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9739B1 - 공동주택용 저수조 보강구조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저수조 보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9739B1
KR101239739B1 KR1020120136197A KR20120136197A KR101239739B1 KR 101239739 B1 KR101239739 B1 KR 101239739B1 KR 1020120136197 A KR1020120136197 A KR 1020120136197A KR 20120136197 A KR20120136197 A KR 20120136197A KR 101239739 B1 KR101239739 B1 KR 101239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flange
wire
water tank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6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진
Original Assignee
(주)해승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해승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해승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20136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97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9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9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8Interconnections of wall parts; Seal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0Large containers rigid parallelepiped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한 수압을 받는 저수조의 조립패널을 내부에서 와이어를 이용해서 연결하고 그 와이어의 인장력을 조정너트에 의해 적절한 인장력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저수조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 슬리브(30)의 외주면에서 후방측을 향해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지지암(32) 후단부에 조립패널(20)의 사각테두리(22)에 용접되는 "L"자 모양의 용접앵글(34)을 각각 설치하고, 와이어(40)의 단부에 결합되는 와이어연결부(50)의 후단부에 플랜지(52)를 형성하며, 슬리브(30)의 중심에 형성된 관통구멍(31)으로 삽입되는 볼트부(54)를 플랜지(52)의 중심에서 후방측으로 연장하여 형성하고, 슬리브(30)에 형성된 관통구멍(31)을 통과하여 후방측으로 돌출된 볼트부(54)에 조정너트(56)와 캡너트(58)를 설치하며, 외주면에 복수의 환형홈(62)이 형성된 고무부싱(60)을 볼트부(54)에 끼우고 그 양단을 슬리브(30)와 플랜지(52) 사이에 밀착시켜 설치하고, 와이어연결부(50)의 외주면에 면취부(51)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용 저수조 보강구조{Water Tank reinforcement structure for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패널형 저수조의 내부를 보강하는데 이용하는 공동주택용 저수조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강한 수압을 받는 저수조의 조립패널을 내부에서 와이어를 이용해서 연결하고 그 와이어의 인장력을 조정너트에 의해 적절한 인장력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저수조 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에 설치되어 있는 저수조는 식수를 저장하여 두는 물탱크로서, 특히 대형에 적용되는 패널형 저수조의 경우 강판으로 성형된 조립패널을 볼트에 의해 조립하여 육면체 모양의 저수조를 만들게 되며, 저수조 내부의 조립패널을 형강을 이용해서 상하방향,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연결하여 저장된 수압에 의해 작용되는 압력에 견디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저수조는 첨부도면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조(10)의 내측에서 마주보고 있는 조립패널(12) 간을 직선형의 형강(14)을 이용해서 연결하여 조립패널(12)에 수압이 작용될 때 형강(14)에 인장력이 가해지면서 강한 수압에 견디도록 되어 있었다.
또, 조립패널(12)과 형강(14)의 연결부위에는 보강바(16)를 용접하여 조립패널(12)과 형강(14)의 연결부위를 보강하고 있었으며, 이와 같은 형강(14)은 저수조(10) 내측의 가로, 세로, 높이에 맞는 길이로 외부에서 절단된 후 저수조(10) 내부로 운반되어 첨부도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방향, 세로방향, 수직방향으로 교차되게 설치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저수조 보강구조는 길이가 긴 형강(14)을 저수조(10) 내부로 진입시켜서 작업하여야 하기 때문에 용접작업이 진행될수록 내부에 용접된 다른 형강(14)에 의해 공간이 점점 협소해지고, 용접된 다른 형강(14)에 의해 간섭을 받아 운반이 불편하여 작업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용접작업시 길이가 긴 형강(14)을 잡아주는 보조공 1명과 용접공 1명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2명이 한조를 이루어서 용접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인건비가 과다하게 상승하고 작업속도가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에는 용접작업시 형강(14)이 조립패널(12)과 직각을 이루도록 위치를 일정하게 잡아줄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지 않고 작업자에 의존하여 위치를 유지하기 때문에 흔들림 의한 용접불량이 매우 빈번하게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저수조 내부로의 운반이 용이하며, 보다 적은 인원에 의해 용접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고, 용접시 흔들리지 않도록 하여 정밀한 시공이 가능한 공동주택용 저수조 보강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슬리브의 외주면에서 후방측을 향해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지지암 후단부에 조립패널의 사각테두리에 용접되는 "L"자 모양의 용접앵글을 각각 설치하고, 와이어의 단부에 결합되는 와이어연결부의 후단부에 플랜지를 형성하며, 슬리브의 중심에 형성된 관통구멍으로 삽입되는 볼트부를 플랜지의 중심에서 후방측으로 연장하여 형성하고, 슬리브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통과하여 후방측으로 돌출된 볼트부에 조정너트와 캡너트를 설치하며, 외주면에 복수의 환형홈이 형성된 고무부싱을 볼트부에 끼우고 그 양단을 슬리브와 플랜지 사이에 밀착시켜 설치하고, 와이어연결부의 외주면에 면취부를 형성하여 공동주택용 저수조 보강구조가 제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와이어가 플렉시블 한 형태이기 때문에 저수조 내부로 운반하는 경우 감아서 운반하게 되면, 별 다른 간섭 없이 매우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리브를 조립패널에 고정할 때 지지암의 단부에 설치된 용접앵글을 조립패널에 형성된 사각테두리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하방향과 좌우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면, "L"자 모양으로 절곡된 용접앵글이 사각테두리에 열십자 형태로 걸리면서 슬리브의 중심을 사각테두리의 모서리부분에 쉽게 맞출 수 있기 때문에 위치결정을 매우 편리하고 정밀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용접앵글을 조립패널의 사각테두리에 용접할 때 한손으로는 지지암을 잡고 다른 손으로는 용접건을 잡고 용접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에 비해 적은 인원으로 용접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용접앵글에 의해 슬리브를 조립패널에 모두 고정한 다음 와이어를 슬리브에 연결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을 매우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정너트에 의해 와이어에 인장력을 가할 때 토크렌치와 같은 공구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와이어의 인장력을 적절한 값으로 균일하게 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플랜지와 슬리브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고무부싱에 의해 슬리브의 관통구멍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저수조 내의 물을 보다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공동주택용 저수조 보강구조를 보인 부분단면도
도 2는 종래 공동주택용 저수조 보강구조를 보인 요부확대 사시도
도 3은 종래 형강이 저수조 내에서 가로, 세로, 상하방향으로 교차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저수조 보강구조를 보인 요부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앵글이 조립패널의 사각테두리로부터 분리된 것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주요부 분해사시도
도 7은 도6을 후방측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저수조 보강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된 저수조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4 내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30)의 외주면에서 후방측을 향해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지지암(32) 후단부에 조립패널(20)의 사각테두리(22)에 용접되는 "L"자 모양의 용접앵글(34)을 각각 설치한다.
즉, 지지암(32)에 설치되는 용접앵글(34)은 슬리브(30)의 중심에서 모두 동일한 방향인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을 향하도록 설치한다.
또, 와이어(40)의 단부에 결합되는 와이어연결부(50)의 후단부에 플랜지(52)를 형성하며, 슬리브(30)의 중심에 형성된 관통구멍(31)으로 삽입되는 볼트부(54)를 플랜지(52)의 중심에서 후방측으로 연장하여 형성하고, 슬리브(30)에 형성된 관통구멍(31)을 통과하여 후방측으로 돌출된 볼트부(54)에 조정너트(56)와 캡너트(58)를 설치한다.
상기 와이어연결부(50)의 외주면에 면취부(51)를 형성하여 조정너트(56)와 캡너트(58)를 돌릴 때 그 면취부(51)를 몽키스패너와 같은 체결공구를 이용해서 잡아서 볼트부(54)가 같이 돌아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와이어(40)와 와이어연결부(50)의 결합은 예를 들어서, 와이어연결부(50)를 외부에서 중심방향으로 압착하여 연결할 수 있으며, 연결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압착전 와이어연결부(50)의 내부에 접착제를 주입한 다음 압착하게 되면, 더욱 강한 체결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외주면에 복수의 환형홈(62)이 형성된 고무부싱(60)을 볼트부(54)에 끼우고 그 양단을 슬리브(30)와 플랜지(52) 사이에 밀착시켜 설치하며, 이 고무부싱(60)의 양단부와 접촉되는 슬리브(30)와 플랜지(52)의 접촉면에는 각각 원형홈(30g)(52g)을 형성하여 고무부싱(60)이 압축될 때 중심에서 벗어나지 못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고무부싱(60)은 저수조(70)에 저장되는 물이 슬리브(30) 중심의 관통구멍(31)으로 유입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중심에 끼워진 볼트부(54)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고무부싱(60)의 내경을 볼트부(54)의 외경보다 약간 큰 값을 가지도록 형성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4 내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패널(20)에 형성되어 있는 사각테두리(22)의 모서리부분이 열십자모양으로 만나는 부위에 슬리브(30)의 중심이 대략 일치되도록 하기 위해 지지암(32)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용접앵글(34)을 사각테두리(22)에 밀착시킨 다음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다가 정지하는 위치에서 다시 좌우방향으로 움직이면 멈추게 된다.
이때 사각테두리(22)가 열십자로 만나는 부위에 슬리브(30)의 중심이 대략 일치되며, 사각테두리(22)에 밀착된 용접앵글(34)을 용접기를 이용해서 고정한 다음 와이어(40)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와이어연결부(50)와 플랜지(52)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볼트부(54)를 슬리브(30)에 고정하기 위해 볼트부(54)를 슬리브(30)의 중심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31)으로 삽입하게 되면, 볼트부(54)가 슬리브(30)의 관통구멍(31)을 통과하여 후방으로 돌출된다.
이때 볼트부(54)를 슬리브(30)의 관통구멍(31)으로 삽입하기 전 볼트부(54)에 고무부싱(60)을 끼운 상태에서 삽입하게 되면, 고무부싱(60)이 플랜지(52)와 슬리브(30) 사이에 위치된다.
그 다음 와이어연결부(5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면취부(51)를 몽키스패너와 같은 체결공구로 잡아서 돌지 못하도록 한 후 후방으로 돌출된 볼트부(54)에 조정너트(56)를 결합하여 조이게 되면 와이어(40)에 인장력이 작용된다.
즉, 서로 대향하는 조립패널(20)에 슬리브(30)를 고정한 다음 와이어(40) 양단에 설치된 볼트부(54)를 슬리브(30)에 삽입하고, 양쪽에서 조정너트(56)를 돌리게 되면 와이어(40)가 인장되고, 동시에 플랜지(52)와 슬리브(30) 사이에 위치되어 있던 고무부싱(60)은 압축된다.
이때 슬리브(30)와 플랜지(52)에 형성되어 있는 원형홈(30g)(52g)은 고무부싱(60)이 슬리브(30)의 중심에서 벗어나지 못하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고무부싱(60)과 볼트부(54)의 나사산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 조정너트(56)를 조일 때 와이어(40)가 갖는 인장력을 일정하게 하기 위해서 토크렌치와 같은 공구를 이용해서 조이게 되면, 모든 와이어(40)의 인장력을 균일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후 볼트부(54)에 캡너트(58)를 결합하게 되면, 이 캡너트(58)는 조정너트(56)가 풀리지 못하도록 하는 로크너트의 역할을 하는 동시에 조정너트(56)와 볼트부(54) 사이의 나사산을 통해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여 나사산을 청결하게 하고, 물의 오염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플랜지(52)와 슬리브(30) 사이에 위치되어 압축된 고무부싱(60)은 볼트부(54)와 관통구멍(31) 사이로 유입될 수 있는 물을 차단하여 저수조(70) 내의 물을 청결하게 유지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20 : 조립패널 22 : 사각테두리
30 : 슬리브 31 : 관통구멍
32 : 지지암 30g,52g : 원형홈
34 : 용접앵글 40 : 와이어
50 : 와이어연결부 51 : 면취부
52 : 플랜지 54 : 볼트부
56 : 조정너트 58 : 캡너트
60 : 고무부싱 62 : 환형홈
70 : 저수조

Claims (1)

  1. 슬리브(30)의 외주면에서 후방측을 향해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지지암(32) 후단부에 조립패널(20)의 사각테두리(22)에 용접되는 "L"자 모양의 용접앵글(34)을 각각 설치하고, 와이어(40)의 단부에 결합되는 와이어연결부(50)의 후단부에 플랜지(52)를 형성하며, 슬리브(30)의 중심에 형성된 관통구멍(31)으로 삽입되는 볼트부(54)를 플랜지(52)의 중심에서 후방측으로 연장하여 형성하고, 슬리브(30)에 형성된 관통구멍(31)을 통과하여 후방측으로 돌출된 볼트부(54)에 조정너트(56)와 캡너트(58)를 설치하며, 외주면에 복수의 환형홈(62)이 형성된 고무부싱(60)을 볼트부(54)에 끼우고 그 양단을 슬리브(30)와 플랜지(52) 사이에 밀착시켜 설치하고, 와이어연결부(50)의 외주면에 면취부(51)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저수조 보강구조.
KR1020120136197A 2012-11-28 2012-11-28 공동주택용 저수조 보강구조 KR101239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6197A KR101239739B1 (ko) 2012-11-28 2012-11-28 공동주택용 저수조 보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6197A KR101239739B1 (ko) 2012-11-28 2012-11-28 공동주택용 저수조 보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9739B1 true KR101239739B1 (ko) 2013-03-06

Family

ID=48181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6197A KR101239739B1 (ko) 2012-11-28 2012-11-28 공동주택용 저수조 보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97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38612A (zh) * 2013-11-08 2014-04-23 天津市瀚洋金属设备有限公司 一种筒节壁板联接键结构
KR101529861B1 (ko) * 2015-04-29 2015-06-22 (주)동화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조립식 저수조 보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9408U (ko) * 1987-08-13 1989-02-22
JP2004510926A (ja) 2000-10-06 2004-04-08 ホィールシュアー リミテッド ホイールナット装置
KR100785435B1 (ko) 2007-04-13 2007-12-13 정연태 허브에 연결된 보강대가 구비된 물탱크
KR20120122118A (ko) * 2011-04-28 2012-11-07 구서 볼트, 너트 도난방지용 캡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9408U (ko) * 1987-08-13 1989-02-22
JP2004510926A (ja) 2000-10-06 2004-04-08 ホィールシュアー リミテッド ホイールナット装置
KR100785435B1 (ko) 2007-04-13 2007-12-13 정연태 허브에 연결된 보강대가 구비된 물탱크
KR20120122118A (ko) * 2011-04-28 2012-11-07 구서 볼트, 너트 도난방지용 캡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38612A (zh) * 2013-11-08 2014-04-23 天津市瀚洋金属设备有限公司 一种筒节壁板联接键结构
KR101529861B1 (ko) * 2015-04-29 2015-06-22 (주)동화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조립식 저수조 보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7513B2 (en) Beam frame assembly having joint device
KR100757883B1 (ko) 꼬임메쉬휀스용 지주
KR101239739B1 (ko) 공동주택용 저수조 보강구조
JP5937041B2 (ja) 鋼材接合構造
JP2016164452A (ja) 張力調節装置及びブレース
KR20170000040U (ko) 창틀 고정용 브라켓
KR200423776Y1 (ko) 자성체가 결합된 볼트
KR101529861B1 (ko) 공동주택 조립식 저수조 보강장치
KR200449780Y1 (ko) 볼트체결용 와셔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장치
CN212866369U (zh) 一种古建筑木柱用拼接结构
JP6425670B2 (ja) 枠構造体、および枠構造体組立方法
KR102138601B1 (ko) 주상 변압기의 1차 부싱 체결구조
JP3161542U (ja) 杭頭構造
CN214272645U (zh) 一种高强度箱型柱拼接结构
KR102250244B1 (ko) 브라켓과 챤넬의 고정구조
JP3201474U (ja) 鉄骨材角部保護用治具
JP5191195B2 (ja) 家具天板の連結構造
JP4908362B2 (ja) ジョイント
KR20150001472U (ko) Frp 그레이팅에 결합이 용이한 킥 플레이트
JP6462616B2 (ja) 鋼材接合構造
JP5425652B2 (ja) 鉄骨材の連結機構
KR101931581B1 (ko) 결속조리개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의 파이프 보강 구조
JP2011133019A (ja) 配管クランプ
KR101992938B1 (ko) 봉 형태 부재 연결장치
KR102312401B1 (ko) 프레임 결합용 크로스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