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1516Y1 - 단자가 이중으로 구성된 컷아웃스위치 1, 2차 인하선 회로구조 - Google Patents

단자가 이중으로 구성된 컷아웃스위치 1, 2차 인하선 회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1516Y1
KR200441516Y1 KR2020070001218U KR20070001218U KR200441516Y1 KR 200441516 Y1 KR200441516 Y1 KR 200441516Y1 KR 2020070001218 U KR2020070001218 U KR 2020070001218U KR 20070001218 U KR20070001218 U KR 20070001218U KR 200441516 Y1 KR200441516 Y1 KR 2004415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utout switch
line
cut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12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2886U (ko
Inventor
이충호
Original Assignee
이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충호 filed Critical 이충호
Priority to KR20200700012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516Y1/ko
Publication of KR200800028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28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5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51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9/00Variabl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not covered by group H01F21/00
    • H01F29/02Variabl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not covered by group H01F21/00 with tappings on coil or winding; with provision for rearrangement or interconnection of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01F27/04Leading of conductors or axles through casings, e.g. for tap-chang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1/02Details
    • H01H31/12Adaptation for built-in fuse
    • H01H31/122Fuses mounted on, or constituting the movable contact parts of, the switch
    • H01H31/127Drop-out fu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41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characterised by the type
    • H01H85/042General constructions or structure of high voltage fuses, i.e. above 1000 V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8Terminals; Connections
    • H01H2071/086Low power connections for auxiliary switches, e.g. shunt tr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단자가 이중으로 구성된 컷아웃스위치 1, 2차 인하선 회로 구조(100)는 변압기(160)의 단자(163)와 컷아웃스위치(120)의 상부 단자(130) 및 하부 단자(140)를 이중으로 구성함으로써, 바이패스 케이블을 연결하는 공정이 생략되어 공정수가 감소되므로 신속한 보수 작업이 가능하고, 공정이 줄어들므로 고압의 전류가 흐르는 메인 케이블(M)을 만지는 회수가 그만큼 적어지므로 감전 사고의 위험이 줄어들 수 있는 고안에 관한 것이다.
컷아웃스위치, 1차 인하선, 2차 인하선, 변압기, 단자

Description

단자가 이중으로 구성된 컷아웃스위치 1, 2차 인하선 회로 구조{Structure of primary and secondary cut out switch cable circuit}
도 1은 종래의 기술이 적용된 컷아웃스위치 1, 2차 인하선 회로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이 적용된 컷아웃스위치 1, 2차 인하선 회로 구조에 구성되는 변압기의 애자 부분만을 확대하여 도시한 국부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기술이 적용된 컷아웃스위치 1, 2차 인하선 회로 구조에 구성되는 컷아웃스위치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종래의 기술이 적용된 컷아웃스위치 1, 2차 인하선 회로 구조에서 컷아웃스위치와 1, 2차 인하선을 교체하기 위해 바이패스 케이블을 메인 케이블과 변압기의 단자에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단자가 이중으로 구성된컷아웃스위치 1, 2차 인하선 회로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단자가 이중으로 구성된컷아웃스위치 1, 2차 인하선 회로 구조에 구성되는 변압기의 애자 부분만을 확대하여 도시한 국부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단자가 이중으로 구성된컷아웃스위치 1, 2 차 인하선 회로 구조에 구성되는 컷아웃스위치를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도 7에서 A 방향에서 본 것을 도시한 국부 측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단자가 이중으로 구성된컷아웃스위치 1, 2차 인하선 회로 구조에서 컷아웃스위치와 1, 2차 인하선을 교체하기 위해 컷아웃스위치와 1, 2차 인하선을 한 세트 더 장착한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10: 1차 인하선 120: 컷아웃스위치
130: 상부 단자 140: 하부 단자
131, 141, 164: 고정부 133, 143: 상대측면
135, 145, 165, 235, 335: 볼트 150: 2차 인하선
160: 변압기 161: 애자
163: 단자
본 고안은 단자가 이중으로 구성된 컷아웃스위치 1, 2차 인하선 회로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컷아웃스위치의 상부 단자 및 하부 단자 그리고 변압기의 단자를 이중으로 구성함으로써 컷아웃스위치와 1, 2차 인하선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단자가 이중으로 구성된 컷아웃스위치 1, 2차 인하선 회로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이 적용된 컷아웃스위치 1, 2차 인하선 회로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이 적용된 컷아웃스위치 1, 2차 인하선 회로 구조에 구성되는 변압기의 애자 부분만을 확대하여 도시한 국부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기술이 적용된 컷아웃스위치 1, 2차 인하선 회로 구조에 구성되는 컷아웃스위치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종래의 기술이 적용된 컷아웃스위치 1, 2차 인하선 회로 구조에서 컷아웃스위치와 1, 2차 인하선을 교체하기 위해 바이패스 케이블을 메인 케이블과 변압기의 단자에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로서 종래 기술의 구성과 보수하는 예 및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컷아웃스위치 1, 2차 인하선 회로 구조(1)는 전주대의 상방에 시설되어 변전소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가정용 내지는 산업용으로 강압하여 일반 가정이나 공장에 공급하는 회로 구조로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변전소의 전력이 공급되는 메인 케이블(M)에 연결되어 전력이 유입되는 1차 인하선(10)과 상기 1차 인하선(10)에 상부 단자(30)가 연결되어 과도한 전압이 흐를 경우, 차단 기능을 하는 컷아웃스위치(20, 차단 스위치, CUT OUT SWITCH)와 상기 컷아웃스위치(20)의 하부에 구성된 하부 단자(40)에 연결되어 컷아웃스위치(20)를 통과한 전력이 유입되는 2차 인하선(50)과 상기 2차 인하선(50)에 단자(63)가 연결되어 유입되는 전력을 가정용 내지는 산업용으로 강압시키는 변압기(60)로 구성된다.
상기 컷아웃스위치(20)의 상부 단자(30) 및 하부 단자(40)는 L형이고 각각 컷아웃스위치(20)의 상단 및 하단에 일측면(32, 42)이 부착되어 전원이 도통되는 고정부(31, 41)와 상기 고정부(31, 41)에서 부착되지 않은 상대측면(33, 43)에 용착되는 볼트(35, 45)와 상기 볼트(35, 45)에 끼워져서 각기 1차 인하선(10) 및 2차 인하선(50)을 가압하는 블럭 형상의 와셔(37, 47)와 상기 볼트(35, 45)에 체결되어 와셔(37, 47)를 가압하는 너트(39, 49)로 구성된다.
상기 변압기(60)의 단자(63)는 애자(61)의 상단에 전원이 도통되고 링형상으로 형성된 고정부(64)와 상기 고정부(64)를 관통하며 헤드부(66)에 2차 인하선(50)이 관통하도록 홀(67)이 형성된 볼트(65)와 상기 볼트(65)에 체결되어 헤드부(66)가 고정부(64)에 밀착되어 2차 인하선(50)을 고정시키는 너트(68)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종래 기술의 보수하는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컷아웃스위치(20)와 1, 2차 인하선(10, 50)을 교체하는 경우에는 도 4에서처럼, 바이패스 케이블(C, BYPASS CABLE)을 메인 케이블(M)과 변압기(60)의 단자(63)에 연결시키고 나서, 교체할 컷아웃스위치(20)를 차단한 후, 상기 컷아웃스위치(20)와 1, 2차 인하선(10, 50)을 철거한다. 그리고 새로운 컷아웃스위치(20)와 1, 2차 인하선(10, 50)을 메인 케이블(M)과 변압기(60)의 단자(63)에 연결되도록 한 후, 바이패스 케이블(C)을 철거한다.
1차 인하선(10)을 교체하는 경우에는 바이패스 케이블(C)을 메인 케이블(M)과 변압기(60)의 단자(63)에 연결시킨 후, 컷아웃스위치(20)를 차단하고, 1차 인하선(10)을 철거한다. 그리고, 새로운 1차 인하선(10)을 메인 케이블(M)과 컷아웃스위치(20)의 상부 단자(30)에 연결한 후, 바이패스 케이블(C)을 철거한다.
2차 인하선(50)을 교체하는 경우에는 바이패스 케이블(C)을 메인 케이블(M) 과 변압기(60)의 단자(63)에 연결한 후, 컷아웃스위치(20)를 차단하고, 2차 인하선(50)을 철거한다. 그리고, 새로운 2차 인하선(50)을 컷아웃스위치(20)의 하부 단자(40)와 변압기(60)의 단자(63)에 연결한 후, 바이패스 케이블(C)을 철거한다.
상기 구성과 보수하는 예를 통해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컷아웃스위치(20)와 1, 2차 인하선(10, 50)을 교체하는 데 있어서, 바이패스 케이블(C)을 사용하게 되므로 공정수가 많아져서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는 고압의 전류가 흐르는 메인 케이블(M)을 많이 만지게 되어 감전 사고의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변압기의 단자와 컷아웃스위치의 상부 단자 및 하부 단자를 이중으로 구성함으로써, 바이패스 케이블을 연결하는 공정이 생략되어 공정수가 감소되므로 신속한 보수 작업이 가능하고, 공정이 줄어들므로 고압의 전류가 흐르는 메인 케이블을 만지는 회수가 그만큼 적어지므로 감전 사고의 위험이 줄어들 수 있는, 단자가 이중으로 구성된 컷아웃스위치 1, 2차 인하선 회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과 보수하는 예 및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단자가 이중으로 구성된컷아웃스위치 1, 2차 인하선 회로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단자가 이 중으로 구성된컷아웃스위치 1, 2차 인하선 회로 구조에 구성되는 변압기의 애자 부분만을 확대하여 도시한 국부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단자가 이중으로 구성된컷아웃스위치 1, 2차 인하선 회로 구조에 구성되는 컷아웃스위치를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도 7에서 A 방향에서 본 것을 도시한 국부 측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단자가 이중으로 구성된컷아웃스위치 1, 2차 인하선 회로 구조에서 컷아웃스위치와 1, 2차 인하선을 교체하기 위해 컷아웃스위치와 1, 2차 인하선을 한 세트 더 장착한 예를 도시한 예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컷아웃스위치 1, 2차 인하선 회로 구조(100)는 전주대의 상방에 시설되어 변전소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가정용 내지는 산업용으로 강압하여 일반 가정이나 공장에 공급하는 회로 구조로서 변전소의 전력이 공급되는 메인 케이블(M)에 연결되어 전력이 유입되는 1차 인하선(110)과 상기 1차 인하선(110)에 상부에 구성된 상부 단자(130)가 연결되어 과도한 전압이 흐를 경우, 차단 기능을 하는 컷아웃스위치(120, 차단 스위치, CUT OUT SWITCH)와 상기 컷아웃스위치(120)의 하부에 구성된 하부 단자(140)에 연결되어 컷아웃스위치(120)를 통과한 전력이 유입되는 2차 인하선(150)과 상기 2차 인하선(150)에 단자(163)가 연결되어 유입되는 전력을 가정용 내지는 산업용으로 강압시키는 변압기(160)로 구성된다.
상기 컷아웃스위치(120)의 상부 단자(130) 및 하부 단자(140)는 L형이고 각각 컷아웃스위치(120)의 상단 및 하단에 일측면(132, 142)이 부착되어 전원이 도통되는 고정부(131, 141)와 상기 고정부(131, 141)에서 부착되지 않은 상대측면(133, 143)에 용착되는 볼트(135, 145)와 상기 볼트(135, 145)에 끼워져서 각기 1차 인하 선(110) 및 2차 인하선(150)을 가압하는 블럭 형상의 와셔(137, 147)와 상기 볼트(135, 145)에 체결되어 와셔(137, 147)를 가압하는 너트(139, 149)로 구성된다.
상기 변압기(160)의 단자(163)는 애자(161)의 상단에 전원이 도통되고 링형상으로 형성된 고정부(164)와 상기 고정부(164)를 관통하며 헤드부(166)에 2차 인하선(150)이 관통하도록 홀(167)이 형성된 볼트(165)와 상기 볼트(165)에 체결되어 헤드부(166)가 고정부(164)에 밀착되어 2차 인하선(150)을 고정시키는 너트(168)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컷아웃스위치 1, 2차 인하선 회로 구조(100)를 개선하여 컷아웃스위치(120)와 1, 2차 인하선(110, 150)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상기 컷아웃스위치(120)의 상부 단자(130) 및 하부 단자(140) 그리고 변압기(160)의 단자(163)를 이중으로 구성한다.
상기 상부 단자(130)는 상기 고정부(131)의 상대측면(133)에서 볼트(135)가 용착되지 않은 면(134)에 대응되도록 볼트(135)를 용착시키고 블럭 형상의 와셔(137)를 끼운 후, 너트(139)를 상기 볼트(135)에 체결하여 이중으로 구성한다.
상기 하부 단자(140)는 도 8에서처럼, 상기 고정부(141)의 상대측면(143)에 나란하게 볼트(145)를 용착시키고 블럭 형상의 와셔(147)를 끼운 후, 너트(149)를 상기 볼트(145)에 체결하여 이중으로 구성하는 데, 그 이유는 상기 상부단자(130)처럼 형성될 경우, 통상적으로 단속바(B)가 열린 상태에서 전원을 끊고 2차 인하선(150)을 연결하게 되는 데, 열린 단속바(B)가 하부 단자(140)에 접하게 되므로 하부단자(140)에 2차 인하선(150)을 연결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상기 단속바(B)는 컷아웃스위치(120)의 하단에 힌지 연결되어 회동하므로 컷아웃스위치(120)의 상부에 착탈되는 것으로서 컷아웃스위치(120)의 상부에 연결되면 전류가 도통되고, 이탈되면 단전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당해업자라면 누구나 알 수 있는 사항이기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변압기(160)의 단자(163)는 옆에 동일한 구성으로 애자(161) 상단에 단자(163)를 더 구성하여 이중으로 구성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보수하는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컷아웃스위치(120)와 1, 2차 인하선(110, 150)을 교체하는 경우에는 도 9에서처럼, 새로운 컷아웃스위치(420)와 1, 2차 인하선(410, 450)을 메인 케이블(M)과 변압기(160)의 단자 (163) 중 2차 인하선(150)이 연결되지 않은 단자(163)에 연결하고 나서, 교체할 컷아웃스위치(120)와 1, 2차 인하선(110, 150)을 철거한다.
상기 1차 인하선(110)만을 교체할 경우에는 새로운 1차 인하선(110)을 메인 케이블(M)과 컷아웃스위치(120)의 상부 단자(130) 중 1차 인하선(110)이 연결되지 않은 상부 단자(130)에 연결한 후, 교체한 1차 인하선(110)을 철거한다.
상기 2차 인하선(150)만을 교체할 경우에는 새로운 2차 인하선(150)을 컷아웃스위치(120)의 하부 단자(140) 중 2차 인하선(150)이 연결되지 않은 하부 단자(140)와 변압기(160)의 단자(163) 중 2차 인하선(150)이 연결되지 않은 단자(163)에 연결한 후, 교체할 2차 인하선(150)을 철거한다.
상기 구성과 보수하는 예에서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에 의하면 바이패스 케이블을 연결하는 공정이 생략되어 공정수가 감소되므로 신속한 보수 작업이 가능하고, 공정이 줄어들므로 고압의 전류가 흐르는 메인 케이블(M)을 만지는 회수가 그만큼 적어지므로 감전 사고의 위험이 줄어들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고안에 의하면, 변압기의 단자와 컷아웃스위치의 상부 단자 및 하부 단자를 이중으로 구성함으로써, 바이패스 케이블을 연결하는 공정이 생략되어 공정수가 감소되므로 신속한 보수 작업이 가능하고, 공정이 줄어들므로 고압의 전류가 흐르는 메인 케이블을 만지는 회수가 그만큼 적어지므로 감전 사고의 위험이 줄어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메인 케이블(M)에 연결되어 전력이 유입되는 1차 인하선(110)과,
    상기 1차 인하선(110)에 상부 단자(130)가 연결되어 과도한 전압이 흐를 경우, 차단 기능을 하는 컷아웃스위치(120)와,
    상기 컷아웃스위치(120)의 하부 단자(140)에 연결되어 컷아웃스위치(120)를 통과한 전력이 유입되는 2차 인하선(150)과,
    상기 2차 인하선(150)에 단자(163)가 연결되어 유입되는 전력을 강압시키는 변압기(160)로 구성되고,
    상기 컷아웃스위치(120)의 상부 단자(130) 및 하부 단자(140)는 L형이고 각각 컷아웃스위치(120)의 상단 및 하단에 일측면(132, 142)이 부착되어 전원이 도통되는 고정부(131, 141)와,
    상기 고정부(131, 141)에서 부착되지 않은 상대측면(133, 143)에 용착되는 볼트(135, 145)와,
    상기 볼트(135, 145)에 끼워져서 각기 1차 인하선(110) 및 2차 인하선(150)을 가압하는 블럭 형상의 와셔(137, 147)와,
    상기 볼트(135, 145)에 체결되어 와셔(137, 147)를 가압하는 너트(139, 149)로 구성되고,
    상기 변압기(160)의 단자(163)는 애자(161)의 상단에 전원이 도통되고 링형상으로 형성된 고정부(164)와,
    상기 고정부(164)를 관통하며 헤드부(166)에 2차 인하선(150)이 관통하도록 홀(167)이 형성된 볼트(165)와,
    상기 볼트(165)에 체결되어 헤드부(166)가 고정부(164)에 밀착되어 2차 인하선(150)을 고정시키는 너트(168)로 구성되는 컷아웃스위치 1, 2차 인하선 회로 구조(100)에 있어서,
    상기 컷아웃스위치(120)의 상부 단자(130)는 상기 고정부(131)의 상대측면(133)에서 볼트(135)가 용착되지 않은 면(134)에 대응되도록 동일하게 더 구성하고,
    상기 컷아웃스위치(120)의 하부 단자(140)는 상기 고정부(141)의 상대측면(143)에 이중으로 나란하게 더 구성하고,
    상기 변압기(160)의 단자(163)는 옆에 동일한 구성으로 애자(161) 상단에 단자(163)를 더 구성하여 이중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가 이중으로 구성된 컷아웃스위치 1, 2차 인하선 회로 구조.
  2. 삭제
KR2020070001218U 2007-01-23 2007-01-23 단자가 이중으로 구성된 컷아웃스위치 1, 2차 인하선 회로구조 KR2004415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1218U KR200441516Y1 (ko) 2007-01-23 2007-01-23 단자가 이중으로 구성된 컷아웃스위치 1, 2차 인하선 회로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1218U KR200441516Y1 (ko) 2007-01-23 2007-01-23 단자가 이중으로 구성된 컷아웃스위치 1, 2차 인하선 회로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886U KR20080002886U (ko) 2008-07-28
KR200441516Y1 true KR200441516Y1 (ko) 2008-08-21

Family

ID=41490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1218U KR200441516Y1 (ko) 2007-01-23 2007-01-23 단자가 이중으로 구성된 컷아웃스위치 1, 2차 인하선 회로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51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192A (ko) 2021-06-24 2023-01-02 한국전력공사 컷아웃 스위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8601B1 (ko) * 2019-01-31 2020-07-28 한국전력공사 주상 변압기의 1차 부싱 체결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192A (ko) 2021-06-24 2023-01-02 한국전력공사 컷아웃 스위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886U (ko) 2008-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4388B1 (ko) 모듈화된 블록식 전원분배장치의 연결구조
CN108598885A (zh) 插接系统
KR102399621B1 (ko) 배터리 시스템
KR200441516Y1 (ko) 단자가 이중으로 구성된 컷아웃스위치 1, 2차 인하선 회로구조
JP2016213026A (ja) 二本の導電プレートにより複数の二次電池が並列接続されて構成される組み立て電池の構造
US20180048303A1 (en) Switching device for operating at least one load
KR101794232B1 (ko) 확장형 조립 부스바
KR101584296B1 (ko) 배전반
KR101502586B1 (ko) 조립식 분전반
CN111404049B (zh) 一种配电箱系统及其接线方法
KR102010870B1 (ko) 교차배열 버스바 연결용 버스바어셈블리
CN109361158B (zh) 一种电气设备安装工艺
KR101753581B1 (ko)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단자대
JP2009177947A (ja) 応急接続回路及びそれに用いる接続装置
CN111696772A (zh) 一种箱式变压器内部避雷组件及其操作方法
KR200445303Y1 (ko) 멀티형 분기 슬리브
CN216120135U (zh) 一种框架式断路器基座
CN203193551U (zh) 矿用隔爆兼本质安全型多回路起动器
CN114374264B (zh) 直流系统馈电屏馈电单元插框不停电更换方法
CN219246948U (zh) 一种高压开关柜小母线连接装置
CN211428917U (zh) 一种三相带检测控制的电源分配器
KR102357558B1 (ko) 컷아웃스위치용 이중 퓨즈홀더장치
EP1218994B1 (e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for power circuit breakers
JP2019204635A (ja) 接続部材
CN219576003U (zh) 一种带隔离装置的开关接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