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8601B1 - 주상 변압기의 1차 부싱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주상 변압기의 1차 부싱 체결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38601B1 KR102138601B1 KR1020190013057A KR20190013057A KR102138601B1 KR 102138601 B1 KR102138601 B1 KR 102138601B1 KR 1020190013057 A KR1020190013057 A KR 1020190013057A KR 20190013057 A KR20190013057 A KR 20190013057A KR 102138601 B1 KR102138601 B1 KR 1021386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stening
- lead wire
- bushing
- primary bushing
- transform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26—Lead-in insulators; Lead-through insulators
- H01B17/265—Fastening of insulators to suppor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01F27/04—Leading of conductors or axles through casings, e.g. for tap-chang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ousings And Mounting Of Transfor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상 변압기의 단방향 1차 부싱 클램프를 양방향으로 체결이 가능하도록 변형함으로써, 주상변압기 제작의 작업성과 주상 변압기 공사의 시간을 단축시키고,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주상 변압기의 1차 부싱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리드선이 양방향으로 체결될 수 있게 하는 주상 변압기의 1차 부싱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상 변압기 1차 부싱 클램프는, 주상 변압기 제조사에 따라 클램프와 너트의 방향이 모두 제각각으로 조립되어 공사현장에서 콘크리트 전주에 주상변압기 설치 시에 COS 2차 리드선과 주상변압기 1차 부싱 클램프를 연결하는 작업 중 리드선의 방향과 클램프의 방향이 일치 하지 않을 때 공사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1차 부싱 클램프를 회전시켜 COS 2차 리드선을 연결하게 된다.
이때, 잠겨있던 1차 부싱의 클램프가 풀리며 안에 있는 가스킷에 유격이 발생하고 그 사이로 수분이 침투하게 된다.
또한, 1차 부싱 클램프를 조이는 방향으로 과하게 돌리면, 1차 부싱에 금이 가거나 가스킷이 파열되어 수분이 침투되어 변압기에 하자가 생기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그리고, 변압기 제조사에서 작업자가 1차 부싱을 조립하여 변압기 뚜껑에 연결할 때도, 클램프의 방향을 2차 부싱 클램프의 방향과 맞추기 위해 작업을 하다 보면 과하게 조이게 되는 경우 1차 부싱에 금이가거나 개스킷이 파열되어 수분이 침투할 수 있게 되고, 느슨하게 조이게 되는 경우 가스킷의 유격이 발생하여 수분이 침투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주상 변압기와 관련하여 도 1에는 종래의 주상 변압기에 구비되는 1차 부싱을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주상 변압기의 1차 부싱의 경우에는 리드선이 단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1차 부싱은 단방향으로만 리드선 체결이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엇다.
또한, COS 2차 리드선 체결 후 클램프가 COS 2차 리드선의 장력으로 인해 쉽게 풀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클램프가 풀리는 경우 클램프 금구 하단에 있는 가스킷에 압축력이 줄어들게 되고 그 틈새로 수분이 침투되어 변압기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엇다.
또한, 변압기 제작시 클램프의 방향을 맞추기 위해 조임작업을 과하게 하는 경우 부싱에 금이 가거나 가스킷이 파열되는 문제점도 있엇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리드선이 양방향으로 체결될 수 있게 하는 주상 변압기의 1차 부싱 체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상 변압기의 1차 부싱 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부싱의 양측에는 리드선이 양방향으로 체결되도록 체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상 변압기의 1차 부싱 체결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체결부 사이에는 상기 리드선 연결부가 관통되도록 제1 리드선 연결부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의 일단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호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리드선이 연결되는 리드선 연결부가 관통되게 위치하고, 상기 리드선 연결부의 일단에는 제1 체결부재가 체결되고, 타단에는 제2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드선 연결부에는 상기 제2 체결부재에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제3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체결부재와 상기 제3 체결부재의 사이에는 링 와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체결부재와 상기 제2 체결부재는 상기 체결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체결부재와 상기 제2 체결부재는, 상기 체결부에 결합시 상기 부싱의 외부에 외치하는 머리부와, 상기 체결부에 끼워지는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체결부에 대응되도록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리드선 연결부가 관통되도록 제2 리드선 연결부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주상 변압기의 1차 부싱 체결구조는, 주상 변압기의 단방향 1차 부싱 클램프를 양방향으로 체결이 가능하도록 변형함으로써, 주상변압기 제작의 작업성과 주상 변압기 공사시의 시간을 단축시키고, 작업시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1차 부싱을 통해 유입되는 수분침투를 막아 변압기에 하자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COS 2차 리드선의 장력으로 인해 1차 부싱 클램프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상 변압기 공사 중 COS 2차 리드선과 1차 부싱 클램프를 연결하기 위하여 과도하게 조이는 방향으로 1차 부싱 클램프를 돌림으로 인해, 변압기의 1차 부싱에 금이가거나 깨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1차 부싱 클램프를 푸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1차 부싱 클램프안의 가스켓에 유격이 발생하지 않아 수분침투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주상 변압기에 구비되는 1차 부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1차 부싱 체결구조에서 각 체결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차 부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차 부싱에 각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1차 부싱 체결구조에서 각 체결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차 부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차 부싱에 각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상 변압기의 1차 부싱 체결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1차 부싱 체결구조에서 각 체결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차 부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차 부싱에 각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상 변압기는 1차 또는 2차 리드선이 1차 부싱(100)과 2차 부싱(미도시)을 통해 변압기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상 변압기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상 변압기에는 부싱(10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부싱(100)의 양측에는, 리드선이 양방향으로 체결되도록 체결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110)는, 상기 부싱(100)의 양측에 형성되는데, 각 리드선이 상기 부싱(100)에 양방향에서 연결되어 상기 부싱(100)에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110)는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110)가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되게 함으로써, 상기 부싱(100)의 중심부의 폭은 두껍게 구성하여, 상기 부싱(100)이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각 체결부(110) 사이에는 상기 리드선 연결부(210)가 관통되도록 제1 리드선 연결부 관통홀(1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리드선 연결부 관통홀(130)이 상기 체결부(110) 사이에 형성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리드선 연결부 관통홀(130)의 폭이 상기 체결부(110)의 폭 이하로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부싱(100)이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110)의 일단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110)의 일단이 라운드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체결부(110)에 상기 제1 체결부재(230)와 상기 제2 체결부재(250)를 끼워넣을 때 상호 부딪침으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체결부(110)는 상호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110)가 상기 제1 리드선 연결부 관통홀(130)을 통해 상기 리드선이 체결되는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리드선이 양방향으로 상기 부싱(100)에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110)는 리드선이 연결되는 리드선 연결부(210)가 관통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리드선 연결부(210)는 각 리드선이 각 체결부재(2300, 250)를 관통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드선 연결부(210)의 일단에는 제1 체결부재(230)가 체결되고, 타단에는 제2 체결부재(250)가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부싱(100)의 상기 체결부(110)에 상기 리드선 연결부(210)가 관통되게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110)에 상기 제1 체결부재(230)와 상기 제2 체결부재(250)가 끼워짐으로써, 상기 리드선이 상기 부싱(100)에 양방향으로 체결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리드선 연결부(210)에는 상기 제2 체결부재(250)에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제3 체결부재(270)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3 체결부재(270)는 나사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체결부재(270)를 통해 상기 제2 체결부재(250)를 조임으로써 상기 각 체결부재(230, 250)가 상기 부싱(100)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어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체결부재(250)와 상기 제3 체결부재(270)의 사이에는 링 와셔(2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링 와셔(290)를 통해 상기 제3 체결부재(270)의 체결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체결부재(230)와 상기 제2 체결부재(250)는 상기 체결부(110)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데, 상기 각 체결부재(230, 250)는 머리부(231, 251) 및 몸체(233, 2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머리부(231, 251)는, 상기 각 체결부재(230, 250)가 상기 체결부(110)에 결합하게 되면, 상기 부싱(10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몸체(233, 253)는, 상기 제1 체결부재(230)를 상기 부싱(100)에 결합할 때, 상기 체결부(110)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233, 253)는 상기 체결부(110)에 대응되도록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몸체(233, 253)에는 상기 리드선 연결부(210)가 관통되도록 제2 리드선 연결부 관통홀(235, 255)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드선 연결부(210)가 상기 각 체결부(110)를 관통한 상태에서 각 체결부재(230, 250)가 상기 체결부(110)에 끼워진 다음 각 리드선이 상기 제2 리드선 연결부 관통홀(235, 255)을 관통함으로써, 각 리드선이 상기 부싱(100)에 양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주상 변압기의 단방향 1차 부싱 클램프(100)를 양방향으로 체결이 가능하도록 변형함으로써, 주상 변압기 제작의 작업성과 주상 변압기 공사의 시간을 단축시키고,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1차 부싱(100)을 통해 유입되는 수분침투를 막아 변압기에 하자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COS 2차 리드선의 장력으로 인해 1차 부싱 클램프(100)가 풀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주상 변압기 공사 중 COS 2차 리드선과 1차 부싱 클램프(100)를 연결하기 위하여 과도하게 조이는 방향으로 1차 부싱 클램프(100)를 돌림으로 인해, 변압기 1차 부싱(100)에 금이가거나 깨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1차 부싱 클램프(100)를 푸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1차 부싱 클램프(100)안의 가스켓에 유격이 발생하지도 않아 수분침투도 예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0, 100: 1차 부싱 110: 체결부
130: 제1 리드선 연결부 관통홀 210: 리드선 연결부
230: 제1 체결부재 231, 251: 머리부
233, 253: 몸체 235, 255: 제2 리드선 연결부 관통홀
250: 제2 체결부재 270: 제3 체결부재
290: 링 와셔
130: 제1 리드선 연결부 관통홀 210: 리드선 연결부
230: 제1 체결부재 231, 251: 머리부
233, 253: 몸체 235, 255: 제2 리드선 연결부 관통홀
250: 제2 체결부재 270: 제3 체결부재
290: 링 와셔
Claims (12)
- 주상 변압기의 1차 부싱 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부싱의 양측에는 리드선이 양방향으로 체결되도록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는,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며, 상기 리드선이 연결되는 리드선 연결부가 관통되게 위치하고,
상기 리드선 연결부의 일단에는 제1 체결부재가 체결되고, 타단에는 제2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상 변압기의 1차 부싱 체결구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체결부 사이에는 상기 리드선이 연결되는 리드선 연결부가 관통되도록 제1 리드선 연결부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상 변압기의 1차 부싱 체결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의 일단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상 변압기의 1차 부싱 체결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호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상 변압기의 1차 부싱 체결구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선 연결부에는 상기 제2 체결부재에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제3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상 변압기의 1차 부싱 체결구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부재와 상기 제3 체결부재의 사이에는 링 와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상 변압기의 1차 부싱 체결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재와 상기 제2 체결부재는 상기 체결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상 변압기의 1차 부싱 체결구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재와 상기 제2 체결부재는,
상기 체결부에 결합시 상기 부싱의 외부에 외치하는 머리부와, 상기 체결부에 끼워지는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상 변압기의 1차 부싱 체결구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체결부에 대응되도록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상 변압기의 1차 부싱 체결구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상기 리드선 연결부가 관통되도록 제2 리드선 연결부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상 변압기의 1차 부싱 체결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13057A KR102138601B1 (ko) | 2019-01-31 | 2019-01-31 | 주상 변압기의 1차 부싱 체결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13057A KR102138601B1 (ko) | 2019-01-31 | 2019-01-31 | 주상 변압기의 1차 부싱 체결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38601B1 true KR102138601B1 (ko) | 2020-07-28 |
Family
ID=71831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13057A KR102138601B1 (ko) | 2019-01-31 | 2019-01-31 | 주상 변압기의 1차 부싱 체결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3860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43940B1 (ko) | 2022-08-03 | 2023-06-14 | 나상원 | 부싱용 클램프단자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74360Y1 (ko) | 2004-11-16 | 2005-01-27 | 한영전기공업주식회사 | 변압기용 어스 접속구 |
KR200420418Y1 (ko) | 2006-04-12 | 2006-07-04 | 남도전기공업 (주) | 주상변압기용 저압부싱 |
KR20080002886U (ko) * | 2007-01-23 | 2008-07-28 | 이충호 | 단자가 이중으로 구성된 컷아웃스위치 1, 2차 인하선 회로구조 |
KR20180007771A (ko) | 2016-07-14 | 2018-01-24 | 유해진 | 일체형 변압기 부싱 및 그 제조방법 |
-
2019
- 2019-01-31 KR KR1020190013057A patent/KR10213860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74360Y1 (ko) | 2004-11-16 | 2005-01-27 | 한영전기공업주식회사 | 변압기용 어스 접속구 |
KR200420418Y1 (ko) | 2006-04-12 | 2006-07-04 | 남도전기공업 (주) | 주상변압기용 저압부싱 |
KR20080002886U (ko) * | 2007-01-23 | 2008-07-28 | 이충호 | 단자가 이중으로 구성된 컷아웃스위치 1, 2차 인하선 회로구조 |
KR20180007771A (ko) | 2016-07-14 | 2018-01-24 | 유해진 | 일체형 변압기 부싱 및 그 제조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43940B1 (ko) | 2022-08-03 | 2023-06-14 | 나상원 | 부싱용 클램프단자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80135676A1 (en) | Coupling nut and hold-down construction method | |
KR102138601B1 (ko) | 주상 변압기의 1차 부싱 체결구조 | |
US20210199143A1 (en) | Expansion Bolt, And Connection Assembly Comprising Such An Expansion Bolt | |
JP2009287766A (ja) | ナット部材 | |
EP2480813B1 (en) | Safety collar for pipe fitting union | |
JP2022129431A (ja) | ラグスクリューボルトの取付け治具及び取付け方法 | |
US10384085B1 (en) | Concrete anchor point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ame | |
JP2016050606A (ja) | 鋼管杭継手構造 | |
JP5208034B2 (ja) | 端子台 | |
KR200493966Y1 (ko) |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 |
KR20160013497A (ko) | 토목 건축용 케이블 정착장치 | |
CN212866369U (zh) | 一种古建筑木柱用拼接结构 | |
JP2011012693A (ja) | 挟持用ねじ | |
KR102277990B1 (ko) | 전선 가이드장치 | |
JP2009052673A (ja) | 締結構造 | |
KR20190016243A (ko) | 볼트 | |
KR101239739B1 (ko) | 공동주택용 저수조 보강구조 | |
JP6194069B1 (ja) | ケーブルグランド | |
KR100967083B1 (ko) | 편측 조임용 볼트넛 | |
JP2017104971A (ja) | 締付トルク管理具、締付トルク管理具付ナット及びボルト、並びに取付物の取付方法 | |
JP2010077693A (ja) | 折板屋根用取付具 | |
FI127656B (en) | CUTTING SCREW | |
KR200480634Y1 (ko) | 긴급복구용 윈치의 고정장치 | |
JP7424111B2 (ja) | 接合方法 | |
JP2013162634A (ja) | ケーブルの外装鉄線接続金具とそれを用いた外装鉄線接続方法及び接続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