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4570B1 - 변압기에 접속된 가공전선 연결형 배전함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변압기에 접속된 가공전선 연결형 배전함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4570B1
KR102474570B1 KR1020210187778A KR20210187778A KR102474570B1 KR 102474570 B1 KR102474570 B1 KR 102474570B1 KR 1020210187778 A KR1020210187778 A KR 1020210187778A KR 20210187778 A KR20210187778 A KR 20210187778A KR 102474570 B1 KR102474570 B1 KR 102474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s
photographing
buried
distribution box
commercial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7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철
Original Assignee
대한기술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기술단(주) filed Critical 대한기술단(주)
Priority to KR1020210187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5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H02G7/205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extending along a po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Abstract

본 발명은 변압기에 접속된 가공전선 연결형 배전함 제공방법에 있어서, 배전함이 준비되는 단계; 상기 배전함의 각 파츠들이 설치현장에서 설치되는 단계; 및 상기 설치현장에서 상기 배전함이 운용되며 운용되는 상기 배전함을 관리하도록 상기 설치현장에 관리유닛이 설치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변압기에 접속된 가공전선 연결형 배전함 제공방법{providing method for a distribution box}
본 발명은 배전 기술 분야 중에서, 가공전선 연결형 배전함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수용가의 급증으로 인한 상용전압배전선의 추가 가설이 요구되는 경우 별도의 완철을 완철고정구에 의하여 전주에 설치하지 않고 배전함 자체로서 전주에 고정 설치함으로 인해 추가 상용전압배전선의 가설이 간편하고 안전성 있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전주에 대하여 어느 위치(높이)에서도 견고하게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변압기에 접속된 가공전선 연결형 배전함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발생되는 전력은 발전소에 인접 설치된 변전소에서 승압(345kV 이상급 초고압 또는 765kV 이상급 극초고압 등)하여 전주에 절연지지된 전력전송선로를 통해 대단위 수용가 밀집지역 부근까지 보내는 과정과, 최종 변전소에서 강압(22.9kV급 특고압)하여 전신주에 절연지지된 가공배전선로를 통해대단위 수용가 밀집지역으로 배전하고, 최종적으로 전주에 설치된 주상변압기에 의하여 수용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상용전압(230V, 380V)으로 강압하여 가공배전선로를 통해 수용가로 배전하게 된다.
배전선로를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전주는 다수의 철재를 연결 설치한 사각 형상 등의 전주가 있으나 최근에는 원통 또는 원주 형상 전주가 사용되고 있다.
이하에 첨부된 도면에서는 전주를 원통(원주)형상으로 도시하기로 한다.종래의 배전선로는 도 15 및 도 1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력이 높은 원통형상의 상단부에 복수개의 특고압배전선(11)을 포함하는 특고압 전류를 배전하는 특고압배전선로(10)가 가설되고, 상기 특고압배전선로(10)의 하부에 복수개의 상용전압배전선(21)을 포함하는 상용전압배전선로(20)가 가설되며, 상기 특고압배전선로(10)와 상용전압배전선로(20) 사이에 특고압을 상용전압으로 강압하는 주상변압기(30)가 설치된다.
상기 특고압배전선(11)은 상기 원통형상의 전주에 고정되는 특고압배전용 완철(12)의 양측에 애자(13)를 통하여 절연상태로 지지되며, 양측 특고압배전선(11)은 특고압점프선(14)으로 연결된다.
상기 특고압배전용 완철(12)은 완철고정구(40)에 의하여 전주에 고정된다.
상기 상용전압배전선(21)은 상기 전주에 고정되는 상용전압배전용 완철(22)의 양측에 애자(23)을 통하여 절연상태로 지지되며, 양측 상용전압배전선(21)은 상용전압점프선(24)으로 연결된다. 상기 상용전압배전용 완철(22)은 완철고정구(50)에 의하여 상기 전주에 고정된다.
상기 주상변압기(30)는 입력단이 제1 인하선(31)을 통해 특고압배전선(11)에 연결되고, 출력단이 제2 인하선(32)을 통해 상용전압배전선(21)에 연결된다.
상기 주상변압기(30)는 변압기고정구(60)에 의하여 상기 전주에 고정된다. 이러한 종래의 배전선로에서는 통상적으로 특고압배전용 완철(12)에는 4개 선로의 특고압배전선(11)이 지지되며, 상용전압배전용 완철(22)에는 3개 선로의 상용전압배전선(21)이 지지되는바, 배전선로의 설치후 도시개발 등에 의하여 수용가가 급증한 수용가 밀집지역에서는 4개의 선로의 상용전압배전선(21)만으로는 수요를 충족시킬 수 없기 때문에 상용전압배전용 완철(21)의 하부에 여러 가닥의 추가 상용전압배전선(70)을 추가로 가설하고 있다.
상기 추가 상용전압배전선(70)을 추가 가설하기 위하여 별도의 완철과 애자를 사용하더라도 4개 선로 이상 설치할 수 없으므로 전주에 고리(80)를 고정하고 이 고리(80)에 복수개의 추가 상용전압배전선(70)을 지지하며,복수 가닥의 추가 상용전압배전선(70)을 결속끈(90)으로 결속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고리(80)는 직선부(81)와 고리부(82)로 구성되며, 직선부(81)에 나사부(83)를 형성하여 직선부(81)를 전주에 천공된 고정공(84)에 관통시키고 전주의 양측에서 상기 나사부(83)에 한 쌍의 고정너트(85)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전주에 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배전선로에서는 복수 가닥의 추가 상용전압배전선(70)이 단순히 고리(80)에 걸쳐진 상태에서 결속끈(90)으로 결속되어 지지되는 것이기 때문에 추가 상용전압배전선(70)의 지지상태가 불안정할 뿐만아니라 결속끈(90)로 결속하여야 하므로 그 작업이 매우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주에는 통신선로(LL)을 가설하게 되는데 이 통신선로(LL)를 전주에 가설함에 있어서도 상기 고리(80)에 추가 상용전압배전선(70)과 함께 지지하고 결속끈(90)으로 함께 결속하고 있기 때문에 추가 상용전압배전선(70)과 통신선(LL)의 가설상태가 매우 복잡하게 되고, 전력선과 통신선이 함께 결속되고 있기 때문에 안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전주에 대한 추가 상용전압배전선의 가설이 간편하고 안전성 있게 이루어지며, 추가 상용전압배전선을 간단하고 안전성 있게 가설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수용가의 급증으로 인한 상용전압배전선의 추가 가설이 요구되는 경우 별도의 완철을 완철고정구에 의하여 전주에 설치하지 않고 배전함 자체로서 전주에 고정 설치함으로 인해 추가 상용전압배전선의 가설이 간편하고 안전성 있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하는 한편, 전주에 대하여 어느 위치(높이)에서도 견고하게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공전선 연결형배전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배전함의 제공과정에 있어 취급상의 문제점과 절차위반, 결합 설치 등의 오류 등 초기 준비과정을 전반적으로 관리하고 조기에 문제점을 발견하여 사전적으로 안정적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배전함의 설치과정에 있어 취급상의 문제점과 절차위반, 결합 설치 등의 오류 등 중간과정을 전반적으로 관리하고 문제점을 발견하고 대응하도록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배전함의 설치 후 동작과정을 관리하여 운용상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담보하고 이상발생시 즉각적인 대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다양한 시점에서 관리되는 과정의 데이터를 확보하여 추후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과 손해 등을 보다 명확하게 검증하고 파악하여 다툼의 소지를 명확하게 판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배전함의 시스템 관리를 위한 수단으로서 다양한 여건에서 최적의 동작 조건을 관리 유지하기 위한 구조적 특징을 가지는 관리수단이 마련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배전함의 시스템 관리를 위한 수단이 자체적으로 외부 환경과 오염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되어 핵심적인 상황 관리(예: 모니터 등) 역할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변압기에 접속된 가공전선 연결형 배전함 제공방법에 있어서, 배전함이 준비되는 단계; 상기 배전함의 각 파츠들이 설치현장에서 설치되는 단계; 및 상기 설치현장에서 상기 배전함이 운용되며 운용되는 상기 배전함을 관리하도록 상기 설치현장에 관리유닛이 설치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이 있다.
본 발명은 수용가의 급증으로 인한 상용전압배전선의 추가 가설이 요구되는 경우 별도의 완철을 완철고정구에 의하여 전주에 설치하지 않고 배전함 자체로서 전주에 고정 설치함으로써 추가 상용전압배전선의 가설이간편하고 안전성 있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전주에 대하여 어느 위치(높이)에서도 견고하게 고정 설치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전함의 제공과정에 있어 취급상의 문제점과 절차위반, 결합 설치 등의 오류 등 초기 준비과정을 전반적으로 관리하고 조기에 문제점을 발견하여 사전적으로 안정적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배전함의 설치과정에 있어 취급상의 문제점과 절차위반, 결합 설치 등의 오류 등 중간과정을 전반적으로 관리하고 문제점을 발견하고 대응하도록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배전함의 설치 후 동작과정을 관리하여 운용상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담보하고 이상발생시 즉각적인 대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시점에서 관리되는 과정의 데이터를 확보하여 추후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과 손해 등을 보다 명확하게 검증하고 파악하여 다툼의 소지를 명확하게 판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배전함의 시스템 관리를 위한 수단으로서 다양한 여건에서 최적의 동작 조건을 관리 유지하기 위한 구조적 특징을 가지는 관리수단이 마련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배전함의 시스템 관리를 위한 수단이 자체적으로 외부 환경과 오염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되어 핵심적인 상황 관리(예: 모니터 등) 역할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전선 연결형 배전함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전선 연결형 배전함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전선 연결형 배전함에서 하부단자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전선 연결형 배전함에서 절연지지대와 단자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
도이다.
도 5 내지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전선 연결형 배전함을 전주에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전선 연결형 배전함에서 지지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전선 연결형 배전함에서 지지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전선 연결형 배전함에서 지지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전선 연결형 배전함에서 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은 종래의 배전선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는 종래의 배전선로를 나타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 내지 도 23는 도 1에 따른 구성들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의 각 전선이 인접하게 도시되어 있는 것은 도면 작업의 편리성을 위한 것이고 기술사상을 표현하기 위한 것이며, 인접하는 전선 상호 간에 절연이 완벽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고 이해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 보면, 본 발명에 따른 가공전선 연결형 배전함은 전주에 특고압배전선로(10)와상용전압배전선로(20) 및 주상변압기(30)가 설치된 배전선로(도 11 참조) 또는 전주에 상용전압배전선로(20)만 설치된 배전선로(도 1 참조)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주에 상용전압배전선로(20)만 설치된 배전선로에 적용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상기 상용전압배전선로(20)는 특고압배전선로(10)의 하부에서 전주에 고정된 상용전압완철(12)의 양측에 상용전압애자(23)를 통해 절연상태로 지지되는 복수개의 상용전압배전선(21)으로 구성되며, 양측의 상용전압배전 선(21)은 상용전압점프선(24)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공전선 연결형 배전함은, 상기 상용전압배전선로(20)의 하부에서 상기 전주의 전후측에설치되는 전방배전함(100)과 후방배전함(200)과; 상기 전방배전함(100)과 후방배전함(200)의 내부에 설치되는절연지지대(300, 400)와; 상기 절연지지대(300, 400)에 절연상태로 지지되는 단자대(500, 600)와; 상기 단자대(500, 600)와 상기 상용전압배전선로(20)의 상용전압배전선(21)을 연결하는 분기인입선(LL1)과; 상기 단자대(500,600)에 연결되어 상기 전방배전함(100)과 후방배전함(200)의 좌우측으로 도출되는 복수개의 추가 상용전압배전선(LL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방배전함(100)은 상면이 개방되고 바닥(120)을 가지며, 전면벽(130)과, 상기 전면벽(130)에 평행한 평행부(141)와 상기 평행부(141)의 좌우측 단부에서 연장되는 빗변부(142)를 가지며 전주의 테이퍼 각도에 대응하는 구배를 가지는 후면벽(140)과, 상기 전면벽(130)과 후면벽(140)의 양단을 연결하는 좌측벽(150)과, 우측벽(160)과, 상기 전면벽(130), 후면벽(140), 좌측벽(150) 및 우측벽(160)의 상단부를 따라 형성되는 내측플랜지(170)및, 상기 좌측벽(150)과 우측벽(160)의 후단부에서 각각 전방과 후방으로 돌출되는 결합편(180)이 구비된 전방배전함본체(110)와; 상기 전방배전함본체(110)의 상면 개방부를 복개하며 상기 내측플랜지(170)에 볼트(B1)로 결합되는 전방배전함덮개(190);를 포함한다.
상기 후방배전함(200)는 상면이 개방되고 바닥(220)을 가지며, 후면벽(230)과, 상기 후면벽(230)에 평행한 평행부(241)와 상기 평행부(241)의 좌우측 단부에서 연장되는 빗변부(242)를 가지며 전주의 테이퍼 각도에 대응하는 구배를 가지는 전면벽(240)과, 상기 후면벽(230)과 전면벽(240)의 양단을 연결하는 좌측벽(250)과 우측벽(260)과, 상기 후면벽(230), 전면벽(240), 좌측벽(250) 및 우측벽(260)의 상단부를 따라 형성되는 내측플랜지(270) 및 상기 좌측벽(250) 및 우측벽(260)의 전단부에서 각각 전방과 후방으로 돌출되는 결합편(280)이 구비된 후방배전함본체(210)와; 상기 후방배전함본체(210)의 상면 개방부를 복개하며 상기 내측플랜지(270)에 볼트(B2)로 결합되는 후방배전함덮개(290);를 포함한다.
상기 좌측벽(150, 250)과 우측벽(160, 260)에는 상기 추가 상용전압배전선(LL2)이 통과하는 복수개의 전선통과공(151, 161, 251, 261)이 형성된다. 상기 전선통과공(151, 161, 251, 261)과 추가 상용전압배전선(LL2) 사이에는 코드부싱 형태의 애자(152, 162,252, 262)를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측 플랜지(170, 270)에는 상기 볼트(B1, B2)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나사공(171, 271)이 형성된다.
상기 전방배전함(100)과 후방배전함(200)은 상기 결합편(180, 280)을 관통하는 볼트(B3)와 상기 볼트(B3)에 체결되는 너트(N3)에 의하여 서로 결합됨과 아울러 전주의 전방과 후방에 고정된다.
상기 결합편(180, 280)에는 후술하는 볼트(B3)가 관통하는 볼트관통공(181, 281)이 형성된다. 상기 전방배전함덮개(190)와 후방배전함덮개(290)에는 상기 볼트(B1, B2)가 관통하는 복수개의 볼트관통공(191,29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방배전함덮개(190)와 후방배전함덮개(290)에는 분기인입선(LL1)이 삽입되는 인입선삽입공(192,292)이 형성된다. 상기 인입선삽입공(192, 292)과 분기인입선(LL1) 사이에는 코드부싱 형태의 애자(193, 293)를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연지지대(300, 400)는 각각 상기 전방배전함본체(110)과 후방배전함본체(210)의 바닥(120, 220)에 고정되는 것으로, 절연재질의 합성수지로 구성된다. 또한 절연지지대(300, 400)은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연질합성수지보다는 경질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연지지대(300, 400)은 각각 전방배전함(100)와 후방배전함(200)의 바닥(120, 220)에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단자대(500, 600)는 상기 절연지지대(300, 40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면에 상방으로 개방된 반원형 배전선접속홈(511, 611)이 형성되는 하부단자(510, 610)와, 상기 하부단자(510, 610)의 상부에 중첩되며 하면에 하방으로 개방된 반원형 배전선접속홈(521, 621)이 형성되는 상부단자(520, 620)와, 상기 상부단자(520)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분기인입선(LL1)이 접속되는 인입접속구(530, 630)와, 상기 인입접속구(530, 630)에 체결되어 분기인입선(LL1)을 조이는 배전선조임볼트(540, 640)와, 상기 하부단자(510, 610)에 고정되어 상향돌출되어 상기 상부단자(520, 620)를 관통하는 조임볼트(B4)와, 상기 조임볼트(B4)에 체결되는 조임너트(N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단자(510, 610)는 상기 절연지지대(300, 400)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일부가 절연지지대(300, 400)에 인서트되어 결합된다. 상기 하부단자(510, 610)의 하면에는 절연지지대(300, 400)에 인서트되는 복수개의 인서트돌기(550, 650)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인서트돌기(550, 650)는 단순한 사각봉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도시예와 같이 사각봉부(551, 651)와 그 하단에 형성되는 십자부(552, 652)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임볼트(B4)의 머리부도 절연지지대(300, 400)에 인서트되도록 함으로써 하부단자(510, 610)와 절연지지대(300, 400)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310, 410은 상기 인서트돌기(550, 650)가 인서트된 자리를 보인 것이고, 320, 420은 조임볼트(B4)의 머리부가 인서트된 자리를 보인 것이다.
상기 하부단자(510, 610)와 상부단자(520, 620)에는 상기 조임볼트(B4)가 관통되는 볼트관통공(512, 612),(522, 622)가 형성된다.
상기 인입접속구(530, 630)의 주벽에는 상기 배전선조임볼트(540, 640)이 체결되는 볼트체결공(531, 631)이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가공전선 연결형 배전함에 의하여 분기인입선(LL1)과 추가 상용전압배전선(LL2)을 가설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준비 단계로서, 전방배전함(100)과 후방배전함(200)의 바닥(120, 220)에 각각 절연지지대(300, 400)와 하부단자(510, 610)이 설치된 상태로 전주의 전방과 후방에 위치시킨다(도 5 참조). 이때, 하부단자(510, 610)은 절연지지대(300, 400)에 각각 결합된 상태이고, 절연지지대(300, 400)는 접착제에 의하여 전방배전함(100)과 후방배전함(200)의 바닥(120, 220)에 고정된 상태이다.
다음, 전방배전함(100)의 후면벽(140)을 전주의 외주면 전반측에 접촉시킴과 아울러 후방배전함(200)의 전면벽(240)을 전주의 외주면 후반측에 접촉시키고, 결합편(180, 280)에 볼트(B3)를 관통시키고, 너트(N3)를 체결하여 후면벽(140)과 전면벽(240)이 전주의 외주면 전반부와 후반부에 밀착되어, 전방배전함본체(110)과 후방배전함본체(210)가 전주의 전방과 후방에서 서로 결합됨과 아울러 전주의 외주면에 고정되도록 한다(도 6 참조).
여기서 전방배전함본체(110)의 후면벽(140)은 전면벽(130)에 평행한 평행부(141)와 평행부(141)의 좌우측 단부에서 연장되는 빗변부(142)로 구성되고, 후방배전함본체(210)의 전면벽(240)은 후면벽(230)에 평행한 평행부(241)와 평행부(241)의 좌우측 단부에서 연장되는 빗변부(242)로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전주의 테이퍼 각도에 대응하는 구배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전주의 어느 위치(높이)에 설치하더라도 전방배전함(100)과 후방배전함(200)을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즉, 통상적으로 전주은 상단이 가늘고 하단으로 가면서 점차 굵어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단으로 갈수록 전방배전함본체(110)의 후면벽(140)과 후방배전함본체(210)의 전면벽(240) 사이의 거리가 가깝게 되고, 하단으로 갈수록 전방배전함본체(110)의 후면벽(140)과 후방배전함본체(210)의 전면벽(24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는바, 전방배전함본체(110)의 후면벽(140)과 후방배전함본체(210)의 전면벽(240)은 각각 평행부(141, 241)와 빗변부(142, 242)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주의 위치(높이)에 대응하여 밀착될 수 있게 된다.
다음, 추가 상용전압배전선(LL2)의 중간부에서 절연피복을 박리하여 도체부가 노출되도록 한 다음, 전방배전함본체(110)과 후방배전함본체(210)의 좌측벽(150 250)에 형성된 전선통과공(151, 251)에 추가 상용전압배전선(LL2)을 통과시킴과 아울러 도체부의 하반부가 하부단자(510, 610)의 배전선접속홈(511, 611)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전선통과공(151, 251)과 추가 상용전압배전선(LL2) 사이에는 코드부싱 형태의 애자(152, 252)를 삽입하여 추가 상용전압배전선(LL2)과 전방배전함본체(110) 및 후방배전함본체(210) 사이의 절연상태가 더욱 확보되도록 한다(도 7 참조). 하부단자(510, 610) 상에 상부단자(520, 620)를 중첩시켜 추가 상용전압배전선(LL2)의 도체부의 상반부가 상부단자(520, 620)의 배전선접속홈(521, 621)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하부단자(510, 610)에서 돌출된 조임볼트(B4)가 상부단자(520, 620)의 볼트관통공(522, 622)을 관통하도록 하고, 조임볼트(B4)에 조임너트(N4)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하부단자(510, 610)와 상부단자(520, 620)가 서로 결합됨과 아울러 추가 상용전압배전선(LL2)의 도체부가 하부단자(510, 610)의 배전선접속홈(511, 611)과 상부단자(520, 620)의 배전선접속홈(521, 6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조여지도록 한다(도 8 참조).
다음, 분기인입선(LL1)의 하단에서 절연피복을 박리하여 도체부가 노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분기인입선(LL1)의 하단부를 상부단자(520, 620)에 형성된 인입접속구(530, 630)에 삽입하고, 인입접속구(530, 630)에 형성된 볼트체결공(531, 631)에 배전선조임볼트(540, 640)를 체결하여 그 선단이 분기인입선(LL1)의 노출된 도체부가 인입접속구(530, 630)에 조여지게 함으로써 분기인입선(LL1)이 상부단자(520, 620)에 접속되도록 한다(도 9 참조).
전방배전함본체(110)와 후방배전함본체(210)의 상단 개방부를 전방배전함덮개(190)와 후방배전함덮개(290)로 복개하고, 전방배전함덮개(190)와 후방배전함덮개(290)에 형성된 볼트관통공(191, 291)에 볼트(B1)을 관통시켜 전방배전함본체(110)와 후방배전함본체(210)의 내측플랜지(170, 270)에 형성된 볼트체결공(171, 271)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전방배전함본체(110)와 후방배전함본체(210)에 전방배전함덮개(190)와 후방배전함덮개(290)를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전방배전함본체(110)와 전방배전함덮개(190) 사이와 후방배전함본체(210)와 후방배전함덮개(290) 사이에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패킹이나 개스킷을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분기인입선(LL1)은 전방배전함덮개(190)와 후방배전함덮개(290)에 형성된 인입선삽입공(192, 292)을 통하여 상부로 인출한다.
상기 인입선삽입공(192, 292)과 분기인입선(LL1) 사이에는 코드부싱 형태의 애자(193,293)를 삽입하여 분기인입선(LL1)과 전방배전함덮개(190) 및 후방배전함덮개(290) 사이의 절연상태가 더욱 효과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0 참조).
최종적으로 단자대(500, 600)에 접속된 분기인입선(LL1)은 상기 상용전압배전선(21) 중 어느 하나에 연결함으로써 상용전압배전선(21)과 분기인입선(LL1) 및 추가 상용전압배전선(LL2)이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상용전압배전선(21)과 분기인입선(LL1) 사이에는 통상적인 컷오프스위치(COS)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로써 상용전압배전선(21)에 복수개의 추가 상용전압배전선(LL2)을 간편하고 안전성 있게 설치할 수 있게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공전선 연결형 배전함은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주로부터 상기전,후방배전함(100,200)을 지지하는 지지부(7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700)는 외력은 물론, 상기 분기인입선(LL1), 추가 상용전압배전선(LL2)의 하중이 상기 전,후방배전함(100,200)으로 집중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상기 전,후방배전함(100,200)의 하강을 방지한다.
상기 지지부(700)는 상기 전,후방배전함(100,20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전주로 결합되는 상부지지수단(710), 상기 전,후방배전함(100,20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전주로 결합되는 하부지지수단(720) 및 상기 상,하부지지수단(710,720)을 연결하는 연결수단(730)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지지수단(710)은 상기 전주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상부클램프(711) 및 상기 상부클램프(711)의 양측에 구비되는 상부지지바(712)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클램프(711)는 원형링 형태를 이루며, 상기 상부지지바(712)는 원기둥 형태를 이룬다. 상기 상부지지수단(710)은 상기 상부클램프(711)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밀착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밀착부재는 실리콘이나, 고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상부클램프(711)가 상기 전주로부터 미끄러짐 없이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상부클램프(711)는 상기 전주을 중심으로 좌우 한 쌍의 클램프(713)로 분기되고, 상기 상부지지바(712)는 상기 한 쌍의 클램프(713)에 각각 일체로 연결되는 한 쌍의 지지바(714)로 분기된다.
상기 클램프(713)는 반원 형태를 이루며, 상기 지지바(714)는 반원기둥 형태를 이룬다. 상기 상부클램프(711)는 한 쌍의 클램프(713)로 분기됨으로써 상기 전주로의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클램프(713)는 각각 외측에 구비되는 지지바(714)가 일체로 형성됨으로 인해 상기 한 쌍의 지지바(714)가 이격됨에 따라 함께 이격될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클램프(713)가 접함에 따라 함께 접할 수 있다.
상기 상부클램프(711)는 상기 상부지지바(712)의 외측으로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바(714)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지지수단(720)은 상기 전주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하부클램프(721) 및 상기 하부클램프(721)의 양측에 구비되는 하부지지바(722)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클램프(721)는 원형링 형태를 이루며, 상기 하부지지바(722)는 원기둥 형태를 이룬다. 상기 하부지지수단(720)은 상기 하부클램프(721)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밀착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밀착부재는 실리콘이나, 고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상부클램프(711)가 상기 전주로부터 미끄러짐 없이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하부클램프(721)는 상기 전주을 중심으로 좌우 한 쌍의 클램프(723)로 분기되고, 상기 하부지지바(722)는 상기 한 쌍의 클램프(723)에 각각 일체로 연결되는 한 쌍의 지지바(724)로 분기된다.
상기 클램프(723)는 반원 형태를 이루며, 상기 지지바(724)는 반원기둥 형태를 이룬다. 상기 하부클램프(721)는 한 쌍의 클램프(723)로 분기됨으로써 상기 전주로의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클램프(723)는 각각 외측에 구비되는 지지바(724)가 일체로 형성됨으로 인해 상기 한 쌍의 지지바(724)가 이격됨에 따라 함께 이격될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클램프(723)가 접함에 따라 함께 접할 수 있다. 상기 하부클램프(721)는 상기 하부지지바(722)의 외측으로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바(724)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수단(730)은 상기 상,하부지지바(712,722)를 연결하여 상기 상,하부지지수단(710,720) 간이 결속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수단(730)은 한 쌍의 중공(731a)이 형성되어 상기 상,하부지지바(712,722)로 결합되는 연결바(731) 및 상기 상,하부지지바(712,722)로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연결바(731)를 상기 상,하부지지바(712,722)에 결속하는 연결부재(732)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바(731)는 상기 결합편(180,280)에 접하면서 진행이 정지될 수 있다. 상기 상,하부지지바(712,722)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732)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상기 상,하부지지바(712,722)의 외측으로 나사결합된다.
이로 인해, 상기 지지부(700)는 외력은 물론, 상기 분기인입선(LL1), 추가 상용전압배전선(LL2)의 하중이 상기 전,후방배전함(100,200)으로 집중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상기 전,후방배전함(100,200)의 하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23를 참조하면, 변압기에 접속된 가공전선 연결형 배전함 제공방법에 있어서, 배전함이 준비되는 단계; 상기 배전함의 각 파츠들이 설치현장에서 설치되는 단계; 및 상기 설치현장에서 상기 배전함이 운용되며 운용되는 상기 배전함을 관리하도록 상기 설치현장에 관리유닛이 설치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배전함은, 전주에 설치되는 상용전압완철(12)에 상용전압애자(23)를 통해 절연상태로 지지되는 복수개의 상용전압배전선(21)을 포함하는 상용전압배전선로(20)에 적용되는 가공전선 연결형 배전함에 있어서, 상기 상용전압배전선로(20)의 하부에서 상기 전주의 전,후측에 설치되는 전,후방배전함(100,200); 상기 전,후방배전함(100,2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절연지지대(300,400); 상기 절연지지대(300,400)에 절연상태로 지지되는 단자대(500,600); 상기 단자대(500,600)와 상기 상용전압배전선로(20)의 상용전압배전선(21)을 연결하는 분기인입선(LL1); 상기 단자대(500,600)에 연결되어 상기 전방배전함(100)과 후방배전함(200)의 좌우측으로 도출되는 복수개의 추가 상용전압배전선(LL2); 및 상기 전주로부터 상기 전,후방배전함(100,200)을 지지하는 지지부(700)를 포함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그 주변부에 배치되는 관리유닛에 의하여 설치상태, 설치상태, 운영상태, 그 주변상황 등이 감시관리된다. 상기 관리유닛은, 설정된 구간을 촬영하여 상태관리, 보안관리 및 안전관리를 수행하는 관리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관리유닛은, 지면(S')에 매설되는 제1매설몸체(111')와, 상기 제1매설몸체(111')와 이웃하며 지면(S')에 매설되는 제2매설몸체(112')와, 상기 제2매설몸체(112')와 이웃하며 지면(S')에 매설되는 제3매설몸체(113')와, 상기 제3매설몸체(113')와 이웃하며 지면(S')에 매설되는 제4매설몸체(114')와, 상기 제1매설몸체(111')와 상기 제2매설몸체(112')사이에 장착되는 제1장착몸체(161,162')와, 상기 제2매설몸체(112')와 상기 제3매설몸체(113')사이에 장착되는 제2장착몸체(171',172')와, 상기 제3매설몸체(113')와 상기 제4매설몸체(114')사이에 장착되는 제3장착몸체(181',182')와, 상기 제1장착몸체(161,162') 내지 상기 제3장착몸체(181',182')의 상부로 설치되는 지지패널부(121')와,상기 지지패널부(121')상에 설치되며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모듈(122')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회전모듈(122') 둘레부 일측에 설치되는 제1상부촬영체(124')와, 상기 회전모듈(122') 둘레부 일측에 제1상부촬영체(124') 보다 낮게 설치되는 제1하부촬영체(123')를 포함하는 제1촬영모듈(123',124')과, 상기 회전모듈(122') 둘레부 타측에 설치되는 제2상부촬영체(126')와, 상기 회전모듈(122') 둘레부 타측에 제2상부촬영체(126') 보다 낮게 설치되는 제2하부촬영체(125')를 포함하는 제2촬영모듈(125,126')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 내지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은 상기 회전모듈(122')의 회전을 통해 둘레부를 촬영하되, 연속적인 둘레부 회전 혹은 설정 범위로의 한정된 둘레부 회전을 통해 촬영을 수행한다.
아울러 상기 관리유닛은, 상기 회전모듈(122')을 매개로 상기 지지패널부(121')와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상판모듈(141',142')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상판모듈(141',142')은, 내부로부터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과 마주하도록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이 위치되는 공간측을 향하여 출몰되는 제1출몰모듈(131',132')과, 내부로부터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과 마주하도록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이 위치되는 공간측을 향하여 출몰되는 제2출몰모듈(133',134')이 구비되된다.
여기서 상기 제1출몰모듈(131',132')은 출몰을 통해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의 촬영측 대한 이물제거, 오염제거, 습기제거, 성에제거를 위한 촬영측을 클리닝하며 상기 제2출몰모듈(133',134')은 출몰을 통해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의 촬영측에 대한 이물제거, 오염제거, 습기제거, 성에제거를 위한 촬영측을 클리닝한다.
한편 상기 제1출몰모듈(131',132')은, 상기 상판모듈(141',142')에서 하부로 하강되는 제1하강몸체(131')와, 상기 제1하강몸체(131')와 함께 하강되며 상기 제1하강몸체(131')에서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에 접촉하여 회전방식 및 세정액 분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클리닝을 수행하는 제1클리닝체(13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출몰모듈(133',134')은, 상기 상판모듈(141',142')에서 하부로 하강되는 제2하강몸체(133')와, 상기 제2하강몸체(133')에서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에 접촉하여 회전방식 및 세정액 분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클리닝을 수행하는 제2클리닝체(134')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상판모듈(141',142')은, 상기 회전모듈과 접하는 중앙패널부(141')와, 상기 중앙패널부(141')의 일측으로 구비되며 하부로 상기 제1출몰모듈(131',132')이 출몰되는 제1구동패널부(142')와, 상기 중앙패널부(141')의 타측으로 구비되며 하부로 상기 제2출몰모듈(133',134')이 출몰되는 제2구동패널부(14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구동패널부(142')는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이 위치되는 제1공간을 외부로부터 차단하여 보관되도록 하는 제1셔터패널(151')이 구비되며, 상기 제2구동패널부(143')는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이 위치되는 제2공간을 외부로부터 차단하여 보관되도록 하는 제2셔터패널(152')이 구비되며, 상기 제1구동패널부(142')와 상기 제2구동패널부(143')는 상기 중앙패널부(141')의 양측에서 각각 틸트모드로 동작이 가능하여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과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을 덮어 보호상태로 만들거나 또는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과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을 노출시켜 외부 환기와, 온도조절, 습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제1장착몸체(161,162')는, 상기 제1매설몸체(111')와 상기 제2매설몸체(112')에 삽입되는 제1삽입상태로 구비되는 제1삽입체(162')와, 상기 제1삽입체(162')와 연동되며 상기 지지패널부(121')에 설치되는 제1지지구동체(161')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제2장착몸체(171',172')는, 상기 제2매설몸체(112')와 상기 제3매설몸체(113')에 삽입되는 제2삽입상태로 구비되는 제2삽입체(172')와, 상기 제2삽입체(172')와 연동되며 상기 지지패널부(121')에 설치되는 제2지지구동체(171')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3장착몸체(181',182')는, 상기 제3매설몸체(113')와 상기 제4매설몸체(114')에 삽입되는 제3삽입상태로 구비되는 제3삽입체(182')와, 상기 제3삽입체(182')와 연동되며 상기 지지패널부(121')에 설치되는 제3지지구동체(181')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제1지지구동체(161')는 상기 제1삽입상태에서 상기 제1삽입체(162')를 모터회전방식으로 축회전시키며, 상기 제2지지구동체(171')는 상기 제2삽입상태에서 상기 제2삽입체(172')를 모터회전방식으로 축회전시키며, 상기 제3지지구동체(181')는 상기 제3삽입상태에서 상기 제3삽입체(182')를 모터회전방식으로 축회전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1매설몸체(111')는 상기 제1삽입상태의 상기 제1삽입체(162')로 삽입장착되는 제1메인진입체(181')가 구비되며, 상기 제2매설몸체(112')는 상기 제1삽입상태의 상기 제1삽입체(162')로 삽입장착되는 제1서브진입체(191,192,193,194')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2매설몸체(112')는 상기 제2삽입상태의 상기 제2삽입체(172')로 삽입장착되는 제2메인진입체(201')가 구비되며, 상기 제2매설몸체(112')는 상기 제2삽입상태의 상기 제2삽입체(172')로 삽입장착되는 제2서브진입체(211',212',213',214')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제3매설몸체(113')는 상기 제3삽입상태의 상기 제3삽입체(182')로 삽입장착되는 제3메인진입체(221')가 구비되며, 상기 제3매설몸체(113')는 상기 제3삽입상태의 상기 제3삽입체(182')로 삽입장착되는 제3서브진입체(231,232,233')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제1메인진입체(181')는 상하간에 다수로 구비되며, 상기 제1서브진입체(191,192,193,194')는 상기 제1메인진입체(181')를 내부에 교호적으로 수용하도록 상하간에 다수로 구비된다. 상기 제2메인진입체(201')는 상하간에 다수로 구비되며, 상기 제2서브진입체(211',212',213',214')는 상기 제2메인진입체(201')를 내부에 교호적으로 수용하도록 상하간에 다수로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3메인진입체(221')는 상하간에 다수로 구비되며, 상기 제3서브진입체(231,232,233')는 상기 제3메인진입체(221')를 내부에 교호적으로 수용하도록 상하간에 다수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메인진입체(181')와 상기 제1서브진입체(191,192,193,194')는 상호간에 연동고정을 통해 상기 제1삽입체(162')에 대한 고정력을 가하는 제1동작모드로 동작되며, 상기 제2메인진입체(201')와 상기 제2서브진입체(211',212',213',214')는 상호간에 연동고정을 통해 상기 제2삽입체(172')에 대한 고정력을 가하는 제2동작모드로 동작되며, 상기 제3메인진입체(221')와 상기 제2서브진입체(211',212',213',214')는 상호간에 연동고정을 통해 상기 제3삽입체(182')에 대한 고정력을 가하는 제3동작모드로 동작된다.
상기 제1매설몸체(111'), 상기 제2매설몸체(112'), 상기 제3매설몸체(113') 및 상기 제4매설몸체(114')가 설치되는 하부의 하단몸체부(3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단몸쳄부상에서 상기 제1동작모드 내지 상기 제4매설모드 상태인 상기 제1매설몸체(111') 내지 상기 제4매설몸체(114')를 각각 설정 범위로 내부로 하강시켜 상기 제1동작모드 내지 상기 제4동작모드에 의한 고정력을 강화시키는 강화모드로 동작된다.
아울러 상기 제1서브진입체(191,192,193,194')는 상기 제2매설몸체(112')상에 위치되는 제1-1영역부(1911,1921,1931,1941')와, 상기 제2매설몸체(112')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1메인진입체(181')가 진입하여 마주하게 되는 제1-2영역부(1912,1922,1932,1942')을 포함한다.
상기 제2서브진입체(211',212',213',214')는 상기 제3매설몸체(113')상에 위치되는 제2-1영역부(2111,2121,2131,2141')와, 상기 제3매설몸체(113')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2메인진입체(201')가 진입하여 마주하게 되는 제2-2영역부(2112,2122,2132,214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3서브진입체(231,232,233')는 상기 제4매설몸체(114')상에 위치되는 제3-1영역부(2311,2321,2331,2341')와, 상기 제4매설몸체(114')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3메인진입체(221')가 진입하여 마주하게 되는 제3-2영역부(2312',2322',2332',2342')를 포함한다.
상기 제1-2영역부(1912,1922,1932,1942'), 상기 제2-2영역부(2112,2122,2132,2142') 및 상기 제3-2영역부(2312',2322',2332',2342')는 기 설정된 수평길이의 규격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1-2영역부(1912,1922,1932,1942'), 상기 제2-2영역부(2112,2122,2132,2142') 및 상기 제3-2영역부(2312',2322',2332',2342')는 상기 제1메인진입체(181')가 상기 수평길이의 규격 내에 설정된 범위로 진입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외부로 상태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제1동작모드 내지 상기 제3동작모드, 상기 강화모드는, 상기 제1-2영역부(1912,1922,1932,1942'), 상기 제2-2영역부(2112,2122,2132,2142') 및 상기 제3-2영역부(2312',2322',2332',2342')는 상기 상태정보가 기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동작이 수행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하단몸체부(310') 일측에 구비되는 제1몸체패널(411')과, 상기 제1몸체패널(411')의 상부로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연장몸체패널(412')과, 상기 제1몸체패널(411')의 내측에 구비되오 온도조절을 위한 유체를 분사하는 제1온도가변부(413')와, 상기 하단몸체부(310') 일측에 구비되는 제2몸체패널(511')과, 상기 제2몸체패널(511')의 상부로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연장몸체패널(512')과, 상기 제2몸체패널(511')의 내측에 구비되오 온도조절을 위한 유체를 분사하는 제2온도가변부(513')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1연장몸체패널(412')과 상기 제2연장몸체패널(512') 사이에는 덮개패널(611')이 구비되어 하부로 상기 상판모듈(141',142')을 수용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연장몸체패널(412')과 상기 제2연장몸체패널(512')은, 상기 제1온도가변부(413')와 상기 제2온도가변부(513')의 유체분사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제1온도가변부(413')와 상기 제2온도가변부(513')의 유체분사가 되는 공간 체적을 조절하도록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덮개패널(611')은, 하부에 출몰가능한 다수의 서브유체분사모듈(612,613')이 구비되어 상기 관리유닛의 온도를 2차적으로 조절하도록하며, 상기 제1연장몸체패널(412')과 상기 제2연장몸체패널(512') 사이에서 축회전하여 상기 서브유체분사모듈(612,613')이 축회전에 기반하여 주기적으로 상유체를 분사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연장몸체패널(412')에는 제1상부이동체(415')와, 상기 제1상부이동체(415')와 상기 덮개패널(611')을 사이에두고 하부에 위치되는 제1하부이동체(414')가 구비되며, 상기 제1상부이동체(415')와 상기 제1하부이동체(414')는 상기 덮개패널(611')을 향하여 이동하여 가압고정하거나, 상기 제1상부이동체(415')와 상기 제1하부이동체(414')는 상기 덮개패널(611')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여 가압고정을 해제한다.
아울러 상기 제2연장몸체패널(512')에는 제2상부이동체(515')와, 상기 제2상부이동체(515')와 상기 덮개패널(611')을 사이에두고 하부에 위치되는 제2하부이동체(514')가 구비되며, 상기 제2상부이동체(515')와 상기 제2하부이동체(514')는 상기 덮개패널(611')을 향하여 이동하여 가압고정하거나, 상기 제2상부이동체(515')와 상기 제2하부이동체(514')는 상기 덮개패널(611')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여 가압고정을 해제한다.
이상에서 전술한 물리적 구성들의 구동방식은 모터, 엑츄에이터 등을 기반으로 전후유동, 회전이동이 이루어지며 각 구성부의 형상과 크기는 설치 현장과 구현하고자하는 자재들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21: 상용전압배전선 EP: 전주
LL1: 분기인입선 LL2 : 추가 상용전압배전선

Claims (1)

  1. 변압기에 접속된 가공전선 연결형 배전함 제공방법에 있어서,
    배전함의 각 파츠들이 설치되는 설치현장에서 상기 배전함이 운용되면,
    상기 설치현장에서 관리유닛이 상기 배전함을 모니터하여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배전함은,
    전주에 설치되는 상용전압완철(12)에 상용전압애자(23)를 통해 절연상태로 지지되는 복수개의 상용전압배전선(21)을 포함하는 상용전압배전선로(20)에 적용되는 가공전선 연결형 배전함에 있어서,상기 상용전압배전선로(20)의 하부에서 상기 전주의 전,후측에 설치되는 전,후방배전함(100,200); 상기 전,후방배전함(100,2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절연지지대(300,400);
    상기 절연지지대(300,400)에 절연상태로 지지되는 단자대(500,600); 상기 단자대(500,600)와 상기 상용전압배전선로(20)의 상용전압배전선(21)을 연결하는 분기인입선(LL1);
    상기 단자대(500,600)에 연결되어 상기 전방배전함(100)과 후방배전함(200)의 좌우측으로 도출되는 복수개의 추가 상용전압배전선(LL2); 및
    상기 전주로부터 상기 전,후방배전함(100,200)을 지지하는 지지부(700)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유닛은,
    지면(S')에 매설되는 제1매설몸체(111')와, 상기 제1매설몸체(111')와 이웃하며 지면(S')에 매설되는 제2매설몸체(112')와, 상기 제2매설몸체(112')와 이웃하며 지면(S')에 매설되는 제3매설몸체(113')와, 상기 제3매설몸체(113')와 이웃하며 지면(S')에 매설되는 제4매설몸체(114')와, 상기 제1매설몸체(111')와 상기 제2매설몸체(112')사이에 장착되는 제1장착몸체(161',162')와, 상기 제2매설몸체(112')와 상기 제3매설몸체(113')사이에 장착되는 제2장착몸체(171',172')와, 상기 제3매설몸체(113')와 상기 제4매설몸체(114')사이에 장착되는 제3장착몸체(181',182')와, 상기 제1장착몸체(161',162') 내지 상기 제3장착몸체(181',182')의 상부로 설치되는 지지패널부(121')와,, 상기 지지패널부(121')상에 설치되며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모듈(122')과, 상기 회전모듈(122') 둘레부 일측에 설치되는 제1상부촬영체(124')와, 상기 회전모듈(122') 둘레부 일측에 제1상부촬영체(124') 보다 낮게 설치되는 제1하부촬영체(123')를 포함하는 제1촬영모듈(123',124')과, 상기 회전모듈(122') 둘레부 타측에 설치되는 제2상부촬영체(126')와, 상기 회전모듈(122') 둘레부 타측에 제2상부촬영체(126') 보다 낮게 설치되는 제2하부촬영체(125')를 포함하는 제2촬영모듈(125',126')을 포함하되,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 내지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은 상기 회전모듈(122')의 회전을 통해 둘레부를 촬영하되, 연속적인 둘레부 회전 혹은 설정 범위로의 한정된 둘레부 회전을 통해 촬영을 수행하고,
    상기 관리유닛은,
    상기 회전모듈(122')을 매개로 상기 지지패널부(121')와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상판모듈(141',142')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상판모듈(141',142')은, 내부로부터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과 마주하도록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이 위치되는 공간측을 향하여 출몰되는 제1출몰모듈(131',132')과, 내부로부터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과 마주하도록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이 위치되는 공간측을 향하여 출몰되는 제2출몰모듈(133',134')이 구비되며,
    상기 제1출몰모듈(131',132')은 출몰을 통해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의 촬영측 대한 이물제거, 오염제거, 습기제거, 성에제거를 위한 촬영측을 클리닝하고,
    상기 제1출몰모듈(131',132')은,
    상기 상판모듈(141',142')에서 하부로 하강되는 제1하강몸체(131')와, 상기 제1하강몸체(131')와 함께 하강되며 상기 제1하강몸체(131')에서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에 접촉하여 회전방식 및 세정액 분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클리닝을 수행하는 제1클리닝체(132')를 포함하며,
    상기 제2출몰모듈(133',134')은,
    상기 상판모듈(141',142')에서 하부로 하강되는 제2하강몸체(133')와, 상기 제2하강몸체(133')에서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에 접촉하여 회전방식 및 세정액 분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클리닝을 수행하는 제2클리닝체(134')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모듈(141',142')은,
    상기 회전모듈과 접하는 중앙패널부(141')와, 상기 중앙패널부(141')의 일측으로 구비되며 하부로 상기 제1출몰모듈(131',132')이 출몰되는 제1구동패널부(142')와, 상기 중앙패널부(141')의 타측으로 구비되며 하부로 상기 제2출몰모듈(133',134')이 출몰되는 제2구동패널부(143')를 포함하되,
    상기 제1구동패널부(142')는 상기 제1촬영모듈이 위치되는 제1공간을 외부로부터 차단하여 보관되도록 하는 제1셔터패널(151')이 구비되며,
    상기 제2구동패널부(143')는 상기 제2촬영모듈이 위치되는 제2공간을 외부로부터 차단하여 보관되도록 하는 제2셔터패널(152')이 구비되며,
    상기 제1구동패널부(142')와 상기 제2구동패널부(143')는 상기 중앙패널부(141')의 양측에서 각각 틸트모드로 동작이 가능하여 상기 제1촬영모듈과 상기 제2촬영모듈을 덮어 보호상태로 만들거나 또는 상기 제1촬영모듈과 상기 제2촬영모듈을 노출시켜 외부 환기와, 온도조절, 습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제1장착몸체(161',162')는, 상기 제1매설몸체(111')와 상기 제2매설몸체(112')에 삽입되는 제1삽입상태로 구비되는 제1삽입체(162')와, 상기 제1삽입체(162')와 연동되며 상기 지지패널부(121')에 설치되는 제1지지구동체(161')를 포함하고,
    상기 제2장착몸체(171',172')는, 상기 제2매설몸체(112')와 상기 제3매설몸체(113')에 삽입되는 제2삽입상태로 구비되는 제2삽입체(172')와, 상기 제2삽입체(172')와 연동되며 상기 지지패널부(121')에 설치되는 제2지지구동체(171')를 포함하고,
    한편 상기 제3장착몸체(181',182')는, 상기 제3매설몸체(113')와 상기 제4매설몸체(114')에 삽입되는 제3삽입상태로 구비되는 제3삽입체(182')와, 상기 제3삽입체(182')와 연동되며 상기 지지패널부(121')에 설치되는 제3지지구동체(181')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구동체(161')는 상기 제1삽입상태에서 상기 제1삽입체(162')를 모터회전방식으로 축회전시키며,
    상기 제2지지구동체(171')는 상기 제2삽입상태에서 상기 제2삽입체(172')를 모터회전방식으로 축회전시키며,
    상기 제3지지구동체(181')는 상기 제3삽입상태에서 상기 제3삽입체(182')를 모터회전방식으로 축회전시키며,
    상기 제1매설몸체(111')는 상기 제1삽입상태의 상기 제1삽입체(162')로 삽입장착되는 제1메인진입체(181')가 구비되며, 상기 제2매설몸체(112')는 상기 제1삽입상태의 상기 제1삽입체(162')로 삽입장착되는 제1서브진입체(191,192,193,194')가 구비되고,
    상기 제2매설몸체(112')는 상기 제2삽입상태의 상기 제2삽입체(172')로 삽입장착되는 제2메인진입체(201')가 구비되며, 상기 제2매설몸체(112')는 상기 제2삽입상태의 상기 제2삽입체(172')로 삽입장착되는 제2서브진입체(211',212',213',214')가 구비되는, 변압기에 접속된 가공전선 연결형 배전함 제공방법.
KR1020210187778A 2021-12-24 2021-12-24 변압기에 접속된 가공전선 연결형 배전함 제공방법 KR102474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7778A KR102474570B1 (ko) 2021-12-24 2021-12-24 변압기에 접속된 가공전선 연결형 배전함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7778A KR102474570B1 (ko) 2021-12-24 2021-12-24 변압기에 접속된 가공전선 연결형 배전함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4570B1 true KR102474570B1 (ko) 2022-12-08

Family

ID=84437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7778A KR102474570B1 (ko) 2021-12-24 2021-12-24 변압기에 접속된 가공전선 연결형 배전함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457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5199A (ko) * 2014-12-19 2016-06-29 이강훈 광고효과를 갖는 자동이동장치용 핸드레일
KR101989354B1 (ko) * 2018-12-13 2019-06-17 김기문 가공전선 연결형 배전함
KR102308527B1 (ko) * 2021-03-03 2021-10-06 주식회사 태화 전신주 높낮이 위치조절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5199A (ko) * 2014-12-19 2016-06-29 이강훈 광고효과를 갖는 자동이동장치용 핸드레일
KR101989354B1 (ko) * 2018-12-13 2019-06-17 김기문 가공전선 연결형 배전함
KR102308527B1 (ko) * 2021-03-03 2021-10-06 주식회사 태화 전신주 높낮이 위치조절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1744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관
US10574041B2 (en) Method of establishing an electrical connection
US20170338633A1 (en) Quick connect and disconnect cable junction box
KR100322053B1 (ko) 전선 케이블의 점퍼선 지지용 애자
US10418748B2 (en) Fire-rated three-way splice assembly
US9917432B2 (en) System for isolating power conductors using molded assemblies
CA311648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a submarine high voltage cable system
KR102474570B1 (ko) 변압기에 접속된 가공전선 연결형 배전함 제공방법
EP1348248B1 (en) Multi-core electrical cable connection apparatus
WO2013015475A1 (ko) 케이블 곡률반경 축소용 접속장치와 이를 이용한 케이블 곡률반경 축소 접속시공방법
US6308477B1 (en) Telecommunications cabinet isolation, allocation and mounting system
CN103681142A (zh) 一种令克绝缘隔板
BR102013004732A2 (pt) Subestação de distribuição de média voltagem
CA2130846A1 (en) Explosion-proof electrical apparatus and method of assembly
KR100759291B1 (ko)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 분기고리
US9774139B1 (en) Controlled shear point wiring adapter
KR102274997B1 (ko) 등 전위 본딩 체결장치를 구비하는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배전반·제어반
KR100667627B1 (ko) 라인포스트 애자의 점퍼선 보호장치
US10578822B2 (en) Controlled shear point fiber optic cable adapter
KR101989354B1 (ko) 가공전선 연결형 배전함
KR101206495B1 (ko)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
WO2013062420A1 (en) Connection systems for electrical installations
KR20040057382A (ko) 조류둥지에 의한 안전사고 방지용 전주내 점프선 연결방법및 구조
KR101013580B1 (ko) 센서등을 구비한 배전반
CN213905780U (zh) 一种智能高压电缆终端的联锁保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