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9178B1 -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장치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장치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9178B1
KR102459178B1 KR1020210194230A KR20210194230A KR102459178B1 KR 102459178 B1 KR102459178 B1 KR 102459178B1 KR 1020210194230 A KR1020210194230 A KR 1020210194230A KR 20210194230 A KR20210194230 A KR 20210194230A KR 102459178 B1 KR102459178 B1 KR 102459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graphing
buried
transformer
connection device
distributi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4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완
Original Assignee
(주)다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다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10194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91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9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9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6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장치 제공방법에 있어서,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장치가 준비되는 단계; 및 상기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장치가 설치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장치 제공방법은 관리유닛을 통해 설치과정과 주변상황이 관리되며, 상기 관리유닛은, 상기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장치가 설치되는 과정 또는 상기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장치가 설치되는 현장의 주변을 관리하도록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장치 주변에 배치되는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장치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장치 제공방법{Providing method for a cable connection device for distribution lines}
본 발명은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장치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용 전주의 상부에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외력에 대해 견고한 결합구조를 갖는 한 쌍의 연결유니트를 설치하고, 현수애자의 설치를 위한 설치홀의 갯수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며, 지지되는 전선케이블의 장력이 일정수준으로 견고하게 유지되고 전반적 설치와 운영의 관리가 쉬운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장치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선케이블의 연결시공은 전선케이블의 선로방향에 대하여 직교방향으로 전주 상단 양측면으로횡설되는 경완금의 양측에서 현수애자를 통해 전선케이블을 연결결합하고 양측 현수애자 사이를 점퍼선으로 연결하되, 상기 경완금의 양측 상면에 고정설치된 지지용 애자(Line post : 핀애자)를 통해 점퍼선을 상향 또는하향으로 지지하는 시공이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구조로는 안정된 설치에 미흡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어서도 관리가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주의 상부에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외력에 대해 견고한 결합구조를 갖는 한 쌍의 연결유니트를 설치하고, 이 연결유니트에 현수애자의 설치를 위한 설치홀의 갯수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며, 지지되는 전선케이블의 장력이 일정수준으로 유지하는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장치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장치 제공방법의 제공과정에 있어 취급상의 문제점과 절차위반, 결합 설치 등의 오류 등 초기 준비과정을 전반적으로 관리하고 조기에 문제점을 발견하여 사전적으로 안정적인 장치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장치 제공방법의 설치과정에 있어 취급상의 문제점과 절차위반, 결합 설치 등의 오류 등 중간과정을 전반적으로 관리하고 문제점을 발견하고 대응하도록 할 수 있는 장치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장치 제공방법의 설치 후 동작과정을 관리하여 운용상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담보하고 이상발생시 즉각적인 대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다양한 시점에서 관리되는 과정의 데이터를 확보하여 추후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과 손해 등을 보다 명확하게 검증하고 파악하여 다툼의 소지를 명확하게 판정할 수 있는 장치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장치 제공방법의 장치 관리를 위한 수단으로서 다양한 여건에서 최적의 동작 조건을 관리 유지하기 위한 구조적 특징을 가지는 관리수단이 마련된 장치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장치 제공방법의 장치 관리를 위한 수단이 자체적으로 외부 환경과 오염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되어 핵심적인 상황 관리(예: 모니터 등) 역할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치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장치 제공방법에 있어서,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장치가 준비되는 단계; 및 상기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장치가 설치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장치 제공방법은 관리유닛을 통해 설치과정과 주변상황이 관리되며, 상기 관리유닛은, 상기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장치가 설치되는 과정 또는 상기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장치가 설치되는 현장의 주변을 관리하도록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장치 주변에 배치되는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장치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장치 제공방법은 전선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현수애자가 결합되는 경완금의 설치구조를 안정화할 수 있으며, 경완금에 형성된 현수애자의 설치홀의 갯수를 선택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불필요하게 전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을 줄여 조류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으며 현수애자의 증설시 경완금을 교체하는 인력과 비용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전선케이블이 적정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선케이블의 늘어짐에 의한 합선, 단락사고 등을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장치 제공방법의 제공과정에 있어 취급상의 문제점과 절차위반, 결합 설치 등의 오류 등 초기 준비과정을 전반적으로 관리하고 조기에 문제점을 발견하여 사전적으로 안정적인 장치 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장치 제공방법의 설치과정에 있어 취급상의 문제점과 절차위반, 결합 설치 등의 오류 등 중간과정을 전반적으로 관리하고 문제점을 발견하고 대응하도록 할 수 있는 장치 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장치 제공방법의 설치 후 동작과정을 관리하여 운용상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담보하고 이상 발생시 즉각적인 대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시점에서 관리되는 과정의 데이터를 확보하여 추후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과 손해 등을 보다 명확하게 검증하고 파악하여 다툼의 소지를 명확하게 판정할 수 있는 장치 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장치 제공방법의 장치 관리를 위한 수단으로서 다양한 여건에서 최적의 동작 조건을 관리 유지하기 위한 구조적 특징을 가지는 관리수단이 마련된 장치 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장치 제공방법의 장치 관리를 위한 수단이 자체적으로 외부 환경과 오염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되어 핵심적인 상황 관리(예: 모니터 등) 역할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치 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장치 제공방법의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의 경완금의 분리사시도,
도 4는 탄성부재에 의한 경완금의 진퇴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경완금의 제1 형강과 제2 형강의 슬라이딩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6 내지 도 12는 도 1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장치 제공방법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장치 제공방법(100)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이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장치 제공방법(100)는 전선케이블을 상호 연결하도록 이격 설치된 전주의 상부에 체결되는 제1 연결유니트(10)와, 제1 연결유니트(10)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제1 연결유니트(10)와 연결되며 전주에 고정되는 제2 연결유니트(20)와, 제1, 제2 연결유니트(10,20)의 이격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30)와, 제1, 제2 연결유니트(10,20)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현수애자(110)가 설치되는 경완금(40)을 구비한다.
제1 연결유니트(10)는 전주와 경완금(40)이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팔각관 형태의 제1본체(11)와, 제1 본체(11)의 상측에 마련된 상측지지부(13)와, 제1 본체(11)를 전주에 고정하기 위한 제1 가압볼트(14)를 포함한다.
제1 본체(11)는 내경이 전주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전주를 감싸도록 되어 있으며, 하면을 통해 전주의 상단이 인입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또한 제1 본체(11)의 측면에는 외면과 내면을 관통하는 네 개의 관통홀(12)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관통홀(12)은 후술하는 제1 가압볼트(14)를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측지지부(13)는 제1 본체(11)의 상면에 설치되어 제1 본체(11)를 전주와 결합할 때, 전주의 상단면이 상측지지부(13)의 하면과 접촉하여 제1 본체(11)가 하방으로 하강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측지지부(13)의 하면에는 전주의 상면과의 접촉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부재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제1 가압볼트(14)는 상측지지부(13)와 함께 제1 본체(11)를 전주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 본체(11)의 관통홀(12)을 통해 제1 본체(11)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삽입된다.
제1 가압볼트(14)는 관통홀(12)을 통해 제1본체(11)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관통홀(12)에 나사결합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바(16)와, 제1 본체(11)의 내측에 위치하는 스크류바(16)의 일단에 전주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고무패드(15)와, 제1 본체(11)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스크류바(16)의 타단에 형성된 육각헤드(17)를 포함한다. 육각헤드(17)는 스패너와 같은 공구를 이용해 스크류바(16)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고무패드(15)는 스크류바(16)를 회전시켜 제1 가압볼트(14)가 전주 측으로 이동하면 일정 압력 이상으로 제1 가압볼트(14)가 전주를 가압함으로써 전주에 제1 본체(11)가 고정되게 하며, 제1 가압볼트(14)의 가압시 전주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쿠션이 있는 완충재이다.
제2 연결유니트(20)는 제2 본체(21)와, 제2 본체(21)를 전주에 고정하는 제2 가압볼트(22)를 포함한다.
제2 본체(21)는 제1 본체(11)와 마찬가지로 팔각관 형태이며 제1 본체(11)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다만 제2본체(21)는 제1 본체(11)의 하방에 위치하며 전주를 따라 승하강 되어야 하므로, 제1 본체(11)와는 달리 상면과 하면이 모두 개방되어 있다.
제2 가압볼트(22)는 제1 가압볼트(14)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간격조절부(30)는 제1, 제2 연결유니트(10,20)의 이격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 제2 본체(11,21)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된 제1, 제2 연결부(31,32)와, 제1, 제2 연결부(31,32)를 상호 연결하는 폭조절볼트(33)를 구비한다.
제1 연결부(31)는 제1 본체(11)의 상호 마주보는 두 면의 외주면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중공이 마련되어 있다.
제2 연결부(32)는 제1 연결부(31)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제2 본체(21)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있고, 제1 연결부(31)와 마찬가지로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중공이 마련되어 있다.
폭조절볼트(33)는 수직방향으로 나란한 제1, 제2 연결부(31,32)를 각각 연결하는 것으로서 제1 연결부(31)의 중공에 나사결합되는 제1 부분(34)과, 제2 연결부(32)의 중공에 나사결합되는 제2 부분(35)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제2 부분(34,35)은 제1, 제2 연결부(31,32)에 나사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나사산의 방향이 반대이다. 따라서 폭조절볼트(33)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제2 본체(11,21)의 이격 거리가가까워지게 되고, 폭조절볼트(33)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격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제1 부분(34)과 제2 부분(35)의 연결지점에는 손으로 파지하고 폭조절볼트(33)를 회전시키기 용이하도록 손잡이(36)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와는 달리 폭조절볼트(33)를 스패너와 같은 공구를 이용해 회전시킬 수 있도록제1 부분(34)과 제2 부분(35)의 연결지점에 공구의 형상에 대응되는 육각기둥의 공구체결부재(64)가 마련될 수도 있다.
경완금(40)은 전선케이블을 연결하는 현수애자(110)가 결합되는 것으로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경완금(40)은 제1 연결유니트(10)에 결합된 경완금(40)을 도시한 것이지만 제2 연결유니트(20)에 결합된 경완금(40) 역시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제1 연결유니트(10)에 결합되는 경완금(40)은 제2 연결유니트(20)에 결합되는 것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완금(40)은 제1 본체(11)의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결합턱(41)과, 이 결합턱(41)에 고정되는 제1 형강(51)과, 제1 형강(5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형강(61) 및 제1 형강(51)을 전주측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66)를 구비한다.
결합턱(41)은 제1 본체(11)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돌출길이가 동일한 제1, 제3 돌출부분(42,44)과, 제1, 제3 돌출부분(42,44)의 사이에 이들보다 돌출길이가 더 긴 제2 돌출부분(43)을 갖는다.
제2 돌출부분(43)의 상면에는 완금체결부재(47)가 나사결합될 수 있는 완금체결공(45)이 형성되어 있고, 제1, 제3돌출부분(42,44)의 전면에는 후술하는 탄성부재(66)가 체결될 수 있는 고리부재(46)가 하나씩 마련되어 있다.
결합턱(41)은 본 실시예와 같이 제1 본체(11)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와는 달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제1 형강(51)은 결합턱(41)에 지지되는 것으로, 'ㄷ'자 형상인데, 전주측으로 노출되는 일측면이 개방되어 있다.
결합턱(41)에 고정되는 중앙의 상면에는 결합턱(41)의 돌출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슬라이딩홀(5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의 양측에는 현수애자(110)가 삽입될 수 있는 제1 애자설치홀(5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애자설치홀(53)은 점퍼선의 설치시 점퍼선이 전주에 의해 간섭받지 않도록 전주로부터 충분히 이격된 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 형강(51)의 양측 상,하면에는 후술하는 제2 형강(61)과의 체결을 위한 제1 체결홀(54)이 마련되어 있는데, 제1 체결홀(54)은 제1 애자설치홀(53)과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다.
제2 형강(61)은 제1 형강(51)의 양측에서 제1 형강(51)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면에는 제2 애자설치홀(62)이 마련되어 있고, 상,하면에는 제2 체결홀(63)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형강(51)과 제2 형강(61)은 체결부재(64)에 의해 체결되는데, 제2 형강(61)이 제1 형강(51)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하여 제2 체결홀(63)이 제1 형강(51)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1 체결홀(54)들 중 선택된 하나와 연통되는 지점에 위치할 때, 체결부재(64)를 이용해 제1, 제2 체결홀(54,63)들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연장되게 한 뒤, 너트(65)를 이용해 고정한다.
제2 체결홀(63)이 제1 체결홀(54)들 중 제1 형강(51)의 최내측에 형성된 제1 체결홀(54)과 결합하면 제2 형강(61)은 제1 형강(51)의 내측으로 모두 인입된 상태이므로 현수애자(110)는 제1 형강(51)에 형성된 두 개의 제1 애자설치홀(53)에 설치가 가능하며, 제2 형강(61)의 제2 체결홀(63)은 모두 제1 체결홀(54)의 후방에 위치한다.
현수애자(110)의 설치수를 늘리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2 형강(61)을 제1 형강(51)의 외측으로 인출시키면되는데, 제2 체결홀(63)이 제1 체결홀(54)들 중 중앙의 제1 체결홀(54)과 연통되도록 한 뒤, 체결부재(64)를 삽입하면 제1 형강(51)의 외측으로 제2 형강(61)의 제2 애차설치홀이 노출되므로 경완금(40)의 일측에 세 개의 현수애자(110)를 설치할 수 있다.
만약 제2 형강(61)을 슬라이딩시켜 제2 체결홀(63)이 최외측의 제1 체결홀(54)과 연통되게 체결이 되면 제2 형강(61)에 형성된 두 개의 제2 애자설치홀(62)이 모두 외부로 노출되므로 경완금(40)의 일측에 네 개의 현수애자(110)를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형강(51)의 양측에 결합되는 제2 형강(61)을 적절히 조절하면 총 여덟 개의 현수애자(110)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형강(51)은 결합턱(41)에 진퇴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형강(51)의 슬라이딩홀(52)과 제2 돌출부분(43)의 완금체결공(45)에 완금체결부재(47)를 삽입한다.
상기 완금체결부재(47)는 머리부분의 외경이 완금체결공(45)의 직경 및 슬라이딩홀(52)의 폭보다 크기 때문에 제1 형강(51)이 결합턱(4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탄성부재(66)가 각각 일단이 제1, 제3 돌출부분(42,44)의 정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1 형강(51)의 내측면에 고정결합되어 제1 형강(51)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현수애자(110)가 설치되고 이에 전선케이블이 연결된 후, 전선케이블이 인장되거나 기타 외력에 의해 일정수준의 장력이 유지되지 못하여 늘어짐이 발생하면, 탄성부재(66)가 제1 형강(51)을 전주측으로 당겨 전선케이블이일정수준의 장력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선케이블의 늘어짐에 의한 합선이나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장치 제공방법(100)의 설치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지상에서 제1, 제2 연결유니트(10,20)를 연결하는데, 폭조절볼트(33)를 제1, 제2 연결부(31,32)에 나사결합한 뒤, 원하는 이격 간격을 갖도록 폭조절볼트(33)를 회전시켜 폭을 조절한다.
제1, 제2 본체(11,21)에 가압볼트가 소정길이 인입되도록 체결한 후, 결합턱(41)에 제1 형강(51)을 결합시킨다. 탄성부재(66)의 양단을 결합턱(41)과 제1 형강(51)의 내측에 각각 고정시킨 다음 완금체결부재(47)를 슬라이딩홀(52)과 완금체결공(45)에 삽입한다.
설치할 현수애자(110)의 수에 따라 제2 형강(61)을 제1 형강(51)에 인입 및 인출시켜 노출되는 제2 애자설치홀(62)의 갯수를 정한 뒤, 이를 전주의 상부에 고정한다.
제1 연결유니트의 상측지지부(13)가 전주의 상면과 접촉하면 제1, 제2 가압볼트(14,22)를 통해 제1, 제2 연결유니트(10,20)를 전주에 고정하면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장치 제공방법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후, 현수애자(110)를 경완금(40)에 설치하고, 점퍼선을 연장하면 전선케이블의 연결작업이 마쳐진다.
도 6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장치 제공방법에 있어서,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장치가 준비되는 단계; 및 상기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장치가 설치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장치는 관리유닛을 통해 설치과정과 주변상황이 관리되며, 상기 관리유닛은, 상기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장치가 설치되는 과정 또는 상기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장치가 설치되는 현장의 주변을 관리하도록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장치 주변에 배치된다.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장치는 전선케이블을 상호 연결하도록 이격 설치된 전주의 상부에 체결되는 제1 연결유니트와; 상기 제1 연결유니트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연결유니트와 연결되며 상기 전주에 고정되는 제2 연결유니트와; 상기 제1, 제2 연결유니트의 이격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와; 상기 제1, 제2 연결유니트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현수애자가 설치되는 경완금;을 구비한다.
이러한 장치은 상기 관리유닛에 의하여 설치상태 또는 운영상태가가 감시관리된다. 상기 관리유닛은, 설정된 구간을 촬영하여 상태관리, 보안관리 및 안전관리를 수행하는 관리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관리유닛은,지면(S')에 매설되는 제1매설몸체(111')와, 상기 제1매설몸체(111')와 이웃하며 지면(S')에 매설되는 제2매설몸체(112')와, 상기 제2매설몸체(112')와 이웃하며 지면(S')에 매설되는 제3매설몸체(113')와, 상기 제3매설몸체(113')와 이웃하며 지면(S')에 매설되는 제4매설몸체(114')와, 상기 제1매설몸체(111')와 상기 제2매설몸체(112')사이에 장착되는 제1장착몸체(161,162')와, 상기 제2매설몸체(112')와 상기 제3매설몸체(113')사이에 장착되는 제2장착몸체(171',172')와, 상기 제3매설몸체(113')와 상기 제4매설몸체(114')사이에 장착되는 제3장착몸체(181',182')와, 상기 제1장착몸체(161,162') 내지 상기 제3장착몸체(181',182')의 상부로 설치되는 지지패널부(121')와, 상기 지지패널부(121')상에 설치되며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모듈(122')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회전모듈(122') 둘레부 일측에 설치되는 제1상부촬영체(124')와, 상기 회전모듈(122') 둘레부 일측에 제1상부촬영체(124') 보다 낮게 설치되는 제1하부촬영체(123')를 포함하는 제1촬영모듈(123',124')과, 상기 회전모듈(122') 둘레부 타측에 설치되는 제2상부촬영체(126')와, 상기 회전모듈(122') 둘레부 타측에 제2상부촬영체(126') 보다 낮게 설치되는 제2하부촬영체(125')를 포함하는 제2촬영모듈(125,126')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 내지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은 상기 회전모듈(122')의 회전을 통해 둘레부를 촬영하되, 연속적인 둘레부 회전 혹은 설정 범위로의 한정된 둘레부 회전을 통해 촬영을 수행한다.
아울러 상기 관리유닛은, 상기 회전모듈(122')을 매개로 상기 지지패널부(121')와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상판모듈(141,142')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상판모듈(141,142')은, 내부로부터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과 마주하도록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이 위치되는 공간측을 향하여 출몰되는 제1출몰모듈(131',132')과, 내부로부터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과 마주하도록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이 위치되는 공간측을 향하여 출몰되는 제2출몰모듈(133',134')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출몰모듈(131',132')은 출몰을 통해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의 촬영측 대한 이물제거, 오염제거, 습기제거, 성에제거를 위한 촬영측을 클리닝하며 상기 제2출몰모듈(133',134')은 출몰을 통해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의 촬영측에 대한 이물제거, 오염제거, 습기제거, 성에제거를 위한 촬영측을 클리닝한다.
한편 상기 제1출몰모듈(131',132')은, 상기 상판모듈(141,142')에서 하부로 하강되는 제1하강몸체(131')와, 상기 제1하강몸체(131')와 함께 하강되며 상기 제1하강몸체(131')에서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에 접촉하여 회전방식 및 세정액 분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클리닝을 수행하는 제1클리닝체(13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출몰모듈(133',134')은, 상기 상판모듈(141,142')에서 하부로 하강되는 제2하강몸체(133')와, 상기 제2하강몸체(133')에서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에 접촉하여 회전방식 및 세정액 분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클리닝을 수행하는 제2클리닝체(134')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상판모듈(141,142')은, 상기 회점모듈과 접하는 중앙패널부(141')와, 상기 중앙패널부(141')의 일측으로 구비되며 하부로 상기 제1출몰모듈(131',132')이 출몰되는 제1구동패널부(142')와, 상기 중앙패널부(141')의 타측으로 구비되며 하부로 상기 제2출몰모듈(133',134')이 출몰되는 제2구동패널부(14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구동패널부(142')는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이 위치되는 제1공간을 외부로부터 차단하여 보관되도록 하는 제1셔터패널(151')이 구비되며, 상기 제2구동패널부(143')는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이 위치되는 제2공간을 외부로부터 차단하여 보관되도록 하는 제2셔터패널(152')이 구비되며, 상기 제1구동패널부(142')와 상기 제2구동패널부(143')는 상기 중앙패널부(141')의 양측에서 각각 틸트모드로 동작이 가능하여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과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을 덮어 보호상태로 만들거나 또는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과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을 노출시켜 외부 환기와, 온도조절, 습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제1장착몸체(161,162')는, 상기 제1매설몸체(111')와 상기 제2매설몸체(112')에 삽입되는 제1삽입상태로 구비되는 제1삽입체(162')와, 상기 제1삽입체(162')와 연동되며 상기 지지패널부(121')에 설치되는 제1지지구동체(161')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제2장착몸체(171',172')는, 상기 제2매설몸체(112')와 상기 제3매설몸체(113')에 삽입되는 제2삽입상태로 구비되는 제2삽입체(172')와, 상기 제2삽입체(172')와 연동되며 상기 지지패널부(121')에 설치되는 제2지지구동체(171')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3장착몸체(181',182')는, 상기 제3매설몸체(113')와 상기 제4매설몸체(114')에 삽입되는 제3삽입상태로 구비되는 제3삽입체(182')와, 상기 제3삽입체(182')와 연동되며 상기 지지패널부(121')에 설치되는 제3지지구동체(181')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제1지지구동체(161')는 상기 제1삽입상태에서 상기 제1삽입체(162')를 모터회전방식으로 축회전시키며, 상기 제2지지구동체(171')는 상기 제2삽입상태에서 상기 제2삽입체(172')를 모터회전방식으로 축회전시키며, 상기 제3지지구동체(181')는 상기 제3삽입상태에서 상기 제3삽입체(182')를 모터회전방식으로 축회전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1매설몸체(111')는 상기 제1삽입상태의 상기 제1삽입체(162')로 삽입장착되는 제1메인진입체(181')가 구비되며, 상기 제2매설몸체(112')는 상기 제1삽입상태의 상기 제1삽입체(162')로 삽입장착되는 제1서브진입체(191',192',193',194')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2매설몸체(112')는 상기 제2삽입상태의 상기 제2삽입체(172')로 삽입장착되는 제2메인진입체(201')가 구비되며, 상기 제2매설몸체(112')는 상기 제2삽입상태의 상기 제2삽입체(172')로 삽입장착되는 제2서브진입체(211',212',213',214')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제3매설몸체(113')는 상기 제3삽입상태의 상기 제3삽입체(182')로 삽입장착되는 제3메인진입체(221')가 구비되며, 상기 제3매설몸체(113')는 상기 제3삽입상태의 상기 제3삽입체(182')로 삽입장착되는 제3서브진입체(231',232',233')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제1메인진입체(181')는 상하간에 다수로 구비되며, 상기 제1서브진입체(191',192',193',194')는 상기 제1메인진입체(181')를 내부에 교호적으로 수용하도록 상하간에 다수로 구비된다.
상기 제2메인진입체(201')는 상하간에 다수로 구비되며, 상기 제2서브진입체(211',212',213',214')는 상기 제2메인진입체(201')를 내부에 교호적으로 수용하도록 상하간에 다수로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3메인진입체(221')는 상하간에 다수로 구비되며, 상기 제3서브진입체(231',232',233')는 상기 제3메인진입체(221')를 내부에 교호적으로 수용하도록 상하간에 다수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메인진입체(181')와 상기 제1서브진입체(191',192',193',194')는 상호간에 연동고정을 통해 상기 제1삽입체(162')에 대한 고정력을 가하는 제1동작모드로 동작되며, 상기 제2메인진입체(201')와 상기 제2서브진입체(211',212',213',214')는 상호간에 연동고정을 통해 상기 제2삽입체(172')에 대한 고정력을 가하는 제2동작모드로 동작되며, 상기 제3메인진입체(221')와 상기 제2서브진입체(211',212',213',214')는 상호간에 연동고정을 통해 상기 제3삽입체(182')에 대한 고정력을 가하는 제3동작모드로 동작된다.
상기 제1매설몸체(111'), 상기 제2매설몸체(112'), 상기 제3매설몸체(113') 및 상기 제4매설몸체(114')가 설치되는 하부의 하단몸체부(3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단몸쳄부상에서 상기 제1동작모드 내지 상기 제4매설모드 상태인 상기 제1매설몸체(111') 내지 상기 제4매설몸체(114')를 각각 설정 범위로 내부로 하강시켜 상기 제1동작모드 내지 상기 제4동작모드에 의한 고정력을 강화시키는 강화모드로 동작된다.
아울러 상기 제1서브진입체(191',192',193',194')는 상기 제2매설몸체(112')상에 위치되는 제1-1영역부(1911,1921,1931,1941')와, 상기 제2매설몸체(112')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1메인진입체(181')가 진입하여 마주하게 되는 제1-2영역부(1912,1922,1932,1942')을 포함한다.
상기 제2서브진입체(211',212',213',214')는 상기 제3매설몸체(113')상에 위치되는 제2-1영역부(2111,2121,2131,2141')와, 상기 제3매설몸체(113')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2메인진입체(201')가 진입하여 마주하게 되는 제2-2영역부(2112',2122',2132',214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3서브진입체(231',232',233')는 상기 제4매설몸체(114')상에 위치되는 제3-1영역부(2311,2321,2331,2341')와, 상기 제4매설몸체(114')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3메인진입체(221')가 진입하여 마주하게 되는 제3-2영역부(2312',2322',2332',2342')를 포함한다.
상기 제1-2영역부(1912,1922,1932,1942'), 상기 제2-2영역부(2112',2122',2132',2142') 및 상기 제3-2영역부(2312',2322',2332',2342')는 기 설정된 수평길이의 규격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1-2영역부(1912,1922,1932,1942'), 상기 제2-2영역부(2112',2122',2132',2142') 및 상기 제3-2영역부(2312',2322',2332',2342')는 상기 제1메인진입체(181')가 상기 수평길이의 규격 내에 설정된 범위로 진입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외부로 상태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제1동작모드 내지 상기 제3동작모드, 상기 강화모드는, 상기 제1-2영역부(1912,1922,1932,1942'), 상기 제2-2영역부(2112',2122',2132',2142') 및 상기 제3-2영역부(2312',2322',2332',2342')는 상기 상태정보가 기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동작이 수행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하단몸체부(310') 일측에 구비되는 제1몸체패널(411')과, 상기 제1몸체패널(411')의 상부로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연장몸체패널(412')과, 상기 제1몸체패널(411')의 내측에 구비되오 온도조절을 위한 유체를 분사하는 제1온도가변부(413')와, 상기 하단몸체부(310') 일측에 구비되는 제2몸체패널(511')과, 상기 제2몸체패널(511')의 상부로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연장몸체패널(512')과, 상기 제2몸체패널(511')의 내측에 구비되오 온도조절을 위한 유체를 분사하는 제2온도가변부(513')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1연장몸체패널(412')과 상기 제2연장몸체패널(512') 사이에는 덮개패널(611')이 구비되어 하부로 상기 상판모듈(141,142')을 수용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연장몸체패널(412')과 상기 제2연장몸체패널(512')은, 상기 제1온도가변부(413')와 상기 제2온도가변부(513')의 유체분사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제1온도가변부(413')와 상기 제2온도가변부(513')의 유체분사가 되는 공간 체적을 조절하도록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덮개패널(611')은, 하부에 출몰가능한 다수의 서브유체분사모듈(612,613')이 구비되어 상기 관리유닛의 온도를 2차적으로 조절하도록하며, 상기 제1연장몸체패널(412')과 상기 제2연장몸체패널(512') 사이에서 축회전하여 상기 서브유체분사모듈(612,613')이 축회전에 기반하여 주기적으로 상유체를 분사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연장몸체패널(412')에는 제1상부이동체(415')와, 상기 제1상부이동체(415')와 상기 덮개패널(611')을 사이에 두고 하부에 위치되는 제1하부이동체(414')가 구비되며, 상기 제1상부이동체(415')와 상기 제1하부이동체(414')는 상기 덮개패널(611')을 향하여 이동하여 가압고정하거나, 상기 제1상부이동체(415')와 상기 제1하부이동체(414')는 상기 덮개패널(611')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여 가압고정을 해제한다.
아울러 상기 제2연장몸체패널(512')에는 제2상부이동체(515')와, 상기 제2상부이동체(515')와 상기 덮개패널(611')을 사이에두고 하부에 위치되는 제2하부이동체(514')가 구비되며, 상기 제2상부이동체(515')와 상기 제2하부이동체(514')는 상기 덮개패널(611')을 향하여 이동하여 가압고정하거나, 상기 제2상부이동체(515')와 상기 제2하부이동체(514')는 상기 덮개패널(611')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여 가압고정을 해제한다.
이상에서 전술한 물리적 구성들의 구동방식은 모터, 엑츄에이터 등을 기반으로 전후유동, 회전이동이 이루어지며 각 구성부의 형상과 크기는 설치 현장과 구현하고자하는 자재들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장치 제공방법
10; 제1 연결유니트 11; 제1 본체
13; 상측지지부 14; 제1 가압볼트

Claims (1)

  1.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장치 제공방법에 있어서,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장치가 관리유닛을 통해 설치과정과 주변상황이 관리되며,
    상기 관리유닛은,
    상기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장치가 설치되는 과정 또는 상기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장치가 설치되는 현장의 주변을 관리하도록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장치 주변에 배치되며,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장치는,
    전선케이블을 상호 연결하도록 이격 설치된 전주의 상부에 체결되는 제1 연결유니트와;
    상기 제1 연결유니트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연결유니트와 연결되며 상기 전주에 고정되는 제2 연결유니트와;
    상기 제1, 제2 연결유니트의 이격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와; 상기 제1, 제2 연결유니트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현수애자가 설치되는 경완금; 을 구비하
    상기 관리유닛은,
    설정된 구간을 촬영하여 상태관리, 보안관리 및 안전관리를 수행하는 관리유닛을 포함하되,
    지면(S')에 매설되는 제1매설몸체(111')와, 상기 제1매설몸체(111')와 이웃하며 지면(S')에 매설되는 제2매설몸체(112')와, 상기 제2매설몸체(112')와 이웃하며 지면(S')에 매설되는 제3매설몸체(113')와, 상기 제3매설몸체(113')와 이웃하며 지면(S')에 매설되는 제4매설몸체(114')와, 상기 제1매설몸체(111')와 상기 제2매설몸체(112')사이에 장착되는 제1장착몸체(161,162')와, 상기 제2매설몸체(112')와 상기 제3매설몸체(113')사이에 장착되는 제2장착몸체(171',172')와, 상기 제3매설몸체(113')와 상기 제4매설몸체(114')사이에 장착되는 제3장착몸체(181',182')와, 상기 제1장착몸체(161,162') 내지 상기 제3장착몸체(181',182')의 상부로 설치되는 지지패널부(121')와, 상기 지지패널부(121')상에 설치되며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모듈(122')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유닛은,
    상기 회전모듈(122') 둘레부 일측에 설치되는 제1상부촬영체(124')와, 상기 회전모듈(122') 둘레부 일측에 제1상부촬영체(124') 보다 낮게 설치되는 제1하부촬영체(123')를 포함하는 제1촬영모듈(123',124')과,
    상기 회전모듈(122') 둘레부 타측에 설치되는 제2상부촬영체(126')와, 상기 회전모듈(122') 둘레부 타측에 제2상부촬영체(126') 보다 낮게 설치되는 제2하부촬영체(125')를 포함하는 제2촬영모듈(125,126')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 내지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은 상기 회전모듈(122')의 회전을 통해 둘레부를 촬영하되, 연속적인 둘레부 회전 혹은 설정 범위로의 한정된 둘레부 회전을 통해 촬영을 수행하되,
    상기 관리유닛은,
    상기 회전모듈(122')을 매개로 상기 지지패널부(121')와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상판모듈(141,142')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상판모듈(141,142')은, 내부로부터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과 마주하도록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이 위치되는 공간측을 향하여 출몰되는 제1출몰모듈(131',132')과, 내부로부터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과 마주하도록 상기 제2촬영모듈(125,126')이 위치되는 공간측을 향하여 출몰되는 제2출몰모듈(133',134')이 구비되며,
    상기 제1출몰모듈(131',132')은 출몰을 통해 상기 제1촬영모듈(123',124')의 촬영측 대한 이물제거, 오염제거, 습기제거, 성에제거를 위한 촬영측을 클리닝하는,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장치 제공방법.
KR1020210194230A 2021-12-31 2021-12-31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장치 제공방법 KR102459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4230A KR102459178B1 (ko) 2021-12-31 2021-12-31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장치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4230A KR102459178B1 (ko) 2021-12-31 2021-12-31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장치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9178B1 true KR102459178B1 (ko) 2022-10-27

Family

ID=83810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4230A KR102459178B1 (ko) 2021-12-31 2021-12-31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장치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91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1949B1 (ko) * 2023-02-24 2023-05-15 (주)호반엔지니어링 변압기가 설치된 배전선로 고장구간 검출 시스템 및 그 설치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156B1 (ko) * 2021-02-01 2021-09-07 (주)대주기술 지중 배전선로 고장구간 확인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156B1 (ko) * 2021-02-01 2021-09-07 (주)대주기술 지중 배전선로 고장구간 확인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1949B1 (ko) * 2023-02-24 2023-05-15 (주)호반엔지니어링 변압기가 설치된 배전선로 고장구간 검출 시스템 및 그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9178B1 (ko)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장치 제공방법
US7387294B2 (en) Electric wire changing device for wire replacing works on electric poles and power distributing method without cutting off power supply
KR102218220B1 (ko) 배전선로의 전력 감시 시스템
KR102348457B1 (ko) 철탑용 중장비 접근 방지 장치
US7828486B1 (en) Surveillance system with wind vibration isolating enclosure
CA3157253A1 (en) Rope robot and method for mounting an object to a power line
KR101028146B1 (ko) 송전변전 배전 피뢰기의 마운팅 브라켓 높이조절 장치
KR102358796B1 (ko) 활선 작업용 보조완철의 어댑터
KR102408033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CN115864214B (zh) 一种线缆变形检测用自动爬线机器人
KR102459355B1 (ko) 가공 배전선로 전신주 애자고정 시스템
CN111306428B (zh) 智能安防监控设备
KR102484585B1 (ko)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 누전방지 감시 시스템
KR102449798B1 (ko) 변압기가 구비된 전신주 배전선로 연결장치 및 제작시스템
KR102385883B1 (ko) 배전선로 케이블의 단락방지 시스템
CN211738579U (zh) 一种工程造价进度管理装置
KR102484584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변압기에 지중으로 접속된 배전선로 감시 시스템
KR102398268B1 (ko) 매설형 지중 배전선로의 이상유무 모니터링 시스템 제공방법
CN212004872U (zh) 一种调整灵活安装快速的监控器安装结构
CN111928067A (zh) 一种安防用户外监控摄像头固定装置
KR102383503B1 (ko) 지중 송전선로와 지하 변전소에 접속하는 송전선로 고정 시스템
KR102557036B1 (ko) 이상전압회피 가능 가공배전라인 고정장치
KR102535712B1 (ko) 송전선로와 철탑 연결장치 및 그 설치방법
CN220790695U (zh) 一种临边洞口防护结构
CN220551719U (zh) 一种调节式信息通信监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