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0273A - 직류 소내배전반 무정전 작업용 이중볼트 및 이를 활용한 교체방법 - Google Patents

직류 소내배전반 무정전 작업용 이중볼트 및 이를 활용한 교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0273A
KR20220160273A KR1020210068264A KR20210068264A KR20220160273A KR 20220160273 A KR20220160273 A KR 20220160273A KR 1020210068264 A KR1020210068264 A KR 1020210068264A KR 20210068264 A KR20210068264 A KR 20210068264A KR 20220160273 A KR20220160273 A KR 20220160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assembling step
fastened
switchboard
electric wi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8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6030B1 (ko
Inventor
이성우
이대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10068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6030B1/ko
Publication of KR20220160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0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6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6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4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with specially-shaped head or shaft in order to fix the bolt on or in an object
    • F16B35/06Specially-shaped h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2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볼트(60)의 제1 머리부(60b) 중앙에 형성된 나사홀부(60c)에 제2 볼트(62)의 제2 나사부(62a)가 체결되는 2단의 이중볼트를 활용하기 때문에 제1 볼트(60)에 접속 전기선(50)을 연결한 상태에서 제2 볼트(62)에 바이패스 전기선(52)을 연결하여 다수의 검출용 변류기(10) 중 교체 대상 검출용 변류기(10)를 무정전 교체 작업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직류 소내배전반(40)의 전체 교체에 따른 예산낭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교체 작업 시 단자대의 단자들과 접속 전기선들간의 혼촉 등에 의한 작업자의 안전사고 및 정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임.

Description

직류 소내배전반 무정전 작업용 이중볼트 및 이를 활용한 교체방법{DOUBLE BOLT STRUCTURE FOR UNINTERRUPTIBLE WORKING OF DC DISTRIBUTION BOARD AND REPLACEMENT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직류 소내배전반 무정전 작업용 이중볼트 및 이를 활용한 교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중볼트를 활용하여 직류 소내배전반에서 교체년수가 도달된 검출용 변류기(DCT)를 배선용 차단기(MCCB)로부터 무정전 교체 작업할 수 있는 직류 소내배전반 무정전 작업용 이중볼트 및 이를 활용한 교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전설비 중기보강기준 개정에 따라 설비별 옥내 및 옥외 직류 소내배전반 교체년수가 상이하다. 즉 옥내 소내배전반은 20년마다 교체해야 하고, 옥외 소내배전반은 15년마다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옥내 소내배전반과 옥외 소내배전반의 교체를 위해 분리 발주 시 동일 제작사 적용이 곤란하다.
특히 옥내 및 옥외 소내배전반측 검출용 변류기와 접지검출계전기는 동일 제작사 적용이 필요함에 불구하고 제작사별 동작방식이 상이함에 따라 타제작사 직류 검출용 변류기와 접지검출계전기 병렬 운전 시 접지검출이 불가능하다.
그래서, 직류 소내배전반의 장기 사용으로 인한 직류 검출용 변류기와 접지검출계전기의 내부 기판, 소자 등의 자연 열화 발생으로 교체년수 도달 이전에 검출용 변류기와 접지검출계전기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검출용 변류기와 접지검출계전기의 불량으로 인한 소내배전반의 교체 시 교체년수가 도달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사용가능한 소내배전반의 설비 전체를 조기 폐기하고 일괄 신품으로 교체하여야 하기 때문에 비효율적인 설비투자 및 예산낭비의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63688호(2019.03.25.)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직류 소내배전반측 검출용 변류기의 무정전 부품 교체 작업이 가능토록 함으로써 비효율적인 설비 전체 교체에 따른 예산낭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교체 작업 시 단자대의 단자들과 접속 전기선들간의 혼촉 등에 의한 작업자의 안전사고 및 정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직류 소내배전반 무정전 작업용 이중볼트 및 이를 활용한 교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직류 소내배전반 무정전 작업용 이중볼트는, 직류 소내배전반의 단자대에 체결되어 접속 전기선을 상기 단자대에 접속시키는 제1 볼트; 및 상기 제1 볼트의 상면에 체결되어 상기 접속 전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바이패스 전기선을 상기 제1 볼트에 접속시키는 제2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1 볼트와 상기 제2 볼트는 동일한 금속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1 볼트는, 상기 단자대의 단자나사홀에 체결되는 제1 나사부; 상기 제1 나사부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육각 형상의 제1 머리부; 및 상기 제1 머리부의 상면 중앙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제2 볼트가 체결되는 나사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2 볼트는, 상기 나사홀부에 체결되는 제2 나사부; 상기 제2 나사부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 머리부; 및 상기 제2 머리부의 상면 중앙에 형성되는 공구삽입홈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2 볼트는 와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류 소내배전반 무정전 작업용 이중볼트를 활용한 교체방법은, 직류 소내배전반에서 검출용 변류기를 구비한 다수의 배선용 차단기와 다수의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음극 및 양극용 접속 전기선을 다수의 제1 볼트의 체결에 의해 단자대의 일측에 전기적으로 각각 접속하는 제1 조립단계; 상기 검출용 변류기를 구비한 다수의 배선용 차단기 중 스페어용 배선용 차단기의 음극 및 양극용 접속 전기선을 또 다른 다수의 제1 볼트의 체결에 의해 상기 단자대의 타측에 전기적으로 각각 접속하는 제2 조립단계; 상기 다수의 배선용 차단기와 상기 다수의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접속라인 중 교체 대상 검출용 변류기가 발생될 경우, 음극 및 양극용 바이패스 전기선을 다수의 제2 볼트의 체결에 의해 상기 제1 조립단계에서 체결된 상기 다수의 제1 볼트와 상기 제2 조립단계에서 체결된 상기 다수의 제1 볼트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3 조립단계; 상기 제3 조립단계에서 상기 음극 및 양극용 바이패스 전기선의 접속 작업이 끝나면 상기 제1 조립단계에서 상기 배선용 차단기와 연결된 상기 음극 및 양극용 접속 전기선이 상기 단자대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제1 조립단계에서 체결된 상기 제1 볼트를 분리하는 제1 분리단계; 상기 제1 분리단계에서 상기 음극 및 양극용 접속 전기선의 분리 작업이 끝나면 상기 교체 대상 검출용 변류기를 제거하여 새로운 검출용 변류기로 교체한 후, 상기 제1 분리단계에서 분리된 상기 음극 및 양극용 접속 전기선을 상기 단자대에 각각 조립하는 제4 조립단계; 및 상기 제4 조립단계에서 상기 새로운 검출용 변류기의 교체 작업이 끝나면 상기 제3 조립단계에서 접속된 상기 음극 및 양극용 바이패스 전기선을 제거하는 제2 분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3 조립단계에서 상기 음극 및 양극용 바이패스 전기선의 접속 작업이 끝나면 상기 제1 조립단계에서 상기 배선용 차단기와 연결된 상기 음극 및 양극용 접속 전기선이 상기 단자대로부터 분리되기 전 상기 교체 대상 검출용 변류기가 발생된 상기 배선용 차단기를 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2 분리단계에서 상기 음극 및 양극용 바이패스 전기선은 상기 제3 조립단계에서 체결된 상기 제1 볼트로부터 상기 제2 볼트를 분리될 때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2 분리단계에서 상기 음극 및 양극용 바이패스 전기선의 제거 작업이 끝나면 상기 제2 분리단계에서 분리된 상기 제1 볼트에 상기 제2 볼트를 다시 체결하는 제5 조립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직류 소내배전반 무정전 작업용 이중볼트 및 이를 활용한 교체방법은 제1 볼트의 제1 머리부 중앙에 형성된 나사홀부에 제2 볼트의 제2 나사부가 체결되는 2단 구조를 활용하기 때문에 제1 볼트에 접속 전기선을 연결한 상태에서 제2 볼트에 바이패스 전기선을 연결하여 다수의 검출용 변류기 중 교체 대상 검출용 변류기를 무정전 교체 작업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직류 소내배전반의 전체 교체에 따른 예산낭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교체 작업 시 단자대의 단자들과 접속 전기선들간의 혼촉 등에 의한 작업자의 안전사고 및 정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a)(b)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볼트를 나타낸 결합 및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볼트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결합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볼트를 활용하여 직류 소내배전반측 교체 대상 검출용 변류기(DCT 02)의 교체 작업 전 배선용 차단기(MCCB 02)로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볼트를 활용하여 직류 소내배전반측 배선용 차단기(MCCB 06)로 바이패스 시행 시 배선용 차단기(MCCB 02) 및 배선용 차단기(MCCB 06)로 동시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볼트를 활용하여 직류 소내배전반측 배선용 차단기(MCCB 06)로 직류 전원을 공급할 때 배선용 차단기(MCCB 02) 오프(OFF)후 검출용 변류기(DCT 02)를 교체 작업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류 소내배전반 무정전 작업용 이중볼트는, 검출용 변류기(10)를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20)와 가스절연개폐장치(GIS)가 단자대(3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직류 소내배전반(40); 상기 단자대(30)에 체결되어 상기 배선용 차단기(20)와 가스절연개폐장치(GIS)에 연결된 접속 전기선(50)을 상기 단자대(30)에 접속시키는 제1 볼트(60); 및 상기 검출용 변류기(10)의 교체 시 상기 제1 볼트(60)의 상면 중앙에 체결되어 상기 접속 전기선(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바이패스 전기선(52)을 상기 제1 볼트(60)에 접속시키는 제2 볼트(62)를 포함한다.
즉, 상기 단자대(30)의 상부에는 상기 제1 볼트(60)가 체결되도록 중앙에 단자나사홀(32)이 형성된 단자(34)가 설치된다.
상기 접속 전기선(50)의 끝단에는 상기 단자(34)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면서 상기 제1 볼트(60)에 의해 상기 단자나사홀(32)에 체결되도록 O형 또는 Y형 압착단자(50a)가 결합된다.
상기 바이패스 전기선(52)의 끝단에는 상기 제1 볼트(60)의 상면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면서 상기 제2 볼트(62)에 의해 상기 제1 볼트(60)의 상면 중앙에 체결되도록 O형 또는 Y형 압착단자(52a)가 결합된다.
상기 제1 볼트(60), 상기 제2 볼트(62) 및 상기 와셔(64)는 동일한 금속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볼트(60)는, 상기 단자나사홀(32)에 체결되는 제1 나사부(60a); 상기 제1 나사부(60a)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육각 형상의 제1 머리부(60b); 및 상기 제1 머리부(60b)의 상면 중앙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제2 볼트(62)가 체결되는 나사홀부(60c)로 구성된다.
상기 제2 볼트(62)는, 상기 나사홀부(60c)에 체결되는 제2 나사부(62a); 상기 제2 나사부(62a)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반구 형상의 제2 머리부(62b); 및 상기 제2 머리부(62b)의 상면 중앙에 형성되는 공구삽입홈부(62c)로 구성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직류 소내배전반 무정전 작업용 이중볼트를 활용한 교체방법은, 단자대(30)의 단자나사홀(32)에 체결되어 음극 및 양극용 접속 전기선(50)을 상기 단자대(30)의 일측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 볼트(60)와, 상기 제1 볼트(60)의 제1 머리부(60b) 상면 중앙에 일정 깊이로 형성된 나사홀부(60c)에 체결되어 음극 및 양극용 바이패스 전기선(52)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 볼트(62)로 이루어진 이중볼트를 활용하여 직류 소내배전반(40)에서 교체년수가 도달된 검출용 변류기(10)를 무정전 교체 작업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직류 소내배전반(40)에서 검출용 변류기(10)를 구비한 다수의 배선용 차단기(20)와 다수의 가스절연개폐장치(GIS)가 단자대(30)의 일측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제1 볼트(60)의 체결에 의해 음극 및 양극용 접속 전기선(50)을 단자대(30)에 각각 조립하는 제1 조립단계; 상기 검출용 변류기(10)를 구비한 다수의 배선용 차단기(20) 중 스페어용 배선용 차단기(20)가 상기 단자대(30)의 타측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또 다른 다수의 제1 볼트(60)의 체결에 의해 또 다른 음극 및 양극용 접속 전기선(50)을 상기 단자대(30)에 각각 조립하는 제2 조립단계; 상기 다수의 배선용 차단기(20)와 상기 다수의 가스절연개폐장치(GIS)의 접속라인 중 교체 대상 검출용 변류기(10)가 발생될 경우, 상기 제1 조립단계에서 체결된 상기 다수의 제1 볼트(60)와 상기 제2 조립단계에서 체결된 상기 다수의 제1 볼트(6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다수의 제2 볼트(62)의 체결에 의해 음극 및 양극용 바이패스 전기선(52)을 상기 제1 볼트(60)에 각각 조립하는 제3 조립단계; 상기 제3 조립단계에서 상기 음극 및 양극용 바이패스 전기선(52)의 접속 작업이 끝나면 교체 대상 검출용 변류기(10)가 발생된 상기 배선용 차단기(20)를 오프(off)한 후, 상기 제1 조립단계에서 상기 배선용 차단기(20)와 연결된 상기 음극 및 양극용 접속 전기선(50)이 상기 단자대(30)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제1 조립단계에서 체결된 상기 제1 볼트(60)를 분리하는 제1 분리단계; 상기 제1 분리단계에서 상기 음극 및 양극용 접속 전기선(50)의 분리 작업이 끝나면 상기 교체 대상 검출용 변류기(10)를 제거하여 새로운 검출용 변류기(10)로 교체한 후, 상기 제1 분리단계에서 분리된 상기 음극 및 양극용 접속 전기선(50)이 상기 단자대(30)에 다시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제1 볼트(60)의 체결에 의해 상기 음극 및 양극용 접속 전기선(50)을 상기 단자대(30)에 각각 조립하는 제4 조립단계; 상기 제4 조립단계에서 상기 새로운 검출용 변류기(10)의 교체 작업이 끝나면 상기 제3 조립단계에서 체결된 상기 음극 및 양극용 바이패스 전기선(52)이 제거되도록 상기 제1 볼트(60)로부터 상기 제2 볼트(62)를 분리하는 제2 분리단계; 및 상기 제2 분리단계에서 상기 음극 및 양극용 바이패스 전기선(52)의 제거 작업이 끝나면 상기 제2 분리단계에서 분리된 상기 제1 볼트(60)에 상기 제2 볼트(62)를 다시 체결하는 제5 조립단계로 시행된다.
이 처럼, 본 발명의 직류 소내배전반 무정전 작업용 이중볼트 및 이를 활용한 교체방법은 제1 볼트(60)의 제1 머리부(60b) 중앙에 형성된 나사홀부(60c)에 제2 볼트(62)의 제2 나사부(62a)가 체결되는 2단 구조이기 때문에 제1 볼트(60)에 접속 전기선(50)을 연결한 상태에서 제2 볼트(62)에 바이패스 전기선(52)을 연결하여 다수의 검출용 변류기(10) 중 교체 대상 검출용 변류기(10)를 무정전 교체 작업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직류 소내배전반(40)의 전체 교체에 따른 예산낭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체 작업 시 단자대의 단자들과 접속 전기선들간의 혼촉 등에 의한 작업자의 안전사고 및 정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 검출용 변류기 20 : 배선용 차단기
30 : 단자대 32 : 단자나사홀
34 : 단자 40 : 직류 소내배전반
50 : 접속 전기선 50a : 압착단자
52 : 바이패스 전기선 52a : 압착단자
60 : 제1 볼트 6Oa : 제1 나사부
60b : 제1 머리부 60c : 나사홀부
62 : 제2 볼트 62a : 제2 나사부
62b : 제2 머리부 62c : 공구삽입홈부
64 : 와셔 GIS : 가스절연개폐장치

Claims (9)

  1. 직류 소내배전반의 단자대에 체결되어 접속 전기선을 상기 단자대에 접속시키는 제1 볼트; 및
    상기 제1 볼트의 상면에 체결되어 상기 접속 전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바이패스 전기선을 상기 제1 볼트에 접속시키는 제2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소내배전반 무정전 작업용 이중볼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볼트와 상기 제2 볼트는 동일한 금속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소내배전반 무정전 작업용 이중볼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볼트는,
    상기 단자대의 단자나사홀에 체결되는 제1 나사부;
    상기 제1 나사부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육각 형상의 제1 머리부; 및
    상기 제1 머리부의 상면 중앙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제2 볼트가 체결되는 나사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소내배전반 무정전 작업용 이중볼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볼트는,
    상기 나사홀부에 체결되는 제2 나사부;
    상기 제2 나사부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 머리부; 및
    상기 제2 머리부의 상면 중앙에 형성되는 공구삽입홈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소내배전반 무정전 작업용 이중볼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볼트는 와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소내배전반 무정전 작업용 이중볼트.
  6. 직류 소내배전반에서 검출용 변류기를 구비한 다수의 배선용 차단기와 다수의 가스절연개폐장치(GIS)의 음극 및 양극용 접속 전기선을 다수의 제1 볼트의 체결에 의해 단자대의 일측에 전기적으로 각각 접속하는 제1 조립단계;
    상기 검출용 변류기를 구비한 다수의 배선용 차단기 중 스페어용 배선용 차단기의 음극 및 양극용 접속 전기선을 또 다른 다수의 제1 볼트의 체결에 의해 상기 단자대의 타측에 전기적으로 각각 접속하는 제2 조립단계;
    상기 다수의 배선용 차단기와 상기 다수의 가스절연개폐장치(GIS)의 접속라인 중 교체 대상 검출용 변류기가 발생될 경우, 음극 및 양극용 바이패스 전기선을 다수의 제2 볼트의 체결에 의해 상기 제1 조립단계에서 체결된 상기 다수의 제1 볼트와 상기 제2 조립단계에서 체결된 상기 다수의 제1 볼트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3 조립단계;
    상기 제3 조립단계에서 상기 음극 및 양극용 바이패스 전기선의 접속 작업이 끝나면 상기 제1 조립단계에서 상기 배선용 차단기와 연결된 상기 음극 및 양극용 접속 전기선이 상기 단자대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제1 조립단계에서 체결된 상기 제1 볼트를 분리하는 제1 분리단계;
    상기 제1 분리단계에서 상기 음극 및 양극용 접속 전기선의 분리 작업이 끝나면 상기 교체 대상 검출용 변류기를 제거하여 새로운 검출용 변류기로 교체한 후, 상기 제1 분리단계에서 분리된 상기 음극 및 양극용 접속 전기선을 상기 단자대에 각각 조립하는 제4 조립단계; 및
    상기 제4 조립단계에서 상기 새로운 검출용 변류기의 교체 작업이 끝나면 상기 제3 조립단계에서 접속된 상기 음극 및 양극용 바이패스 전기선을 제거하는 제2 분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소내배전반 무정전 작업용 이중볼트를 활용한 교체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3 조립단계에서 상기 음극 및 양극용 바이패스 전기선의 접속 작업이 끝나면 상기 제1 조립단계에서 상기 배선용 차단기와 연결된 상기 음극 및 양극용 접속 전기선이 상기 단자대로부터 분리되기 전 상기 교체 대상 검출용 변류기가 발생된 상기 배선용 차단기를 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소내배전반 무정전 작업용 이중볼트를 활용한 교체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분리단계에서 상기 음극 및 양극용 바이패스 전기선은 상기 제3 조립단계에서 체결된 상기 제1 볼트로부터 상기 제2 볼트를 분리할 때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소내배전반 무정전 작업용 이중볼트를 활용한 교체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 분리단계에서 상기 음극 및 양극용 바이패스 전기선의 제거 작업이 끝나면 상기 제2 분리단계에서 분리된 상기 제1 볼트에 상기 제2 볼트를 다시 체결하는 제5 조립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소내배전반 무정전 작업용 이중볼트를 활용한 교체방법.
KR1020210068264A 2021-05-27 2021-05-27 직류 소내배전반 무정전 작업용 이중볼트 및 이를 활용한 교체방법 KR102666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264A KR102666030B1 (ko) 2021-05-27 2021-05-27 직류 소내배전반 무정전 작업용 이중볼트 및 이를 활용한 교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264A KR102666030B1 (ko) 2021-05-27 2021-05-27 직류 소내배전반 무정전 작업용 이중볼트 및 이를 활용한 교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273A true KR20220160273A (ko) 2022-12-06
KR102666030B1 KR102666030B1 (ko) 2024-05-14

Family

ID=84406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8264A KR102666030B1 (ko) 2021-05-27 2021-05-27 직류 소내배전반 무정전 작업용 이중볼트 및 이를 활용한 교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603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6048Y1 (ko) * 1994-10-27 1998-05-15 김정국 단자대의 연결단자 체결장치
JP2009092141A (ja) * 2007-10-09 2009-04-30 Fujitsu Ten Ltd 部品用取付構造体および電気機器
KR101239876B1 (ko) * 2012-09-26 2013-03-06 (주)한국나이스방재 무정전 전력량계 교체용 멀티단자대
KR101434600B1 (ko) * 2013-05-20 2014-08-26 주식회사 한국나이스기술단 전력량계의 무정전 작업을 위한 멀티단자대
KR101963688B1 (ko) 2018-12-03 2019-03-29 권정호 무정전작업용 분기함
KR20210058193A (ko) * 2019-11-13 2021-05-24 (주)창해전력 저압 무정전 단자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6048Y1 (ko) * 1994-10-27 1998-05-15 김정국 단자대의 연결단자 체결장치
JP2009092141A (ja) * 2007-10-09 2009-04-30 Fujitsu Ten Ltd 部品用取付構造体および電気機器
KR101239876B1 (ko) * 2012-09-26 2013-03-06 (주)한국나이스방재 무정전 전력량계 교체용 멀티단자대
KR101434600B1 (ko) * 2013-05-20 2014-08-26 주식회사 한국나이스기술단 전력량계의 무정전 작업을 위한 멀티단자대
KR101963688B1 (ko) 2018-12-03 2019-03-29 권정호 무정전작업용 분기함
KR20210058193A (ko) * 2019-11-13 2021-05-24 (주)창해전력 저압 무정전 단자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6030B1 (ko) 2024-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5556B1 (ko) 변압기 부싱
KR20220160273A (ko) 직류 소내배전반 무정전 작업용 이중볼트 및 이를 활용한 교체방법
CN210429712U (zh) 一种电子式漏电断路器
KR200441516Y1 (ko) 단자가 이중으로 구성된 컷아웃스위치 1, 2차 인하선 회로구조
CN209747849U (zh) 一种快速安装节约型分离式连接器
CN115125585B (zh) 一种独特的镁电解直流电母线装置及使用方法
CN114374264B (zh) 直流系统馈电屏馈电单元插框不停电更换方法
KR102375023B1 (ko) 임시송전장치를 이용한 지상 개폐기 pt 교체 표준화 공법
CN218585757U (zh) 一种操作方便的分体式低压互感器
CN101295857B (zh) 用于低压开关柜旁路跨接的钩型工具及其制造工艺
CN212256633U (zh) 一种电源倒闸控制实验台
CN213584636U (zh) 一种高气密性组合式固体绝缘开关设备
CN216390588U (zh) 一种双直流系统控制电路
KR200303091Y1 (ko) 고압전력량계와 ttb의 콘센트형 연결구조
CN219086874U (zh) 一种便于备用蓄电池组接入变电站直流系统的装置
CN214798851U (zh) 一种三相交流电相序自动切换及保护装置
CN221125872U (zh) 一种不停电作业用跌落熔式断器绝缘旁路分流装置
CN219417667U (zh) 一种低压断路器校验装置
CN219350117U (zh) 一种塑壳断路器的接线结构
CN218829089U (zh) 一种过道母线快速投切的装置
CN217427761U (zh) 一种备用充电机自动接入系统
CN113471863A (zh) 变电站直流屏不间断供电检修的方法
CN115498582B (zh) 针对特高压输电线路的不停电地线直流融冰系统及方法
CN201061093Y (zh) 用于低压开关柜旁路跨接的钩型工具
CN209948777U (zh) 一种直流电源供电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