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9355B1 - 가공 배전선로 전신주 애자고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공 배전선로 전신주 애자고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9355B1
KR102459355B1 KR1020210194229A KR20210194229A KR102459355B1 KR 102459355 B1 KR102459355 B1 KR 102459355B1 KR 1020210194229 A KR1020210194229 A KR 1020210194229A KR 20210194229 A KR20210194229 A KR 20210194229A KR 102459355 B1 KR102459355 B1 KR 102459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buried
insert
photographing
ins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4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광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타우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타우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타우기술단
Priority to KR1020210194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93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9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9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14Supporting insulators
    • H01B17/16Fastening of insulators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Landscapes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 배전선로 전신주 애자고정 시스템으로서, 선로의 애자고정을 위한 애자고정 시스템을 포함하되, 상기 애자고정 시스템은 상기 애자고정을 위하여 설치되는 상기 애자고정 시스템과 상기 애자고정 시스템 주변을 관리하도록 상기 애자고정 시스템 주변에 배치되는 관리유닛에 의하여 관리가 되는 가공 배전선로 전신주 애자고정 시스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가공 배전선로 전신주 애자고정 시스템{Track insulator system}
본 발명은 가공 배전선로의 전신주 애자 연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완철에 설치되어 전신주(전주)에 가공 배전선로를 안정적으로 고정함과 동시에 애자가 손상된 경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구동모터에 대한 점검을 통해 원활한 작동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가공 배전선로의 전신주 애자고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애자의 경우 일반적으로 상면으로 가공 배전선로가 안착되고, 안착된 가공 배전선로와 애자의 상부를 합성수지재가 피복된 감김부재를 이용하여 감아 줌으로써 가공 배전선로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다.
하지만, 애자가 손상되는 경우, 애자를 교체하기 위하여 일단 가공 배전선로으로의 전력 흐름을 차단한 상태에서 가공 배전선로와 애자를 감고 있는 감김부재를 풀어 해제하고, 감김부재를 완전히 해제시켜 준 상태에서 새로운 애자로 교체하며, 교체한 이후에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재차 감아 고정해야 하는 일련의 교체과정이 상당히 복잡하고 교체시간이 오래 소요될 뿐만 아니라 교체 과정에 전력이 차단되므로 사용자들이 전력사용을 할 수없는 문제점이 있다.
무엇보다 애자고정을 위한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어 이에 대한 관리와 그 주변부 환경에 대한 관리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완철에 설치되어 전신주에 가공배전선로를 안정적으로 고정함과 동시에 애자가 손상된 경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구동모터에 대한 점검을 통해 원활한 작동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가공 배전선로의 전신주 애자 연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가공 배전선로 전신주 애자고정 시스템의 제공과정에 있어 취급상의 문제점과 절차위반, 결합 설치 등의 오류 등 초기 준비과정을 전반적으로 관리하고 조기에 문제점을 발견하여 사전적으로 안정적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가공 배전선로 전신주 애자고정 시스템의 설치과정에 있어 취급상의 문제점과 절차위반, 결합 설치 등의 오류 등 중간과정을 전반적으로 관리하고 문제점을 발견하고 대응하도록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가공 배전선로 전신주 애자고정 시스템의 설치 후 동작과정을 관리하여 운용상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담보하고 이상발생시 즉각적인 대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다양한 시점에서 관리되는 과정의 데이터를 확보하여 추후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과 손해 등을 보다 명확하게 검증하고 파악하여 다툼의 소지를 명확하게 판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가공 배전선로 전신주 애자고정 시스템 관리를 위한 수단으로서 다양한 여건에서 최적의 동작 조건을 관리 유지하기 위한 구조적 특징을 가지는 관리수단이 마련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가공 배전선로 전신주 애자고정 시스템 관리를 위한 수단이 자체적으로 외부 환경과 오염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되어 핵심적인 상황 관리(예: 모니터 등) 역할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가공 배전선로 전신주 애자고정 시스템으로서, 선로의 애자고정을 위한 애자고정 시스템을 포함하되, 상기 애자고정 시스템은 상기 애자고정을 위하여 설치되는 상기 애자고정 시스템과 상기 애자고정 시스템 주변을 관리하도록 상기 애자고정 시스템 주변에 배치되는 관리유닛에 의하여 관리가 되는 가공 배전선로 전신주 애자고정 시스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완철에 설치되어 전신주와 가공 배전선로를 연결하면서 가공 배전선로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애자가 손상된 경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동모터에 대한 점검을 통해 원활한 작동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공 배전선로 전신주 애자고정 시스템의 제공과정에 있어 취급상의 문제점과 절차위반, 결합 설치 등의 오류 등 초기 준비과정을 전반적으로 관리하고 조기에 문제점을 발견하여 사전적으로 안정적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공 배전선로 전신주 애자고정 시스템의 설치과정에 있어 취급상의 문제점과 절차위반, 결합 설치 등의 오류 등 중간과정을 전반적으로 관리하고 문제점을 발견하고 대응하도록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공 배전선로 전신주 애자고정 시스템의 설치 후 동작과정을 관리하여 운용상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담보하고 이상발생시 즉각적인 대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시점에서 관리되는 과정의 데이터를 확보하여 추후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과 손해 등을 보다 명확하게 검증하고 파악하여 다툼의 소지를 명확하게 판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공 배전선로 전신주 애자고정 시스템 관리를 위한 수단으로서 다양한 여건에서 최적의 동작 조건을 관리 유지하기 위한 구조적 특징을 가지는 관리수단이 마련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공 배전선로 전신주 애자고정 시스템 관리를 위한 수단이 자체적으로 외부 환경과 오염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되어 핵심적인 상황 관리(예: 모니터 등) 역할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 배전선로의 전신주 애자 연결시스템을 나타낸 결합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 배전선로의 전신주 애자 연결시스템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 배전선로의 전신주 애자 연결시스템을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 배전선로의 전신주 애자 연결시스템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 배전선로의 전신주 애자 연결시스템에서 보호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보호부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도 7 내지 도 13는 도 1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가공 배전선로의 전신주 애자 연결시스템은 전주(P)의 상부에고정밴드(B)를 매개로 설치고정되는 완철(10), 완철(10)에 설치되는 구동모터(20), 구동모터(20)에 설치되는 회전드럼(30), 회전드럼(40)의 둘레면에 설치 고정되는 절연부재(40), 회전드럼(30)를 축 지지하는 축지지부재(50), 완철(10)의 상면에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가공 배전선로(L)를 안착할 수 있도록 된 선로지지부(60) 및 완철(10)에 설치되어 구동모터(20)를 동작제어하는 스위치부(70)로 구성된다.
상기 완철(10)은, 일단이 개방된 설치홈(11-1)을 갖추고서, 전주(P)의 상부에 고정밴드(B)를 매개로 전주(P)와교차되게 설치되는 바디부(11)와, 일측에 개구부(12-1)를 갖추고서, 설치홈(11-1)이 형성된 바디부(11)에 다수개의 나사부(S)를 매개로 고정설치되는 커버(1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설치홈(11-1)이 형성된 외면 가장자리에는 체결공(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이 형성되어 나사부(S)가 체결된다.
상기 커버(12)의 외면에는 적어도 2면이 이상이 개방된 사각형상의 개구부(12-1)가 형성되며, 개구부(12-1)로 이후에 설명될 회전드럼(30)과 스페이서(S)가 삽입된다.
또한, 상기 커버(12)의 가장자리와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장착공(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공(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으로 다수개의 나사부(S)와 축지지부재(50)가 각각 삽입되어 체결된다.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완철(10)의 바디부(11)와 커버(12)에 형상을 사각형상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원형 봉 또는 다면체로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사각형상의 모양과 형상에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바디부(11)의 설치홈(11-1)에는 구동모터(20)가 삽입되어 고정설치되는데, 구동모터(20)에는 외면에 다수개의 요홈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스플라인축(21)이 형성되며, 상기 스플라인축(21)은 이후에 설명될 회전드럼(30)의 삽입홈(31)과 결합된다.
따라서, 구동모터(20)가 회전될 때에 스플라인축(21)과 삽입홈(31)이 요철 형태로 이루면서 상호 맞물리게 결합됨으로, 회전드럼(30)을 용이하게 회동시켜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드럼(30)에 설치되는 절연부재(40) 및 절연부재(40)에 고정되는 가공 배전선로(L)의 자중을 맞물린 상태에서 지지함으로 견실하게 견딜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 구동모터(20)을 설치홈(11-1)에 실장한 이후에는 우수 등이 내부로 침입할 수 없도록 설치홈(11-1)과 구동모터(20) 사이의 틈새를 실링 처리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구동모터(20)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드럼(30)은, 전체적인 형상이 단봉 형상으로, 일측 내주면에는 스플라인축(21)과 상호 맞물리는 삽입홈(31)과, 타측에 길이방향으로 개구되어 축지지부재(50)가 삽입되는 장착공(32)과, 둘레면에 외향으로 개구되어 이후에 설명될 절연부재(40)가 체결되는 체결공(3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드럼(30)에 고정설치되는 절연부재(40)는, 다수개의 타원형이 적층된 구조를 이루는 세라믹재질의 절연재에 상부와 하부에 단봉이 각각 형성되되, 상부 단봉에는“Ω”형상의 고정부(41)가 형성되고, 하부 단봉의 외면에는 나사탭이 형성되어 회전드럼(30)의 체결공(33)에 결합고정된다.
상기 완철(10)의 상면에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가공 배전선로(L)를 안착할 수 있도록 된 선로지지부(60)는 일단과 타단이 각각 외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면으로 가공 배전선로(L)가 안착될 수 있도록 된 한 쌍의 선로지지편(61)과, 일단이 완철(10)의 바디부(11)와 커버(12)의 상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선로지지편(61)의 외면에 각각 고정되어 선로지지편(61)을 일 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탄지편(62)으로 이루어진다.
선로지지편(61)은,“ㄱ”자형상의 지지편(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이 형성되고,“ㄱ”자 형상의 지지편 각단부에는 외향 경사지는 가이드편(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이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ㄱ”자 형상의 지지편(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의 외면에는 일단이 외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완철(10)의 바디부(11)와 커버(12)의 상면에 고정되는 탄지편(62)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완철(10)의 외면에는 스위치부(70)가 설치되며, 스위치부(70)는 구동모터(20)를 동작제어한다.
상기 선로지지편(61)과 탄지편(62)으로 이루어진 선로지지부(60)와 절연부재(40)의 고정부(41)는 고압의 가공배전선로(L)와 접촉되었을 때에 전류가 통전되지 않는 절연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구동모터(20)로의 전력공급은 전주(P)에 설치된 변압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절연부재(40)의 손상 또는 노후로 인해 교체해야 하는 경우에도 가공 배전선로(L)의 전력을 차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절연부재(40)을 교체하고, 구동모터(20)을 작동시켜 가공 배전선로(L)를 재차 억류시켜 고정할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구동모터(20)와 회전드럼(30) 및 절연부재(40)를 통해 가공 배전선로(L)를 억류 및 해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공 배전선로(L)의 전력차단으로 인하여 전력사용을 할 수 없었던 사용자들이 불편함을 원천적으로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직접 가공 배전선로(L)를 만질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감전에 의한 전기안전사고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함과 동시에 교체작업에 따른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력에 의해 절연부재(40)가 손상 또는 노후로 인하여 그 기능을 상실하게 되면, 작업자는 전주(P)를 타고 올라가 가공 배전선로(L)를 억류하고 있는 절연부재(40)의 고정부(41)에 억류상태를 해제하여 교체작업을 진행하게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작업자가 전주(P)에 올라간 상태에서 완철(10)에 설치된 스위치부(70)를 누르게되면, 구동모터(20)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구동모터(20)와 결합된 회전드럼(30) 역시 함께 회전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드럼(30)에 고정설치된 절연부재(40) 역시 함께 회전되면서 고정부(41)에 억류되어 있던 가공배전선로(L)는 서서히 이탈되고, 절연부재(40)가 완전히 회전되어 9시 방향에 위치되면 고정부(41)에서 완전히이탈되어 가공 배전선로(L)는 자중에 의해 낙하된다.
이때, 절연부재(40)에 의해 상호 이격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한 쌍의 선로지지편(61)은 탄지편(62)의 탄발력에 의해 임의간격을 이루며 원상회복하기 때문에 가공 배전선로(L)가 낙하 되더라도 안전하게 받쳐 지지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스위치부(70)를 조작하여 절연부재(40)에서 가공 배전선로(L)를 해제시켜 준 이후에는 작업자가 손상 또는 노후된 절연부재(40)를 회전드럼(30)에서 해체하고, 새 절연부재(40)로 교체하여 회전드럼(30)에 장착시켜준다.
상기 새 절연부재(40)를 회전드럼(30)에 장착시켜 준 이후에는 완철(10)에 설치된 스위치부(70)를 재차 조작하여 구동모터(20)를 작동시켜 주게 되는데, 동작되는 구동모터(20)에 의해 회전드럼(3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때 회전드럼(30)에 장착된 새 절연부재(40) 역시 함께 회전되면서, 선로지지편(61)에 안착되어 있던가공 배전선로(L)에 결합되면서 가공 배전선로(L)를 억류하게 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둘레면에 새 절연부재(40)가 설치된 회전드럼(30)이 구동모터(20)에 의해 회동되면, 새 절연부재(40)의 상부 단봉(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이 선로지지편(61)의 하부 가이드편(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 사이로 삽입되면서 간격이 점진적으로 이격되고, 이때 선로지지편(61)에 안착되어 있던 가공배전선로(L)는 축 중심으로 회전되는 고정부(41)로 자중과 밀고 들어가려는 힘에 의해 자연스럽게 삽입, 억류되어 도 4a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공 배전선로의 전신주 애자 연결시스템은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20)를 보호하는 보호부(100)를 더 포함한다.
보호부(100)는 구동모터(20)에 대한 점검을 통해 원활한 작동상태가 유지되면서 구동모터(20)가 보호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바디부(11)는 하부에 설치홈(11-1)과 연통되는 개구부(11-2)가 형성된다.
설치홈(11-1)은 바디부(11)의 타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개구부(11-2)와 연통될 수 있다.
보호부(100)는 개구부(11-2)를 개폐하는 보호판(110), 보호판(110)의 일측을 바디부(11)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경첩(120), 개구부(11-2)가 닫힌 상태에서 보호판(110)을 결속하는 닫힘수단(130) 및 개구부(11-2)가 개방된 상태에서 보호판(110)을 결속하는 개방수단(140)을 포함한다.
보호판(110)은 가장자리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개구부(11-2)를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첩(120)은 공지된 일반적인 형태를 이루면서 보호판(110)의 일측을 바디부(11)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한다.
보호판(110)은 중앙부를 중심으로 일측에 배치되며 경첩(120)에 의해 바디부(1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좌측판(111)과, 좌측판(111)의 타측에 배치되는 우측판(112)으로 나뉘면서 절첩부재(113)에 의해 접이 가능하게연결된다.
이에 따라, 우측판(112)은 절첩부재(113)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보호판(110)이 접이되며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보호판(110)은 좌,우측판(111,112)으로 분기되면서 개방시, 접이를 통해 바디부(11)의 하부로부터 하방향으로연장되는 길이가 줄 수 있다.
닫힘수단(130)은 닫힌 상태의 보호판(110)이 외력 등에 의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개구부(11-2)의 차단 상태 유지되도록 한다.
닫힘수단(130)은 보호판(110)의 타측에 위치되며 상부가 바디부(11)의 하부에 고정되는 닫힘바(131), 보호판(110)의 타측으로부터 닫힘바(131) 방향으로 돌출되는 닫힘돌기(132), 닫힘바(131)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바(133), 닫힘돌기(132)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가 승강바(133)를 통과하는 닫힘구(134) 및 승강바(133)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닫힘바(131)로 나사결합되면서 보호판(110)을 닫힘하는 닫힘부재(135)를 포함한다.
닫힘바(131)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닫힘부재(135)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닫힘바(131)로 나사결합된다.
닫힘바(131)는 하부에 이탈방지판(136)이 구비되면서 풀림 회전에 따라 하강되는 닫힘부재(135)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닫힘구(134)는 상부에 머리부(134a)가 형성되고 닫힘돌기(132)의 하부에 이탈방지링(134b)이 형성되면서 닫힘돌기(132)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된다. 닫힘구(134)는 닫힘부재(135)의 조임 회전시, 승강바(133)가 이탈방지링(134b)을 가압하면서 바디부(11)로 밀착된다.
이탈방지링(134b)은 닫힘구(134)로 나사결합되면서 회전에 따라 닫힘돌기(132)로 밀착될 수 있다. 보호판(110)은 닫힘돌기(132)가 머리부(134a)와 이탈방지링(134b) 간에 위치되면서 바디부(110)로 밀착될 수 있다.
승강바(133)는 닫힘부재(135)를 풀림함으로써 닫힘구(134)로부터 분리되고 일측이 보호판(110)과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됨으로써 보호판(110)에 대한 개방시, 닫힘돌기(132)와 부딪치지 않을 수 있다.
개방수단(140)은 보호판(110)의 일측 하부 다시 말하면, 좌측판(111)의 일측 하부에 구비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닫힘구(134)가 나사결합되면서 개방된 보호판(110)이 고정되도록 한다.
우측판(112)은 개방시, 닫힘구(134)가 개방수단(140)으로 나사결합되면서 좌측판(111)에 결속될 수 있다. 보호판(110)은 우측판(112)이 좌측판(111)에 결속됨에 따라 하중에 의해 회전되면서 바디부(11)와 대략 수직을 이루며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보호부(100)는 설치홈(11-1)의 내부 타면으로부터 구동모터(20)를 지지하는 지지수단(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수단(150)은 외력 등에 의해 구동모터(20)가 설치홈(11-1)의 타면으로 진행되는 것을 방지한다.
지지수단(150)은 타단부가 설치홈(11-1)의 내부 타면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지지바(151), 지지바(151)의 일단부로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구동모터(20)에 접하는 가압바(152)를 포함한다. 지지바(151)는 타단부가 힌지결합에 의해 설치홈(11-1)의 내부 타면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지지바(151)는 타단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구동모터(20)에 대한 지지시, 일단부가 구동모터(20)를 향하고, 구동모터(20)에 대한 점검시, 하방향을 향할 수 있다.
지지바(151)는 일단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가압바(152)는 타단부가 개방되는 한편,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지지바(151)의 외측으로 나사결합된다.
가압바(152)는 회전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구동모터(20)와의 이격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가압바(152)는 일단부에 압착부재(153)가 구비될 수 있다.
압착부재(153)는 고무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면서 구동모터(20)로의 접촉면적이 증가하도록 하는 한편, 미끄러짐없이 안정적으로 접촉되도록 한다.
보호부(100)는 개구부(11-2)를 통해 설치홈(11-1)으로 설치된 구동모터(20)에 대한 점검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있는 것은 물론, 구동모터(20)에 대한 이상 발견시, 설치홈(11-1)으로부터 구동모터(20)를 분리하여 다른 구동 모터로의 교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보호부(100)는 구동모터(20)에 대한 점검을 통해 원활한 작동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3를 참조하면 가공 배전선로 전신주 애자고정 시스템으로서, 선로의 애자고정을 위한 애자고정 시스템을 포함하되, 상기 애자고정 시스템은 상기 애자고정을 위하여 설치되는 상기 애자고정 시스템과 상기 애자고정 시스템 주변을 관리하도록 상기 애자고정 시스템 주변에 배치되는 관리유닛에 의하여 관리가 된다.
여기서 상기 애자고정 시스템은, 일단이 개방된 설치홈(11-1)을 갖추고서, 고정밴드(B)를 매개로 전주(P)와 교차되게 설치되는 바디부(11)와, 일측에 개구부(12-1)를 갖추고서, 바디부(11)에 고정설치되는 커버(12)로 이루어진 완철(10); 설치홈(11-1)에 설치되는 구동모터(20); 개구부(12-1)에 배치되는 회전드럼(30); 일단에 “Ω”형상의 고정부(41)를 갖추고서, 타단이 회전드럼(30)의 둘레면에 설치고정되는 절연부재(40); 커버(12)에 체결되어 회전드럼(30)을 축 지지하는 축지지부재(50); 일단과 타단이 각각 외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면으로 가공 배전선로(L)가 안착될 수 있도록 된 한 쌍의 선로지지편(61)과, 일단이 바디부(11)와 커버(12)의 상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선로지지편(61)의 외면에 각각 고정되어 선로지지편(61)을 탄발지지하는 탄지편(62)으로 이루어진 선로지지부(60); 및 바디부(11)의전면에 설치되어 구동모터(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부(70)로 구성된다.
이러한 시스템은 관리유닛에 의하여 설치상태 또는 운영상태가가 감시관리된다.
상기 관리유닛은, 설정된 구간을 촬영하여 상태관리, 보안관리 및 안전관리를 수행한다.
상기 관리유닛은,지면(S')에 매설되는 제1매설몸체(111')와, 상기 제1매설몸체(111')와 이웃하며 지면(S')에 매설되는 제2매설몸체(112')와, 상기 제2매설몸체(112')와 이웃하며 지면(S')에 매설되는 제3매설몸체(113')와, 상기 제3매설몸체(113')와 이웃하며 지면(S')에 매설되는 제4매설몸체(114')와, 상기 제1매설몸체(111')와 상기 제2매설몸체(112')사이에 장착되는 제1장착몸체와, 상기 제2매설몸체(112')와 상기 제3매설몸체(113')사이에 장착되는 제2장착몸체와, 상기 제3매설몸체(113')와 상기 제4매설몸체(114')사이에 장착되는 제3장착몸체와, 상기 제1장착몸체 내지 상기 제3장착몸체의 상부로 설치되는 지지패널부(121')와, 상기 지지패널부(121')상에 설치되며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모듈(122')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회전모듈(122') 둘레부 일측에 설치되는 제1상부촬영체(124')와, 상기 회전모듈(122') 둘레부 일측에 제1상부촬영체(124') 보다 낮게 설치되는 제1하부촬영체(123')를 포함하는 제1촬영모듈과, 상기 회전모듈(122') 둘레부 타측에 설치되는 제2상부촬영체(126')와, 상기 회전모듈(122') 둘레부 타측에 제2상부촬영체(126') 보다 낮게 설치되는 제2하부촬영체(125')를 포함하는 제2촬영모듈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촬영모듈 내지 상기 제2촬영모듈은 상기 회전모듈(122')의 회전을 통해 둘레부를 촬영하되, 연속적인 둘레부 회전 혹은 설정 범위로의 한정된 둘레부 회전을 통해 촬영을 수행한다.
아울러 상기 관리유닛은, 상기 회전모듈(122')을 매개로 상기 지지패널부(121')와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상판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상판모듈은, 내부로부터 상기 제1촬영모듈과 마주하도록 상기 제1촬영모듈이 위치되는 공간측을 향하여 출몰되는 제1출몰모듈(131',132')과, 내부로부터 상기 제2촬영모듈과 마주하도록 상기 제2촬영모듈이 위치되는 공간측을 향하여 출몰되는 제2출몰모듈(133',134')이 구비되된다.
여기서 상기 제1출몰모듈(131',132')은 출몰을 통해 상기 제1촬영모듈의 촬영측 대한 이물제거, 오염제거, 습기제거, 성에제거를 위한 촬영측을 클리닝하며 상기 제2출몰모듈(133',134')은 출몰을 통해 상기 제2촬영모듈의 촬영측에 대한 이물제거, 오염제거, 습기제거, 성에제거를 위한 촬영측을 클리닝한다.
한편 상기 제1출몰모듈(131',132')은, 상기 상판모듈에서 하부로 하강되는 제1하강몸체(131')와, 상기 제1하강몸체(131')와 함께 하강되며 상기 제1하강몸체(131')에서 상기 제1촬영모듈에 접촉하여 회전방식 및 세정액 분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클리닝을 수행하는 제1클리닝체(13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출몰모듈(133',134')은, 상기 상판모듈에서 하부로 하강되는 제2하강몸체(133')와, 상기 제2하강몸체(133')에서 상기 제2촬영모듈에 접촉하여 회전방식 및 세정액 분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클리닝을 수행하는 제2클리닝체(134')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상판모듈은, 상기 회전모듈과 접하는 중앙패널부(141')와, 상기 중앙패널부(141')의 일측으로 구비되며 하부로 상기 제1출몰모듈(131',132')이 출몰되는 제1구동패널부(142')와, 상기 중앙패널부(141')의 타측으로 구비되며 하부로 상기 제2출몰모듈(133',134')이 출몰되는 제2구동패널부(14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구동패널부(142')는 상기 제1촬영모듈이 위치되는 제1공간을 외부로부터 차단하여 보관되도록 하는 제1셔터패널(151')이 구비되며, 상기 제2구동패널부(143')는 상기 제2촬영모듈이 위치되는 제2공간을 외부로부터 차단하여 보관되도록 하는 제2셔터패널(152')이 구비되며, 상기 제1구동패널부(142')와 상기 제2구동패널부(143')는 상기 중앙패널부(141')의 양측에서 각각 틸트모드로 동작이 가능하여 상기 제1촬영모듈과 상기 제2촬영모듈을 덮어 보호상태로 만들거나 또는 상기 제1촬영모듈과 상기 제2촬영모듈을 노출시켜 외부 환기와, 온도조절, 습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제1장착몸체는, 상기 제1매설몸체(111')와 상기 제2매설몸체(112')에 삽입되는 제1삽입상태로 구비되는 제1삽입체(162')와, 상기 제1삽입체(162')와 연동되며 상기 지지패널부(121')에 설치되는 제1지지구동체(161')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제2장착몸체는, 상기 제2매설몸체(112')와 상기 제3매설몸체(113')에 삽입되는 제2삽입상태로 구비되는 제2삽입체(172')와, 상기 제2삽입체(172')와 연동되며 상기 지지패널부(121')에 설치되는 제2지지구동체(171')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3장착몸체는, 상기 제3매설몸체(113')와 상기 제4매설몸체(114')에 삽입되는 제3삽입상태로 구비되는 제3삽입체(182')와, 상기 제3삽입체(182')와 연동되며 상기 지지패널부(121')에 설치되는 제3지지구동체(181')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제1지지구동체(161')는 상기 제1삽입상태에서 상기 제1삽입체(162')를 모터회전방식으로 축회전시키며, 상기 제2지지구동체(171')는 상기 제2삽입상태에서 상기 제2삽입체(172')를 모터회전방식으로 축회전시키며, 상기 제3지지구동체(181')는 상기 제3삽입상태에서 상기 제3삽입체(182')를 모터회전방식으로 축회전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1매설몸체(111')는 상기 제1삽입상태의 상기 제1삽입체(162')로 삽입장착되는 제1메인진입체(181')가 구비되며, 상기 제2매설몸체(112')는 상기 제1삽입상태의 상기 제1삽입체(162')로 삽입장착되는 제1서브진입체(191,192,193,194')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2매설몸체(112')는 상기 제2삽입상태의 상기 제2삽입체(172')로 삽입장착되는 제2메인진입체(201')가 구비되며, 상기 제2매설몸체(112')는 상기 제2삽입상태의 상기 제2삽입체(172')로 삽입장착되는 제2서브진입체(211',212',213',214')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제3매설몸체(113')는 상기 제3삽입상태의 상기 제3삽입체(182')로 삽입장착되는 제3메인진입체(221')가 구비되며, 상기 제3매설몸체(113')는 상기 제3삽입상태의 상기 제3삽입체(182')로 삽입장착되는 제3서브진입체(231,232,233')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제1메인진입체(181')는 상하간에 다수로 구비되며, 상기 제1서브진입체(191,192,193,194')는 상기 제1메인진입체(181')를 내부에 교호적으로 수용하도록 상하간에 다수로 구비된다. 상기 제2메인진입체(201')는 상하간에 다수로 구비되며, 상기 제2서브진입체(211',212',213',214')는 상기 제2메인진입체(201')를 내부에 교호적으로 수용하도록 상하간에 다수로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3메인진입체(221')는 상하간에 다수로 구비되며, 상기 제3서브진입체(231,232,233')는 상기 제3메인진입체(221')를 내부에 교호적으로 수용하도록 상하간에 다수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메인진입체(181')와 상기 제1서브진입체(191,192,193,194')는 상호간에 연동고정을 통해 상기 제1삽입체(162')에 대한 고정력을 가하는 제1동작모드로 동작되며, 상기 제2메인진입체(201')와 상기 제2서브진입체(211',212',213',214')는 상호간에 연동고정을 통해 상기 제2삽입체(172')에 대한 고정력을 가하는 제2동작모드로 동작되며, 상기 제3메인진입체(221')와 상기 제2서브진입체(211',212',213',214')는 상호간에 연동고정을 통해 상기 제3삽입체(182')에 대한 고정력을 가하는 제3동작모드로 동작된다.
상기 제1매설몸체(111'), 상기 제2매설몸체(112'), 상기 제3매설몸체(113') 및 상기 제4매설몸체(114')가 설치되는 하부의 하단몸체부(3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단몸쳄부상에서 상기 제1동작모드 내지 상기 제4매설모드 상태인 상기 제1매설몸체(111') 내지 상기 제4매설몸체(114')를 각각 설정 범위로 내부로 하강시켜 상기 제1동작모드 내지 상기 제4동작모드에 의한 고정력을 강화시키는 강화모드로 동작된다.
아울러 상기 제1서브진입체(191,192,193,194')는 상기 제2매설몸체(112')상에 위치되는 제1-1영역부(1911,1921,1931,1941')와, 상기 제2매설몸체(112')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1메인진입체(181')가 진입하여 마주하게 되는 제1-2영역부(1912',1922',1932',1942')을 포함한다.
상기 제2서브진입체(211',212',213',214')는 상기 제3매설몸체(113')상에 위치되는 제2-1영역부(2111,2121,2131,2141')와, 상기 제3매설몸체(113')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2메인진입체(201')가 진입하여 마주하게 되는 제2-2영역부(2112,2122,2132,214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3서브진입체(231,232,233')는 상기 제4매설몸체(114')상에 위치되는 제3-1영역부(2311,2321,2331,2341')와, 상기 제4매설몸체(114')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3메인진입체(221')가 진입하여 마주하게 되는 제3-2영역부(2312',2322',2332',2342')를 포함한다.
상기 제1-2영역부(1912',1922',1932',1942'), 상기 제2-2영역부(2112,2122,2132,2142') 및 상기 제3-2영역부(2312',2322',2332',2342')는 기 설정된 수평길이의 규격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1-2영역부(1912',1922',1932',1942'), 상기 제2-2영역부(2112,2122,2132,2142') 및 상기 제3-2영역부(2312',2322',2332',2342')는 상기 제1메인진입체(181')가 상기 수평길이의 규격 내에 설정된 범위로 진입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외부로 상태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제1동작모드 내지 상기 제3동작모드, 상기 강화모드는, 상기 제1-2영역부(1912',1922',1932',1942'), 상기 제2-2영역부(2112,2122,2132,2142') 및 상기 제3-2영역부(2312',2322',2332',2342')는 상기 상태정보가 기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동작이 수행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하단몸체부(310') 일측에 구비되는 제1몸체패널(411')과, 상기 제1몸체패널(411')의 상부로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연장몸체패널(412')과, 상기 제1몸체패널(411')의 내측에 구비되오 온도조절을 위한 유체를 분사하는 제1온도가변부(413')와, 상기 하단몸체부(310') 일측에 구비되는 제2몸체패널(511')과, 상기 제2몸체패널(511')의 상부로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연장몸체패널(512')과, 상기 제2몸체패널(511')의 내측에 구비되오 온도조절을 위한 유체를 분사하는 제2온도가변부(513')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1연장몸체패널(412')과 상기 제2연장몸체패널(512') 사이에는 덮개패널(611')이 구비되어 하부로 상기 상판모듈을 수용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연장몸체패널(412')과 상기 제2연장몸체패널(512')은, 상기 제1온도가변부(413')와 상기 제2온도가변부(513')의 유체분사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제1온도가변부(413')와 상기 제2온도가변부(513')의 유체분사가 되는 공간 체적을 조절하도록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덮개패널(611')은, 하부에 출몰가능한 다수의 서브유체분사모듈(612',613')이 구비되어 상기 관리유닛의 온도를 2차적으로 조절하도록하며, 상기 제1연장몸체패널(412')과 상기 제2연장몸체패널(512') 사이에서 축회전하여 상기 서브유체분사모듈(612',613')이 축회전에 기반하여 주기적으로 상유체를 분사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연장몸체패널(412')에는 제1상부이동체(415')와, 상기 제1상부이동체(415')와 상기 덮개패널(611')을 사이에두고 하부에 위치되는 제1하부이동체(414')가 구비되며, 상기 제1상부이동체(415')와 상기 제1하부이동체(414')는 상기 덮개패널(611')을 향하여 이동하여 가압고정하거나, 상기 제1상부이동체(415')와 상기 제1하부이동체(414')는 상기 덮개패널(611')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여 가압고정을 해제한다.
아울러 상기 제2연장몸체패널(512')에는 제2상부이동체(515')와, 상기 제2상부이동체(515')와 상기 덮개패널(611')을 사이에두고 하부에 위치되는 제2하부이동체(514')가 구비되며, 상기 제2상부이동체(515')와 상기 제2하부이동체(514')는 상기 덮개패널(611')을 향하여 이동하여 가압고정하거나, 상기 제2상부이동체(515')와 상기 제2하부이동체(514')는 상기 덮개패널(611')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여 가압고정을 해제한다.
이상에서 전술한 물리적 구성들의 구동방식은 모터, 엑츄에이터 등을 기반으로 전후유동, 회전이동이 이루어지며 각 구성부의 형상과 크기는 설치 현장과 구현하고자하는 자재들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완철 20: 구동모터
30: 회전드럼 40: 절연부재

Claims (1)

  1. 가공 배전선로 전신주 애자고정 시스템으로서,
    선로의 애자고정을 위한 애자고정 시스템을 포함하되,
    상기 애자고정 시스템은
    상기 애자고정을 위하여 설치되는 상기 애자고정 시스템과 상기 애자고정 시스템 주변을 관리하도록 상기 애자고정 시스템 주변에 배치되는 관리유닛에 의하여 관리 되고,
    상기 애자고정 시스템은,
    일단이 개방된 설치홈(11-1)을 갖추고서, 고정밴드(B)를 매개로 전주(P)와 교차되게 설치되는 바디부(11)와, 일측에 개구부(12-1)를 갖추고서, 바디부(11)에 고정설치되는 커버(12)로 이루어진 완철(10); 설치홈(11-1)에 설치되는 구동모터(20); 개구부(12-1)에 배치되는 회전드럼(30); 일단에 고정부(41)를 갖추고서, 타단이 회전드럼(30)의 둘레면에 설치고정되는 절연부재(40); 상기 커버(12)에 체결되어 회전드럼(30)을 축 지지하는 축지지부재(50)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유닛은,
    지면(S')에 매설되는 제1매설몸체(111')와, 상기 제1매설몸체(111')와 이웃하며 지면(S')에 매설되는 제2매설몸체(112')와, 상기 제2매설몸체(112')와 이웃하며 지면(S')에 매설되는 제3매설몸체(113')와, 상기 제3매설몸체(113')와 이웃하며 지면(S')에 매설되는 제4매설몸체(114')와, 상기 제1매설몸체(111')와 상기 제2매설몸체(112')사이에 장착되는 제1장착몸체(161',162')와, 상기 제2매설몸체(112')와 상기 제3매설몸체(113')사이에 장착되는 제2장착몸체와, 상기 제3매설몸체(113')와 상기 제4매설몸체(114')사이에 장착되는 제3장착몸체와, 상기 제1장착몸체(161',162') 내지 상기 제3장착몸체의 상부로 설치되는 지지패널부(121')와, 상기 지지패널부(121')상에 설치되며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모듈(122')과, 상기 회전모듈(122') 둘레부 일측에 설치되는 제1상부촬영체(124')와, 상기 회전모듈(122') 둘레부 일측에 제1상부촬영체(124') 보다 낮게 설치되는 제1하부촬영체(123')를 포함하는 제1촬영모듈과, 상기 회전모듈(122') 둘레부 타측에 설치되는 제2상부촬영체(126')와, 상기 회전모듈(122') 둘레부 타측에 제2상부촬영체(126') 보다 낮게 설치되는 제2하부촬영체(125')를 포함하는 제2촬영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관리유닛은,
    상기 제1촬영모듈 내지 상기 제2촬영모듈은 상기 회전모듈(122')의 회전을 통해 둘레부를 촬영하되, 연속적인 둘레부 회전 혹은 설정 범위로의 한정된 둘레부 회전을 통해 촬영을 수행하며,
    상기 회전모듈(122')을 매개로 상기 지지패널부(121')와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상판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상판모듈은, 내부로부터 상기 제1촬영모듈과 마주하도록 상기 제1촬영모듈이 위치되는 공간측을 향하여 출몰되는 제1출몰모듈(131',132')과, 내부로부터 상기 제2촬영모듈과 마주하도록 상기 제2촬영모듈이 위치되는 공간측을 향하여 출몰되는 제2출몰모듈(133',134')이 구비되고,
    상기 제1출몰모듈(131',132')은 출몰을 통해 상기 제1촬영모듈의 촬영측 대한 이물제거, 오염제거, 습기제거, 성에제거를 위한 촬영측을 클리닝하며
    상기 제2출몰모듈(133',134')은 출몰을 통해 상기 제2촬영모듈의 촬영측에 대한 이물제거, 오염제거, 습기제거, 성에제거를 위한 촬영측을 클리닝하고,
    상기 제1출몰모듈(131',132')은,
    상기 상판모듈에서 하부로 하강되는 제1하강몸체(131')와, 상기 제1하강몸체(131')와 함께 하강되며 상기 제1하강몸체(131')에서 상기 제1촬영모듈에 접촉하여 회전방식 및 세정액 분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클리닝을 수행하는 제1클리닝체(132')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모듈은,
    상기 회전모듈과 접하는 중앙패널부(141')와, 상기 중앙패널부(141')의 일측으로 구비되며 하부로 상기 제1출몰모듈(131',132')이 출몰되는 제1구동패널부(142')와, 상기 중앙패널부(141')의 타측으로 구비되며 하부로 상기 제2출몰모듈(133',134')이 출몰되는 제2구동패널부(143')를 포함하며,
    상기 제1구동패널부(142')는 상기 제1촬영모듈이 위치되는 제1공간을 외부로부터 차단하여 보관되도록 하는 제1셔터패널(151')이 구비되며,
    상기 제2구동패널부(143')는 상기 제2촬영모듈이 위치되는 제2공간을 외부로부터 차단하여 보관되도록 하는 제2셔터패널(152')이 구비되며,
    상기 제1구동패널부(142')와 상기 제2구동패널부(143')는 상기 중앙패널부(141')의 양측에서 각각 틸트모드로 동작이 가능하여 상기 제1촬영모듈과 상기 제2촬영모듈을 덮어 보호상태로 만들거나 또는 상기 제1촬영모듈과 상기 제2촬영모듈을 노출시켜 외부 환기와, 온도조절, 습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제1장착몸체는 상기 제1매설몸체(111')와 상기 제2매설몸체(112')에 삽입되는 제1삽입상태로 구비되는 제1삽입체(162')와, 상기 제1삽입체(162')와 연동되며 상기 지지패널부(121')에 설치되는 제1지지구동체(161')를 포함하되,
    상기 제2장착몸체는,
    상기 제2매설몸체(112')와 상기 제3매설몸체(113')에 삽입되는 제2삽입상태로 구비되는 제2삽입체(172')와, 상기 제2삽입체(172')와 연동되며 상기 지지패널부(121')에 설치되는 제2지지구동체(171')를 포함하고,
    상기 제3장착몸체는, 상기 제3매설몸체(113')와 상기 제4매설몸체(114')에 삽입되는 제3삽입상태로 구비되는 제3삽입체(182')와, 상기 제3삽입체(182')와 연동되며 상기 지지패널부(121')에 설치되는 제3지지구동체(181')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구동체(161')는 상기 제1삽입상태에서 상기 제1삽입체(162')를 모터회전방식으로 축회전시키며, 상기 제2지지구동체(171')는 상기 제2삽입상태에서 상기 제2삽입체(172')를 모터회전방식으로 축회전시키며, 상기 제3지지구동체(181')는 상기 제3삽입상태에서 상기 제3삽입체(182')를 모터회전방식으로 축회전시키며,
    상기 제1매설몸체(111')는 상기 제1삽입상태의 상기 제1삽입체(162')로 삽입장착되는 제1메인진입체(181')가 구비되며, 상기 제2매설몸체(112')는 상기 제1삽입상태의 상기 제1삽입체(162')로 삽입장착되는 제1서브진입체(191,192,193,194')가 구비되며,
    상기 제2매설몸체(112')는 상기 제2삽입상태의 상기 제2삽입체(172')로 삽입장착되는 제2메인진입체(201')가 구비되며, 상기 제2매설몸체(112')는 상기 제2삽입상태의 상기 제2삽입체(172')로 삽입장착되는 제2서브진입체(211',212',213',214')가 구비되고,
    상기 제3매설몸체(113')는 상기 제3삽입상태의 상기 제3삽입체(182')로 삽입장착되는 제3메인진입체(221')가 구비되며, 상기 제3매설몸체(113')는 상기 제3삽입상태의 상기 제3삽입체(182')로 삽입장착되는 제3서브진입체(231,232,233')가 구비되고,
    상기 제1메인진입체(181')는 상하간에 다수로 구비되며, 상기 제1서브진입체(191,192,193,194')는 상기 제1메인진입체(181')를 내부에 교호적으로 수용하도록 상하간에 다수로 구비되며, 상기 제2메인진입체(201')는 상하간에 다수로 구비되며, 상기 제2서브진입체(211',212',213',214')는 상기 제2메인진입체(201')를 내부에 교호적으로 수용하도록 상하간에 다수로 구비되며, 한편 상기 제3메인진입체(221')는 상하간에 다수로 구비되며, 상기 제3서브진입체(231,232,233')는 상기 제3메인진입체(221')를 내부에 교호적으로 수용하도록 상하간에 다수로 구비되며,
    상기 제1메인진입체(181')와 상기 제1서브진입체(191,192,193,194')는 상호간에 연동고정을 통해 상기 제1삽입체(162')에 대한 고정력을 가하는 제1동작모드로 동작되며, 상기 제2메인진입체(201')와 상기 제2서브진입체(211',212',213',214')는 상호간에 연동고정을 통해 상기 제2삽입체(172')에 대한 고정력을 가하는 제2동작모드로 동작되며, 상기 제3메인진입체(221')와 상기 제2서브진입체(211',212',213',214')는 상호간에 연동고정을 통해 상기 제3삽입체(182')에 대한 고정력을 가하는 제3동작모드로 동작되며,
    상기 제1매설몸체(111'), 상기 제2매설몸체(112'), 상기 제3매설몸체(113') 및 상기 제4매설몸체(114')가 설치되는 하부의 하단몸체부(310')를 더 포함하는, 가공 배전선로 전신주 애자고정 시스템.
KR1020210194229A 2021-12-31 2021-12-31 가공 배전선로 전신주 애자고정 시스템 KR102459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4229A KR102459355B1 (ko) 2021-12-31 2021-12-31 가공 배전선로 전신주 애자고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4229A KR102459355B1 (ko) 2021-12-31 2021-12-31 가공 배전선로 전신주 애자고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9355B1 true KR102459355B1 (ko) 2022-10-28

Family

ID=83835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4229A KR102459355B1 (ko) 2021-12-31 2021-12-31 가공 배전선로 전신주 애자고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93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4680B1 (ko) * 2023-07-11 2024-03-08 주식회사 에스씨전력기술 변압기가 구비된 배전선로의 절연애자 시스템 안전관리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5199A (ko) * 2014-12-19 2016-06-29 이강훈 광고효과를 갖는 자동이동장치용 핸드레일
KR102298156B1 (ko) * 2021-02-01 2021-09-07 (주)대주기술 지중 배전선로 고장구간 확인시스템
KR102303907B1 (ko) * 2021-02-16 2021-09-24 주식회사 대한전기기술단 가공 배전선로의 전신주 애자 연결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5199A (ko) * 2014-12-19 2016-06-29 이강훈 광고효과를 갖는 자동이동장치용 핸드레일
KR102298156B1 (ko) * 2021-02-01 2021-09-07 (주)대주기술 지중 배전선로 고장구간 확인시스템
KR102303907B1 (ko) * 2021-02-16 2021-09-24 주식회사 대한전기기술단 가공 배전선로의 전신주 애자 연결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4680B1 (ko) * 2023-07-11 2024-03-08 주식회사 에스씨전력기술 변압기가 구비된 배전선로의 절연애자 시스템 안전관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3907B1 (ko) 가공 배전선로의 전신주 애자 연결시스템
KR102459355B1 (ko) 가공 배전선로 전신주 애자고정 시스템
KR102210113B1 (ko) 가공 배전선로 고정용 애자 연결장치
KR100933939B1 (ko) 송전선 고정용 지지애자
US9721703B2 (en) Wildlife guard apparatus, modular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RU2419904C2 (ru) Высоковольтный проходной изолятор
KR102190815B1 (ko) 조류사고 방지 기능을 갖는 리드선 일체형 탈부착이 용이한 컷 아웃 형태의 피뢰장치
KR102563360B1 (ko) 피뢰기능을 갖는 배전선 고정장치
KR102459178B1 (ko)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장치 제공방법
CN219779766U (zh) 一种便于不停电作业的保护装置
KR102408033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KR102303979B1 (ko) 공동주택 전기의 애자 고정장치
CN109599766A (zh) 户外柱上开关操作电源箱
CN208835550U (zh) 绝缘挡板
KR102449656B1 (ko) 변압기가 설치된 특고압 전주의 배전선로 고정시스템
KR102644680B1 (ko) 변압기가 구비된 배전선로의 절연애자 시스템 안전관리방법
KR102415451B1 (ko) 변압기에 접속되는 가공 배전선로의 케이블 보호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
KR101975019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외벽 전기케이블 보호장치
KR200254174Y1 (ko) 전주(電柱)용가공지선설치구
KR100382945B1 (ko) 풍차식 조류방지기 취부장치
CN216773126U (zh) 一种高压断路器防护操作装置
KR20130037498A (ko) 케이블 포설용 지지장치
KR102474570B1 (ko) 변압기에 접속된 가공전선 연결형 배전함 제공방법
KR102398268B1 (ko) 매설형 지중 배전선로의 이상유무 모니터링 시스템 제공방법
KR200443499Y1 (ko) 내부커버를 구비하는 분전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