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7037B1 - 안전사고 방지기능을 구비한 가공배전라인 지지기구 - Google Patents

안전사고 방지기능을 구비한 가공배전라인 지지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7037B1
KR102557037B1 KR1020230016139A KR20230016139A KR102557037B1 KR 102557037 B1 KR102557037 B1 KR 102557037B1 KR 1020230016139 A KR1020230016139 A KR 1020230016139A KR 20230016139 A KR20230016139 A KR 20230016139A KR 102557037 B1 KR102557037 B1 KR 102557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insulator
iron
horizontal
support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6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기곤
Original Assignee
홍기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기곤 filed Critical 홍기곤
Priority to KR1020230016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70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7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70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birds, e.g. spi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14Supporting insulators
    • H01B17/16Fastening of insulators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배전라인(L)을 지지하고, 조류를 퇴치하도록 된 것으로서, 완철(10)과, 라인포스트애자(20)와, 애자지지기구(40)와, 현수애자기구(50)와, 온오프스위치(60)와, 조류퇴치기구(30)와, 온도센서(70)를 포함하여, 애자지지기구(40) 주변으로 조류가 접근하는 것을 기계적 방식으로 차단하고, 출동 현장의 기온을 현장 출동 전에 알 수 있으며, 라인포스트애자(20)를 매개로 가공배전라인(L)을 안전하게 지지하면서 별도의 현수애자를 완철(10)에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안전사고 방지기능을 구비한 가공배전라인 지지기구{Overhead Distribution Line Supporting Equipment}
본 발명은 안전사고 방지기능을 구비한 가공배전라인 지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전소로부터의 전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주(a) 및 완철(b)을 매개로 설치되는 가공배전라인(c)을 통해, 각 수용가로 배전된다
이때, 완철에는 LP(라인포스트, d)애자가 설치되어, LP애자(d)를 통해 가공배전라인(c)이 지지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가공배전설비로 조류가 접근할 시 조류를 퇴치하기 어려웠다.
또한, 종래에는 가공배전설비 주변의 기온을 확인하기 어려워, 작업자가 현장 출동시 현장 기온에 충분한 대비를 할 수 없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에는 상기 LP애자(d) 이외에 완철(b)에 추가애자를 설치할 시, 완철(b)에 추가애자를 설치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3690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애자지지기구(40) 주변으로 조류가 접근하는 것을 기계적 방식으로 차단하고, 출동 현장의 기온을 현장 출동 전에 알 수 있으며, 라인포스트애자(20)를 매개로 가공배전라인(L)을 안전하게 지지하면서 별도의 현수애자를 완철(10)에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가공배전라인 지지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공배전라인(L)을 지지하고, 조류를 퇴치하도록 된 것으로서,
상하로 관통형성되는 승강회전홀(11)과, 상하로 관통형성되고 승강회전홀(11)보다 좌방에 위치하는 삽탈고정홀(12)을 갖추고서, 전주(P)에 우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완철(10)과;
삽탈고정홀(12)보다 우방에 위치하게 완철(10)의 우단에 설치되어, 가공배전라인(L)을 지지하는 라인포스트애자(20)와;
승강회전홀(11)에 회전가능하면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되 하단이 완철(10)의 하면보다 하방으로 돌출되는 회전승강바(41); 승강회전홀(11)보다 큰 크기를 이루어 회전승강바(41)의 하단에 설치되고, 하면이 요철 형상을 이루어 별도의 이송장대(B)의 요철부(B1)와 맞물리는 요철연결체(42); 회전승강바(41)의 상단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수평연장바(43); 수평연장바(43)에 하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완철(10)의 전면에 맞대어지거나 삽탈고정홀(12)에 삽탈되는 고정삽탈바(44); 고정삽탈바(44)의 전단에 좌우방으로 구비되는 수평거치바(45); 수평거치바(45)의 좌우단에 하방으로 돌출되게 각각 구비되되, 서로 간의 이격거리가 완철(10)의 전후 폭보다 크게 구비되어, 완철(10)에 삽탈가능한 제1,2수직연장바(46,46'); 상방이 개구된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1,2수직연장바(46,46')의 하단에 각각 설치되고, 현수애자기구(50)의 수평걸이바(51)가 삽입될 시 일정 외력 이하에서는 수평걸이바(51)의 상방 이동을 제한하는 탄성재질의 제1,2걸이체(47,47');를 갖춘 애자지지기구(40)와;
양단이 제1,2걸이체(47,47')에 각각 삽탈가능한 볼트 형상의 수평걸이바(51)와, 수평걸이바(51)의 양단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나사산체결되되 제1,2걸이체(47,47')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2이탈방지체(52,52')와, 수평걸이바(51)의 하측에 설치되는 현수애자(53)을 갖춘 현수애자기구(50)와;
완철(10) 내부에 설치되고, 고정삽탈바(44)와의 접촉여부에 따라 온오프되는 온오프스위치(60)와;
완철(10)의 상면에 설치되되 애자지지기구(40)의 후방에 위치하고, 온오프스위치(60)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모터(31); 구동모터(31)에 연결되어 구동모터(31)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대(32); 회전대(32)에 설치되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퇴치대(33);를 갖춘 조류퇴치기구(30)와;
완철(10)에 설치되고, 주변 온도를 측정하여 온도값을 무선송출하는 온도센서(7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른 본 발명은, 가공배전라인(L)을 지지하고, 조류를 퇴치하도록 된 것으로서, 완철(10)과, 라인포스트애자(20)와, 애자지지기구(40)와, 현수애자기구(50)와, 온오프스위치(60)와, 조류퇴치기구(30)와, 온도센서(70)를 포함하여, 애자지지기구(40) 주변으로 조류가 접근하는 것을 기계적 방식으로 차단하고, 출동 현장의 기온을 현장 출동 전에 알 수 있으며, 라인포스트애자(20)를 매개로 가공배전라인(L)을 안전하게 지지하면서 별도의 현수애자를 완철(10)에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완철 및 완철 주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회전승강바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5는 애자지지기구의 고정삽탈바가 완철의 삽탈고정홀에 삽입되었을 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현수애자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완철 및 완철 주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회전승강바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5는 애자지지기구의 고정삽탈바가 완철의 삽탈고정홀에 삽입되었을 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현수애자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2 상에서 X축 방향을 좌우방향으로 하고, Y축 방향을 전후방향으로 하며, Z축 방향을 상하방향으로 하여, 본 발명 구성의 방향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라인 지지기구는, 완철(10)과, 라인포스트애자(20)와, 애자지지기구(40)와, 현수애자기구(50)와, 온오프스위치(60)와, 조류퇴치기구(30)와, 온도센서(70)를 포함한다.
상기 완철(10)은, 도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관통형성되는 승강회전홀(11)과, 상하로 관통형성되고 승강회전홀(11)보다 좌방에 위치하는 삽탈고정홀(12)을 갖추고서, 전주(P)에 우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완철(1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사각 파이프 형상을 이루고, 승강회전홀(11)은 완철(10)의 상측 및 하측에 구비되며, 삽탈고정홀(12)은 완철(10)의 상측 및 하측에 구비된다.
상기 라인포스트애자(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탈고정홀(12)보다 우방에 위치하게 완철(10)의 우단에 설치되어, 가공배전라인(L)을 지지한다.
상기 애자지지기구(4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승강바(41)와, 요철연결체(42)와, 수평연장바(43)와, 고정삽탈바(44)와, 수평거치바(45)와, 제1,2수직연장바(46,46')와, 제1,2걸이체(47,47')를 갖춘다.
상기 회전승강바(41)는, 승강회전홀(11)에 회전가능하면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되 하단이 완철(10)의 하면보다 하방으로 돌출된다. 본 발명에서 회전승강바(41)는 원형 바 형상을 이룬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회전승강바(41)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완철(10)의 승강회전홀(11)에 베어링이 설치되고, 회전승강바(41)가 상기 베어링(11)을 매개로 완철(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요철연결체(42)는, 승강회전홀(11)보다 큰 크기를 이루어 회전승강바(41)의 하단에 설치되고, 하면이 요철 형상을 이루어 별도의 이송장대(B)의 요철부(B1)와 맞물린다(도 10 참조). 한편 본 발명에서 요철연결체(42) 및 요철부(B1)는, 서로 맞물려 결합될 수 있는 구조이면 다양한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요철연결체(42)는 볼팅 체결방식 등을 통해 회전승강바(41)의 하단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평연장바(43)는, 회전승강바(41)의 상단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삽탈바(44)는, 수평연장바(43)에 하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완철(10)의 전면에 맞대어지거나 삽탈고정홀(12)에 삽탈된다.
상기 수평거치바(45)는, 고정삽탈바(44)의 전단에 좌우방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1,2수직연장바(46,46')는, 수평거치바(45)의 좌우단에 하방으로 돌출되게 각각 구비되되, 서로 간의 이격거리가 완철(10)의 전후 폭보다 크게 구비되어, 완철(10)에 삽탈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2수직연장바(46,46')는, 서로 간의 이격거리가 완철(10)의 전후 폭과 같게 구비되어, 완철(10)에 삽탈가능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1,2수직연장바(46,46')는 회전승강바(41)보다 길이가 짧게 구비된다.
상기 제1,2걸이체(47,47')는, 상방이 개구된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1,2수직연장바(46,46')의 하단에 각각 설치되고, 현수애자기구(50)의 수평걸이바(51)가 삽입될 시 일정 외력 이하에서는 수평걸이바(51)의 상방 이동을 제한한다. 본 발명에서 제1,2걸이체(47,47')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2걸이체(47,47')는 완철(10)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현수애자기구(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걸이바(51)와, 제1,2이탈방지체(52,52')와, 현수애자(53)를 갖춘다.
상기 수평걸이바(51)는, 양단이 제1,2걸이체(47,47')에 각각 삽탈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수평걸이바(51)는 원형 바 형상을 이룬다. 본 발명에서 수평걸이바(51)는 제1,2걸이체(47,47')에 삽입될 시, 제1,2걸이체(47,47')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2이탈방지체(52,52')는, 수평걸이바(51)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되 제1,2걸이체(47,47')의 외측에 위치한다.
상기 현수애자(53)는, 수평걸이바(51)의 하측에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현수애자기구(50)는 도 6에 도시된 구조로 변형실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현수애자기구(50)는, 양단이 제1,2걸이체(47,47')에 각각 삽탈가능한 볼트 형상의 수평걸이바(51)와; 수평걸이바(51)의 양단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나사산체결되되 제1,2걸이체(47,47')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2이탈방지체(52,52')와; 수평걸이바(51)의 하측에 설치(또는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수애자(53)을 갖춘다. 본 발명에서 제1이탈방지체(52)는 제1걸이체(47)의 내측에 위치하고, 제2이탈방지체(52')는 제2걸이체(47')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현수애자(53)는 상단에 돌출볼트바가 구비되어, 수평걸이바(51)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체결될 수 있다.
상기 온오프스위치(60)는,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철(10) 내부에 설치되고, 고정삽탈바(44)와의 접촉여부에 따라 온오프된다. 본 발명에서 온오프스위치(60)는 고정삽탈바(44)에 의해 눌려질 시 구동모터(31)로 오프신호를 출력하고, 고정삽탈바(44)에 의한 눌림이 해제될 시 구동모터(31)로 온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온오프스위치(60)는 고정삽탈바(44)와의 접촉여부에 따라 온오프될 수 있으면, 다양한 타입의 온오프스위치(60)가 적용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고정삽탈바(44)가 완철(10)의 삽탈고정홀(12)에 삽입되거나 삽입해제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으면, 온오프스위치(60)가 다양한 타입의 센서로 변형실시될 수도 있다.
상기 조류퇴치기구(3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31)와, 회전대(32)와, 퇴치대(33)를 갖춘다.
상기 구동모터(31)는, 완철(10)의 상면에 설치되되 애자지지기구(40)의 후방에 위치하고, 온오프스위치(60)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구동된다. 한편 구동모터(31)는 온오프스위치(60)로부터 온신호를 수시할 시 일정시간 경과 후 작동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예로 본 발명에서는 작업자가 애자지지기구(40)를 완철(10)의 전방으로 옮기는 시간을 개략적으로 계산하여, 애자지지기구(40)가 완철(10)의 전방에 배치된 후 구동모터(31)가 구동되도록 설계될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구동모터(31)는 애자지지기구(40)의 회전승강바(41)보다 상하 길이가 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대(32)는, 구동모터(31)에 연결되어 구동모터(31)에 의해 회전한다. 본 발명에서 회전대(32)는 바 형상을 이룬다.
상기 퇴치대(33)는, 회전대(32)에 설치되어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 퇴치대(33)는 바 형상을 이루고, 필요에 따라서는 표면이 반사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퇴치대(33)는 다수 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도센서(70)는, 완철(10)에 설치되고, 주변 온도를 측정하여 온도값을 무선송출한다.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관리센터(70)에서 상기 온도값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조류퇴치기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온도센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애자지지기구가 완철에 수납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구성 생략 평면도이고, 도 10은 애자지지기구가 완철에 수납된 상태에서 이송장대에 애자지지기구가 연결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구성 생략 단면도이고, 도 11은 이송장대에 의해 애자지지기구가 들어올려지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구성 생략 단면도이고, 도 12는 이송장대에 의해 애자지지기구가 회전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구성 생략 평면도이고, 도 13은 애자지지기구가 회전하여 완철에 안착된 상태에서 현수애자기구를 애자지지기구에 설치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구성 생략 도면으로서, 도 7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현수애자기구(50)를 설치하기 위해 애자지지기구(40)를 들어 회전시킬 시(하기 작용 설명 참조), 온오프스위치(60)와 고정삽탈바(44)의 접촉이 해제되고, 온오프스위치(60)는 조류퇴치기구(30)의 구동모터(31)에 온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구동모터(31)는, 애자지지기구(40)가 완철(10)의 전방에 위치할 즈음 구동된다.
이때, 조류퇴치기구(30)의 회전대(32)가 도 7과 같이 회전하면서 퇴치대(33)가 회전하여, 조류가 애자지지기구(40) 주변으로 접근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온도센서(70)가 주변의 온도를 측정하여, 도 8과 같이 별도의 관리센터로 온도값을 무선송출한다.
이때, 관리자는 온도센서(70)로부터의 온도값을 확인하여, 해당 현장에 작업자가 출동할 시, 현장 온도에 맞는 준비물을 준비하여 출동하도록 한다. 일예로 해당 현장의 주변 온도가 기준값 이상으로 높으면 작업자가 더위에 도움이 되는 준비물(일예로 냉수)을 준비하도록 하거나, 해당 현장의 주변 온도가 기준값 이하로 낮으면 작업자가 추위에 도움이 되는 준비물(일예로 핫팩)을 준비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평상시에 도 9와 같이 애자지지기구(40, 도 2의 애자지지기구 참조)의 고정삽탈바(44)가 완철(10)의 삽탈고정홀(12)에 삽입되어, 애자지지기구(40)가 완철(10)에 안착수납되어 있다.
이때, 애자지지기구(40)의 제1,2수직연장바(46,46')는 완철(1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된다.
이와 같이 애자지지기구(40)가 완철(10)에 설치되면, 애자지지기구(40)를 사용하지 않을 시, 애자지지기구(40)가 불필요한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완철(10)에 현수애자 기능을 하는 애자를 설치해야할 경우, 작업자는 완철(10) 하방 주변에 접근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도 10과 같이 별도의 이송장대(B)의 요철부(B1)를 애자지지기구(40)의 요철연결체(42)에 맞물린다. 이후 작업자는 도 11과 같이 이송장대(B)를 상방으로 들어올려 애자지지기구(40)의 고정삽탈바(44)가 완철(10)의 삽탈고정홀(12)에서 이탈하도록 한다. 여기서 애자지지기구(40)의 요철연결체(42)는, 회전승강바(41)가 승강할 시 회전승강바(41)가 완철(1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스토퍼 기능을 하고, 회전승강바(41)가 하강할 시 중심이 잡히도록 무게추 기능을 한다.
이후, 작업자가 이송장대(B)를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애자지지기구(40)가 회전승강바(41)를 중심으로 이송장대(B)를 따라 회전하고, 이후 이송장대(B)를 내리면 애자지지기구(40)가 하강하여 도 12와 같이 완철(10)에 안착된다.
이때, 애자지지기구(40)의 고정삽탈바(44)는 완철(10)의 전면과 맞대어져 애자지지기구(40)의 회전이 제한된다(도 2 참조).
한편, 조류퇴치기구(30)의 구동모터(31)는, 작업자가 이송장대(B)를 매개로 애자지지기구(40)를 회전시킬 시, 실수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지 않도록, 스토퍼 기능을 한다.
이후, 작업자는 현수애자기구(50)를 애자지지기구(40)에 설치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현수애자기구(50)의 수평걸이바(51)가 애자지지기구(40)의 제1,2걸이체(47,47')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때, 작업자가 현수애자기구(50)를 놓으면(내리면), 현수애자기구(50)가 하강하고, 현수애자기구(50)의 자중에 의해 수평걸이바(51)가 애자지지기구(40)의 제1,2걸이체(47,47')를 벌리면서 애자지지기구(40)에 삽입되어, 도 13과 같이 현수애자기구(50)가 애자지지기구(40)에 설치된다. 그러면 수평걸이바(51)는 일정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이상 제1,2걸이체(47,47')에 삽입고정된다(도 2 참조).
이때, 현수애자기구(50)의 제1,2이탈방지체(52,52')가 애자지지기구(40)의 제1,2걸이체(47,47')의 외측에 각각 배치되어, 현수애자기구(50)가 좌우방으로 이탈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애자지지기구(40)에 현수애자기구(50)가 설치되면, 작업자는 다양한 전선을 현수애자(53)에 설치하여, 상기 전선이 안전하게 고정(가이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완철(10)의 상방까지 접근하여 현수애자기구(50)의 위치를 변경할 필요 없이, 완철(10)의 하방에서 별도의 이송장대(B)를 매개로 현수애자기구(50)의 위치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어, 충분한 작업 공간을 확보하면서 편리하게 현수애자를 완철(10)에 추가설치할 수 있다.
한편, 완철(10)의 크기는 다양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도 6과 같이 완철(10)의 크기에 맞게 애자지지기구(40)의 제1,2수직연장바(46,46') 간의 이격거리가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수애자기구(50)가 구성되면, 애자지지기구(40)의 형상에 대응하여 현수애자기구(50)를 애자지지기구(40)에 설치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수애자기구(50)의 제1,2이탈방지체(52,52')가 수평걸이바(51)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체결되면, 애자지지기구(40)의 제1,2수직연장바(46,46') 간의 이격거리에 대응하여 제1,2이탈방지체(52,52')를 이동시킬 수 있어, 완철(10)의 크기에 따라 애자지지기구(40)의 형상이 변화더라도 현수애자기구(50)를 애자지지기구(40)에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현수애자기구(50)의 제1,2이탈방지체(52,52')가 수평걸이바(51)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체결되면, 제1,2이탈방지체(52,52')를 제1,2걸이체(47,47')에 가압밀착시킬 수 있어, 필요에 따라 현수애자기구(50)를 애자지지기구(40)에 안전하게 고정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현수애자기구(50)를 사용할 시, 현수애자기구(50) 및 애자지지기구(40) 주변으로 조류가 접근하는 것을 기계적 방식으로 방지하여, 현수애자기구(50) 및 애자지지기구(40)로의 조류 접근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현장 기온을 확인하여 현장 출동을 할 수 있어, 작업자가 보다 안전한 환경에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완철(10)에 현수애자를 추가설치 해야 할 시 애자지지기구(40) 및 현수애자기구(50)를 활용하여 완철(10)에 현수애자를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고, 현수애자를 추가 설치 않을 시(평상시)에는 애자지지기구(40)를 완철(10)에 보관수납할 수 있어 공간활용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이때 애자지지기구(40)는 라인포스트애자(20)보다 안쪽에 위치하도록 완철(10)에 설치되어 라인포스트애자(20)를 회피하면서 효과적으로 공간활용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애자지지기구(40)가 완철(10)에 설치될 시, 애자지지기구(40)의 고정삽탈바(44)가 삽탈고정홀(12)에 삽입되거나 완철(10)의 전면에 맞닿도록 이루어져, 애자지지기구(40)의 위치변경에 따라 애자지지기구(40)를 완철(10)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애자지지기구(40)의 제1,2수직연장바(46,46') 및 제1,2걸이체(47,47')가 완철(10)에 삽탈가능하여, 현수애자를 추가 설치 않을 시(평상시)에 완철설치기구(40)를 완철(10)에 보관하기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애자지지기구(40)에 요철연결체(42)가 구비되어, 별도의 이송장대(B)를 통해 애자지지기구(40)의 위치변경을 쉽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의 요철연결체(42)는, 회전승강바(41)가 승강할 시 회전승강바(41)가 완철(1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스토퍼 기능을 하고, 회전승강바(41)가 하강할 시 중심이 잡히도록 무게추 기능을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수애자기구(50)의 제1,2이탈방지체(52,52')가 수평걸이바(51)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애자지지기구(40)의 크기에 대응하여 현수애자기구(50)를 애자지지기구(40)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완철(10) 및 라인포스트애자(20)를 매개로 가공배전라인(L)을 안전하게 지지하는 구조에, 기온에 적절하게 대처하여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고, 조류의 접근을 방지하는 등 가공배전을 위한 다양한 구조를 더 포함한다는 의미에서, 본 발명의 명칭을 안전사고 방지기능을 구비한 가공배전라인 지지기구로 정의하고, 본 발명의 청구대상을 가공배전라인 지지기구로 정의한다.
10: 완철 20: 라인포스트애자
30: 조류퇴치기구 40: 애자지지기구
50: 현수애자기구 60: 온오프스위치
70: 온도센서 B: 이송장대
L: 가공배전라인 P: 전주

Claims (1)

  1. 가공배전라인(L)을 지지하고, 조류를 퇴치하도록 된 것으로서,
    상하로 관통형성되는 승강회전홀(11)과, 상하로 관통형성되고 승강회전홀(11)보다 좌방에 위치하는 삽탈고정홀(12)을 갖추고서, 전주(P)에 우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완철(10)과;
    삽탈고정홀(12)보다 우방에 위치하게 완철(10)의 우단에 설치되어, 가공배전라인(L)을 지지하는 라인포스트애자(20)와;
    승강회전홀(11)에 회전가능하면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되 하단이 완철(10)의 하면보다 하방으로 돌출되는 회전승강바(41); 승강회전홀(11)보다 큰 크기를 이루어 회전승강바(41)의 하단에 설치되고, 하면이 요철 형상을 이루어 별도의 이송장대(B)의 요철부(B1)와 맞물리는 요철연결체(42); 회전승강바(41)의 상단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수평연장바(43); 수평연장바(43)에 하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완철(10)의 전면에 맞대어지거나 삽탈고정홀(12)에 삽탈되는 고정삽탈바(44); 고정삽탈바(44)의 전단에 좌우방으로 구비되는 수평거치바(45); 수평거치바(45)의 좌우단에 하방으로 돌출되게 각각 구비되되, 서로 간의 이격거리가 완철(10)의 전후 폭보다 크게 구비되어, 완철(10)에 삽탈가능한 제1,2수직연장바(46,46'); 상방이 개구된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1,2수직연장바(46,46')의 하단에 각각 설치되고, 현수애자기구(50)의 수평걸이바(51)가 삽입될 시 일정 외력 이하에서는 수평걸이바(51)의 상방 이동을 제한하는 탄성재질의 제1,2걸이체(47,47');를 갖춘 애자지지기구(40)와;
    양단이 제1,2걸이체(47,47')에 각각 삽탈가능한 볼트 형상의 수평걸이바(51)와, 수평걸이바(51)의 양단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나사산체결되되 제1,2걸이체(47,47')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2이탈방지체(52,52')와, 수평걸이바(51)의 하측에 설치되는 현수애자(53)을 갖춘 현수애자기구(50)와;
    완철(10) 내부에 설치되고, 고정삽탈바(44)와의 접촉여부에 따라 온오프되는 온오프스위치(60)와;
    완철(10)의 상면에 설치되되 애자지지기구(40)의 후방에 위치하고, 온오프스위치(60)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모터(31); 구동모터(31)에 연결되어 구동모터(31)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대(32); 회전대(32)에 설치되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퇴치대(33);를 갖춘 조류퇴치기구(30)와;
    완철(10)에 설치되고, 주변 온도를 측정하여 온도값을 무선송출하는 온도센서(7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배전라인 지지기구.
KR1020230016139A 2023-02-07 2023-02-07 안전사고 방지기능을 구비한 가공배전라인 지지기구 KR102557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6139A KR102557037B1 (ko) 2023-02-07 2023-02-07 안전사고 방지기능을 구비한 가공배전라인 지지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6139A KR102557037B1 (ko) 2023-02-07 2023-02-07 안전사고 방지기능을 구비한 가공배전라인 지지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7037B1 true KR102557037B1 (ko) 2023-07-19

Family

ID=87425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6139A KR102557037B1 (ko) 2023-02-07 2023-02-07 안전사고 방지기능을 구비한 가공배전라인 지지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703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6905B1 (ko) 2018-06-19 2019-01-11 주식회사 천운건설 완충 기능을 갖는 송배전 애자
KR102255226B1 (ko) * 2020-11-24 2021-05-25 (합)동양엔지니어링 안정적 전력배전을 위한 가공배전용 분기장치
KR20210068736A (ko) * 2019-12-02 2021-06-1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동작감지센서를 이용한 조류퇴치장치
KR102449256B1 (ko) * 2021-12-30 2022-09-30 (주)제이티엔지니어링 가공배전선 지지를 위한 애자 장착형 고정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6905B1 (ko) 2018-06-19 2019-01-11 주식회사 천운건설 완충 기능을 갖는 송배전 애자
KR20210068736A (ko) * 2019-12-02 2021-06-1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동작감지센서를 이용한 조류퇴치장치
KR102255226B1 (ko) * 2020-11-24 2021-05-25 (합)동양엔지니어링 안정적 전력배전을 위한 가공배전용 분기장치
KR102449256B1 (ko) * 2021-12-30 2022-09-30 (주)제이티엔지니어링 가공배전선 지지를 위한 애자 장착형 고정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266424A1 (en) A self-erecting suspension platform system
KR102557037B1 (ko) 안전사고 방지기능을 구비한 가공배전라인 지지기구
KR20080076066A (ko) 승강기의 추락방지장치
PT10756U (pt) Equipamento para o deslocamento de pessoas em altura em superfícies não horizontais com translação vertical e horizontal
CN205312854U (zh) 一种电梯盖板系统安全装置
KR102557036B1 (ko) 이상전압회피 가능 가공배전라인 고정장치
CN205011215U (zh) 一种自动扶梯的安全保护装置
CN214990122U (zh) 一种升降平台用防倾斜报警装置
KR102557488B1 (ko) 변압기로의 전선 연결이 쉬운 편의성 향상 가공배전설비
KR102557487B1 (ko) 낙뢰로부터 보호가 용이한 안전성 향상 가공배전선 지지설비
KR102553326B1 (ko) 낙뢰회피 기능 탑재 가공배전선 지지장치
KR102553328B1 (ko) 전주 탈착형 기능성 향상 가공배전선 지지기구
KR200495462Y1 (ko) 신속한 설치 및 제거가 가능한 컨베이어 안전 펜스 장치
KR100998492B1 (ko) 안정적인 전기공급이 가능한 배전설비
US1749252A (en) Transformer supporting structure
KR102575070B1 (ko) 가공배전선 지지용 애자장착형 고정기구
CN215118126U (zh) 一种安防工程建设用警示装置
KR102618556B1 (ko) 불꽃감지기
CN217201562U (zh) 一种电梯门套保护罩
KR20110057662A (ko) 갱폼 인양용 안전 고리
CN220413473U (zh) 一种有色金属退火炉的支撑装置
CN220189484U (zh) 急停开关及防护机构
CN2221529Y (zh) 电动升降式道口防护栏
CN218375078U (zh) 一种土木工程安全保障装置
CN105257136B (zh) 门板顶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