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3371B1 - 송전용 가공전선의 지지완철 - Google Patents

송전용 가공전선의 지지완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3371B1
KR101943371B1 KR1020180107060A KR20180107060A KR101943371B1 KR 101943371 B1 KR101943371 B1 KR 101943371B1 KR 1020180107060 A KR1020180107060 A KR 1020180107060A KR 20180107060 A KR20180107060 A KR 20180107060A KR 101943371 B1 KR101943371 B1 KR 101943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main body
groove
support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7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온정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무영씨엠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무영씨엠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무영씨엠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80107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33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3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3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H02G7/205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extending along a po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20Pin insulators
    • H01B17/22Fastening of conductors to insula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38Fittings, e.g. caps; Fastening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전용 가공전선의 지지완철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송전용 가공전선의 지지완철은 가공전선에 걸리는 풍하중 등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어 애자가 지지완철에서 이탈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애자에 형성된 지지부에 가공전선의 설치 경로가 바뀌면서 안착될 때 애자를 지지완철에서 분리하지 않아도 가공전선의 설치 경로에 맞게 자동으로 조절되고, 조류 등이 애자나 지지완철 등에 둥지를 트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애자나 지지완철이 조류 등지에 의해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송전용 가공전선의 지지완철{Supporting Bar for an Over Head Line}
본 발명은 송전용 가공전선의 지지완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풍하중 또는 지진 등의 충격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송전용 가공전선의 지지완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발생되는 대전력은 송전탑 등의 송전선로를 통해 고압의 전력으로 각 변전소로 송전된 다음, 변전소에서는 여러 단계의 변압과정을 거쳐 각 가정 또는 건물 등의 수용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케이블을 이용하여 각 지역으로 공급하게 되는 배전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고압 송전선용 케이블, 즉 가공전선은 다수개의 꼬여진 도선 즉, 알루미늄 나선 다발과 그 외주면을 따라 피복되는 합성수지 피복층으로 코팅처리되어 있으며, 이는 전주에 연결되어 발전소 또는 변전소에서 공급되는 전기를 각 수용가로 공급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각 전주에 가공전선을 가설할 때는 상기 가동전선이 하중에 의한 처짐 및 완철과의 전기적인 접촉을 차단하기 위하여 통상 애자를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0677925호가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애자는 단순히 가공전선을 지지하는 기능 이외에 별다른 기능을 찾아 볼 수 없으며, 특히 지지완철에 애자가 고정단의 형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가공전선에 풍하중이 걸리는 경우 이러한 풍하중은 애자로 전달되어 애자가 지지완철에서 이탈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이러한 애자에는 가공전선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가 구비되는데, 지지부에 가공전선이 안착될 때 가공전선의 설치(가설) 경로가 일정하게 정해져 있으므로, 가공전선의 설치 경로가 바뀔 때 애자를 지지완철에서 분리하여 가공전선의 설치 경로에 맞게 지지완철에 다시 고정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애자가 가공전선에 걸리는 풍하중 등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애자가 지지완철에서 이탈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송전용 가공전선의 지지완철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애자에 형성된 지지부에 가공전선의 설치 경로가 바뀌면서 안착될 때 애자를 지지완철에서 분리하지 않아도 가공전선의 설치 경로에 맞게 자동으로 조절되는 송전용 가공전선의 지지완철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조류 등이 애자나 지지완철 등에 둥지를 트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애자나 지지완철이 조류 등지에 의해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송전용 가공전선의 지지완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송전용 가공전선의 지지완철은 전주에 설치되며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홀이 구비되고, 하부는 개방된 지지대; 상기 슬라이딩 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홀과 서로 연통되는 장착홀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 브라켓; 및 상기 슬라이딩 브라켓에 형성된 상기 슬라이딩 홀에 결합하며 가공전선을 지지하는 애자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슬라이딩 홀의 양측 단부 방향으로 대향하는 스프링 지지판과, 상기 양측 스프링 지지판에 각각 탄성 지지되는 탄성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 브라켓은 상기 장착홀이 구비된 상면과, 상기 상면으로부터 양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측면과, 상기 측면의 하단부에서 상기 슬라이딩 브라켓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하면과, 상기 하면의 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걸림면과, 상기 걸림면의 양단에서 상기 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탄성 스프링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탄성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지지로드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송전용 가공전선의 지지완철에 의하면 애자가 지지완철에 설치되더라도 횡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어, 가공전선 등에 풍하중이 걸리더라도 애자에 걸리는 하중을 유연하게 흡수할 수 있어 애자가 지지완철에서 이탈되거나 애자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애자에 형성된 지지부에 가공전선의 설치 경로가 바뀌면서 안착될 때 애자를 지지완철에서 분리하지 않아도 가공전선의 설치 경로에 맞게 자동으로 조절됨으로써 애자에 설치되는 가공전선의 설치 경로를 쉽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애자에 조류가 싫어하는 빛 발생부 또는 소리 발생부가 구비됨으로써 애자 또는 지지완철에 조류의 둥지 등이 만들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조류의 둥지 등에 의해 애자 또는 지자완철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용 가공전선의 지지완철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용 가공전선의 지지완철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용 가공전선의 지지완철 구조를 나타낸 저면도.
도 4는 도 1에서 지지대의 폭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5는 도 1에서 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용 가공전선의 지지완철에 설치되는 애자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애자의 단면도.
도 8은 도 7에서 애자의 본체가 스프링에 의해 압축된 상태로 고정구에 지지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용 가공전선의 지지완철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용 가공전선의 지지완철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용 가공전선의 지지완철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용 가공전선의 지지완철 구조를 나타낸 저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서 지지대의 폭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서 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송전용 가공전선의 지지완철은 전주에 설치되며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홀(110)이 구비되고, 하부는 개방된 지지대(100); 상기 슬라이딩 홀(110)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홀(110)과 서로 연통되는 장착홀(210)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 브라켓(200); 및 상기 슬라이딩 브라켓(200)에 형성된 상기 장착홀(210)에 결합하며 가공전선(400)을 지지하는 애자(300)를 포함한다.
지지대(100)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질로 제조된 사각형상의 바(Bar)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애자(300)의 고정구(320)가 좌우방향으로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개구된 슬라이딩 홀(110)을 구비한다.
지지대(100)에 형성된 슬라이딩 홀(110)은 가공전선(400)이 고정되는 애자(300)가 지지대(1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애자(300)에 고정되는 가공전선(400)이 풍하중과 같은 하중을 받았을 때, 애자(300)와 가공전선(400)이 서로 결합되는 부위에서 발생하는 힘을 줄일 수 있어 가공전선(400)이 애자(30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지지대(100)의 상부에는 슬라이딩 브라켓(200)이 지지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슬라이딩 브라켓(200)은 애자(300)가 안착하여 결합되는 곳임과 동시에 지지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게 설치된다.
슬라이딩 브라켓(200)에는 애자(300)의 고정구(320)가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도록 상면(201)에 장착홀(210)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딩 브라켓(200)에 형성된 장착홀(210)은 지지대(100)에 형성된 슬라이딩 홀(110)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애자(300)의 고정구(320)를 슬라이딩 브라켓(200)의 상면(201)에 형성된 장착홀(210)과 지지대(100)에 형성된 슬라이딩 홀(110)을 관통시킨 후 지지대(100)의 하측에서 너트(321)를 고정구(320)에 체결시키면 애자(300)는 슬라이딩 브라켓(200)에 결합되고, 슬라이딩 브라켓(200)에 결합된 애자(300)는 슬라이딩 브라켓(200)이 지지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함에 따라 애자(300)도 지지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게 된다.
한편, 슬라이딩 홀(110)의 양단에는 애자(300)의 고정구(320)가 빠른 속도로 이동할 때 슬라이딩 홀(110)의 양단에 부딪혀서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충격 흡수재(111, 112)가 설치된다. 충격 흡수재(111, 112)는 탄성을 이용하여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고무 등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슬라이딩 브라켓(200)은 장착홀(210)이 구비된 상면(201)과, 상기 상면(201)으로부터 양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측면(202)과, 상기 측면(202)의 하단부에서 상기 슬라이딩 브라켓(200)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하면(203)과, 상기 하면(203)의 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걸림면(204)을 구비한다. 슬라이딩 브라켓(200)의 측면(202), 하면(203) 및 걸림면(204)이 지지대(100)의 하단부를 감싸고 있기 때문에 슬라이딩 브라켓(200)은 지지대(100)에서 이탈되지 않고, 지지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걸림면(204)의 양단에는 상기 지지대(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탄성 스프링(131, 132)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탄성 스프링(131, 132)의 탄성력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지지로드(205, 206)가 구비된다. 지지로드(205, 206)의 중간부에는 지지로드(205, 206)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돌기(205a, 206a)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로드(205, 206)가 탄성 스프링(131, 132)의 내부로 삽입되면 걸림돌기(205a, 206a)는 탄성 스프링(131, 132)의 단부에 걸리게 되고, 지지로드(205, 206)가 일측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탄성 스프링(131, 132) 중 일부는 압축되고 일부는 팽창된다.
도 2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예를 들어 애자(300)에 고정된 가공전선(400)이 풍하중에 의해 우측방향으로 힘을 받는다고 하면, 가공전선(400)이 고정된 애자(300)도 우측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브라켓(200)은 지지대(100)에서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 하게 되며, 슬라이딩 브라켓(200)의 하부에 구비된 지지로드(205, 206)도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지지로드(205, 206)가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우측 지지판(121)에 의해 지지되는 탄성 스프링(131)은 압축되고, 좌측 지지판(122)에 의해 지지되는 탄성 스프링(132)는 팽창된다.
이때, 가공전선(400)에 발생되는 장력과 탄성 스프링(131, 132)의 탄성력이 서로 평형을 이루는 곳에서 멈추게 된다. 한편, 가공전선(400)에 발생되는 장력이 사라지게 되면 압축된 탄성 스프링(131)은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팽창하게 되고, 팽창된 탄성 스프링(131)은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수축하게 된다.
한편, 슬라이딩 브라켓(200)이 지지대(100)에서 슬라이딩할 때, 슬라이딩 브라켓(200)이 지지대(100)에서 좌우방향으로 최대한 슬라이딩 할 수 있는 위치는 애자(300)의 고정구(320)가 지지대(100)에 형성된 슬라이딩 홀(110)의 양단부에 위치할 때이다. 애자(300)의 고정구(320)가 슬라이딩 홀(110)의 단부에 닿게 되면 애자(300)의 고정구(320)는 더 이상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가공전선(400)에 장력이 발생하여 애자(300)가 고정된 슬라이딩 브라켓(200)은 슬라이딩하며 슬라이딩 브라켓(200)은 탄성 스프링(131, 132)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되므로 충격이 흡수된다. 따라서 애자(300) 및 가공전선(400)에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어 애자(300)가 파손되거나 가공전선(400)이 애자(3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슬라이딩 브라켓(200)에 고정되며, 가공전선(400)을 지지하는 애자(300)의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용 가공전선의 지지완철에 설치되는 애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애자의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애자(300)는 절연물질로 형성되며 전체적인 모양을 형성하는 본체(310)와, 본체(310)를 슬라이딩 브라켓(20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부에 나사산(320a)이 형성된 고정구(320), 본체(310)가 고정구(320)에 지지될 때 탄성력을 받으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330)과, 본체(3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가공전선(400)이 안착되는 안착부(340)를 구비한다.
애자(300)는 슬라이딩 브라켓(200)에 안착되어 지지대(100)에 너트(도 2의 321)를 매개로 설치고정된다.
본체(310)는 가공전선(400)의 전기가 금속재질의 지지대(100)쪽으로 흐르지 않도록 절연체로 형성되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접시형태의 원판이 연속적으로 적층된 형태를 이루고 있다.
또한, 본체(310)의 하부에는 스프링(330) 및 고정구(320)가 삽입되는 고정구 고정구안치홈(311)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310)는 고정구(320)를 매개로 슬라이딩 브라켓(200) 상에 설치된다.
고정구(320)는 하부 둘레면에는 너트(321)가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산(320a)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 둘레면에는 외향으로 돌출되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안내홈(311c)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돌기(322)가 형성되며, 상면에는 스프링(330)의 타단부가 압입 고정되는 스프링 장착부(323)가 일체로 형성된다.
본체(310)의 고정구안치홈(311)에는 고정구(320)의 가이드돌기(322)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구안치홈(311)의 하단에서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돌기삽입홈(311a)과, 가이드돌기(322)가 가이드돌기삽입홈(311a)에 삽입된 후 고정구안치홈(31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돌기(322)를 횡방향으로 안내하는 이탈방지홈(311b)과, 이탈방지홈(311b)의 단부에서 상하방향으로 길게형성되어 가이드돌기(322)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안내홈(311c)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가이드돌기삽입홈(311a), 이탈방지홈(311b), 안내홈(311c)은 고정구안치홈(311)에서 서로 대칭되는 방향에 한쌍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고정구안치홈(311)의 가장 안쪽 부분에는 스프링(330)의 타단부가 안착되는 스프링 안착부(314)가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구안치홈(311)에 삽입된 스프링(330)이 안적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애자(300)의 본체(310)에 고정구(320)를 안치시키기 위해, 먼저 스프링(330)의 일단부가 스프링 안착부(314)에 안착되도록 한 뒤, 고정구(320)의 가이드돌기(322)가 가이드돌기삽입홈(311a)의 단부까지 삽입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가이드돌기(322)가 이탈방지홈(311b)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고정구(320)를 횡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가이드돌기(322)는 안내홈(311c)에 위치하게 된다. 가이드돌기(322)가 안내홈(311c)에 위치하게 되면 고정구(320)는 본체(310)에서 이탈되지 않게 되며, 애자(300)의 본체(310)는 본체(310)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330)에 탄성지지되므로 고정구(32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설치된 애자(300)에 고장이 발생하여 애자(300) 만을 교체해야하는 경우, 고정구(320)의 가이드돌기(322)가 안내홈(311c)과 이탈방지홈(311b)이 만나는 부분에 위치시킨 후 고정구(320)를 설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애자(300)를 쉽게 고정구(320)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도 8은 도 7에서 애자(300)의 본체(310)가 스프링(330)에 의해 압축된 상태로 고정구(320)에 지지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애자(300)에 고정된 가공전선(400)에 바람 또는 지진 등과 같은 힘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힘이 작용할 때에도 애자(300)의 본체(310)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330)은 압축되고 본체(310)는 스프링(330)의 탄성력을 받으면서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하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애자(300)가 파손되거나 애자(300)가 지지대(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애자(300)의 본체(310) 상부에는 가공전선(400)이 안착되는 안착부(340)가 구비된다. 안착부(340)는 본체(3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안착부(340)의 하단에는 걸림부(341)가 구비되고, 본체(310) 상부에는 안착부(340)의 걸림부(341)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홈(316)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홈(316)에는 안착부(340)가 본체(31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이 잘 될 수 있도록 베어링(350)이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안착부(340)가 본체(310)에 대해 회전이 잘되도록 함으로써, 안착부(340)에 가공전선(400)이 안착된 후 가공전선(400)의 설치 경로(설치 방향)가 변경되더라도 애자(300)를 지지대(100)에서 분리할 필요가 없이 안착부(340)가 가공전선(400)의 설치 경로에 맞게 회전하게 된다.
한편, 안착부(340)의 상부에는 가공전선(400)이 안착되는 안착홈(340a)이 형성되어 있다. 안착홈(340a)은 가공전선(400)의 단면에 비해 대략 반보다 조금 큰 홈으로 형성된다.
안착부(340)의 양측 외주면에는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탄성지지력을 받는 걸림돌기(34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일측이 안착부(340)의 일측과 힌지결합된 커버(346)를 구비한다. 커버(346)는 하측은 안착홈(340a)과 대칭되도록 아래로 오목하게 곡면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커버(346)의 일측에는 걸림돌기(343)가 삽입될 수 있도록 걸림홀(346a)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안착부(340)의 상부에 형성된 안착홈(340a)에 가공전선(400)을 안착시킨 후 커버(346)를 덮으면 걸림돌기(343)가 커버(346)의 걸림홀(346a)에 삽입되어 커버(346)는 가공전선(400)을 덮으면 안착부(340)와 일체화되므로 가공전선(400)을 안착부(340)에 쉽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전선의 지지완철에는 조류 등을 퇴치할 수 있도록 소리를 발생시키는 소리발생수단(370)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소리발생수단(370)이 애자(300)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을 보였으나, 설치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지지대(100) 또는 슬라이딩 브라켓(200) 등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소리발생수단(370)은 방울, 초음파 발생장치 등과 같이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이때 소리발생수단(370)은 애자(300)가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흔들릴 때만 소리가 나도록 하는 것도 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전선의 지지완철은 소리발생수단(370)도 구비함으로써 지지완철에 조류 등이 둥지를 트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조류의 둥지 등에 의해 정전이 발생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차단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지지대 110: 슬라이딩 홀
111. 112: 충격 흡수재 121, 122: 지지판
200: 슬라이딩 브라켓 205, 206: 지지로드
300: 애자 310; 본체
320: 고정구 330: 스프링
340: 안착부 370: 소리발생수단
400: 가공전선

Claims (2)

  1. 전주에 설치되며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홀(110)이 구비되고, 하부는 개방된 지지대(100);
    상기 슬라이딩 홀(110)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홀(110)과 서로 연통되는 장착홀(210)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 브라켓(200);
    상기 슬라이딩 브라켓(200)에 형성된 상기 장착홀(210)에 결합하며 가공전선을 지지하는 애자(300); 및
    상기 애자(3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소리를 발생시켜 조류를 퇴치하는 소리발생수단(370)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100)는
    상기 슬라이딩 홀(110)의 양측 단부 방향으로 대향하는 스프링 지지판(121, 122)과, 상기 양측 스프링 지지판(121, 122)에 각각 탄성 지지되는 탄성 스프링(131, 132)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 브라켓(200)은
    상기 장착홀(210)이 구비된 상면(201)과, 상기 상면(201)으로부터 양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측면(202)과, 상기 측면(202)의 하단부에서 상기 슬라이딩 브라켓(200)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하면(203)과, 상기 하면(203)의 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걸림면(204)과, 상기 걸림면(204)의 양단에서 상기 지지대(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탄성 스프링(131, 132)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탄성 스프링(131, 132)의 탄성력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지지로드(205)를 구비하고,
    상기 애자(300)는
    절연물질로 형성되며 전체적인 모양을 형성하는 본체(310)와, 상기 본체(310)를 상기 슬라이딩 브라켓(200)에 고정시키는 고정구(320)와, 상기 본체(310)가 상기 고정구(320)에 지지될 때 탄성력을 받으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330)과, 상기 본체(3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가공전선(400)이 안착되는 안착부(340)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310)의 하부에는 상기 스프링(330) 및 상기 고정구(320)가 삽입되는 고정구안치홈(31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320)는 하부 둘레면에 형성되어 너트(321)가 체결되는 나사산(320a)과, 상부 둘레면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돌기(322)와, 상면에 형성되어 스프링(330)의 단부가 압입 고정되는 스프링 장착부(323)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구안치홈(311)은 상기 가이드돌기(32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구안치홈(311)의 하단에서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돌기삽입홈(311a)과, 상기 가이드돌기(322)가 상기 가이드돌기삽입홈(311a)에 삽입된 후 상기 고정구안치홈(31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가이드돌기(322)를 횡방향으로 안내하는 이탈방지홈(311b)과, 상기 이탈방지홈(311b)의 단부에서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돌기(322)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안내홈(311c)을 구비하고,
    상기 안착부(340)의 하단에는 걸림부(341)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310) 상부에는 안착부(340)의 걸림부(341)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홈(316)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316)에는 안착부(340)가 본체(31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이 잘 될 수 있도록 베어링(350)이 삽입되고,
    상기 안착부(340)의 상부에는 상기 가공전선(400)이 안착되는 안착홈(340a)이 구비되고, 상기 안착부(340)의 양측 외주면에는 스프링(344)에 의해 탄성지지력을 받는 걸림돌기(343)가 형성되고, 일측은 상기 안착부(340)의 일측과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걸림돌기(343)가 삽입될 수 있도록 걸림홀(346a)이 형성된 커버(346)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346)는 상기 하측은 안착홈(340a)과 대칭되도록 아래로 오목하게 곡면 형상을 가지고,
    상기 슬라이딩 홀(110)의 양단에는 상기 애자(300)의 고정구(320)가 이동할 때 상기 슬라이딩 홀(110)의 양단에 부딪혀서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탄성을 이용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고무 재질의 충격 흡수재(111, 112)가 설치되고,
    상기 소리발생수단(370)은 상기 애자(300)가 진동에 의해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흔들릴 때 소리가 나는 방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용 가공전선의 지지완철.
  2. 삭제
KR1020180107060A 2018-09-07 2018-09-07 송전용 가공전선의 지지완철 KR101943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060A KR101943371B1 (ko) 2018-09-07 2018-09-07 송전용 가공전선의 지지완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060A KR101943371B1 (ko) 2018-09-07 2018-09-07 송전용 가공전선의 지지완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3371B1 true KR101943371B1 (ko) 2019-01-29

Family

ID=65322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7060A KR101943371B1 (ko) 2018-09-07 2018-09-07 송전용 가공전선의 지지완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337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11251A (zh) * 2019-03-04 2019-07-12 江苏利宏原电力科技有限公司 一种闸刀式架线街码
CN110931183A (zh) * 2019-12-10 2020-03-27 刘云华 一种方便拆卸安装的电瓷绝缘子
KR102110436B1 (ko) * 2019-09-23 2020-05-13 한국전력공사 선간 조절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CN111614048A (zh) * 2020-06-02 2020-09-01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东莞供电局 低压街码
CN111682486A (zh) * 2020-06-02 2020-09-18 安徽省含山县兴建铸造厂 一种减少风向阻力的重锤片及其加工工艺
KR102183225B1 (ko) * 2019-05-20 2020-11-25 (주) 신화기술단 회전과 충격흡수 구조를 갖는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거치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385B1 (ko) * 2007-05-17 2007-08-02 (주)정엔지니어링 라인포스트애자의 경완금 연결장치
KR101194832B1 (ko) * 2012-06-29 2012-10-25 주식회사 수창텍크 가공전선 배전용 배전반 지지완철
KR101413169B1 (ko) * 2014-03-07 2014-06-30 (주)계령 가공전선 배전용 배전반 지지완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385B1 (ko) * 2007-05-17 2007-08-02 (주)정엔지니어링 라인포스트애자의 경완금 연결장치
KR101194832B1 (ko) * 2012-06-29 2012-10-25 주식회사 수창텍크 가공전선 배전용 배전반 지지완철
KR101413169B1 (ko) * 2014-03-07 2014-06-30 (주)계령 가공전선 배전용 배전반 지지완철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11251A (zh) * 2019-03-04 2019-07-12 江苏利宏原电力科技有限公司 一种闸刀式架线街码
KR102183225B1 (ko) * 2019-05-20 2020-11-25 (주) 신화기술단 회전과 충격흡수 구조를 갖는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거치대
KR102110436B1 (ko) * 2019-09-23 2020-05-13 한국전력공사 선간 조절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CN110931183A (zh) * 2019-12-10 2020-03-27 刘云华 一种方便拆卸安装的电瓷绝缘子
CN110931183B (zh) * 2019-12-10 2021-04-20 萍乡市旭华电瓷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方便拆卸安装的电瓷绝缘子
CN111614048A (zh) * 2020-06-02 2020-09-01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东莞供电局 低压街码
CN111682486A (zh) * 2020-06-02 2020-09-18 安徽省含山县兴建铸造厂 一种减少风向阻力的重锤片及其加工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3371B1 (ko) 송전용 가공전선의 지지완철
US11242983B2 (en) Casing for lighting assembly
KR101399043B1 (ko) 가공 배전선 고정용 전주의 애자 설치형 완철
KR101174356B1 (ko) 송전용 가공전선의 지지완철
KR101530347B1 (ko) 변전소 변압기의 방진 지지장치
KR100519934B1 (ko) 송전선로 철탑용 현수 애자
US20080173462A1 (en) Spacer and spacer damper
US2520442A (en) Combined shock and vibration mount
KR20120030224A (ko) 건축설비 내진 및 면진 가대
KR102270559B1 (ko) 가공송전선로의 철탑 고정장치
KR101939249B1 (ko) 행거형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KR101884013B1 (ko) 내진 설계를 갖춘 공동주택 전기시설물
KR101773854B1 (ko)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지지장치
KR100974227B1 (ko) 바닥 밀폐형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
KR101413169B1 (ko) 가공전선 배전용 배전반 지지완철
US3806627A (en) Spacer-damper for bundle conductors
KR101413960B1 (ko) 배전용 전주의 배전선 지지완철
KR102180546B1 (ko) 건축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 구조
KR102207747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통신케이블 고정장치
KR102355720B1 (ko)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
CA1232638A (en) Vibration damper for overhead conductor
KR101939247B1 (ko) 방진형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KR100950096B1 (ko) 배전 전선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KR101842508B1 (ko) 가공전선 고정용 배전애자를 갖춘 전주
US1885504A (en) Transmission l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