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6858B1 - Pma 조작이 가능한 부하 개폐기 - Google Patents

Pma 조작이 가능한 부하 개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6858B1
KR102476858B1 KR1020200126752A KR20200126752A KR102476858B1 KR 102476858 B1 KR102476858 B1 KR 102476858B1 KR 1020200126752 A KR1020200126752 A KR 1020200126752A KR 20200126752 A KR20200126752 A KR 20200126752A KR 102476858 B1 KR102476858 B1 KR 102476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movable shaft
spring
movable
electro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6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3392A (ko
KR102476858B9 (ko
Inventor
김선우
Original Assignee
김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우 filed Critical 김선우
Priority to KR1020200126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6858B1/ko
Publication of KR20220043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3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6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6858B1/ko
Publication of KR102476858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6858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28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 H01H33/38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using electro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6Rectilinearly-movable arma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2Driving mechanis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부하 개폐기는, 홀을 구비하며, 가동축이 상기 홀 안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동축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의 홀 내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한 가동축, 및 일측에서 상기 가동축의 하부에 연결되며, 타측에서 수동 핸들과 연결되어 정역 회전 가능한 회전축을 포함하는 PMA 구동부, 및 가동축에 평행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가동축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가동축의 투입 시에 상기 가동축이 투입 상태를 유지하도록 작용하는 단락 스프링축, 단락 스프링축과 개방 스프링축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단락 스프링축과 평행으로 배치되며 상기 가동축의 개방 시에 상기 가동축이 개방 상태를 유지하도록 작용하는 개방 스프링축을 포함하는 스프링축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PMA 조작이 가능한 부하 개폐기{LOAD BREAK SWITCH CAPABLE OF PMA MANIPULATION}
본 발명은 PMA(permanent magnetic actuator) 조작 및 수동 조작이 모두 가능한 부하 개폐기에 대한 것이다.
부하 개폐기는 전로를 개폐하는 장치로서, 전로를 개방하거나 연결하기 위한 장치를 의미한다. 부하 개폐기를 이상 상황에서 동작시킴으로써, 전로에 연결된 부하 또는 전로에 이상 상황 발생 시에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전로 및 부하는 철도에 배치되는 선로 및 부하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철도시설공단 규격인 KRSA-3113에는, 29kV 부하 개폐기에 대해, 전기 신호에 의한 PMA조작 및 사용자로부터의 직접 조작에 의한 수동 조작이 모두 가능한 구조로 설계되어야 함이 명시되어 있다. 이에 따라, 차단기에 PMA 조작 및 수동 조작이 모두 가능하도록 하는 부하 개폐기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91895호, 2009.04.03.
본원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원의 부하 개폐기는 일반PMA조작과 수동 조작이 가능하도록 PMA 메커니즘과 스프링 메카니즘이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본원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부하 개폐기는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개방/단락될 수 있으며, 수동조작으로도 개방/단락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부하 개폐기는 스프링 및 스프링축을 이용하여, 개방 시에 개방 스프링을 이용하여 적은 힘으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원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부하 개폐기는, 홀을 구비하며, 가동축이 상기 홀 안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동축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의 홀 내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한 가동축, 및 일측에서 상기 가동축의 하부에 연결되며, 타측에서 수동 핸들과 연결되어 정역 회전 가능한 회전축을 포함하는 PMA 구동부, 및 가동축에 평행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가동축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가동축의 투입 시에 상기 가동축이 투입 상태를 유지하도록 작용하는 단락 스프링축, 단락 스프링축과 개방 스프링축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단락 스프링축과 평행으로 배치되며 상기 가동축의 개방 시에 상기 가동축이 개방 상태를 유지하도록 작용하는 개방 스프링축을 포함하는 스프링축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부하 개폐기는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개방/단락될 수 있으며, 수동조작으로도 개방/단락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부하 개폐기는 스프링 및 스프링축을 이용하여, 개방 시에 개방 스프링을 이용하여 적은 힘으로 신속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부하 개폐기를 내장하는 하우징 및 부싱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부하 개폐기의 사시도이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부하 개폐기가 투입 상태인 경우의 평면도이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부하 개폐기의 개방 상태인 경우의 평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또한 제 1, 제 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부하 개폐기를 내장하는 하우징 및 부싱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a 및 1b에 따른, 본원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부하 개폐기의 전체적인 외형은 부싱(1), 부하 개폐기를 내장하는 하우징(2), 및 부하 개폐기를 수동으로 조작하기 위한 수동 핸들(3)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 내에 내장된 부하 개폐기는 부싱(1)을 통해 송전선에 연결될 수 있으며, 부하와 송전선을 연결/분리시키기 위해 단락/개방될 수 있다. 부하 개폐기는 PMA 구동부에 의해 단락/개방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수동 핸들(3)을 정/역 회전함으로써 부하 개폐기를 단락/개방시킬 수 있다. 부하 개폐기가 동작하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아래 도면들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원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부하 개폐기의 정격 전압(rated voltage)은 29kV, 절연내력(lightening impulse withstand voltage)은 250kV, 전력-주파수 내력(power-frequency withstand voltage)은 95kV, 주파수는 60Hz, 정격 전류(normal current)는 2000A, 단시간 내 전류(short-time withstand current)는 20kA/1s, 부분 방전(partial discharge)은 31.9kV에서 20pc 이하, 무게는 115kg으로 설정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하지만, 상술한 범위 제한은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변경 및 설정될 수 있어 본원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부하 개폐기의 PMA 구동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부하 개폐기의 PMA 구동부는 지지 부재(22), 가동축(21), 회전축(23), 제1 전자석(24), 제2 전자석(25)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22)는, 가운데에 홀을 구비하며, 가동축(21)이 홀 안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가동축(21)을 지지할 수 있다. 가동축(21)은, 지지 부재의 홀 내에서 일정 범위 내로 상하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일정 범위는, 투입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까지의 이동을 의미할 수 있다. 회전축(23)은, 일측에서 가동축(21)의 하부에 연결되며, 타측에서 수동 핸들과 연결되어 일정 범위 내로 정역 회전 가능할 수 있다. 가동축(21)은 일측에서, 예를 들어 도 2에서 가동축(21)의 하부에서 회전축(23)에 연결되므로, 회전축(23)이 사용자의 수동 핸들(3) 조작에 의한 정/역 회전할 때 가동축(21)이 일정 범위 내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가동축(21)은 제1 전자석(24) 및 제2 전자석(25)에 전류가 인가될 때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전자석(24)에 전류가 인가되면, 제1 전자석(24)은 가동축(21)에 투입 방향(도 2 기준으로 아래 방향)으로 자기력을 작용하여 가동축(21)이 투입 방향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고, 제2 전자석(25)에 전류가 인가되면, 제2 전자석(25)은 가동축(21)에 개방 방향(도 2 기준으로 위 방향)으로 자기력을 작용하여 가동축(21)이 개방 방향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전자석(24) 및 제2 전자석(25)에는 각각 별도의 라인이 구비되어 라인을 통해 전자석들에 전류 인가 시에 전자석들이 자기력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별도의 라인은 부하 개폐기와 별도의 제어부로부터의 신호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전자석(24)은 제2 전자석(25)에 비해 가동축(21)에 멀리 이격되어 있지만 가동축(21)을 안정적으로 투입 방향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제1 전자석(24)의 자기력은 제2 전자석(25)의 자기력보다 더 클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부하 개폐기의 스프링 구동부의 사시도이다.
본원의 스프링 구동부는, 단락 스프링축(31), 제1 스프링(32), 회전축(33), 개방 스프링축(34), 제2 스프링(35), 제1 연결부재(36), 제2 연결부재(37)를 포함할 수 있다. 단락 스프링축(31)은, 가동축(21)에 평행하도록 배치되며, 가동축(21)의 일측에 연결되어 가동축(21)의 투입 시에 투입 상태를 유지하도록 힘을 작용할 수 있다. 투입 상태란, 가동축(21)이 아래 방향으로 고정되어 부하가 송전선에 연결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스프링(32)은, 일측이 단락 스프링축(31)에 고정되어 상기 단락 스프링축(31)을 따라 상기 단락 스프링축(31)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투입 상태에서는 단락 스프링축(31)이 아래로 이동하므로 일측이 단락 스프링축(31)의 상부 측에 고정되어 있던 제1 스프링(32)이 늘어나 가동축(21)을 투입 상태로 고정시키도록 투입 방향(T)으로 탄성력을 작용할 수 있다. 회전축(33)은 도 2의 회전축(23)과 동일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수동 핸들(3)을 일정 범위 내에서 정역 회전 시에 회전축(33)도 도 2의 회전축(23)과 함께 회전하게 되며, 가동축(21)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개방 스프링축(34)은 제1 연결부재(36)에 연결되어 단락 스프링축(31)과 평행으로 배치되며 가동축(21)의 개방 시에 상기 가동축이 개방 상태를 유지하도록 작용할 수 있다. 제2 스프링(35)은 개방 스프링축(31)을 따라 개방 스프링축(31)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개방 상태에서 압축되어 투입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할 수 있다. 개방 상태란, 가동축(21)이 투입 반대 방향인 윗 방향(C)으로 고정되어 송전선과 부하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개방 스프링축(34)은 일측에서 제1 연결부재(36)를 통해 가동축(21)에 연결되고, 타측에서는 제2 연결부재(37)를 통해 지지부재(22)에 연결되어, 제1 연결부재(36) 및 제2 연결부재(37)의 일정 범위 내에서의 정역 회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스프링의 탄성 계수는 제1 스프링의 탄성계수보다 클 수 있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부하 개폐기가 투입 상태인 경우의 평면도이다.
이하, 도 4a 및 도 4b에서는 부하 개폐기의 가동축(21)이 투입 상태가 되도록 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제1 전자석(24) 또는 제2 전자석(25)에 의한 전동 조작에 대해 설명하면, 제2 전자석(25)의 전류 코일에 전류가 흘러 가동축(21)이 아랫 방향으로 내려가게 되며, 제2 전자석(25)의 자기력에 의해 가동축(21)이 지지부재(22)에 고정되게 된다. 이 때, 제2 전자석(25)에 의한 자기력으로, 가동축(21)에 연결된 단락 스프링축(31)이 아래 방향으로 내려가 투입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1 스프링(32)이 길어져 탄성력이 아래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즉, 가동축(21)에 제2 전자석(25)에 의한 자기력뿐 아니라 제1 스프링(32)에 의한 탄성력 또한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으로 부하를 송전선에 연결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개방 스프링축(34) 및 제2 스프링(35)은 정위치를 유지하여 개방 스프링축(34)의 이동에 의한 힘 및/또는 제2 스프링(35)의 탄성력은 작용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한 수동 핸들 조작에 대해 설명하면, 사용자가 수동 핸들과 연결되는 회전축(23)을 정방향(T)으로 회전시켜 가동축(21)이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여 투입 상태가 되도록 한다. 회전축(23)이 정방향(T)으로 회전하면, 가동축(21)에 연결된 단락 스프링축(31)이 아래 방향으로 내려가 투입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1 스프링(32)이 길어져 탄성력이 아래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즉, 이 경우에도 가동축(21)에 제2 전자석(25)에 의한 자기력뿐 아니라 제1 스프링(32)에 의한 탄성력 또한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으로 부하를 송전선에 연결시키도록 할 수 있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부하 개폐기의 개방 상태인 경우의 평면도이다.
이하, 도 5a 및 도 5b에서는 부하 개폐기의 가동축(21)이 개방 상태가 되도록 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제1 전자석(24) 또는 제2 전자석(25)에 의한 전동 조작에 대해 설명하면, 제1전자석(24)의 전류 코일에 전류가 흘러 가동축(21)이 윗 방향으로 올라가게 되며, 제1전자석(24)의 자기력에 의해 가동축(21)이 개방 상태가 된다. 개방 상태는, 가동축(21)이 지지부재(22)로부터 이격되어 부하와 송전선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제1전자석(24)의 전류 코일에 전류가 흘러 가동축(21)이 윗 방향으로 올라가게 되며, 단락 스프링축(31)도 함께 올라가 개방 상태가 된다. 이 경우, 제1 스프링은 도 4a 및 도4b에서와는 달리 탄성력을 작용하지 않거나, 가동축이 윗 방향으로 올라감에 따라 제1 스프링도 함께 윗 방향으로 이동 및 압축되어 개방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할 수 있다.
제1전자석(24)의 전류 코일에 전류가 흘러 가동축(21)이 윗 방향으로 올라가게 되며, 가동축(21)을 밀어내는 제1전자석(24)의 자기력에 의해 가동축(21)이 개방 상태가 된다. 개방 상태는, 가동축(21)이 지지부재(22)로부터 이격되어 부하와 송전선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제1전자석(24)의 전류 코일에 전류가 흘러 가동축(21)이 윗 방향으로 올라가게 되며, 단락 스프링축(31)이 위로 올라가 개방 상태가 된다. 이 때, 개방 스프링축(34)이 아래 방향으로 압축되어 투입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지만, 제2 스프링(35)의 탄성력이 작용하고 있어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개방 상태에서의 제2 스프링(35)의 탄성력은 개방 스프링축(34)의 이동에 의해 가동축(21)에 작용하는 힘보다 클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한 수동 핸들 조작에 대해 설명하면, 사용자가 수동 핸들과 연결되는 회전축(23)을 역방향(C)으로 회전시켜 가동축(21)이 윗 방향으로 이동하여 개방 상태가 되도록 한다. 회전축(23)이 역방향(C)으로 회전하면, 가동축(21)에 연결된 단락 스프링축(31)이 윗 방향으로 올라가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개방 스프링축(34)이 아래 방향으로 압축되어 투입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지만, 제2 스프링(35)의 탄성력이 작용하고 있어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수동 핸들과 연결되는 축이 회전하여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단락 스프링축은 개방 스프링축의 힘에 의해 올라가며 가동축에 걸리는 힘은 윗방향으로 작용한다.
개방 스프링축(34)은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여 가동축(21)의 투입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지만, 제2 스프링(35)의 탄성력이 그 반대 방향인 개방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어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수동 핸들을 회전 시켜 가동축(21)을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개방 상태에서의 상기 제2 스프링의 탄성력은 상기 개방 스프링축의 이동에 의해 상기 가동축에 작용하는 힘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여 서로의 힘을 상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수동 조작에 의한 개방 시에 스프링축과 스프링의 힘을 상쇄함으로써 더 적은 힘으로 신속히 개방이 가능하도록 하여, 부하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큰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탄성력은 상기 개방 스프링축의 이동에 의해 상기 가동축에 작용하는 힘보다 작도록 하여, 가동축이 개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부하 개폐기는, 홀을 구비하며, 가동축이 상기 홀 안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동축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의 홀 내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한 가동축, 및 일측에서 상기 가동축의 하부에 연결되며, 타측에서 수동 핸들과 연결되어 정역 회전 가능한 회전축을 포함하는 PMA 구동부, 및 가동축에 평행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가동축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가동축의 투입 시에 상기 가동축이 투입 상태를 유지하도록 작용하는 단락 스프링축, 단락 스프링축과 개방 스프링축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단락 스프링축과 평행으로 배치되며 상기 가동축의 개방 시에 상기 가동축이 개방 상태를 유지하도록 작용하는 개방 스프링축을 포함하는 스프링축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부하 개폐기는, 상기 PMA 구동부는, 전류 인가 시에 상기 가동축에 투입 방향으로 전자기력을 작용하여 상기 가동축을 투입 상태로 고정시키는 제1 전자석, 및 전류 인가 시에 상기 가동축에 투입 반대 방향으로 전자기력을 작용하여 상기 가동축을 개방 상태로 고정시키는 제2 전자석을 더 포함하고, 제1 전자석의 자기력은 제2 전자석의 자기력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부하 개폐기는, 상기 단락 스프링축을 따라 단락 스프링축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투입 상태에서 상기 가동축을 고정시키도록 투입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제1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개방 스프링축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개방 상태에서 압축되어 투입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프링은 상기 제1 스프링보다 더 큰 탄성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부하 개폐기에 있어서, 상기 개방 상태에서의 상기 제2 스프링의 탄성력은 상기 개방 스프링축의 이동에 의해 상기 가동축에 작용하는 힘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며, 상기 탄성력은 상기 개방 스프링축의 이동에 의해 상기 가동축에 작용하는 힘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 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부하 개폐기에 있어서,
    홀을 구비하며, 가동축이 상기 홀 안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동축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의 홀 내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한 가동축; 및
    일측에서 상기 가동축의 하부에 연결되며, 타측에서 수동 핸들과 연결되어 정역 회전 가능한 회전축을 포함하는 PMA 구동부; 및
    가동축에 평행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가동축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가동축의 투입 시에 상기 가동축이 투입 상태를 유지하도록 작용하는 단락 스프링축;
    단락 스프링축과 개방 스프링축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단락 스프링축과 평행으로 배치되며 상기 가동축의 개방 시에 상기 가동축이 개방 상태를 유지하도록 작용하는 개방 스프링축을 포함하는 스프링축 구동부;
    상기 단락 스프링축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투입 상태에서 상기 가동축을 고정시키도록 투입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제1 스프링;
    상기 개방 스프링축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개방 상태에서 압축되어 투입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프링은 상기 제1 스프링보다 더 큰 탄성 계수를 가지고,
    상기 개방 상태에서의 상기 제2 스프링의 탄성력은 상기 개방 스프링축의 이동에 의해 상기 가동축에 작용하는 힘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며, 상기 탄성력은 상기 개방 스프링축의 이동에 의해 상기 가동축에 작용하는 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 개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MA 구동부는:
    전류 인가 시에 상기 가동축에 투입 방향으로 전자기력을 작용하여 상기 가동축을 투입 상태로 고정시키는 제1 전자석; 및
    전류 인가 시에 상기 가동축에 투입 반대 방향으로 전자기력을 작용하여 상기 가동축을 개방 상태로 고정시키는 제2 전자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자석의 자기력은 상기 제2 전자석의 자기력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 개폐기.
  3. 삭제
  4. 삭제
KR1020200126752A 2020-09-29 2020-09-29 Pma 조작이 가능한 부하 개폐기 KR102476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752A KR102476858B1 (ko) 2020-09-29 2020-09-29 Pma 조작이 가능한 부하 개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752A KR102476858B1 (ko) 2020-09-29 2020-09-29 Pma 조작이 가능한 부하 개폐기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3392A KR20220043392A (ko) 2022-04-05
KR102476858B1 true KR102476858B1 (ko) 2022-12-12
KR102476858B9 KR102476858B9 (ko) 2023-04-12

Family

ID=81182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6752A KR102476858B1 (ko) 2020-09-29 2020-09-29 Pma 조작이 가능한 부하 개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685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930B1 (ko) * 2007-01-03 2008-05-22 헤벨 주식회사 변전설비 차단기
KR100874838B1 (ko) 2008-09-29 2008-12-18 주식회사 광명전기 차단기 및 부하개폐기의 수동조작장치
KR100891895B1 (ko) * 2008-09-02 2009-04-03 주식회사 광명전기 스위치기어 및 배전반에 사용되는 차단기 및 부하개폐기의 수동조작장치
KR101103318B1 (ko) 2010-09-13 2012-01-11 (주)테크프로 수동조작 기능을 갖는 개폐조작 장치
KR101954637B1 (ko) * 2018-07-09 2019-03-21 디에이치파워 주식회사 전자기력을 이용한 직선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930B1 (ko) * 2007-01-03 2008-05-22 헤벨 주식회사 변전설비 차단기
KR100891895B1 (ko) * 2008-09-02 2009-04-03 주식회사 광명전기 스위치기어 및 배전반에 사용되는 차단기 및 부하개폐기의 수동조작장치
KR100874838B1 (ko) 2008-09-29 2008-12-18 주식회사 광명전기 차단기 및 부하개폐기의 수동조작장치
KR101103318B1 (ko) 2010-09-13 2012-01-11 (주)테크프로 수동조작 기능을 갖는 개폐조작 장치
KR101954637B1 (ko) * 2018-07-09 2019-03-21 디에이치파워 주식회사 전자기력을 이용한 직선 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3392A (ko) 2022-04-05
KR102476858B9 (ko) 2023-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9513B2 (en) Contactor arrangement for use in dielectric liquid
CA2704408C (en) Inertial catch for an automatic transfer switch power contactor
JP5826379B2 (ja) 開閉装置
US11152178B2 (en) Disconnect switches with combined actuators and related circuit breakers and methods
US10957505B2 (en) Disconnect switch assemblies with a shared actuator that concurrently applies motive forces in opposing directions and related circuit breakers and methods
EP3190600B1 (en) A switching device with a suspended mobile contact assembly
KR102476858B1 (ko) Pma 조작이 가능한 부하 개폐기
US8754730B2 (en) Electromagnetically operated switching device
EP3046128B1 (en) Shunt breaking system
JP2002352650A (ja) 開閉接点および開閉器
US20230123517A1 (en) Switching device
KR100798340B1 (ko) 한류기능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
KR100676967B1 (ko) 배선용 차단기
JP4901621B2 (ja) 開閉装置
KR100831708B1 (ko) 반발형 회로차단기의 접촉자장치
KR101072547B1 (ko) 고압차단기의 가스절연 개폐장치
EP4000085B1 (en) Relay
EP2941778B1 (en) Support assembly for a micro-switch of a switching device
KR200494885Y1 (ko) 단로기
US9064644B2 (en) Structure for limiting back-travel of interrupters on circuit breakers
AU2016259339B2 (en) Electric power switch
KR20030070422A (ko) 한류형 차단기
KR20090109482A (ko) 폐쇄 및 래치 성능이 개선된 회로 차단기
WO2012045057A1 (en) Bus transf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