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2401B1 - 프레임 결합용 크로스 브라켓 - Google Patents

프레임 결합용 크로스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2401B1
KR102312401B1 KR1020200061095A KR20200061095A KR102312401B1 KR 102312401 B1 KR102312401 B1 KR 102312401B1 KR 1020200061095 A KR1020200061095 A KR 1020200061095A KR 20200061095 A KR20200061095 A KR 20200061095A KR 102312401 B1 KR102312401 B1 KR 102312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rame
coupling
horizontal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1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정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조은데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조은데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조은데코
Priority to KR1020200061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24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2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2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2001/195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nodes and str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임 결합용 크로스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용접 방식으로 프레임 상호를 견고하게 결합 및 고정시킬 수 있고,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한 프레임 결합용 크로스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결합용 크로스 브라켓은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수직프레임과 수평레임 상호를 무용접 방식으로 결합 및 고정함으로써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고, 금속재뿐만 아니라 목재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프레임을 적용할 수 있으며, 결합 및 고정후에도 분리가 용이하여 프레임의 높이 및 수평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프레임 결합용 크로스 브라켓{Cross bracket for frame joining}
본 발명은 프레임 결합용 크로스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용접 방식으로 프레임 상호를 견고하게 결합 및 고정시킬 수 있고,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한 프레임 결합용 크로스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등 각종 산업현장에서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하여 각형으로 형성된 프레임 또는 파이프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특히 조립식으로 실내 벽체를 시공하는 현장에서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구조물을 형성할 때, 복수의 각형 프레임 또는 각형 파이프(이하, 프레임)들을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교차하도록 배치하여 구조물을 형성하고 있으며, 프레임이 만나는 부분을 용접을 하거나 볼트 등과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지지프레임 상호를 연결 및 고정시킨다.
그러나, 각형 프레임 또는 파이프를 용접으로 연결하는 경우, 용접에 따른 불편함은 물론, 용접에 의해서 형성된 돌출부(용접부)를 그라인딩하여 마감 처리했기 때문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작업효율이 저하되고, 특히 용접후에는 분리가 불가능하여 프레임의 높이 조정 및 수평 조정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7310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793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수직프레임과 수평레임 상호를 무용접 방식으로 결합 및 고정함으로써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고, 금속재뿐만 아니라 목재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프레임을 적용할 수 있으며, 결합 및 고정후에도 분리가 용이하여 프레임의 높이 및 수평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프레임 결합용 크로스 브라켓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결합용 크로스 브라켓은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된 일 측이 수직프레임의 측면과 후면에 접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된 타 측이 수평프레임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접하도록 결합되는 본체와; 상기 수평프레임의 전면에 일 측이 접하도록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와 함께 상기 수평프레임을 감싸 상기 수평프레임을 상기 본체에 고정시키는 고정클램프;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면에 후면이 밀착되고 상기 수평프레임의 후면에 전면이 밀착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좌우 폭 방향 일 측으로부터 상기 수직프레임을 향하는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직프레임의 측면에 밀착되는 제1수직결합플레이트와, 상기 수직결합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수직프레임의 후면에 걸리도록 결합되는 결합훅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로의 좌우 폭 방향 타 측으로부터 상기 수직프레임을 향하는 후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제2수직결합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하 폭 방향 양측으로부터 상기 수평프레임을 향하는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밀착되는 제1수평결합플레이트 및 제2수평결합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하 폭 방향 양측 또는 적어도 어느 일 측에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나란하게 소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면에 밀착 고정되는 보조결합편이 더 구비된다.
상기 고정클램프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전면에 밀착되는 밀착판과, 상기 밀착판의 일 측으로부터 상기 제1수평결합플레이트를 향해 일정 길이 연장되고 상기 제1수평결합플레이트의 단부에 마련된 걸림돌기를 내측으로 삽입할 수 있게 삽입부가 마련된 제1체결판과, 상기 제1체결판과 대향되는 밀착판의 타 측으로부터 상기 제2수평결합플레이트 및 상기 보조결합편을 향해 일정 길이 연장되고 단부가 상기 보조결합편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2체결판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클램프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전면에 밀착되는 밀착판과, 상기 밀착판의 상하 양측으로부터 각각 상기 제1수평결합플레이트 및 제2수평결합플레이트를 향해 일정 길이 연장되고 단부가 상기 보조결합편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1체결판 및 제2체결판을 포함한다.
상기 보조결합편과, 상기 제1체결판 또는 제2체결판의 단부에는 체결용 피스 또는 볼트가 통과할 수 있게 체결홀이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결합용 크로스 브라켓은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수직프레임과 수평레임 상호를 무용접 방식으로 결합 및 고정함으로써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고, 금속재뿐만 아니라 목재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프레임을 적용할 수 있으며, 결합 및 고정후에도 분리가 용이하여 프레임의 높이 및 수평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 결합용 크로스 브라켓을 이용하여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 상호를 결합 및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 결합용 크로스 브라켓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 결합용 크로스 브라켓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 결합용 크로스 브라켓을 이용하여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 상호를 결합 및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 결합용 크로스 브라켓의 분리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 결합용 크로스 브라켓의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결합용 크로스 브라켓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결합용 크로스 브라켓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 결합용 크로스 브라켓은 본체(100)와, 고정클램프(200)를 구비한다.
본체(100)는 수직프레임(10)과 수평프레임(20) 사이에 배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110)를 구비하고, 베이스플레이트(110)로부터 연장된 일 측이 일 측이 수직프레임(10)의 측면과 후면에 접하도록 결합되고, 베이스플레이트(110)로부터 연장된 타 측이 수평프레임(2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접하도록 결합된다.
본체(100)는 베이스플레이트(110), 제1수직결합플레이트(120), 결합훅(130), 제2수직결합플레이트(140), 제1수평결합플레이트(150), 제2수평결합플레이트(160)를 구비한다.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직프레임(10)의 전면에 후면이 밀착되고 수평프레임(20)의 후면에 전면이 밀착되는 것으로서, 사각 평판형으로 형성된다.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좌우 길이는 수직프레임(10)의 좌우 폭 또는 두께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수직결합플레이트(120)는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좌우 폭 방향 중 어느 일 측으로부터 수직프레임(10)을 향하는 후방으로 연장되어 수직프레임(10)의 측면에 밀착된다. 이때, 제1수직결합플레이트(120)는 수직프레임(10)의 전후 폭 또는 두께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다. 제1수직결합플레이트(120)에는 체결피스를 수직프레임(10)에 체결하기 위한 복수의 체결홀이 형성된다.
결합훅(130)은 수직프레임(10)의 후방을 향하는 제1수직결합플레이트(120)의 단부로부터 수직프레임(10)의 후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되게 연장되어 수직프레임(10)의 후면에 걸리도록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훅(130)은 수직프레임(10)의 후면 일부에 밀착 및 간섭될 수 있도록 짧은 길이로 형성한 것을 적용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더 길게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수직결합플레이트(140)는 제1수직결합플레이트(120)와 대향되는 베이스플레이트(110)로의 좌우 폭 방향 타 측으로부터 수직프레임(10)을 향하는 후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다. 제2수직결합플레이트(140)는 제1수직결합플레이트(120)와 다르게 제1수직결합플레이트(120)보다 짧게 형성되고, 중앙 측에 체결피스를 수직프레임(10)에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수직결합플레이트(140)의 상측과 하측 단부에는 각각 제2수직결합플레이트와 교차하고 수직프레임(10)의 측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소정 길이 돌출 및 연장된 제1간섭편(141)과 제2간섭편(142)이 형성된다. 제1간섭편(141)과 제2간섭편(142)은 서로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 및 연장된다.
제1수평결합플레이트(150)와 제2수평결합플레이트(160)는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하 폭 방향 양측으로부터 수평프레임(20)을 향하는 전방으로 각각 소정 길이 연장되어 수평프레임(2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밀착 결합된다.
제1수평결합플레이트(150)와 제2수평결합플레이트(160)는 수평프레임(20)의 전후 폭 또는 두께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며, 제1수평결합플레이트(150)와 제2수평결합플레이트(160) 사이의 간격은 수평프레임(20)의 상하 폭 또는 두께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수평결합플레이트(150)의 단부에는 후술하는 고정클램프(200)의 일 측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외측으로 돌출 또는 외측으로 절곡된 걸림돌기(151)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수평결합플레이트(150)에 걸림돌기(151)가 형성된 것을 적용하였으나, 제1수평결합플레이트(150) 또는 제2수평결합플레이트(160) 중에서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본체(100)에는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하 폭 방향 양측 또는 적어도 어느 일 측에 베이스플레이트(110)와 나란하게 소정 길이 연장되어 수직프레임(10)의 전면에 밀착 고정되는 보조결합편(170)이 더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조결합편(170)이 양측에 모두 구비된 것을 적용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양측 중 어느 일 측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각 보조결합편(170)에는 체결피스 또는 체결볼트가 통과할 수 있게 체결홀이 형성된다.
고정클램프(200)는 본체(100)에 삽입 및 지지된 수평프레임(20)을 본체(100)에 견고하게 결합 및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수평프레임(20)의 전면에 일 측이 접하도록 결합되고, 타 측은 본체(100)에 결합되어 본체(100)와 함께 수평프레임(20)을 감싸 수평프레임(20)을 본체(100)에 고정 및 결합시킨다.
고정클램프(200)는 밀착판(210)과, 제1체결판(220) 및 제2체결판(230)을 구비한다.
밀착판(210)은 본체(100)에 삽입 및 거치된 수평프레임(20)의 전면에 밀착되게 평평하게 형성되고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체결판(220)은 밀착판(210)의 상측 단부로부터 제1수평결합플레이트(150)를 향해 일정 길이 연장된다. 제1체결판(220)의 단부에는 제1수평결합플레이트(150)의 단부에 마련된 걸림돌기(151)를 내측으로 삽입할 수 있게 삽입부(221)가 마련된다. 삽입부(221)는 제1수평결합플레이트(150)의 단부에 외측으로 꺾인 형태로 형성된 걸림돌기(151)를 내측에 끼워 구속시킬 수 있도록 다단으로 절곡 형성되며, 내측에 삽입홈이 형성된다.
제2체결판(230)은 제1체결판(220)과 대향되는 밀착판(210)의 하측 단부로부터 제2수평결합플레이트(160) 및 보조결합편(170)을 향해 일정 길이 연장되고, 그 단부에는 보조결합편(170)을 감싸도록 외측으로 절곡된 덮개부(231)가 형성된다.
제2체결판(230)은 수직프레임(10)의 전면에 접하도록 제1체결판(22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제2체결판(230)의 단부에 구비된 덮개부(231)는 중앙 부분이 보조결합편(170)을 감싸면서 가장자리 측의 수직프레임(10)의 전면 측의 밀착될 수 있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2체결판(230)은 수평프레임(20)의 저면 및 제2수평결합플레이트(160)의 외주면에 완전 밀착될 수 있도록 제2수평결합플레이트(160)의 두께만큼 외측으로 단차진 단차부(232)가 형성된다. 제2체결판(230)의 덮개부(231)에는 보조결합편(170)에 형성된 체결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피스 또는 체결볼트가 통과할 수 있게 체결홀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고정클램프(200)는 제1체결판(220)의 삽입부(221)를 제1수평결합플레이트(150)의 단부에 구비된 걸림돌기(151)에 걸리도록 체결한 뒤 제1체결판(220) 반대측의 제2체결판(230)이 수직프레임(10)의 전면 측을 향하도록 회전시켜 본체(100)에 장착할 수 있으며, 체결피스 또는 체결볼트를 제2체결판(230)의 덮개부(231) 및 보조결합편(170)에 마련된 체결홀을 통해 수직프레임(10)으로 관통시켜 수직프레임(10)에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결합 및 고정시킴으로써 수평프레임(20) 또한 본체(100)에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결합 및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 결합용 크로스 브라켓이 도시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 결합용 크로스 브라켓은 본체(100)와, 고정클램프(20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 결합용 크로스 브라켓의 본체(100)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 결합용 크로스 브라켓의 본체(100)에 구비된 걸림돌기(151)가 생략된 형태로서, 걸림돌기(151)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 결합용 크로스 브라켓의 본체(100)와 동일하므로 중복설명을 생략한다.
고정클램프(200)는 본체(100)에 삽입 및 지지된 수평프레임(20)을 본체(100)에 견고하게 결합 및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수평프레임(20)의 전면에 일 측이 접하도록 결합되고, 타 측은 본체(100)에 결합되어 본체(100)와 함께 수평프레임(20)을 감싸 수평프레임(20)을 본체(100)에 고정 및 결합시킨다.
고정클램프(200)는 밀착판(210)과, 제1체결판(220) 및 제2체결판(230)을 구비한다.
밀착판(210)은 본체(100)에 삽입 및 거치된 수평프레임(20)의 전면에 밀착되게 평평하게 형성되고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체결판(220)은 밀착판(210)의 상측 단부로부터 각각 제1수평결합플레이트(150) 및 보조결합편(170)을 향해 일정 길이 연장되고, 그 단부에는 보조결합편(170)을 감싸도록 외측으로 절곡된 제1덮개부(223)가 형성된다.
제1체결판(220)의 단부에 구비된 제1덮개부(223)는 중앙 부분이 보조결합편(170)을 감싸면서 가장자리 측의 수직프레임(10)의 전면 측의 밀착될 수 있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1체결판(220)은 수평프레임(20)의 저면 및 제1수평결합플레이트(150)의 외주면에 완전 밀착될 수 있도록 제1수평결합플레이트(150)의 두께만큼 외측으로 단차진 제1단차부(222)가 형성된다. 제1체결판(220)의 제1덮개부(223)에는 보조결합편(170)에 형성된 체결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피스 또는 체결볼트가 통과할 수 있게 체결홀이 형성된다.
제2체결판(230)은 제1체결판(220)과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제2체결판(230)은 밀착판(210)의 하측 단부로부터 각각 제2수평결합플레이트(160) 및 보조결합편(170)을 향해 일정 길이 연장되고, 그 단부에는 보조결합편(170)을 감싸도록 외측으로 절곡된 제2덮개부(231)가 형성된다.
제2체결판(230)의 단부에 구비된 제2덮개부(231)는 중앙 부분이 보조결합편(170)을 감싸면서 가장자리 측의 수직프레임(10)의 전면 측의 밀착될 수 있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2체결판(230)은 수평프레임(20)의 저면 및 제2수평결합플레이트(160)의 외주면에 완전 밀착될 수 있도록 제2수평결합플레이트(160)의 두께만큼 외측으로 단차진 제2단차부(232)가 형성된다. 제2체결판(230)의 제2덮개부(231)에는 보조결합편(170)에 형성된 체결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피스 또는 체결볼트가 통과할 수 있게 체결홀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고정클램프(200)는 밀착판(210)이 수평프레임(20)의 전면을 향하도록 제1체결판(220)과 제2체결판(230) 사이로 수평프레임(20)을 삽입시키고 제1체결판(220)과 제2체결판(230)의 단부 즉, 제1덮개부(223)와 제2덮개부(231)를 각각 보조결합편(170)을 감싸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체결피스 또는 체결볼트를 체결구멍으로 관통시켜 수직프레임(10)에 체결함으로써 제1덮개부(223)와 제2덮개부(231)를 수직프레임(10)에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결합 및 고정시킴으로써 수평프레임(20) 또한 본체(100)에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결합 및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결합용 크로스 브라켓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수직프레임
20 : 수평프레임
100 : 본체
110 : 베이스플레이트
120 : 제1수직결합플레이트
130 : 결합훅
140 : 제2수직결합플레이트
141 : 제1간섭편
142 : 제2간섭편
150 : 제1수평결합플레이트
160 : 제2수평결합플레이트
170 : 보조결합편
200 : 고정클램프
210 : 밀착판
220 : 제1체결판
230 : 제2체결판

Claims (6)

  1.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된 일 측이 수직프레임의 측면과 후면에 접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된 타 측이 수평프레임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접하도록 결합되는 본체와;
    상기 수평프레임의 전면에 일 측이 접하도록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와 함께 상기 수평프레임을 감싸 상기 수평프레임을 상기 본체에 고정시키는 고정클램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결합용 크로스 브라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면에 후면이 밀착되고 상기 수평프레임의 후면에 전면이 밀착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좌우 폭 방향 일 측으로부터 상기 수직프레임을 향하는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직프레임의 측면에 밀착되는 제1수직결합플레이트와, 상기 제1수직결합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수직프레임의 후면에 걸리도록 결합되는 결합훅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로의 좌우 폭 방향 타 측으로부터 상기 수직프레임을 향하는 후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제2수직결합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하 폭 방향 양측으로부터 상기 수평프레임을 향하는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밀착되는 제1수평결합플레이트 및 제2수평결합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결합용 크로스 브라켓.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하 폭 방향 양측 또는 적어도 어느 일 측에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나란하게 소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면에 밀착 고정되는 보조결합편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결합용 크로스 브라켓.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램프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전면에 밀착되는 밀착판과, 상기 밀착판의 일 측으로부터 상기 제1수평결합플레이트를 향해 일정 길이 연장되고 상기 제1수평결합플레이트의 단부에 마련된 걸림돌기를 내측으로 삽입할 수 있게 삽입부가 마련된 제1체결판과, 상기 제1체결판과 대향되는 밀착판의 타 측으로부터 상기 제2수평결합플레이트 및 상기 보조결합편을 향해 일정 길이 연장되고 단부가 상기 보조결합편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2체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결합용 크로스 브라켓.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램프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전면에 밀착되는 밀착판과, 상기 밀착판의 상하 양측으로부터 각각 상기 제1수평결합플레이트 및 제2수평결합플레이트를 향해 일정 길이 연장되고 단부가 상기 보조결합편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1체결판 및 제2체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결합용 크로스 브라켓.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결합편과, 상기 제1체결판 또는 제2체결판의 단부에는 체결용 피스 또는 볼트가 통과할 수 있게 체결홀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결합용 크로스 브라켓.
KR1020200061095A 2020-05-21 2020-05-21 프레임 결합용 크로스 브라켓 KR102312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095A KR102312401B1 (ko) 2020-05-21 2020-05-21 프레임 결합용 크로스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095A KR102312401B1 (ko) 2020-05-21 2020-05-21 프레임 결합용 크로스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2401B1 true KR102312401B1 (ko) 2021-10-13

Family

ID=78114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1095A KR102312401B1 (ko) 2020-05-21 2020-05-21 프레임 결합용 크로스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240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310Y1 (ko) 2000-07-08 2000-12-15 주식회사한국환경종합건축사사무소 파이프의 연결구조
KR200277933Y1 (ko) 2002-03-22 2002-06-14 이균 각형 파이프 연결구조
KR100988019B1 (ko) * 2009-08-26 2010-10-19 주식회사 백림종합건축사사무소 내/외장 패널 설치구조
KR20120096130A (ko) * 2011-02-22 2012-08-30 강성호 패널 어셈블리
KR20120111825A (ko) * 2011-03-31 2012-10-11 손태창 지하이중벽용 경량철골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310Y1 (ko) 2000-07-08 2000-12-15 주식회사한국환경종합건축사사무소 파이프의 연결구조
KR200277933Y1 (ko) 2002-03-22 2002-06-14 이균 각형 파이프 연결구조
KR100988019B1 (ko) * 2009-08-26 2010-10-19 주식회사 백림종합건축사사무소 내/외장 패널 설치구조
KR20120096130A (ko) * 2011-02-22 2012-08-30 강성호 패널 어셈블리
KR20120111825A (ko) * 2011-03-31 2012-10-11 손태창 지하이중벽용 경량철골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2401B1 (ko) 프레임 결합용 크로스 브라켓
KR20130034669A (ko) 알루미늄 창호프레임 간의 연결구조
KR20170000826A (ko) 창틀 고정용 브라켓 제조방법
KR20170000040U (ko) 창틀 고정용 브라켓
KR101895448B1 (ko) 합벽지지대용 앙카볼트 고정구
JP6021831B2 (ja) ササラ桁の位置決め接合構造
JPH09177172A (ja) 集成材梁の継手構造
JP4326926B2 (ja) 梁受け金物
KR102445083B1 (ko) 큐브를 이용한 결합구조를 갖는 케이블 트레이
JP3865492B2 (ja) 柱梁の接合構造と接合金具、柱、およびユニット建物
KR20200032849A (ko) 조립식 방화문틀
JP4202242B2 (ja) 木造建築部材の連結金具
KR20140012371A (ko) 테이블용 레그 구조
KR101413269B1 (ko) 경량 형강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시스템
JP2006090060A (ja) 壁面パネルのコーナー連結構造
JP5199856B2 (ja) 外壁パネルの取付構造
JP2021134503A (ja) 接合連結具
JPH1151U (ja) 住宅の根太、野縁共用ブラケット
KR200356493Y1 (ko) 안치단의 구조
JP4735496B2 (ja) 柱と梁の接合構造
JPH0132380Y2 (ko)
KR200279203Y1 (ko) 철재문용 프레임
JP2552037Y2 (ja) 柱と梁の接合装置
JP2020048924A (ja) 家具
JP4028806B2 (ja) パネル連結金具およびパネルの連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