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7036B1 - 이상전압회피 가능 가공배전라인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이상전압회피 가능 가공배전라인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7036B1
KR102557036B1 KR1020230015602A KR20230015602A KR102557036B1 KR 102557036 B1 KR102557036 B1 KR 102557036B1 KR 1020230015602 A KR1020230015602 A KR 1020230015602A KR 20230015602 A KR20230015602 A KR 20230015602A KR 102557036 B1 KR102557036 B1 KR 102557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iron
horizontal
insulator
wanche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5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민욱
Original Assignee
(주)경성감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경성감리단 filed Critical (주)경성감리단
Priority to KR1020230015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70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7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70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 H02G13/40Connection to earth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14Supporting insu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상전압회피 가능 가공배전라인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하로 관통형성되는 승강회전홀(11)과, 상하로 관통형성되고 승강회전홀(11)보다 좌방에 위치하는 삽탈고정홀(12)을 갖추고서, 전주(P)에 우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완철(10)과;
삽탈고정홀(12)보다 우방에 위치하게 완철(10)의 우단에 설치되어, 가공배전라인(L)을 지지하는 라인포스트애자(20)와;
상방 및 측방으로 개구된 개구부(61)를 구비하여, 전주(P)의 상단에 설치되는 커버(60)와;
커버(10)의 상면에 설치되는 수직대(31); 수직대(31)의 상단에 설치되는 수평대(32); 수평대(32)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되 하단이 커버(60)의 개구부(61)에 수용되는 절연재질의 이동랙(33); 수평대(32)에 설치되어 피니언(35)을 회전시키는 구동기기(34); 구동기기(34)에 설치되고, 이동랙(33)과 연동하여 이동랙(33)을 상하 이동시키는 피니언(35); 이동랙(33)의 상단에 설치되는 피뢰침(36)과, 피뢰침(36)에 연결되는 접지선(37)을 갖춘 낙뢰회피기구(30)와;
완철(10)의 하면에 설치되어 작동 시 위험알림신호를 무선송출하는 위험알림버튼(70)과;
승강회전홀(11)에 회전가능하면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되 하단이 완철(10)의 하면보다 하방으로 돌출되는 회전승강바(41); 승강회전홀(11)보다 큰 크기를 이루어 회전승강바(41)의 하단에 설치되고, 하면이 요철 형상을 이루어 별도의 이송장대(B)의 요철부(B1)와 맞물리는 요철연결체(42); 회전승강바(41)의 상단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수평연장바(43); 수평연장바(43)에 하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완철(10)의 전면에 맞대어지거나 삽탈고정홀(12)에 삽탈되는 고정삽탈바(44); 고정삽탈바(44)의 전단에 좌우방으로 구비되는 수평거치바(45); 수평거치바(45)의 좌우단에 하방으로 돌출되게 각각 구비되되, 서로 간의 이격거리가 완철(10)의 전후 폭보다 크게 구비되어, 완철(10)에 삽탈가능한 제1,2수직연장바(46,46'); 상방이 개구된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1,2수직연장바(46,46')의 하단에 각각 설치되고, 현수애자기구(50)의 수평걸이바(51)가 삽입될 시 일정 외력 이하에서는 수평걸이바(51)의 상방 이동을 제한하는 탄성재질의 제1,2걸이체(47,47');를 갖춘 애자연결기구(40)와;
양단이 제1,2걸이체(47,47')에 각각 삽탈가능한 볼트 형상의 수평걸이바(51)와, 수평걸이바(51)의 양단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나사산체결되되 제1,2걸이체(47,47')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2이탈방지체(52,52')와, 수평걸이바(51)의 하측에 설치되고, 접지선(37)이 지지되는 현수애자(53)을 갖춘 현수애자기구(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상전압회피 가능 가공배전라인 고정장치{Overhead Distribution Line Fixing Equipment}
본 발명은 이상전압회피 가능 가공배전라인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전소로부터의 전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주(a) 및 완철(b)을 매개로 설치되는 가공배전라인(c)을 통해, 각 수용가로 배전된다
이때, 완철에는 LP(라인포스트, d)애자가 설치되어, LP애자(d)를 통해 가공배전라인(c)이 지지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전주(a)를 향해 낙뢰가 칠 시 낙뢰에 의해 발생한 고압의 이상전압을 회피할 수 없어 전주(a)에 설치된 가공배전설비를 낙뢰로부터 보호할 수 없었다.
또한, 종래에는 작업자가 완철(b) 부분에서 작업을 하던 중 신변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이를 외부에 즉각 알릴 수 없어 위험상황에 신속한 대처가 어려웠다.
뿐만 아니라, 종래에는 상기 LP애자(d) 이외에 완철(b)에 추가애자를 설치할 시, 완철(b)에 추가애자를 설치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7386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피뢰침(36)의 높이를 정밀 조절하면서 낙뢰로부터 각 구성을 보호하고, 작업자의 긴급상황을 외부에 신속하게 알릴 수 있으며, 라인포스트애자(20)를 매개로 가공배전라인(L)을 안전하게 지지하면서 별도의 현수애자를 완철(10)에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가공배전라인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하로 관통형성되는 승강회전홀(11)과, 상하로 관통형성되고 승강회전홀(11)보다 좌방에 위치하는 삽탈고정홀(12)을 갖추고서, 전주(P)에 우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완철(10)과;
삽탈고정홀(12)보다 우방에 위치하게 완철(10)의 우단에 설치되어, 가공배전라인(L)을 지지하는 라인포스트애자(20)와;
상방 및 측방으로 개구된 개구부(61)를 구비하여, 전주(P)의 상단에 설치되는 커버(60)와;
커버(10)의 상면에 설치되는 수직대(31); 수직대(31)의 상단에 설치되는 수평대(32); 수평대(32)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되 하단이 커버(60)의 개구부(61)에 수용되는 절연재질의 이동랙(33); 수평대(32)에 설치되어 피니언(35)을 회전시키는 구동기기(34); 구동기기(34)에 설치되고, 이동랙(33)과 연동하여 이동랙(33)을 상하 이동시키는 피니언(35); 이동랙(33)의 상단에 설치되는 피뢰침(36)과, 피뢰침(36)에 연결되는 접지선(37)을 갖춘 낙뢰회피기구(30)와;
완철(10)의 하면에 설치되어 작동 시 위험알림신호를 무선송출하는 위험알림버튼(70)과;
승강회전홀(11)에 회전가능하면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되 하단이 완철(10)의 하면보다 하방으로 돌출되는 회전승강바(41); 승강회전홀(11)보다 큰 크기를 이루어 회전승강바(41)의 하단에 설치되고, 하면이 요철 형상을 이루어 별도의 이송장대(B)의 요철부(B1)와 맞물리는 요철연결체(42); 회전승강바(41)의 상단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수평연장바(43); 수평연장바(43)에 하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완철(10)의 전면에 맞대어지거나 삽탈고정홀(12)에 삽탈되는 고정삽탈바(44); 고정삽탈바(44)의 전단에 좌우방으로 구비되는 수평거치바(45); 수평거치바(45)의 좌우단에 하방으로 돌출되게 각각 구비되되, 서로 간의 이격거리가 완철(10)의 전후 폭보다 크게 구비되어, 완철(10)에 삽탈가능한 제1,2수직연장바(46,46'); 상방이 개구된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1,2수직연장바(46,46')의 하단에 각각 설치되고, 현수애자기구(50)의 수평걸이바(51)가 삽입될 시 일정 외력 이하에서는 수평걸이바(51)의 상방 이동을 제한하는 탄성재질의 제1,2걸이체(47,47');를 갖춘 애자연결기구(40)와;
양단이 제1,2걸이체(47,47')에 각각 삽탈가능한 볼트 형상의 수평걸이바(51)와, 수평걸이바(51)의 양단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나사산체결되되 제1,2걸이체(47,47')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2이탈방지체(52,52')와, 수평걸이바(51)의 하측에 설치되고, 접지선(37)이 지지되는 현수애자(53)을 갖춘 현수애자기구(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른 본 발명은, 낙뢰회피기구(30)를 통해 낙뢰 발생으로 생성된 이상전압(고전압)을 회피할 수 있어, 본 발명의 각 구성을 낙뢰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작업 중 신변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위험알림버튼(70)을 통해 이를 즉각적으로 외부에 알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완철(10)에 현수애자를 추가설치 해야 할 시 애자연결기구(40) 및 현수애자기구(50)를 활용하여 완철(10)에 현수애자를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고, 현수애자를 추가 설치 않을 시(평상시)에는 애자연결기구(40)를 완철(10)에 보관수납할 수 있어 공간활용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때 애자연결기구(40)는 라인포스트애자(20)보다 안쪽에 위치하도록 완철(10)에 설치되어 라인포스트애자(20)를 회피하면서 효과적으로 공간활용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애자연결기구(40)가 완철(10)에 설치될 시, 애자연결기구(40)의 고정삽탈바(44)가 삽탈고정홀(12)에 삽입되거나 완철(10)의 전면에 맞닿도록 이루어져, 애자연결기구(40)의 위치변경에 따라 애자연결기구(40)를 완철(10)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애자연결기구(40)의 제1,2수직연장바(46,46') 및 제1,2걸이체(47,47')가 완철(10)에 삽탈가능하여, 현수애자를 추가 설치 않을 시(평상시)에 완철설치기구(40)를 완철(10)에 보관하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애자연결기구(40)에 요철연결체(42)가 구비되어, 별도의 이송장대(B)를 통해 애자연결기구(40)의 위치변경을 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의 요철연결체(42)는, 회전승강바(41)가 승강할 시 회전승강바(41)가 완철(1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스토퍼 기능을 하고, 회전승강바(41)가 하강할 시 중심이 잡히도록 무게추 기능을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수애자기구(50)의 제1,2이탈방지체(52,52')가 수평걸이바(51)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애자연결기구(40)의 크기에 대응하여 현수애자기구(50)를 애자연결기구(40)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은 본 발명에서 전주 상단에 위치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완철 및 완철 주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회전승강바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현수애자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2은 본 발명에서 전주 상단에 위치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완철 및 완철 주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회전승강바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현수애자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3 상에서 X축 방향을 좌우방향으로 하고, Y축 방향을 전후방향으로 하며, Z축 방향을 상하방향으로 하여, 본 발명 구성의 방향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라인 고정장치는, 완철(10)과, 라인포스트애자(20)와, 커버(60)와, 낙뢰회피기구(30)와, 위험알림버튼(70)과, 애자연결기구(40)와, 현수애자기구(50)를 포함한다.
상기 완철(10)은,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관통형성되는 승강회전홀(11)과, 상하로 관통형성되고 승강회전홀(11)보다 좌방에 위치하는 삽탈고정홀(12)을 갖추고서, 전주(P)에 우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완철(1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사각 파이프 형상을 이루고, 승강회전홀(11)은 완철(10)의 상측 및 하측에 구비되며, 삽탈고정홀(12)은 완철(10)의 상측 및 하측에 구비된다.
상기 라인포스트애자(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탈고정홀(12)보다 우방에 위치하게 완철(10)의 우단에 설치되어, 가공배전라인(L)을 지지한다.
상기 커버(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 및 측방으로 개구된 개구부(61)를 구비하여, 전주(P)의 상단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커버(60)는 절연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 커버(60)는 전주(P)의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낙뢰회피기구(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대(31)와, 수평대(32)와, 이동랙(33)과, 구동기기(34)와, 피니언(35)과, 피뢰침(36)과, 접지선(37)을 갖춘다.
상기 수직대(31)는, 커버(10)의 상면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수직대(31)는 바 또는 패널 형상을 이루어 상하방향으로 구비된다.
상기 수평대(32)는, 수직대(31)의 상단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수평대(32)는 바 또는 패널 형상을 이루어 수직대(31)의 외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상기 이동랙(33)은, 수평대(32)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되 하단이 커버(60)의 개구부(61)에 수용된다. 본 발명에서 이동랙(33)은 절연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기기(34)는, 수평대(32)에 설치되어 피니언(35)을 회전시킨다. 본 발명에서 구동기기(34)는 모터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구동기기(34)는 별도의 원격단말기(미도시)를 통해 작동제어된다.
상기 피니언(35)은, 구동기기(34)에 설치되고, 이동랙(33)과 연동하여 이동랙(33)을 상하 이동시킨다.
상기 피뢰침(36)은, 이동랙(33)의 상단에 설치된다.
상기 접지선(37)은, 피뢰침(36)에 연결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랙-피니언 방식으로 피뢰침(36)을 상하 이동시키지만, 피뢰침(36)을 상하 이동시킬 수 있으면, 다양한 구동방식이 적용가능하다.
상기 위험알림버튼(7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철(10)의 하면에 설치되어 작동 시 위험알림신호를 무선송출한다. 본 발명에서 위험알림버튼(70)은 눌려지면 작동되어 위험알림신호를 무선송출한다.
상기 애자연결기구(4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승강바(41)와, 요철연결체(42)와, 수평연장바(43)와, 고정삽탈바(44)와, 수평거치바(45)와, 제1,2수직연장바(46,46')와, 제1,2걸이체(47,47')를 갖춘다.
상기 회전승강바(41)는, 승강회전홀(11)에 회전가능하면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되 하단이 완철(10)의 하면보다 하방으로 돌출된다. 본 발명에서 회전승강바(41)는 원형 바 형상을 이룬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회전승강바(41)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완철(10)의 승강회전홀(11)에 베어링이 설치되고, 회전승강바(41)가 상기 베어링(11)을 매개로 완철(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요철연결체(42)는, 승강회전홀(11)보다 큰 크기를 이루어 회전승강바(41)의 하단에 설치되고, 하면이 요철 형상을 이루어 별도의 이송장대(B)의 요철부(B1)와 맞물린다(도 10 참조). 한편 본 발명에서 요철연결체(42) 및 요철부(B1)는, 서로 맞물려 결합될 수 있는 구조이면 다양한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요철연결체(42)는 볼팅 체결방식 등을 통해 회전승강바(41)의 하단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평연장바(43)는, 회전승강바(41)의 상단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삽탈바(44)는, 수평연장바(43)에 하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완철(10)의 전면에 맞대어지거나 삽탈고정홀(12)에 삽탈된다.
상기 수평거치바(45)는, 고정삽탈바(44)의 전단에 좌우방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1,2수직연장바(46,46')는, 수평거치바(45)의 좌우단에 하방으로 돌출되게 각각 구비되되, 서로 간의 이격거리가 완철(10)의 전후 폭보다 크게 구비되어, 완철(10)에 삽탈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2수직연장바(46,46')는, 서로 간의 이격거리가 완철(10)의 전후 폭과 같게 구비되어, 완철(10)에 삽탈가능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1,2수직연장바(46,46')는 회전승강바(41)보다 길이가 짧게 구비된다.
상기 제1,2걸이체(47,47')는, 상방이 개구된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1,2수직연장바(46,46')의 하단에 각각 설치되고, 현수애자기구(50)의 수평걸이바(51)가 삽입될 시 일정 외력 이하에서는 수평걸이바(51)의 상방 이동을 제한한다. 본 발명에서 제1,2걸이체(47,47')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2걸이체(47,47')는 완철(10)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현수애자기구(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걸이바(51)와, 제1,2이탈방지체(52,52')와, 현수애자(53)를 갖춘다.
상기 수평걸이바(51)는, 양단이 제1,2걸이체(47,47')에 각각 삽탈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수평걸이바(51)는 원형 바 형상을 이룬다. 본 발명에서 수평걸이바(51)는 제1,2걸이체(47,47')에 삽입될 시, 제1,2걸이체(47,47')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2이탈방지체(52,52')는, 수평걸이바(51)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되 제1,2걸이체(47,47')의 외측에 위치한다.
상기 현수애자(53)는, 수평걸이바(51)의 하측에 설치되고, 접지선(37)이 지지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현수애자기구(50)는 도 6에 도시된 구조로 변형실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현수애자기구(50)는, 양단이 제1,2걸이체(47,47')에 각각 삽탈가능한 볼트 형상의 수평걸이바(51)와; 수평걸이바(51)의 양단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나사산체결되되 제1,2걸이체(47,47')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2이탈방지체(52,52')와; 수평걸이바(51)의 하측에 설치(또는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접지선(37)이 지지되는 현수애자(53)을 갖춘다. 본 발명에서 제1이탈방지체(52)는 제1걸이체(47)의 내측에 위치하고, 제2이탈방지체(52')는 제2걸이체(47')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현수애자(53)는 상단에 돌출볼트바가 구비되어, 수평걸이바(51)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체결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낙뢰회피기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위험알림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애자연결기구가 완철에 수납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10은 애자연결기구가 완철에 수납된 상태에서 이송장대에 애자연결기구가 연결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이송장대에 의해 애자연결기구가 들어올려지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이송장대에 의해 애자연결기구가 회전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13은 애자연결기구가 회전하여 완철에 안착된 상태에서 현수애자기구를 애자연결기구에 설치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7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2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주변에 장애물(나뭇가지, 전선 등)이 있을 경우, 피뢰침(36)의 높이를 조절하여, 피뢰침(36)이 장애물을 회피하여 전주(P)의 상방으로 노출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작업자가 별도의 원격단말기를 조작하여, 구동기기(34)를 구동하면, 피니언(35)이 동작되면서, 이동랙(33)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하여, 피뢰침(36)의 높이가 정밀 조절된다(도 7참조).
따라서, 본 발명은, 낙뢰로부터 본 발명의 구성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완철(10)의 하방에서 작업 중 저혈당과 같은 건강 이상을 느끼거나 위험상황에 노출될 경우 위험알림버튼(70)을 누른다.
그러면, 위험알림버튼(70)은, 도 8과 같이 별도의 관리센터에 위험알림신호를 무선송출하고, 이를 확인한 관리자가 이에 대해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평상시에 도 9와 같이 애자연결기구(40, 도 3의 애자연결기구 참조)의 고정삽탈바(44)가 완철(10)의 삽탈고정홀(12)에 삽입되어, 애자연결기구(40)가 완철(10)에 안착수납되어 있다.
이때, 애자연결기구(40)의 제1,2수직연장바(46,46')는 완철(1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된다.
이와 같이 애자연결기구(40)가 완철(10)에 설치되면, 애자연결기구(40)를 사용하지 않을 시, 애자연결기구(40)가 불필요한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완철(10)에 현수애자 기능을 하는 애자를 설치해야할 경우, 작업자는 완철(10) 하방 주변에 접근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도 10과 같이 별도의 이송장대(B)의 요철부(B1)를 애자연결기구(40)의 요철연결체(42)에 맞물린다. 이후 작업자는 도 11과 같이 이송장대(B)를 상방으로 들어올려 애자연결기구(40)의 고정삽탈바(44)가 완철(10)의 삽탈고정홀(12)에서 이탈하도록 한다. 여기서 애자연결기구(40)의 요철연결체(42)는, 회전승강바(41)가 승강할 시 회전승강바(41)가 완철(1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스토퍼 기능을 하고, 회전승강바(41)가 하강할 시 중심이 잡히도록 무게추 기능을 한다.
이후, 작업자가 이송장대(B)를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애자연결기구(40)가 회전승강바(41)를 중심으로 이송장대(B)를 따라 회전하고, 이후 이송장대(B)를 내리면 애자연결기구(40)가 하강하여 도 12와 같이 완철(10)에 안착된다.
이때, 애자연결기구(40)의 고정삽탈바(44)는 완철(10)의 전면과 맞대어져 애자연결기구(40)의 회전이 제한된다(도 4 참조).
이후, 작업자는 현수애자기구(50)를 애자연결기구(40)에 설치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현수애자기구(50)의 수평걸이바(51)가 애자연결기구(40)의 제1,2걸이체(47,47')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때, 작업자가 현수애자기구(50)를 놓으면(내리면), 현수애자기구(50)가 하강하고, 현수애자기구(50)의 자중에 의해 수평걸이바(51)가 애자연결기구(40)의 제1,2걸이체(47,47')를 벌리면서 애자연결기구(40)에 삽입되어, 도 13과 같이 현수애자기구(50)가 애자연결기구(40)에 설치된다. 그러면 수평걸이바(51)는 일정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이상 제1,2걸이체(47,47')에 삽입고정된다(도 3 참조).
이때, 현수애자기구(50)의 제1,2이탈방지체(52,52')가 애자연결기구(40)의 제1,2걸이체(47,47')의 외측에 각각 배치되어, 현수애자기구(50)가 좌우방으로 이탈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애자연결기구(40)에 현수애자기구(50)가 설치되면, 작업자는 접지선(35)을 현수애자(53)에 설치하여, 접지선(37)이 안전하게 고정(가이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완철(10)의 상방까지 접근하여 현수애자기구(50)의 위치를 변경할 필요 없이, 완철(10)의 하방에서 별도의 이송장대(B)를 매개로 현수애자기구(50)의 위치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어, 충분한 작업 공간을 확보하면서 편리하게 현수애자를 완철(10)에 추가설치할 수 있다.
한편, 완철(10)의 크기는 다양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도 6과 같이 완철(10)의 크기에 맞게 애자연결기구(40)의 제1,2수직연장바(46,46') 간의 이격거리가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수애자기구(50)가 구성되면, 애자연결기구(40)의 형상에 대응하여 현수애자기구(50)를 애자연결기구(40)에 설치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수애자기구(50)의 제1,2이탈방지체(52,52')가 수평걸이바(51)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체결되면, 애자연결기구(40)의 제1,2수직연장바(46,46') 간의 이격거리에 대응하여 제1,2이탈방지체(52,52')를 이동시킬 수 있어, 완철(10)의 크기에 따라 애자연결기구(40)의 형상이 변화더라도 현수애자기구(50)를 애자연결기구(40)에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현수애자기구(50)의 제1,2이탈방지체(52,52')가 수평걸이바(51)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체결되면, 제1,2이탈방지체(52,52')를 제1,2걸이체(47,47')에 가압밀착시킬 수 있어, 필요에 따라 현수애자기구(50)를 애자연결기구(40)에 안전하게 고정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낙뢰회피기구(30)를 통해 낙뢰 발생으로 생성된 이상전압(고전압)을 회피할 수 있어, 본 발명의 각 구성을 낙뢰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작업 중 신변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위험알림버튼(70)을 통해 이를 즉각적으로 외부에 알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완철(10)에 현수애자를 추가설치 해야 할 시 애자연결기구(40) 및 현수애자기구(50)를 활용하여 완철(10)에 현수애자를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고, 현수애자를 추가 설치 않을 시(평상시)에는 애자연결기구(40)를 완철(10)에 보관수납할 수 있어 공간활용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때 애자연결기구(40)는 라인포스트애자(20)보다 안쪽에 위치하도록 완철(10)에 설치되어 라인포스트애자(20)를 회피하면서 효과적으로 공간활용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애자연결기구(40)가 완철(10)에 설치될 시, 애자연결기구(40)의 고정삽탈바(44)가 삽탈고정홀(12)에 삽입되거나 완철(10)의 전면에 맞닿도록 이루어져, 애자연결기구(40)의 위치변경에 따라 애자연결기구(40)를 완철(10)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애자연결기구(40)의 제1,2수직연장바(46,46') 및 제1,2걸이체(47,47')가 완철(10)에 삽탈가능하여, 현수애자를 추가 설치 않을 시(평상시)에 완철설치기구(40)를 완철(10)에 보관하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애자연결기구(40)에 요철연결체(42)가 구비되어, 별도의 이송장대(B)를 통해 애자연결기구(40)의 위치변경을 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의 요철연결체(42)는, 회전승강바(41)가 승강할 시 회전승강바(41)가 완철(1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스토퍼 기능을 하고, 회전승강바(41)가 하강할 시 중심이 잡히도록 무게추 기능을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수애자기구(50)의 제1,2이탈방지체(52,52')가 수평걸이바(51)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애자연결기구(40)의 크기에 대응하여 현수애자기구(50)를 애자연결기구(40)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완철(10) 및 라인포스트애자(20)를 매개로 가공배전라인(L)을 고정(지지)하는 구조에, 이상전압회피(낙뢰회피)를 위한 구조 등 다양한 가공배전 구조를 더 포함한다는 의미에서, 본 발명의 명칭을 이상전압회피 가능 가공배전라인 고정장치로 정의하고, 본 발명의 청구대상을 가공배전라인 고정장치로 정의한다.
10: 완철 20: 라인포스트애자
30: 낙뢰회피기구 40: 애자연결기구
50: 현수애자기구 60: 커버
70: 위험알림버튼 B: 이송장대
L: 가공배전라인 P: 전주

Claims (1)

  1. 상하로 관통형성되는 승강회전홀(11)과, 상하로 관통형성되고 승강회전홀(11)보다 좌방에 위치하는 삽탈고정홀(12)을 갖추고서, 전주(P)에 우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완철(10)과;
    삽탈고정홀(12)보다 우방에 위치하게 완철(10)의 우단에 설치되어, 가공배전라인(L)을 지지하는 라인포스트애자(20)와;
    상방 및 측방으로 개구된 개구부(61)를 구비하여, 전주(P)의 상단에 설치되는 커버(60)와;
    커버(10)의 상면에 설치되는 수직대(31); 수직대(31)의 상단에 설치되는 수평대(32); 수평대(32)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되 하단이 커버(60)의 개구부(61)에 수용되는 절연재질의 이동랙(33); 수평대(32)에 설치되어 피니언(35)을 회전시키는 구동기기(34); 구동기기(34)에 설치되고, 이동랙(33)과 연동하여 이동랙(33)을 상하 이동시키는 피니언(35); 이동랙(33)의 상단에 설치되는 피뢰침(36)과, 피뢰침(36)에 연결되는 접지선(37)을 갖춘 낙뢰회피기구(30)와;
    완철(10)의 하면에 설치되어 작동 시 위험알림신호를 무선송출하는 위험알림버튼(70)과;
    승강회전홀(11)에 회전가능하면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되 하단이 완철(10)의 하면보다 하방으로 돌출되는 회전승강바(41); 승강회전홀(11)보다 큰 크기를 이루어 회전승강바(41)의 하단에 설치되고, 하면이 요철 형상을 이루어 별도의 이송장대(B)의 요철부(B1)와 맞물리는 요철연결체(42); 회전승강바(41)의 상단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수평연장바(43); 수평연장바(43)에 하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완철(10)의 전면에 맞대어지거나 삽탈고정홀(12)에 삽탈되는 고정삽탈바(44); 고정삽탈바(44)의 전단에 좌우방으로 구비되는 수평거치바(45); 수평거치바(45)의 좌우단에 하방으로 돌출되게 각각 구비되되, 서로 간의 이격거리가 완철(10)의 전후 폭보다 크게 구비되어, 완철(10)에 삽탈가능한 제1,2수직연장바(46,46'); 상방이 개구된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1,2수직연장바(46,46')의 하단에 각각 설치되고, 현수애자기구(50)의 수평걸이바(51)가 삽입될 시 일정 외력 이하에서는 수평걸이바(51)의 상방 이동을 제한하는 탄성재질의 제1,2걸이체(47,47');를 갖춘 애자연결기구(40)와;
    양단이 제1,2걸이체(47,47')에 각각 삽탈가능한 볼트 형상의 수평걸이바(51)와, 수평걸이바(51)의 양단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나사산체결되되 제1,2걸이체(47,47')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2이탈방지체(52,52')와, 수평걸이바(51)의 하측에 설치되고, 접지선(37)이 지지되는 현수애자(53)을 갖춘 현수애자기구(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배전라인 고정장치.
KR1020230015602A 2023-02-06 2023-02-06 이상전압회피 가능 가공배전라인 고정장치 KR102557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5602A KR102557036B1 (ko) 2023-02-06 2023-02-06 이상전압회피 가능 가공배전라인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5602A KR102557036B1 (ko) 2023-02-06 2023-02-06 이상전압회피 가능 가공배전라인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7036B1 true KR102557036B1 (ko) 2023-07-19

Family

ID=87425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5602A KR102557036B1 (ko) 2023-02-06 2023-02-06 이상전압회피 가능 가공배전라인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703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0855A (ja) * 2004-08-06 2006-02-16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高圧引下線支持金物及びこの配電柱への着脱方法
JP2015006026A (ja) * 2013-06-19 2015-01-08 中国電力株式会社 高圧引下線引留金物
CN104810725A (zh) * 2015-03-17 2015-07-29 钱国臣 使用电机驱动装置的电力设施避雷装置及其使用方法
KR101577983B1 (ko) * 2014-10-17 2015-12-17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단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피뢰장치
KR102073864B1 (ko) 2019-09-25 2020-02-05 (주)제이에이치전력 다기능 완철을 구비한 가공배전선 지지기구
KR102348872B1 (ko) * 2021-09-06 2022-01-11 주식회사 대윤엔지니어링 가공송전선간의 안정적 고정을 위한 가공송전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0855A (ja) * 2004-08-06 2006-02-16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高圧引下線支持金物及びこの配電柱への着脱方法
JP2015006026A (ja) * 2013-06-19 2015-01-08 中国電力株式会社 高圧引下線引留金物
KR101577983B1 (ko) * 2014-10-17 2015-12-17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단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피뢰장치
CN104810725A (zh) * 2015-03-17 2015-07-29 钱国臣 使用电机驱动装置的电力设施避雷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073864B1 (ko) 2019-09-25 2020-02-05 (주)제이에이치전력 다기능 완철을 구비한 가공배전선 지지기구
KR102348872B1 (ko) * 2021-09-06 2022-01-11 주식회사 대윤엔지니어링 가공송전선간의 안정적 고정을 위한 가공송전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52184B2 (ja) 高所作業車および高所作業車による装柱工法
CA2792156A1 (en) Cable catcher
KR102557036B1 (ko) 이상전압회피 가능 가공배전라인 고정장치
CN109546373B (zh) 一种变电站用接地线夹安装装置及接地线夹的安装方法
KR102557037B1 (ko) 안전사고 방지기능을 구비한 가공배전라인 지지기구
CN214990122U (zh) 一种升降平台用防倾斜报警装置
KR102553328B1 (ko) 전주 탈착형 기능성 향상 가공배전선 지지기구
KR102553326B1 (ko) 낙뢰회피 기능 탑재 가공배전선 지지장치
KR102557487B1 (ko) 낙뢰로부터 보호가 용이한 안전성 향상 가공배전선 지지설비
KR102557488B1 (ko) 변압기로의 전선 연결이 쉬운 편의성 향상 가공배전설비
CN215817012U (zh) 一种具备报警功能的高压开关柜
CN112928691A (zh) 一种电力设备的防护方法
KR102575069B1 (ko) 보수 작업이 편리한 안전형 가공배전선 고정장치
CN211078307U (zh) 一种简易平台升降机
KR102575070B1 (ko) 가공배전선 지지용 애자장착형 고정기구
CN215118126U (zh) 一种安防工程建设用警示装置
CN212462734U (zh) 一种输电线路融冰选相刀闸机构固定装置
KR102519172B1 (ko) 화재발생경보기능을 구비한 가공배전라인 지지기구
CN212503878U (zh) 一种机电安装用升降设备
CN214195821U (zh) 围栏及起重设备
CN113750380B (zh) 一种电力杆塔
JP2008154947A (ja) 作業用補助具
CN218375078U (zh) 一种土木工程安全保障装置
CN220372416U (zh) 一种电焊机防护装置
KR102524134B1 (ko) 낙뢰 회피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