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4997B1 - 등 전위 본딩 체결장치를 구비하는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배전반·제어반 - Google Patents

등 전위 본딩 체결장치를 구비하는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배전반·제어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4997B1
KR102274997B1 KR1020200150432A KR20200150432A KR102274997B1 KR 102274997 B1 KR102274997 B1 KR 102274997B1 KR 1020200150432 A KR1020200150432 A KR 1020200150432A KR 20200150432 A KR20200150432 A KR 20200150432A KR 102274997 B1 KR102274997 B1 KR 102274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device
nut member
magnetic body
fastening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0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주
박두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트파워
주식회사 엘파워
박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트파워, 주식회사 엘파워, 박기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트파워
Priority to KR1020200150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49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4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H01F7/0231Magnetic circuits with PM for power or force generation
    • H01F7/0242Magnetic drives, magnetic 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3/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assembly, or maintenance of boards or switch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류가 흐르는 도전 부재를 내장하거나 지지하는 구조물의 연결부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를 이루는 제1구조물과 상기 제1구조물의 단부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2구조물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제1구조물과 상기 제2구조물의 전위를 동일하게 유지시키는 등 전위 본딩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구조물 또는 상기 제2구조물에 체결되는 상기 체결장치는 볼트부재와 너트부재로 이루어지는 체결부재와 상기 제1구조물 또는 상기 제2구조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자기력을 제공하는 풀림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풀림방지부는 상기 제1구조물 또는 상기 제2구조물과 체결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자성체를 포함하여 상기 체결부재가 해체되도록 유동되거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자성체에 안착되는 볼트부재 또는 너트부재가 상기 자성체로부터 공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등 전위 본딩 체결장치를 구비하는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배전반·제어반 {Structure equipped with equal potential bonding fastener and switchboard·control panel containing it}
본 발명은 등 전위 본딩 체결장치를 구비하는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시설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 케이블 트레이, 전력 부스바 덕트, 지상 태양광 모듈 프레임 구조물, 수상 태양광 모듈 프레임 구조물, 수배전반 프레임 구조물, 제어반 프레임 구조물, 또는 태양광 접속함 프레임 구조물 등과 같은 전기 시설물의 연결부에 설치되어 연결부를 중심으로 양측의 전위가 동일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등 전위 본딩 장치이다. 즉 전류가 흐르는 전력 케이블, 전선로, 부스바, 변압기 등을 내장하거나 지지하는 전력 시설물은 전자 유도로 인해 순환전류, 와전류 등이 흘러 전자기력이 작동하거나 지속적인 진동이 발생한다.
이러한 진동으로 인해 등 전위 본딩 체결장치가 해체되고, 결국 등 전위 상태도 무너져 전기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등 전위 본딩 체결장치를 구비하는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전력시설 구조물의 연결구는, 볼트 및 너트로 이루어지는 체결부재가 풀리면서 등 전위 본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별도의 기술구성이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전력시설 구조물에 내장 또는 지지되는 대 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기력 등 진동이 체결부재를 이루는 볼트부재 또는 너트부재에 떨림 또는 회전력으로 변환되어 결국 볼트부재 및 너트부재가 회전되면서 서로 분리되어 연결구를 중심으로 좌측과 우측이 동일한 전위를 이루는 등 전위 상태가 해체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통상의 전력선 케이블 트레이의 구조물, 부스바를 내장하는 덕트의 구조물, 육상 및 수상에 설치되는 태양전지 모듈과 모듈 사이를 연결하는 프레임, 변압기 등을 수용하는 조립형 수배전반 및 제어반은 복수 프레임의 조립체로 구성되어 있는데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는 등전 위를 위해 본딩되고 최종적으로 접지선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태양열 발전장치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태양전지모듈의 프레임 사이에도 등 전위 본딩 위한 체결장치가 설치되어 복수 개의 태양전지모듈 프레임이 동일한 전위를 이루도록 하여 전위차에 의해 발생되는 오작동 및 파손을 방지토록 한다.
종래기술로 적용되어온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는, 좌측 및 우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지고 양단부에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한 쌍의 측면프레임 사이를 연결 지지하는 복수의 행거로 이루어진 케이블 트레이와, 케이블 트레이를 길이방향으로 연속 배치시키기 위하여 측면프레임의 관통공에 대응되는 체결공이 각각 형성되어 인접되는 측면프레임을 상호 연결시키는 이음연결구와, 케이블 트레이의 관통공과 이음연결구의 체결공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이음연결구의 양측면의 측면프레임 상에 형성된 점퍼 결합공에 고정되는 그라운드 본딩 점퍼(ground bonding jumper)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케이블 트레이를 구성하는 그라운드 본딩 점퍼는 케이블 트레이의 측면프레임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하여 전기 누전 등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여 케이블 트레이에 내장되는 전선(케이블)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적용된다.
상기와 같이 케이블 트레이를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하며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부재와 관련한 또 다른 특허기술로 등록특허 제1196477호에서는 케이블 트레이를 구성하는 레일을 볼트, 너트를 사용하지 않고 고정편을 측면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하여 결합시키는 연결구조로서, 케이블 트레이의 양측 측면프레임 양단에 형성된 다수 개의 관통부와 측면프레임의 관통부에 삽입되는 다수 개의 꺾쇠가 형성된 연결부재와 측면프레임의 관통부로 관통된 꺾쇠가 빠지지 않도록 연결부재의 양단으로부터 사이드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각각 삽입되는 고정편으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가 등록특허 10-1834949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34949호(2018년 03월 07일 공고, 발명의 명칭 : 케이블트레이용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하는 케이블트레이 연결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력 케이블 트레이, 전력 부스바 덕트, 지상 태양광 모듈 프레임 구조물, 수상 태양광 모듈 프레임 구조물, 수배전반 프레임 구조물, 제어반 프레임 구조물, 또는 태양광 접속함 프레임 구조물 등과 같은 전기 시설물의 연결부에 설치되어 연결부의 체결부재가 해체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기 안전을 예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 시설물의 체결부재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자성체를 사용하므로 체결부재를 이루는 볼트부재 및 너트부재가 자성체로부터 제공되는 자기력에 의해 연결대상물에 밀착되어 고전압 전류의 흐름에 의해 발생되는 떨림 또는 회전력에 의해 볼트부재 또는 너트부재가 유동되면서 해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체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류가 흐르는 도전 부재를 내장하거나 지지하는 구조물의 연결부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를 이루는 제1구조물과 상기 제1구조물의 단부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2구조물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제1구조물과 상기 제2구조물의 전위를 동일하게 유지시키는 등 전위 본딩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구조물 또는 상기 제2구조물에 체결되는 상기 체결장치는 볼트부재와 너트부재로 이루어지는 체결부재와 상기 제1구조물 또는 상기 제2구조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자기력을 제공하는 풀림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풀림방지부는 상기 제1구조물 또는 상기 제2구조물과 체결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자성체를 포함하여 상기 체결부재가 해체되도록 유동되거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자성체에 안착되는 볼트부재 또는 너트부재가 상기 자성체로부터 공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자성체에는 습기, 우수, 또는 바닷물이 접촉되어 진행되는 부식을 방지하도록 내식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코팅층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자성체는, 상기 체결장치를 이루는 볼트부재와 상기 트레이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볼트부재 또는 상기 볼트부재와 체결되는 너트부재에 자기력을 제공하는 제1자석; 및 상기 체결장치를 이루는 상기 너트부재와 상기 트레이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너트부재 또는 상기 볼트부재에 자기력을 제공하는 제2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풀림방지부는, 상기 자성체에 지지되는 상기 체결장치가 일측 또는 타측으로 편심되게 지지되어 상기 자성체에 전달되는 진동에 의해 상기 자성체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편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편심부는, 상기 자성체에 지지되는 상기 체결장치가 일측 또는 타측으로 기울어지게 안착되도록 상기 자성체에 구비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구속부는, 상기 자성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볼트부재의 머리부 또는 상기 너트부재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구속홈부; 및 상기 구속홈부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머리부 또는 상기 너트부재가 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타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구속하는 역회전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역회전방지부는, 상기 머리부 또는 상기 너트부재의 외벽에 형성되는 모서리가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회전되고, 상기 머리부 또는 상기 너트부재가 타 방향으로 회전될 때에 상기 머리부 또는 상기 너트부재의 모서리가 걸리어 구속되도록 상기 구속홈부에 구비되는 경사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항에 기재된 등 전위 본딩 체결장치를 구비하는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등 전위 본딩 체결장치를 구비하는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배전반·제어반은, 등 전위 본딩 체결장치를 트레이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가 트레이를 따라 흐르는 고압의 전류에 진동되면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체결부위에 자기력을 제공하는 풀림방지부가 구비되므로 볼트부재 및 너트부재로 이루어지는 체결부재가 진동되면서 회전되지 않게 볼트부재 및 너트부재를 당기는 인력의 자기력을 제공하여 고압 전류가 통과되면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볼트부재 또는 너트부재가 회전되면서 체결장치의 체결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등 전위 본딩 체결장치를 구비하는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배전반·제어반은, 고압의 전류의 흐름에 의해 체결장치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자성체에 부식을 방지하는 코팅층이 도포되므로 우수나 바닷물이 자성체에 접촉되어 자성체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자성체의 부식에 의해 체결장치를 구속하는 자기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수상 태양광 모듈 프레임 구조물 조립체에 본 발명의 체결장치가 적용되어도 우수 및 바닷물에 의해 자성체가 부식되어 체결부재를 구속하는 자기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등 전위 본딩 체결장치를 구비하는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배전반·제어반은, 체결부재의 유동을 방지하는 자성체가 유동되지 않도록 물리적으로 구속력을 추가로 제공하는 구속부가 구비되므로 고압 전류가 통과되면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자성체가 유동되는 것을 2중으로 방지할 수 있고, 자성체의 유동이 방지되면서 체결부재의 유동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등 전위 본딩 체결장치를 구비하는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배전반·제어반은, 체결부재의 유동을 방지하는 자성체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는 코팅층이 형성되므로 우수나 바닷물에 의해 자성체가 부식되면서 자기력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본 발명의 체결장치가 수상 태양광 모듈 프레임 구조물 조립체에 적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등 전위 본딩 체결장치를 구비하는 구조물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등 전위 본딩 체결장치를 구비하는 구조물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등 전위 본딩 체결장치를 구비하는 구조물이 도시된 분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등 전위 본딩 체결장치를 구비하는 구조물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등 전위 본딩 체결장치의 풀림방지부 및 구속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등 전위 본딩 체결장치의 풀림방지부 및 구속부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등 전위 본딩 체결장치를 구비하는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배전반·제어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등 전위 본딩 체결장치를 구비하는 구조물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 전위 본딩 체결장치를 구비하는 구조물은, 전류가 흐르는 도전 부재를 내장하거나 지지하는 구조물의 연결부에 구비되고, 연결부를 이루는 제1구조물(12)과, 제1구조물(12)의 단부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2구조물(14)과, 제1구조물(12)과 제2구조물(14)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제1구조물(12)과 제2구조물(14)의 전위를 동일하게 유지시키는 등 전위 본딩 체결장치와, 제1구조물(12) 또는 제2구조물(14)에 체결되는 체결장치가 제1구조물(12) 또는 제2구조물(14)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자기력을 제공하는 풀림방지부(70)를 포함한다.
따라서 전력 케이블 트레이, 전력 부스바 덕트, 지상 태양광 모듈 프레임 구조물, 수상 태양광 모듈 프레임 구조물, 수배전반 프레임 구조물, 제어반 프레임 구조물, 또는 태양광 접속함 프레임 구조물 등과 같은 전력장치의 연결부에 등 전위 본딩을 행할 때에 본 실시예의 체결장치를 설치하면 풀림방지부(70)의 작용에 의해 체결장치가 보다 더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고전압의 전류가 흐르면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등 전위 본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체결장치는, 제1구조물(12)과 제2구조물(14)에 형성되는 안착홀부(18)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돌편(36)과,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돌편(36)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제1구조물(12)과 제2구조물(14)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지밴드(50)와, 고정돌편(36), 접지밴드(50) 및 제1구조물(12) 또는 제2구조물(14)을 관통하도록 체결되어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한다.
간격을 유지하며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1구조물(12) 및 제2구조물(14)에는 각각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고정홀부(16)가 형성되고, 고정홀부(16)의 주변에는 직선 모양으로 안착홀부(18)가 형성되어 고정돌편(36)의 양단부로부터 굴곡되어 돌출되는 안착돌기(36b)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고정돌편(36)의 중앙부에는 고정홀부(16)에 대향되는 통과홀부(36a)가 형성되므로 체결부재를 이루는 볼트부재(32)가 고정홀부(16) 및 통과홀부(36a)에 동시에 삽입되어 고정돌편(36)을 제1구조물(12) 또는 제2구조물(14)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접지밴드(50)는, 제1구조물(12) 및 제2구조물(14)의 고정홀부(16)에 안착되는 한 쌍의 결합편(52)과, 한 쌍의 결합편(52)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지케이블(58)과, 결합편(52)과 접지케이블(58)을 연결하도록 결합편(52)의 일단이 복수 개의 접지케이블(58)을 감싸도록 굴곡되는 구속편(56)을 포함한다.
결합편(52)은 제1구조물(12) 또는 제2구조물(14)의 고정홀부(16) 및 고정돌편(36)에 안착되어 볼트부재(32)가 통과되어 고정되도록 결합홀부(54)가 형성되고, 결합편(52)의 일단이 절개되어 상측으로 굴곡되면서 다수 개의 접지케이블(58)의 단부를 감싸게 된다.
따라서 제1구조물(12) 및 제2구조물(14)에 각각 고정돌편(36)을 안착시켜 안착돌기(36b)를 안착홀부(18)에 삽입하여 고정시키고, 한 쌍의 고정돌편(36) 상면에 접지밴드(50)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결합편(52)을 안착시킨 후에 결합홀부(54), 통과홀부(36a) 및 고정홀부(16)를 관통하도록 볼트부재(32)를 삽입하고, 제1구조물(12) 또는 제2구조물(14) 저면으로 돌출되는 볼트부재(32)의 단부에 너트부재(34)를 체결하면 한 쌍의 결합편(52)이 각각 제1구조물(12) 및 제2구조물(1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한 쌍의 결합편(52)을 연결하는 접지케이블(58)에 의해 제1구조물(12)과 제2구조물(14)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등 전위 본딩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풀림방지부(70)는, 체결장치를 이루는 체결부재와 제1구조물(12) 또는 제2구조물(14)에 개재되는 자성체(72)를 포함하므로 체결부재가 해체되도록 유동되거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자기력을 체결부재에 제공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자성체(72)는, 제1구조물(12) 또는 제2구조물(14)과 너트부재(34) 사이에 개재되므로 너트부재(34)를 제1구조물(12) 또는 제2구조물(14) 측으로 당기는 자기력을 제공하게 되고, 제1구조물(12) 또는 제2구조물(14)과 자성체(72)를 통과하는 볼트부재(32)가 제1구조물(32) 또는 제2구조물(34)과 자성체(72)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자기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코팅층은 세라믹 코팅을 진행하여 이루어지고, Al2O3, ZrO2, ZrSiO4 등의 내식성 재료를 자성체(72)에 도포하여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등 전위 본딩 체결장치를 구비하는 구조물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등 전위 본딩 체결장치를 구비하는 구조물이 도시된 분해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등 전위 본딩 체결장치를 구비하는 구조물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자성체는, 체결장치를 이루는 볼트부재(32)와 트레이 사이에 위치되어 볼트부재(32) 또는 볼트부재(32)와 체결되는 너트부재(34)에 자기력을 제공하는 제1자석(72a)과, 체결장치를 이루는 너트부재(34)와 트레이 사이에 위치되어 너트부재(34) 또는 볼트부재(32)에 자기력을 제공하는 제2자석(72b)을 포함한다.
제1자석(72a) 및 제2자석(72b)은 볼트부재(32)가 통과되도록 링 모양으로 형성되고, 외벽은 원형 또는 다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제1자석(72a)은 고정돌편(36)과 결합편(52) 사이에 개재되어 볼트부재(32)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볼트부재(32)를 고정돌편(36) 측으로 당기는 자기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제2자석(72b)은 제1구조물(12) 또는 제2구조물(14) 저면과 너트부재(34) 사이에 개재되어 볼트부재(32)를 고정돌편(36) 측으로 당기는 자기력과, 너트부재(34)를 제1구조물(12) 또는 제2구조물(14) 저면 측으로 당기는 자기력을 제공하게 된다.
물론, 본 실시예의 자성체는 제1자석(72a)과 제2자석(72b) 중 어느 하나만 설치가 가능하며, 제1자석(72a) 및 제2자석(72b)의 평면 형상은 원형, 사각형, 육각형 및 팔각형 등으로 다양하게 변경되어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자성체에는 습기, 우수 또는 바닷물이 접촉되어 진행되는 부식을 방지하도록 내식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코팅층이 도포되므로 우수 또는 바닷물이 제1자석(72a) 또는 제2자석(72b)에 접촉되어 부식되면서 자기력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등 전위 본딩 체결장치의 풀림방지부(70)는, 자성체에 지지되는 체결장치가 일측 또는 타측으로 편심되게 지지되어 자성체에 전달되는 진동에 의해 자성체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편심부(76)를 더 포함하므로 체결부재와 제1구조물(12) 또는 제2구조물(14) 사이에 개재되는 자성체에 편심이 발생되어 자성체에 의해 지지되는 체결부재가 일측 또는 타측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되면서 체결부재가 공회전되면서 풀리는 오작동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편심부(76)는, 자성체에 지지되는 체결장치가 일측 또는 타측으로 기울어지게 안착되도록 자성체에 구비되는 경사면(78)을 포함하므로 제1자석(72a) 또는 제2자석(72b)에 밀착되게 배치되는 볼트부재(32)의 머리부(32a)나 너트부재(34)가 경사면(78)에 밀착되게 배치되면 머리부(32a) 또는 너트부재(34)에 가해지는 하중이 일측으로 편심되게 발생되므로 머리부(32a) 및 너트부재(34) 전체에 고르게 하중이 발생되는 상태와 비교하여 머리부(32a) 및 너트부재(34)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제1자석(72a)과 제2자석(72b)에 형성되는 경사면(78)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되고, 제1자석(72a)에 형성되는 경사면(78)과 제2자석(72b)에 형성되는 경사면(78)이 일정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제1자석(72a) 및 제2자석(72b)에는 가이드홈부가 형성되어 고정돌편(36), 제1구조물(12) 또는 제2구조물(14)로부터 돌출되는 가이드돌기가 가이드홈부에 삽입되면서 제1자석(72a) 또는 제2자석(72b)이 일정한 방향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이드돌기 및 가이드홈부에 의해 제1자석(72a)과 제2자석(72b)은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1자석(72a)에 형성되는 경사면(78)과 제2자석(72b)에 형성되는 경사면(78)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등 전위 본딩 체결장치의 자성체는 제1구조물(12) 또는 제2구조물(14)의 저면에 배치되는 제2자석(72b)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자석(72b) 상면에 경사면(78)이 형성되어 제2자석(72b) 상면에 안착되는 제1구조물(12) 또는 제2구조물(14)이 일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편심되게 지지되므로 너트부재(34)에 가해지는 하중도 일측으로 편심되게 작용하면서 너트부재(34)가 쉽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등 전위 본딩 체결장치의 풀림방지부 및 구속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등 전위 본딩 체결장치의 풀림방지부 및 구속부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등 전위 본딩 체결장치는, 자성체에 안착되는 볼트부재(32) 또는 너트부재(34)가 상기 자성체로부터 공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속부(80)를 더 포함하므로 볼트부재(32)의 머리부(32a) 또는 너트부재(34)가 자성체와 밀착되게 배치된 후에 머리부(32a) 또는 너트부재(34)가 자성체로부터 공회전되는 것을 추가로 더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체결부재가 자성체로부터 공회전되면서 해체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구속부(80)는, 자성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볼트부재(32)의 머리부(32a) 또는 너트부재(34)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구속홈부(82)와, 구속홈부(82) 내부로 삽입되는 머리부(32a) 또는 너트부재(34)가 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타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구속하는 역회전방지부(84)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자석(72a) 또는 제2자석(72b)에 형성되는 구속홈부(82)에 머리부(32a) 또는 너트부재(34)가 삽입되어 안착되면 다각형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구속홈부(82) 내벽과 머리부(32a) 또는 너트부재(34)가 간섭되면서 머리부(32a) 또는 너트부재(34)가 자성체로부터 공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구속홈부(82)는 제1자석(72a)과 제2자석(72b)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머리부(32a) 또는 너트부재(34)가 구속홈부(82)에 삽입되어 구속된 후에 머리부(32a) 또는 너트부재(34) 중 다른 하나를 랜치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회전시키면서 체결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구속홈부(82) 내벽에는 다수 개의 역회전방지부(84)가 구비되므로 머리부(32a) 또는 너트부재(34)의 체결작업이 완료된 후에 머리부(32a) 또는 너트부재(34)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머리부(32a) 및 너트부재(34)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풀리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역회전방지부(84)는, 머리부(32a) 또는 너트부재(34)의 외벽에 형성되는 모서리가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회전되고, 머리부(32a) 또는 너트부재(34)가 타 방향으로 회전될 때에 머리부(32a) 또는 너트부재(34)의 모서리가 걸리어 구속되도록 구속홈부(82)에 구비되는 경사돌기(86)를 포함한다.
경사돌기(86)는 일측 방향으로 치우치게 배치되고, 경사돌기(86)의 일면에는 머리부(32a) 또는 너트부재(34)의 외벽에 형성되는 모서리가 슬라이딩되며 지나가도록 곡면의 경사부가 구비되고, 경사돌기(86)의 타면은 머리부(32a) 또는 너트부재(34)의 모서리가 걸리면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후크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볼트부재(32)와 너트부재(34)를 체결할 때에 머리부(32a) 또는 너트부재(34)는 경사돌기(86)의 일면을 따라 경사돌기(86)를 통과하면서 회전되어 체결작업을 진행할 수 있고, 체결작업이 종료된 후에는 머리부(32a) 또는 너트부재(34)의 외면에 형성되는 모서리가 경사돌기(86)의 단부에 걸리면서 역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자성체 저면에는 고정돌편(36), 제1구조물(12) 또는 제2구조물(14)과 접촉되는 면에 제1자석(72a) 또는 제2자석(72b)이 고정돌편(36), 제1구조물(12) 또는 제2구조물(14)로부터 공회전 되는 것을 방지하는 슬립방지부(90)가 구비되므로 작업자가 머리부(32a) 또는 너트부재(34)를 회전시키면서 체결작업을 진행할 때에 슬립방지부(90)의 작용에 의해 제1자석(72a) 또는 제2자석(72b)이 공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슬립방지부(90)는, 제1자석(72a) 또는 제2자석(72b)의 일면에 형성되는 요철(92)을 포함하므로 요철(92)이 형성되는 제1자석(72a) 또는 제2자석(72b)의 일면이 고정돌편(36), 제1구조물(12) 또는 제2구조물(14)에 밀착되면서 제1자석(72a) 또는 제2자석(72b)이 공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전력 케이블 트레이, 전력 부스바 덕트, 지상 태양광 모듈 프레임 구조물, 수상 태양광 모듈 프레임 구조물, 수배전반 프레임 구조물, 제어반 프레임 구조물, 또는 태양광 접속함 프레임 구조물 등과 같은 전기 시설물의 연결부에 설치되어 연결부의 체결부재가 해체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기 안전을 예방할 수 있고, 전기 시설물의 체결부재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자성체를 사용하므로 체결부재를 이루는 볼트부재 및 너트부재가 자성체로부터 제공되는 자기력에 의해 연결대상물에 밀착되어 고전압 전류의 흐름에 의해 발생되는 떨림 또는 회전력에 의해 볼트부재 또는 너트부재가 유동되면서 해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체결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등 전위 본딩 체결장치를 구비하는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배전반·제어반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등 전위 본딩 체결장치를 구비하는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배전반·제어반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체결장치를 구비하는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배전반·제어반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2 : 제1구조물 14 : 제2구조물
16 : 고정홀부 18 : 안착홀부
32 : 볼트부재 32a : 머리부
34 : 너트부재 36 : 고정돌편
36a : 통과홀부 36b : 안착돌기
50 : 접지밴드 52 : 결합편
54 : 결합홀부 56 : 구속편
58 : 접지케이블 70 : 풀림방지부
72 : 자성체 72a : 제1자석
72b : 제2자석 74 : 관통홀부
76 : 편심부 78 : 경사면
80 : 구속부 82 : 구속홈부
84 : 역회전방지부 86 : 경사돌기
90 : 슬립방지부 92 : 요철

Claims (8)

  1. 전류가 흐르는 도전 부재를 내장하거나 지지하는 구조물의 연결부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를 이루는 제1구조물과 상기 제1구조물의 단부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2구조물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제1구조물과 상기 제2구조물의 전위를 동일하게 유지시키는 등 전위 본딩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구조물 또는 상기 제2구조물에 체결되는 상기 체결장치는 볼트부재와 너트부재로 이루어지는 체결부재와
    상기 제1구조물 또는 상기 제2구조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자기력을 제공하는 풀림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풀림방지부는 상기 제1구조물 또는 상기 제2구조물과 체결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자성체를 포함하여 상기 체결부재가 해체되도록 유동되거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구조물과 상기 제2구조물에 형성되는 안착홀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돌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구조물 및 상기 제2구조물에는 각각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고정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부의 주변에는 직선 모양으로 안착홀부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편의 양단부로부터 굴곡되어 돌출되는 안착돌기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 전위 본딩 체결장치를 구비하는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에는 습기, 우수, 또는 바닷물이 접촉되어 진행되는 부식을 방지하도록 내식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코팅층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 전위 본딩 체결장치를 구비하는 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상기 체결장치를 이루는 볼트부재와 상기 제1구조물 또는 상기 제2구조물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볼트부재 또는 상기 볼트부재와 체결되는 너트부재에 자기력을 제공하는 제1자석; 및
    상기 체결장치를 이루는 상기 너트부재와 상기 제1구조물 또는 상기 제2구조물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너트부재 또는 상기 볼트부재에 자기력을 제공하는 제2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 전위 본딩 체결장치를 구비하는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림방지부는, 상기 자성체에 지지되는 상기 체결장치가 일측 또는 타측으로 편심되게 지지되어 상기 자성체에 전달되는 진동에 의해 상기 자성체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편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 전위 본딩 체결장치를 구비하는 구조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부는, 상기 자성체에 지지되는 상기 체결장치가 일측 또는 타측으로 기울어지게 안착되도록 상기 자성체에 구비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 전위 본딩 체결장치를 구비하는 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에 안착되는 볼트부재 또는 너트부재가 상기 자성체로부터 공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속부는,
    상기 자성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볼트부재의 머리부 또는 상기 너트부재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구속홈부; 및
    상기 구속홈부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머리부 또는 상기 너트부재가 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타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구속하는 역회전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 전위 본딩 체결장치를 구비하는 구조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역회전방지부는, 상기 머리부 또는 상기 너트부재의 외벽에 형성되는 모서리가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회전되고, 상기 머리부 또는 상기 너트부재가 타 방향으로 회전될 때에 상기 머리부 또는 상기 너트부재의 모서리가 걸리어 구속되도록 상기 구속홈부에 구비되는 경사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돌기는 일측 방향으로 치우치게 배치되고, 상기 경사돌기의 일면에는 상기 머리부 또는 상기 너트부재의 외벽에 형성되는 모서리가 슬라이딩되며 지나가도록 곡면의 경사부가 구비되고, 상기 경사돌기의 타면은 상기 머리부 또는 상기 너트부재의 모서리가 걸리면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후크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 전위 본딩 체결장치를 구비하는 구조물.
  8. 제1항에 기재된 등 전위 본딩 체결장치를 구비하는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제어반.
KR1020200150432A 2020-11-11 2020-11-11 등 전위 본딩 체결장치를 구비하는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배전반·제어반 KR102274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432A KR102274997B1 (ko) 2020-11-11 2020-11-11 등 전위 본딩 체결장치를 구비하는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배전반·제어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432A KR102274997B1 (ko) 2020-11-11 2020-11-11 등 전위 본딩 체결장치를 구비하는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배전반·제어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4997B1 true KR102274997B1 (ko) 2021-07-08

Family

ID=76893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0432A KR102274997B1 (ko) 2020-11-11 2020-11-11 등 전위 본딩 체결장치를 구비하는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배전반·제어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49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774B1 (ko) * 2022-01-10 2022-12-08 안진섭 건축용 케이블 트레이 접지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7188A (ko) * 2011-04-14 2012-10-24 윤용호 와셔 일체형 케이블 덕트 고정구
KR20150128359A (ko) * 2014-05-09 2015-11-18 (주)대한트레이산업 케이블트레이의 측면프레임에 원터치 형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이음연결구를 사용하는 케이블트레이 및 그 이용방법
KR101625007B1 (ko) * 2014-12-09 2016-05-30 주식회사 삼손 풀림방지 볼트조립체
KR20170073236A (ko) * 2015-12-18 2017-06-28 임정숙 점퍼선 설치기구
KR20180056533A (ko) * 2016-11-19 2018-05-29 정준영 영구자석이 결합된 풀림 방지볼트,너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7188A (ko) * 2011-04-14 2012-10-24 윤용호 와셔 일체형 케이블 덕트 고정구
KR20150128359A (ko) * 2014-05-09 2015-11-18 (주)대한트레이산업 케이블트레이의 측면프레임에 원터치 형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이음연결구를 사용하는 케이블트레이 및 그 이용방법
KR101625007B1 (ko) * 2014-12-09 2016-05-30 주식회사 삼손 풀림방지 볼트조립체
KR20170073236A (ko) * 2015-12-18 2017-06-28 임정숙 점퍼선 설치기구
KR20180056533A (ko) * 2016-11-19 2018-05-29 정준영 영구자석이 결합된 풀림 방지볼트,너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774B1 (ko) * 2022-01-10 2022-12-08 안진섭 건축용 케이블 트레이 접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3247B2 (en) Truss with lighting track
KR102274997B1 (ko) 등 전위 본딩 체결장치를 구비하는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배전반·제어반
CA2783918C (en) Grounding fitting
KR101816316B1 (ko) 버스웨이 구성부품을 연결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0909098B1 (ko) 합선방지를 위한 지중배전선 접속체
WO2005107031A1 (en) Busbar connector
JP2008187814A (ja) 分岐用部材および分岐ケーブルの接続方法
MX2010006811A (es) Metodo y aparato para poner a tierra y montar un conector de un polo de alto amperaje.
US5147979A (en) Threadless floor electric wire junction box with water-proof protection
KR102121286B1 (ko) 변압기의 부싱 결합구조
KR100759291B1 (ko)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 분기고리
KR20150138770A (ko) 절연커버
US3383459A (en) Anticorona suspension clamp
EP0116582A1 (en) RAIL INSULATOR FOR MOUNTING A CONDUCTIVE RAIL ON A RAIL SUPPORT.
KR102375263B1 (ko) 화재예방에 효과적인 부스덕트 연결구
US829265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emergency power
CN210111572U (zh) 一种电缆穿隔密封座
KR100859545B1 (ko) 건축물 전기배선 분배용 버스덕트
KR102266058B1 (ko)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방향 가변장치
KR102039142B1 (ko) 분전기능을 갖는 저압부싱 및 이를 포함하는 주상변압기
KR102024669B1 (ko) 가공배전을 위한 애자활용 고정기구
KR20210153267A (ko) 주상변압기용 고정장치
KR100847253B1 (ko) 변압기 설치부위를 가진 배전선로용 조립식 전주.
KR101756730B1 (ko) 케이블 단자대용 풀림방지너트
KR102474570B1 (ko) 변압기에 접속된 가공전선 연결형 배전함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