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7983B1 - 다단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피뢰장치 - Google Patents

다단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피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7983B1
KR101577983B1 KR1020140141064A KR20140141064A KR101577983B1 KR 101577983 B1 KR101577983 B1 KR 101577983B1 KR 1020140141064 A KR1020140141064 A KR 1020140141064A KR 20140141064 A KR20140141064 A KR 20140141064A KR 101577983 B1 KR101577983 B1 KR 101577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ning
length
rod
weather forecas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1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관
김귀곤
윤규도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41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79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7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7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4/00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FSTATIC ELECTRICITY; NATURALLY-OCCURRING ELECTRICITY
    • H05F3/00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 H05F3/02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by means of earthing connections

Landscapes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번개 또는 벼락 등이 발생할 수 있는 날씨환경에서는 피뢰장치를 이루는 수뢰부의 길이를 연장시켜 낙뢰를 받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태양광이 조사되는 맑은 날씨나 구름이 낀 정도의 날씨 등 번개 또는 벼락 등이 발생하지 않는 날씨환경에서는 연장된 수뢰부의 길이를 단축시켜, 피뢰장치가 건물의 최상층에 설치됨으로써 야기되는 건물의 외관상 미려함을 훼손시키는 것을 제거하고, 주변 건물에 설치된 태양광 발전시설에 온전하게 태양광이 조사될 수 있게 제공함으로써, 날씨환경에 따라 주변환경에 최적화된 피뢰장치를 구현시켜 주는 다단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피뢰장치에 관한 것으로, 낙뢰를 받기 위해 사용되는 수뢰부, 상기 수뢰부와 접속되어 뇌격전류를 대지로 흘리기 위한 인하도선 및 상기 인하도선을 대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땅속에 매설되는 접지전극으로 이루어진 피뢰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뢰부는, 피뢰침(100)과; 일측이 상기 피뢰침(100)과 연결되는 것으로, 다단으로 길이가 연장 또는 단축 조절되는 길이조절용 피뢰봉부(A);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다단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피뢰장치{Lightning protection device for adjustable multi-stage}
본 발명은 번개 또는 벼락 등이 발생할 수 있는 날씨환경에서는 피뢰장치를 이루는 수뢰부의 길이를 연장시켜 낙뢰를 받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태양광이 조사되는 맑은 날씨나 구름이 낀 정도의 날씨 등 번개 또는 벼락 등이 발생하지 않는 날씨환경에서는 연장된 수뢰부의 길이를 단축시켜, 피뢰장치가 건물의 최상층에 설치됨으로써 야기되는 건물의 외관상 미려함을 훼손시키는 것을 제거하고, 주변 건물에 설치된 태양광 발전시설에 온전하게 태양광이 조사될 수 있게 제공함으로써, 날씨환경에 따라 주변환경에 최적화된 피뢰장치를 구현시켜 주는 다단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피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기 중의 공기는 어느 정도의 절연내력을 가지고 있으나,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가 어느 일정값 이상이 되면 대기의 절연이 파괴되어 빛과 소리를 내면서 순간적으로 막대한 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이처럼 대기 중에서 발생되는 불꽃 방전이 하강되어 지표면의 어느 시점에 흘러드는 현상을 "낙뢰"라고 하며, 건물의 화재, 파손 및 인축(人畜)에 대한 상해 등을 야기시키는 인자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낙뢰를 안전하게 방류시키기 위해, 뇌운(雷雲; thundercloud)과 대지 사이에 방전로를 형성하여 뇌운에 축적되어 있는 전하인 낙뢰를 대지로 안전하게 방류시켜 주는 피뢰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상기한 피뢰장치는 낙뢰를 받기 위해 사용되는 수뢰부, 그 수뢰부와 접속되어 뇌격전류를 대지로 흘리기 위한 인하도선 및 그 인하도선을 대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땅속에 매설되는 접지전극 등으로 구성된다.
특히, 피뢰장치는 낙뢰에 의한 충격전류의 흡인을 향상시켜 주기 위한 장치들이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는데, 그 일예로 한국실용신안 출원번호 제20-2000-0013418호의 이온방사형 피뢰침은 뇌운에 의해 형성된 대지상의 전하가 뇌운의 강도에 따라 자동적으로 방사되어 낙뢰시 발생하는 하향리더의 에너지를 수집하는 원리로 즉, 주위에 발생되는 낙뢰를 피뢰침으로 끌어들이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제공한다.
그런데 종래의 피뢰장치는 낙뢰에 의한 충격전류의 흡인효율을 향상시켜주는 측면에서는 유용하나, 건물의 최상단부 노출된 상태에서 고정설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건물의 외관상 미려함을 훼손시키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재 화석에너지의 대체자원으로 각광받고 있는 태양광 발전이 주변 건물에 설치된 경우 조사되는 태양광을 차단시켜 태양광 발전효율을 반감시켜주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번개 또는 벼락 등이 발생할 수 있는 날씨환경에서는 피뢰장치를 이루는 수뢰부의 길이를 연장시켜 낙뢰를 받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태양광이 조사되는 맑은 날씨나 구름이 낀 정도의 날씨 등 번개 또는 벼락 등이 발생하지 않는 날씨환경에서는 연장된 수뢰부의 길이를 단축시켜, 피뢰장치가 건물의 최상층에 설치됨으로써 야기되는 건물의 외관상 미려함을 훼손시키는 것을 제거하고, 주변 건물에 설치된 태양광 발전시설에 온전하게 태양광이 조사될 수 있게 구현시켜 주는 다단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피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의 다단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피뢰장치는, 낙뢰를 받기 위해 사용되는 수뢰부, 상기 수뢰부와 접속되어 뇌격전류를 대지로 흘리기 위한 인하도선 및 상기 인하도선을 대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땅속에 매설되는 접지전극으로 이루어진 피뢰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뢰부는, 피뢰침과; 일측이 상기 피뢰침과 연결되는 것으로, 다단으로 길이가 연장 또는 단축 조절되는 길이조절용 피뢰봉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길이조절용 피뢰봉부는, 수동식 길이조절용 피뢰봉부;이고, 상기 수동식 길이조절용 피뢰봉부는, 양측이 개구되어 다단으로 절첩되는 관체들로서, 제일 작은 외경을 갖는 관체의 상측에 상기 피뢰침이 고정되는 길이조절측 피뢰봉들과; 연장된 상기 각 길이조절측 피뢰봉들을 고정시켜 주는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길이조절용 피뢰봉부는, 전동식 길이조절용 피뢰봉부;이고, 상기 전동식 길이조절용 피뢰봉부는, 양측이 개구되어 다단으로 절첩되는 관체들로서, 제일 작은 외경을 갖는 관체의 상측에 상기 피뢰침이 고정되는 길이조절측 피뢰봉들과; 연장된 상기 각 길이조절측 피뢰봉들을 고정시켜 주기 위해, 상기 길이조절측 피뢰봉들 중 외경이 작은 하나의 길이조절측 피뢰봉의 하부 외측면을 따라 돌출되는 돌출대 및 상기 외경이 작은 하나의 길이조절측 피뢰봉에 구비된 돌출대 까지의 직경 정도에 해당하는 내경을 갖는 다른 하나의 길이조절측 피뢰봉의 상부 내측면에 돌출되는 걸림턱을 갖는 고정수단과; 일단이 상기 피뢰침이 고정된 길이조절측 피뢰봉의 하측에 고정되는 것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걸림구멍들이 관통형성된 이송부재와; 상기 이송부재의 타단을 권취하는 귄취수단과; 정역모터에 연결되어 정역구동되는 것으로, 이빨이 상기 이송부재의 걸림구멍들에 치합되는 구동기어;로 이루어진다.
상기 정역모터의 정역구동을 요청하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상기 전동식 길이조절용 피뢰봉부가 적용된 본 발명의 다단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피뢰장치에는, 기설정된 주기단위로 날씨예보가 안내된 정보인 주기별 날씨예보정보를 전송하는 일기예보 안내서버와; 날씨에 따라 상기 피뢰침이 구비된 길이조절용 피뢰봉부의 신장 및 단축 여부를 안내하는 날씨별 피뢰침 신장안내 여부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와; 정보가 수신되는 정보수신부와; 상기 정역모터의 정역구동을 제어하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일기예보 안내서버를 통해 기설정된 주기마다 전송되는 주기별 날씨예보정보를 상기 정보수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그 수신된 주기별 날씨예보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며,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주기별 날씨예보정보 및 날씨별 피뢰침 신장안내 여부정보를 참조하여 길이조절용 피뢰봉부의 신장여부를 판단하여 생성된 결과값인 피뢰침 제어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그 저장된 피뢰침 제어정보를 토대로 상기 길이조절용 피뢰봉부의 신장, 단축 또는 대기를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정역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번개 또는 벼락 등이 발생할 수 있는 날씨환경에서는 피뢰장치를 이루는 수뢰부의 길이를 연장시켜 낙뢰를 받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태양광이 조사되는 맑은 날씨나 구름이 낀 정도의 날씨 등 번개 또는 벼락 등이 발생하지 않는 날씨환경에서는 연장된 수뢰부의 길이를 단축시켜, 피뢰장치가 건물의 최상층에 설치됨으로써 야기되는 건물의 외관상 미려함을 훼손시키는 것을 제거하고, 주변 건물에 설치된 태양광 발전시설에 온전하게 태양광이 조사될 수 있게 제공함으로써, 날씨환경에 따라 주변환경에 최적화된 피뢰장치를 구현시켜 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단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피뢰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단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피뢰장치를 이루는 구성 중 길이조절용 피뢰봉부가 수동식 길이조절용 피뢰봉부로 적용되었을 때의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단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피뢰장치를 이루는 구성 중 길이조절용 피뢰봉부가 전동식 길이조절용 피뢰봉부로 적용되었을 때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단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피뢰장치를 이루는 구성 중 제 1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길이조절용 피뢰봉부에 구비되는 이송부재 부분을 중점적으로 나타낸 요부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단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피뢰장치를 이루는 구성 중 길이조절용 피뢰봉부가 전동식 길이조절용 피뢰봉부로 적용되었을 때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단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피뢰장치를 이루는 구성 중 예보되는 날씨에 따라 장치가 자동으로 구동되도록 제공하는 구성부분들을 블록으로 나타낸 요부 블록구성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단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피뢰장치를 통해 날씨에 따라 이용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단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피뢰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단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피뢰장치를 이루는 구성 중 길이조절용 피뢰봉부가 수동식 길이조절용 피뢰봉부로 적용되었을 때의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단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피뢰장치를 이루는 구성 중 길이조절용 피뢰봉부가 전동식 길이조절용 피뢰봉부로 적용되었을 때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단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피뢰장치를 이루는 구성 중 제 1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길이조절용 피뢰봉부에 구비되는 이송부재 부분을 중점적으로 나타낸 요부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단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피뢰장치를 이루는 구성 중 길이조절용 피뢰봉부가 전동식 길이조절용 피뢰봉부로 적용되었을 때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단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피뢰장치를 이루는 구성 중 예보되는 날씨에 따라 장치가 자동으로 구동되도록 제공하는 구성부분들을 블록으로 나타낸 요부 블록구성도 및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단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피뢰장치를 통해 날씨에 따라 이용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여기서, 각 도면에 기재된 도면부호 중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의 경우 동일한 도면부호를 적용하기로 하며,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언급을 제외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단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피뢰장치는 수뢰부, 인하도선(도면에 도시하지 않음) 및 접지전극(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인하도선은 수뢰부와 접속되어 뇌격전류를 대지로 흘리기 위한 부재이고, 접지전극은 인하도선을 대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땅속에 매설되는 부재로서,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인하도선 및 접지전극은 일반적으로 사용해왔던 범용기술이 적용되며, 본원발명의 주요특징부는 수뢰부에 있다.
즉, 본 발명의 주요특징부에 해당하는 수뢰부는 낙뢰를 받기 위해 사용되되, 태양광이 조사되는 맑은 날씨나 구름이 낀 정도의 날씨 등 번개 또는 벼락 등이 발생하지 않는 날씨환경에서는 피뢰침이 구비된 수뢰부의 수직길이를 단축시켜 건물의 최상층에 설치됨으로써 야기되는 건물의 외관상 미려함을 훼손시키는 것을 제거하고, 주변 건물에 설치된 태양광 발전시설(S)에 온전하게 태양광이 조사될 수 있게 제공함과 아울러 번개 또는 벼락 등이 발생할 수 있는 날씨환경에서는 피뢰침이 구비된 수뢰부의 수직길이를 연장시켜 낙뢰를 받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을 겸용하여 제공하는 부재이다.
이때,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수뢰부와 인하도선 사이를 연결하는 피뢰도선이 구비되어 뇌격전류가 인하도선으로 흐를 수 있게 제공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피뢰침(100) 및 일측이 피뢰침(100)과 연결되는 것으로, 다단으로 길이가 연장 또는 단축 조절되는 길이조절용 피뢰봉부(A);로 이루어진다.
이때, 길이조절용 피뢰봉부(A)는 재차 관리자가 직접 피뢰봉을 연장 또는 수축시키는 수동식 길이조절용 피뢰봉부(200) 및 관리자가 원거리에 자동으로 피뢰봉을 연장 또는 수축시키는 전동식 길이조절용 피뢰봉부(300)로 구분하여 관리자가 필요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제공한다.
먼저, 수동식 길이조절용 피뢰봉부(200)가 선택된 경우 그 구성은 양측이 개구되어 다단으로 절첩되는 관체(211,221,231)들로서, 제일 작은 외경을 갖는 관체(211,221,231)의 상측에 상기 피뢰침(100)이 고정되는 길이조절측 피뢰봉(210,220,230)들 및 연장된 각 길이조절측 피뢰봉(210,220,230)들을 고정시켜 주는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개개의 길이조절측 피뢰봉(210,220,230)의 세부구성은 관체(211,221,231), 관체(211,221,231)의 상부 내측면에 돌출되는 걸림턱(212,222,232)과, 관체(211,221,231)의 하부 외측면을 따라 돌출되는 돌출대(213,223,233)로 이루어진다.
이 때문에, 이웃한 길이조절측 피뢰봉(210,220,230)들의 경우 관체(231)의 외경이 큰 길이조절측 피뢰봉(230)의 내경은 관체(221)의 외경이 작은 길이조절측 피뢰봉(220)의 하부 외측면을 따라 돌출되는 돌출대(223) 까지의 직경 정도가 되어야 안테나 타입으로 다단 절첩될 수 있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길이조절측 피뢰봉(210,220,230)은 베이스(1)에 설치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고정수단은 개개의 길이조절측 피뢰봉(210,220,230)에 구비되는 관체(211,221,231)의 걸림턱(212,222,232) 측면에 형성되는 암나사(214) 및 관체(211,221,231)의 돌출대(213,223,233) 측면에 형성되는 숫나사(215)로 이루어진 나사체결방식이다.
또한, 고정수단은 앞에서 언급한 나사체결방식과 더불어 암수의 테이퍼를 이용한 억지끼움 방식이나 탄성력을 이용한 체결방식 등 다양한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건물 관리자는 번개 또는 벼락 등이 발생할 수 있는 날씨환경에서는 사전에 수동식 길이조절용 피뢰봉부(200)를 이루는 길이조절측 피뢰봉(210,220,230)들을 연장시켜 고정시킴으로써, 낙뢰를 받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제공한다.
또한, 태양광이 조사되는 맑은 날씨나 구름이 낀 정도의 날씨 등 번개 또는 벼락 등이 발생하지 않는 날씨환경에서는 연장된 길이조절측 피뢰봉(210,220,230)들을 단축시킴으로써, 건물의 최상층에 설치됨으로써 야기되는 건물의 외관상 미려함을 훼손시키는 것을 제거하고, 주변 건물에 설치된 태양광 발전시설(S)에 온전하게 태양광이 조사될 수 있게 제공한다.
그리고 길이조절용 피뢰봉부(A)로 전동식 길이조절용 피뢰봉부(300)가 선택된 경우 제 1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양측이 개구되어 다단으로 절첩되는 관체(311,321,331)들로서, 제일 작은 외경을 갖는 관체(311,321,331)의 상측에 상기 피뢰침(100)이 고정되는 길이조절측 피뢰봉(310,320,330)들 및 연장된 각 길이조절측 피뢰봉(310,320,330)들의 이탈을 방지시켜 주기 위해, 길이조절측 피뢰봉(310,320,330)들 중 외경이 작은 하나의 길이조절측 피뢰봉(310,320,330)의 하부 외측면을 따라 돌출되는 돌출대(313,323,333) 및 외경이 작은 하나의 길이조절측 피뢰봉(310,320,330)에 구비된 돌출대(313,323,333) 까지의 직경 정도에 해당하는 내경을 갖는 다른 하나의 길이조절측 피뢰봉(310,320,330)의 상부 내측면에 돌출되는 걸림턱(312,322,332)을 갖는 이탈방지수단, 일단이 피뢰침(100)이 고정된 길이조절측 피뢰봉(310,320,330)의 하측에 고정되는 것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걸림구멍(341)들이 관통형성된 이송부재(340), 이송부재(340)의 타단을 권취하는 귄취수단(350) 및 정역모터(370)에 연결되어 정역구동되는 것으로, 이빨이 상기 이송부재(340)의 걸림구멍(341)들에 치합되는 구동기어(360)로 이루어진다. 즉, 도 3을 참조하면, 구동기어(360)의 이빨 맞은편에서 이송부재(340)를 지지하며,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이송부재(340)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361); 및 정역모터(370)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이송부재(340)를 권취하는 권취수단(350)을 구비한다.
여기서, 귄취수단(350)에는 권취롤(351) 및 태엽스프링(352)이 포함되어, 권취롤(351)에 이송부재(340)가 권취되고, 태엽스프링(352)을 통해 이송부재(340)가 감겨지는데 보조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즉, 권취수단(350)은, 이송부재(340)를 권취하는 권취롤(351); 및 이송부재(340)가 권취롤(351)에 권취될 때 보조적인 힘을 제공하는 태엽스프링(352);을 구비한다.
또한, 구동기어(360)의 맞은편에는 가이드(361)가 설치되어 있어, 이송부재(340)가 구동기어(360) 및 가이드(361)의 사이에 끼워 이송될 수 있게 제공한다.
또한, 이송부재(340), 귄취수단(350), 정역모터(370) 및 구동기어(360)는 안전을 위해 하우징(301)에 탑재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하우징(301) 또한 베이스(1)의 내부에 설치 제공되거나 일부는 건물 관리자가 운영할 수 있게 건물 내 상황실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길이조절용 피뢰봉부(A)로 전동식 길이조절용 피뢰봉부(300)가 선택된 경우 제 2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제 1실시예에 따른 구성과 동일하며, 단지 차이점은 권취수단(350) 없이도 구동가능하도록 이송부재(340)가 랙기어(392)로 대체되고, 구동기어(360)가 피니언기어(394)로 대체되며, 랙기어(392)의 직하에는 이송통로(396)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더불어, 건물관리자는 두 가지의 경우를 통해 전동식 길이조절용 피뢰봉부(300)의 구동을 개별 선택할 수 있는데 그 첫 번째로, 정역모터(370)의 정역구동을 요청하는 스위치(380)의 스위칭 신호를 통해 구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위치(380)의 조작을 통해 발생하는 신호는 길이조절측 피뢰봉(310,320,330)들이 연장되게 요청하는 피뢰봉 연장요청신호 및 길이조절측 피뢰봉(310,320,330)들이 단축되게 요청하는 피뢰봉 단축요청신호 등이 있다.
이를 통해, 건물 관리자는 번개 또는 벼락 등이 발생할 수 있는 날씨환경에서는 사전에 전동식 길이조절용 피뢰봉부(300)를 이루는 길이조절측 피뢰봉(310,320,330)들이 연장되도록 스위치(380)를 조작하여 피뢰봉 연장요청신호를 발생시키면, 정역모터(370)가 반시계방향으로 구동되고, 그 정역모터(370)와 연결된 구동기어(360)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데 이때, 구동기어(360)의 이빨이 이송부재(340)의 걸림구멍(341)에 걸려있어, 이를 통해, 권취수단(350)에 감겨진 이송부재가 풀려지면서 상부방향으로 이송됨으로써, 이송부재(340)의 끝단에 연결된 최소직경을 갖는 길이조절측 피뢰봉(310)도 상부로 이송되어, 길이조절측 피뢰봉(310,320,330)들이 연장된다. 이를 통해, 낙뢰를 받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제공한다.
또한, 태양광이 조사되는 맑은 날씨나 구름이 낀 정도의 날씨 등 번개 또는 벼락 등이 발생하지 않는 날씨환경에서는 연장된 길이조절측 피뢰봉(310,320,330)들을 단축되도록 스위치(380)를 조작하여 피뢰봉 단축요청신호를 발생시키면, 정역모터(370)가 시계방향으로 구동되고, 그 정역모터(370)와 연결된 구동기어(360)도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데 이때, 구동기어(360)의 이빨이 이송부재(340)의 걸림구멍(341)에 걸려있어 이를 통해, 풀려진 이송부재(340)가 권취수단(350)에 감겨지면서 하부방향으로 이송됨으로써, 이송부재(340)의 끝단에 연결된 최소직경을 갖는 길이조절측 피뢰봉(310)도 하부로 이송되어, 길이조절측 피뢰봉(310,320,330)들이 단축된다.
이를 통해, 건물의 최상층에 설치됨으로써 야기되는 건물의 외관상 미려함을 훼손시키는 것을 제거하고, 주변 건물에 설치된 태양광 발전시설(S)에 온전하게 태양광이 조사될 수 있게 제공한다.
이와 더불어, 전동식 길이조절용 피뢰봉부(300)의 구동의 경우 건물관리자의 스위치(380) 조작 같은 작업없이도 자동으로 연장되거나 단축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설정된 주기단위로 날씨예보가 안내된 정보인 주기별 날씨예보정보를 전송하는 일기예보 안내서버(400)가 추가로 구성된다.
또한, 하우징(301)에도 날씨에 따라 상기 피뢰침(100)이 구비된 전동식 길이조절용 피뢰봉부(300)의 신장 및 단축 여부를 안내하는 날씨별 피뢰침 신장안내 여부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382), 정보가 수신되는 정보수신부(384) 및 상기 정역모터(370)의 정역구동을 제어하는 구동제어부(386)가 추가로 구성된다.
이를 통해, 구동제어부(386)는 상기 일기예보 안내서버(400)를 통해 기설정된 주기마다 전송되는 주기별 날씨예보정보를 상기 정보수신부(384)를 통해 수신하고, 그 수신된 주기별 날씨예보정보를 상기 메모리부(382)에 저장하며, 상기 메모리부(382)에 저장된 주기별 날씨예보정보 및 날씨별 피뢰침 신장안내 여부정보를 참조하여 전동식 길이조절용 피뢰봉부(300)의 신장여부를 판단하여 생성된 결과값인 피뢰침 제어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메모리부(382)에 저장하고 그 저장된 피뢰침 제어정보를 토대로 상기 전동식 길이조절용 피뢰봉부(300)의 신장, 단축 또는 대기를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정역모터(370)의 구동을 제어한다.
여기서, 일기예보 안내서버(400)와 하우징(301)의 구동제어부(386)는 인터넷망 또는 이동통신망 등을 통해 주기별 날씨예보정보를 포함하는 각종 정보가 전송되는데 이를 통해, 정보수신부(384)도 WLAN(Wireless LAN), 와이 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근거리 무선통신(블루투스(Bluetooth), Zigbee,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또는 근거리 유선통신(USB 등) 중에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건물관리자는 본 발명의 피뢰장치가 설치된 행정구역별상의 지역명을 일기예보 안내서버(400)에 등록하면, 일기예보 안내서버(400)는 주기별 날씨예보정보로 해당 피뢰장치가 설치된 지역에 대한 주기별 날씨예보정보인 피뢰장치 설치지역기반 주기별 날씨예보정보가 해당 구동제어부(386)로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피뢰장치가 설치된 지역에 따른 날씨예보가 전송되어 보다 정확한 날씨예보를 통해 장치가 구현될 수 있게 제공한다.
이를 위해, 하우징(301)에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키보드나 마우스 등을 포함하는 정보입력부(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행정구역별상의 지역명을 입력할 수 있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일기예보 안내서버(400)를 통해 일정주기마다 통보되는 주기별 날씨예보정보의 경우 실제 날짜의 예보와 맞지 않을 수 있다. 이럴 경우, 피뢰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최악의 상황이 야기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일기예보 안내서버(400)에서는 실시간으로 날씨예보가 안내되는 정보인 실시간별 날씨예보정보를 전송하고, 구동제어부(386)는 일기예보 안내서버(400)를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실시간별 날씨예보정보를 상기 메모리부(382)에 저장된 날씨별 피뢰침 신장안내 여부정보와 대비하여 판단된 실시간 피뢰침 제어정보가 현재 제어상태를 나타내는 피뢰침 제어정보와 다른 경우 그 판단된 실시간 피뢰침 제어정보 대로 전동식 길이조절용 피뢰봉부(300)가 신장, 단축 또는 대기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정역모터(370)가 재구동 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실시간 날씨 정보에 최적화되어 피뢰장치를 구동할 수 있게 제공한다. 즉, 구동제어부(386)는 일기예보 안내서버(400)를 통해 실시간별 날씨예보정보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실시간별 날씨예보정보를 메모리부(382)에 저장하며, 메모리부(382)에 저장된 실시간별 날씨예보정보 및 날씨별 피뢰침 연장안내 여부정보를 참조하여 전동식 길이조절용 피뢰봉부(300)의 연장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를 실시간 피뢰침 제어정보로써 메모리부(382)에 저장하는데, 이때 실시간 피뢰침 제어정보가, 현재 제어상태를 나타내는 피뢰침 제어정보 - 주기별 날씨예보정보에 의한 것임 - 와 다른 경우, 실시간 피뢰침 제어정보를 토대로 전동식 길이조절용 피뢰봉부(300)의 연장, 단축 또는 대기 동작을 제어한다.
1 : 베이스 100 : 피뢰침
200 : 수동식 길이조절용 피뢰봉부
210,220,230,310,320,330 : 길이조절측 피뢰봉
211,221,231,311,321,331 : 관체
212,222,232,312,322,332 : 걸림턱
213,223,233,313,323,333 : 돌출대
214,224,234 : 암나사 215,225,235 : 숫나사
300 : 전동식 길이조절용 피뢰봉부 301 : 하우징
340 : 이송부재 341 : 걸림구멍
350 : 권취수단 351 : 권취롤
352 : 태엽스프링 360 : 구동기어
361 : 가이드 370 : 정역모터
382 : 메모리부 384 : 정보수신부
386 : 구동제어부 392 : 랙기어
394 : 피니언기어 396 : 이송통로
400 : 일기예보 안내서버

Claims (9)

  1. 낙뢰를 받기 위해 사용되는 수뢰부, 상기 수뢰부와 접속되어 뇌격전류를 대지로 흘리기 위한 인하도선 및 상기 인하도선을 대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땅속에 매설되는 접지전극으로 이루어진 피뢰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뢰부는, 피뢰침(100)과;
    일측이 상기 피뢰침(100)과 연결되는 것으로, 다단으로 길이가 연장 또는 단축 조절되는 길이조절용 피뢰봉부(A);로 이루어지며,
    상기 길이조절용 피뢰봉부(A)는, 전동식 길이조절용 피뢰봉부(300)이고,
    상기 전동식 길이조절용 피뢰봉부(300)는, 양측이 개구되어 다단으로 절첩되는 관체(311,321,331)들로서, 제일 작은 외경을 갖는 관체(311,321,331)의 상측에 상기 피뢰침(100)이 고정되는 길이조절측 피뢰봉(310,320,330)들과;
    연장된 상기 각 길이조절측 피뢰봉(310,320,330)들의 이탈을 방지시켜 주기 위해, 상기 길이조절측 피뢰봉(310,320,330)들 중 외경이 작은 하나의 길이조절측 피뢰봉(310,320,330)의 하부 외측면을 따라 돌출되는 돌출대(313,323,333) 및 상기 외경이 작은 하나의 길이조절측 피뢰봉(310,320,330)에 구비된 돌출대(313,323,333) 까지의 직경 정도에 해당하는 내경을 갖는 다른 하나의 길이조절측 피뢰봉(310,320,330)의 상부 내측면에 돌출되는 걸림턱(312,322,332)을 갖는 이탈방지수단과;
    일단이 상기 피뢰침(100)이 고정된 길이조절측 피뢰봉(310,320,330)의 하측에 고정되는 것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걸림구멍(341)들이 관통형성된 이송부재(340)와;
    정역모터(370)에 연결되어 정역구동되는 것으로, 이빨이 상기 이송부재(340)의 걸림구멍(341)들에 치합되는 구동기어(3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구동기어(360)의 이빨 맞은편에서 상기 이송부재(340)를 지지하며,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이송부재(340)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361); 및 상기 정역모터(370)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부재(340)를 권취하는 권취수단(350)을 포함하며,
    상기 권취수단(350)은, 상기 이송부재(340)를 권취하는 권취롤(351); 및 상기 이송부재(340)가 상기 권취롤(351)에 권취될 때 보조적인 힘을 제공하는 태엽스프링(35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구동제어부(386)는 일기예보 안내서버(400)를 통해 기설정된 주기마다 전송되는 주기별 날씨예보정보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주기별 날씨예보정보를 메모리부(382)에 저장하며, 상기 메모리부(382)에 저장된 주기별 날씨예보정보 및 날씨별 피뢰침 연장안내 여부정보를 참조하여 전동식 길이조절용 피뢰봉부(300)의 연장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를 피뢰침 제어정보로써 상기 메모리부(382)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구동제어부(386)는 상기 일기예보 안내서버(400)를 통해 실시간별 날씨예보정보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실시간별 날씨예보정보를 상기 메모리부(382)에 저장하며, 상기 메모리부(382)에 저장된 실시간별 날씨예보정보 및 날씨별 피뢰침 연장안내 여부정보를 참조하여 전동식 길이조절용 피뢰봉부(300)의 연장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를 실시간 피뢰침 제어정보로써 상기 메모리부(382)에 저장하되,
    상기 실시간 피뢰침 제어정보가, 현재 제어상태를 나타내는 상기 피뢰침 제어정보 - 주기별 날씨예보정보에 의한 것임 - 와 다른 경우, 상기 실시간 피뢰침 제어정보를 토대로 상기 전동식 길이조절용 피뢰봉부(300)의 연장, 단축 또는 대기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피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역모터(370)의 정역구동을 요청하는 스위치(3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피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기설정된 주기단위로 날씨예보가 안내된 정보인 주기별 날씨예보정보를 전송하는 일기예보 안내서버(400)와;
    날씨에 따라 상기 피뢰침(100)이 구비된 전동식 길이조절용 피뢰봉부(300)의 연장 및 단축 여부를 안내하는 날씨별 피뢰침 연장안내 여부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382)와;
    정보가 수신되는 정보수신부(384)와;
    상기 정역모터(370)의 정역구동을 제어하는 구동제어부(386);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제어부(386)는 상기 일기예보 안내서버(400)를 통해 기설정된 주기마다 전송되는 주기별 날씨예보정보를 상기 정보수신부(384)를 통해 수신하고, 그 수신된 주기별 날씨예보정보를 상기 메모리부(382)에 저장하며, 상기 메모리부(382)에 저장된 주기별 날씨예보정보 및 날씨별 피뢰침 연장안내 여부정보를 참조하여 전동식 길이조절용 피뢰봉부(300)의 연장여부를 판단하여 생성된 결과값인 피뢰침 제어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메모리부(382)에 저장하고 그 저장된 피뢰침 제어정보를 토대로 상기 전동식 길이조절용 피뢰봉부(300)의 연장, 단축 또는 대기를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정역모터(370)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피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일기예보 안내서버(400)에서는 실시간으로 날씨예보가 안내되는 정보인 실시간별 날씨예보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구동제어부(386)는 상기 일기예보 안내서버(400)를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실시간별 날씨예보정보를 상기 메모리부(382)에 저장된 날씨별 피뢰침 연장안내 여부정보와 대비하여 판단된 실시간 피뢰침 제어정보가 현재 제어상태를 나타내는 피뢰침 제어정보와 다른 경우 그 판단된 실시간 피뢰침 제어정보 대로 상기 전동식 길이조절용 피뢰봉부(300)가 연장, 단축 또는 대기를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정역모터(370)가 재구동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피뢰장치.
KR1020140141064A 2014-10-17 2014-10-17 다단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피뢰장치 KR101577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1064A KR101577983B1 (ko) 2014-10-17 2014-10-17 다단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피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1064A KR101577983B1 (ko) 2014-10-17 2014-10-17 다단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피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7983B1 true KR101577983B1 (ko) 2015-12-17

Family

ID=55081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1064A KR101577983B1 (ko) 2014-10-17 2014-10-17 다단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피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79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605B1 (ko) * 2016-04-01 2016-09-22 (주)케이제이엔지니어링 건축물 피뢰설비 구조
KR101956802B1 (ko) * 2018-09-28 2019-03-13 제일항업(주) 영상정보 데이터의 오류를 보정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KR102557036B1 (ko) * 2023-02-06 2023-07-19 (주)경성감리단 이상전압회피 가능 가공배전라인 고정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4675A (ja) * 2004-12-20 2006-06-29 Nec Access Technica Ltd 雷防止通信端末機とその雷防止方法および雷防止処理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4675A (ja) * 2004-12-20 2006-06-29 Nec Access Technica Ltd 雷防止通信端末機とその雷防止方法および雷防止処理プログラ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605B1 (ko) * 2016-04-01 2016-09-22 (주)케이제이엔지니어링 건축물 피뢰설비 구조
KR101956802B1 (ko) * 2018-09-28 2019-03-13 제일항업(주) 영상정보 데이터의 오류를 보정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KR102557036B1 (ko) * 2023-02-06 2023-07-19 (주)경성감리단 이상전압회피 가능 가공배전라인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96336B2 (ja) 光起電電池の電力出力を管理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577983B1 (ko) 다단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피뢰장치
CN1205623C (zh) 电绝缘体套的野生生物防护装置
EP246026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electric energy in an electric power transmission system
DE102009044695A1 (de) Solarmodul, Modulschalter, Solarkabel, Sammelschiene, Mehrfachkontakt-Steckverbinder
KR101921873B1 (ko) 셀프 크리닝 기능을 갖는 애자 장치
KR101315272B1 (ko) 태양전지판이 구비된 창호
CN210894634U (zh) 一种国家电网线路监测维修装置
KR102347994B1 (ko) 도로 융설을 위한 탄소섬유 열선 매설 방법 및 시스템
CN107147007A (zh) 一种避雷装置及避雷式电线杆
CN112097174B (zh) 一种可智能调节灯距的组合式植物灯及其调节方法
KR101696748B1 (ko) 낙뢰 예보 기능을 갖는 피뢰 시스템
KR100725268B1 (ko) 접지수단을 구비한 콘크리트 전주
CN211407424U (zh) 一种用于高空电缆的驱鸟装置
KR101998197B1 (ko) 결합형 케이블 덕트 프레임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시스템
KR100337029B1 (ko) 송전선 유기 전력을 이용한 항공 장애등 장치
JP2016119810A (ja) 蛇登攀防止装置
CN103809011A (zh) 一种避雷器阻性电流测试工具
US4442364A (en) Overhead electric transmission systems
CN107372456A (zh) 一种主机与电击极分体布置的太阳能电击型驱鸟装置
WO2008044488A1 (fr) Dispositif d'attraction de la foudre, dispositif de protection contre la foudre, systeme de prevention contre la foudre, appareil et systeme utilisant la puissance electrique de la foudre, generateur d'energie oelienne et systeme de production d'energie eolienne
CN202405691U (zh) 导线绝缘支架
CN111145956A (zh) 接触线、接触网和无人机
CN205266762U (zh) 一种输电线路用驱鸟装置
CN104332929A (zh) 一种单地线融冰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