B1 (en) * 2015-04-30 2016-10-04 Eaton Corporation Compact plug and socket unit isolator systems for motor control centers (MCC) and related MCC cabinet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4520A (ko) * 2018-08-28 2020-03-09 한국전력공사 배전용 래치장치
KR102119366B1 (ko) 2018-08-28 2020-06-08 한국전력공사 배전용 래치장치
WO2021157947A1 (ko) * 2020-02-03 2021-08-12 엘에스일렉트릭(주) 진공차단기용 플러그 인터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22593A1 (en) 2018-05-03
CN108022773B (zh) 2019-07-05
EP3319104B1 (en) 2019-03-20
ES2729032T3 (es) 2019-10-29
US10090120B2 (en) 2018-10-02
EP3319104A1 (en) 2018-05-09
CN108022773A (zh) 2018-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9090B1 (ko) 기중차단기의 배전반 도어 록 장치
EP3016223B1 (en) Cradle with a door interlock device for a withdrawable vacuum circuit breaker
EP3319189B1 (en) Connecting device for control terminals in withdrawable type circuit breaker
EP2887473B1 (en) Safety shutter of vacuum circuit breaker
KR100505052B1 (ko)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인입출 장치
EP2341590B1 (en) Plug interlock device for circuit breaker and circuit breaker having the same
CN102684093B (zh) 抽屉式电路开关的联锁装置、抽屉式电路开关以及配电盘
EP3188330B1 (en) Transportation device of withdrawable circuit breaker
JP4387023B2 (ja) 電気的開閉装置とケーブル式連動装置とを備えた設備
CN101354988A (zh) 可与断路器连接的剩余电流装置
EP3193418B1 (en) Draw out apparatus for air circuit breaker
KR101759603B1 (ko) 인출형 기중차단기의 제어단자 접속장치
EP3343710B1 (en) Position indicator of air circuit breaker
AU2020384177B2 (en) Plug-in circuit breaker
AU2020381806A1 (en) Plug-in circuit breaker
KR101793545B1 (ko) 회로차단기의 인입출 인터록 장치
CN111477513A (zh) 插入式断路器
CN211350531U (zh) 插入式断路器
US12014891B2 (en) Plug-in circuit breaker
CN217719376U (zh) 用于高压开关设备的联锁机构和高压开关设备
CN218385070U (zh) 插入式断路器
CN217063043U (zh) 应用于开关柜的双航空插头联锁装置
KR19990037647U (ko) 배전반 기기유니트의 인입인출장치
CN211238115U (zh) 插入式断路器
CN111489925A (zh) 插入式断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