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4227B1 - 바닥 밀폐형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바닥 밀폐형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4227B1
KR100974227B1 KR1020100050338A KR20100050338A KR100974227B1 KR 100974227 B1 KR100974227 B1 KR 100974227B1 KR 1020100050338 A KR1020100050338 A KR 1020100050338A KR 20100050338 A KR20100050338 A KR 20100050338A KR 100974227 B1 KR100974227 B1 KR 100974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housing
panel
fixing bar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0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단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단성
Priority to KR1020100050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42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4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4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4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separate protective tub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밀폐형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는, 베이스패널과 측벽으로 이루어진 하우징과, 너트를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패널의 표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너트 삽입부, 상기 양 측벽 사이를 횡단하되 상기 너트 삽입부의 상면에 안착되는 케이블 고정바, 너트, 서포터, 클램프, 앵커볼트 등을 포함하여 케이블에서 발생되는 열의 방출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하우징이 건물 공중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밀폐형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에 의하면, 바닥 밀폐형 케이블 트레이의 단점인 열 방출 문제를 해결하고, 케이블이 구분 없이 안착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유도 장애, 합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바닥 밀폐형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Cable Tray Assembly Usable as Bottom Solid Type}
본 발명은 바닥 밀폐형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베이스패널과 측벽으로 이루어진 하우징과, 너트를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패널의 표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너트 삽입부, 상기 양 측벽 사이를 횡단하되 상기 너트 삽입부의 상면에 안착되는 케이블 고정바, 너트, 서포터, 클램프, 앵커볼트 등을 포함하여 케이블에서 발생되는 열의 방출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하우징이 건물 공중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바닥 밀폐형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 트레이는 전력, 제어, 통신 및 계장용 케이블을 배선할 때 지지 및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길이 방향의 양 측면 레일을 복수 개의 가로 방향 부재로 연결한 사다리형과, 일체식 또는 분리식 직선 방향 측면 레일에서 바닥에 통풍구를 구성한 펀칭형 및 일체식 또는 분리식 직선 방향 측면 레일에서 바닥에 통풍구가 없는 바닥 밀폐형으로 나뉜다.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는 설치가 용이하고 통풍이 원활하며 어떠한 수직면에서도 설치가 가능하여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화재 기타 사고 발생시 케이블을 보호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불꽃이 케이블에 옮겨져 화재를 더욱 확산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펀칭형 케이블 트레이는,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보다 케이블을 좀 더 용이하게 보호할 수 있지만, 이 역시 화재 발생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
반면에, 바닥 밀폐형 케이블 트레이는 내부가 밀폐되어 화재 시 불꽃이 케이블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나아가 케이블에서 발생되는 전자파가 건물 내부 공간에 가해지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나, 통풍이 원활하지 못해 냉각이 잘 안되어 과열에 의해 케이블이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한국 등록 실용 제 20-0428602호 '케이블 고정 부재를 구비한 차폐 케이블 트레이'가 개시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기술은 바닥 밀폐형 트레이를 일부 변형하고 렁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여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렁 부재의 하측에 형성된 공간으로 케이블의 열을 방출할 수 있으나, 상기 렁 부재는 트레이 본체와 끼움식으로 연결되어 외부 자극으로 이탈될 가능성이 있고, 렁 부재의 내구성이 약하여 상기 렁 부재의 상부에 케이블이 안착되었을 시, 지지력이 약할 뿐만 아니라 상기 케이블과 렁 부재의 자체 하중으로 인해 변형될 소지가 다분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한국 등록 실용 제 20-0420685호 '사다리형 및 바닥 밀폐형 케이블 트레이'는 설치 환경에 따라 사다리형 또는 바닥 밀폐형으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부 및 하부 커버를 구비하여 탈착할 수 있도록 구비한 것이다. 필요에 따라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상기 커버를 장착하게 되면, 렁 부재와 하부 커버의 이격 거리가 짧아 통풍이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보다 신규하고 진보한 바닥 밀폐형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를 제공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베이스 패널과 측벽으로 이루어진 하우징과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베이스 패널의 표면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삽입공과 관통공으로 구성된 너트 삽입부, 상기 너트 삽입부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양 측벽 사이를 횡단하는 케이블 고정바, 상기 삽입공에 헤드가 수용되도록 상기 너트 삽입부에 삽입 고정되는 너트, 서포터, 클램프, 앵커볼트를 포함하여 케이블에서 발생되는 열의 방출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하우징이 건물 공중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측벽에 제 1 내지 3 절곡부를 포함하여 하부에 상기 하우징의 내측을 향해 상기 측벽의 길이 방향으로 함입된 홈을 형성하고, 일 측 단이 상기 홈에 삽입되고 표면의 일 부위에 형성된 체결공에 상기 앵커볼트가 관통되는 방식으로 결합되는 보조 패널을 추가로 포함하여 서포터에 의해 건물 공중에 고정되는 하우징이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홈에 제 1,2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1,2,3 절곡부 중 어느 하나의 일 측에 형성된 리세스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패널은 상기 홈에 삽입되는 단 측에 타 부위보다 두껍게 형성된 첨단부를 형성하여, 상기 제 1 돌출부와 상기 제 2 돌출부 사이의 공간이 상기 리세스로 인해 탄성적으로 유동함으로써 상기 돌출부가 더욱 안정적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상기 양 측벽 사이를 횡단하여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케이블 고정바와 높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보조 케이블 고정바를 추가로 구비하여 케이블을 서로 이격시켜 안착할 수 있도록 하여 유도 장애 기타 전기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상기 케이블 고정바 및 보조 케이블 고정바 중 어느 하나의 상면에 복수 개의 홀을 형성하고, 받침판, 지지스프링, 캡으로 이루어진 탄성구획부를 추가로 구비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케이블을 이격시켜 케이블에서 발생되는 열의 방출이 더욱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상기 캡을 최상점을 기준으로 제 1,2 곡률부로 구분하여 서로 곡률이 다르도록 형성함으로써 케이블이 더욱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케이블 사이의 이격 공간을 더욱 넓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상기 측벽의 상부에 라운딩 처리된 만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측벽의 내측 면을 따라 구비되되 상부에서 상기 만곡부와 반대 방향으로 라운딩 처리되도록 형성하여 상기 만곡부와 탄성에 의해 맞물려 연결됨으로써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결합패널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의 측벽의 길이를 연장함으로써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밀폐형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는, 베이스 패널과 측벽으로 이루어진 하우징과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베이스 패널의 표면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삽입공과 관통공으로 구성된 너트 삽입부, 상기 너트 삽입부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양 측벽 사이를 횡단하는 케이블 고정바, 상기 삽입공에 헤드가 수용되도록 상기 너트 삽입부에 삽입 고정되는 너트, 서포터, 클램프, 앵커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벽에 제 1 내지 3 절곡부를 포함하여 하부에 상기 하우징의 내측을 향해 상기 측벽의 길이 방향으로 함입된 홈을 형성하고, 일 측 단이 상기 홈에 삽입되고 표면의 일 부위에 형성된 체결공에 상기 앵커볼트가 관통되는 방식으로 결합되는 보조 패널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홈에 제 1,2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1,2,3 절곡부 중 어느 하나의 일 측에 형성된 리세스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패널은 상기 홈에 삽입되는 단 측에 타 부위보다 두껍게 형성된 첨단부를 형성하여, 상기 제 1 돌출부와 상기 제 2 돌출부 사이의 공간이 상기 리세스로 인해 탄성적으로 유동함으로써 상기 돌출부가 끼워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양 측벽 사이를 횡단하여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케이블 고정바와 높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보조 케이블 고정바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케이블 고정바 및 보조 케이블 고정바 중 어느 하나의 상면에 복수 개의 홀을 형성하고, 받침판, 지지스프링, 캡으로 이루어진 탄성구획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캡은 최상점을 기준으로 제 1,2 곡률부로 구분되되, 상기 제 1 곡률부는 위로 볼록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 2 곡률부는 아래로 볼록하게 상기 제 1 곡률부보다 길이가 길도록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측벽의 상부에 라운딩 처리된 만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측벽의 내측 면을 따라 구비되되 상부에서 상기 만곡부와 반대 방향으로 라운딩 처리되도록 형성하여 상기 만곡부와 탄성에 의해 맞물려 연결됨으로써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결합패널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밀폐형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에 따르면,
1) 베이스패널에 의해 내부가 밀폐되어 화재시 불꽃이 케이블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2) 전력선 또는 통신선을 별도로 분리하여 고정할 수 있어 유도 장애 기타 사고를 예방하며,
3) 케이블에서 발생되는 열의 방출이 보다 용이함과 동시에,
4) 베이스패널의 길이를 일정 수준 연장할 수 있어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5) 결합패널을 구비하여 측벽의 길이를 연장함으로써 모자라는 길이를 보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밀폐형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구획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패널과 측벽의 결합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케이블 고정바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밀폐형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의 조립식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밀폐형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밀폐형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는 크게 하우징(300)과 케이블 고정바(310), 서포터(2), 클램프(400) 및 앵커볼트(1)로 이루어져 있다.
하우징(300)은 케이블 트레이의 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일정 부위에서 돌출 형성된 너트 삽입부(110)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베이스패널(100)과, 베이스패널(100)의 길이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상부로 절곡 형성된 측벽(20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베이스패널(100)은 바닥면을 이루는 것으로서 밀폐되어 있고, 측벽(200)과 함께 케이블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너트 삽입부(110)는 후술할 클램프(400)와 연결되는 너트(700)를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부에 삽입공(111)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공(111)의 하부 일정 부위에서 연장되되 상기 삽입공(111)보다 협소하게 형성된 관통공(112)으로 구성된다. 즉, 'T'자 형과 유사한 형상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너트 삽입부(110)를 T자 형과 유사하게 형성하는 이유는, 케이블 고정바(310)를 지지하는 기능에 더하여, 중력과 반대방향으로 결합되어야 하는 너트(700)와 후술할 클램프(400)의 특성상 너트(700)가 상기 너트 삽입부(110)에서 빠질 수 있다는 가능성을 고려하여 더욱 안정적인 결합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측벽(200)은, 상기 베이스패널(100)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서 내측으로 180˚절곡되어 상기 베이스패널(100) 위에 접히는 형상으로 연장되도록 하는 제 1절곡부(210)와 제 1절곡부(210)에서 연장되어 상부로 수직 절곡된 제 2절곡부(220), 제 2절곡부(220)에서 연장되어 외측으로 수직 절곡된 제 3절곡부(230) 및 제 3절곡부(230)에서 연장되어 다시 상부로 수직 절곡된 제 4절곡부(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제 4절곡부(240)에서 높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그 끝단에서 내측을 향해 반원 형상으로 라운딩 처리된 만곡부(270)를 추가로 포함한다.
즉, 상기 측벽(200)이 하부에서 내측을 향해 'ㄷ'형상으로 함입 형성된 것인데, 이러한 제 1,2,3 절곡부는 상술한 홈을 형성하여 후술할 보조패널(500)이 베이스패널(100)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 4절곡부(240)의 상부에 형성된 만곡부(270)는 후술할 결합패널(600)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세한 예는 아래에서 설명한다.
상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하우징(300)은, 복수 개 연결되어 구성됨으로써 기본적으로 건물 내부 공간의 상부에 설치되는 케이블이 자체 하중으로 인해 아래로 처지거나 다른 구조물과 간섭되어 손상되지 않도록 하고, 미관을 깔끔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우징(300)에 장착되는 케이블 고정바(310)는 상부에 케이블을 안착 및 고정시키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양 측벽(200)을 연결하도록 바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너트 삽입부(110)의 상부 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바, 다시 말해 상기 너트 삽입부(110)로 인해 돌출된 면에 의해 지지되어 장착된다. 이러한 케이블 고정바(310)는, 상기 너트 삽입부(110)의 상부에 안착됨으로써 케이블 고정바(310)와 상기 베이스패널(100) 사이에 일정 크기의 스페이스를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스페이스는 케이블 고정바(310) 상부에 안착되는 케이블에서 발생되는 열이 방출될 수 있는 통로로서의 역할을 하여 방열에 도움을 준다.
또한, 일반적으로 바닥 밀폐형 케이블 트레이에 복수 개의 케이블이 적층 형식으로 안착되는 경우가 많고, 이러한 경우 각각의 케이블에서 발생되는 열이 방출되지 못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케이블이 노후 및 손상되면서 합선과 누전 기타 전기 사고 등을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상기 하우징(300)에는 기본적으로 형성되는 케이블 고정바(310)에 더하여 보조 케이블 고정바(32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케이블 고정바(32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보조 케이블 고정바(320)는 상기 케이블 고정바(310)와 같이 양 측벽(200)을 연결하도록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보다 용이한 설치와 효율적인 활용을 위하여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즉, 양 측벽(200)의 일정 부위에 관통공(112)을 형성하고, 상기 보조 케이블 고정바(320)의 양 단에 상기 관통공(112)을 관통할 수 있는 패스너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양 측벽(200)의 외측에서 돌출된 패스너를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 측벽(200)의 내 측 일정 부위에 걸림홈을 형성하고 상기 보조 케이블 고정바(320)의 양 단에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걸림식으로 탈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구성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케이블 고정바(310) 상부에 기본적인 전력을 제공하는 전력 케이블을 안착시킨 후, 필요에 따라 상기 보조 케이블 고정바(320)를 추가로 장착하고 그 상부에 추가적으로 더 설치되어야 하는 통신 및 보조전력 케이블을 안착시킴으로써 케이블이 안착되는 공간을 구획하여 구분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각 케이블에서 발생되는 열을 더욱 효율적으로 방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 고정바(310) 및 보조 케이블 고정바(320)(하기에서는 통칭하여 고정바라 함)에는 안착되는 케이블을 종류별로 서로 이격시킬 수 있도록 공간 구획의 역할을 하는 탄성구획부(330)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구획부(33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탄성구획부(330)는 상기 고정 바의 상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캡(333)과 지지스프링(332) 및 받침판(331)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구성을 위하여 상기 고정 바의 상면에는 캡(333)의 바닥면의 형상과 유사한 모양으로 일정 깊이 함입된 홀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구비된 것을 전제로 한다.
받침판(331)은, 지지스프링(332) 및 캡(333)을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으로 패널과 유사하며, 상기 홀의 바닥면에 형성된다.
지지스프링(332)은, 상기 받침판(331)에서부터 일정 높이로 기립 형성되어 압축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그 상부 단에서 반구형의 캡(333)과 연결되어 캡(333)이 고정 바의 내외로 움직일 수 있도록 탄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캡(333)은, 반구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케이블이 보다 용이하게 안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일 측이 더 곡률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캡(333)은 최상점(333a)을 기준으로 2개의 곡면으로 구분 설명할 수 있는바, 이를 각각 제 1,2 곡률부(333b,333c)라 명명한다.
제 1 곡률부(333b)의 곡면은 최상점에서 하방을 향해 위로 볼록하게 연장되고, 제 2 곡률부(333c)의 곡면은 최상점에서 하방을 향해 오목하게, 즉 아래로 볼록하게 연장되어 있되, 제 2 곡률부(333c)의 연장길이는 제 1 곡률부(333b)의 연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즉, 종단면으로 보면 일 측(제 1곡률부)이 가파르고 타 측(제 2 곡률부)이 완만한 경사를 가진 반원의 형상인데, 이러한 캡(333)을 서로 대칭되도록(완만한 경사를 가진 측이 서로 마주보도록) 복수 개 형성하면, 반구형으로 형성한 경우보다 케이블을 잡아주는 효과를 가질 수 있어 케이블을 보다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착된 각 케이블의 이격 간격이 더욱 넓어지게 확보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탄성구획부(330)는 고정 바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홀에 각각 형성되며, 캡(333)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되어 캡(333)의 상부에 케이블이 안착되어 일정 압력이 가해지면 고정 바의 내부로 인입되고, 아무런 힘도 가해지지 않으면 고정 바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여 케이블이 종류 및 개수에 따라 서로 이격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구획의 역할을 한다. 즉, 케이블이 안착됨으로써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해 자유자재로 공간을 구획할 수 있는 것으로, 구획판 등을 고정 형성하는 것보다 더욱 편리하고, 케이블의 직경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어 사용이 매우 간편하고 용이하다.
이로써 탄성구획부(330)는 케이블에서 발생되는 열이 보다 용이하게 방출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다수의 케이블이 서로 접촉되어 발생하는 누전 기타 사고를 예방한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클램프(400)는 서포터(2)에 연결되어 사용되는데, 서포터(2)는, 상기 하우징(300)이 공중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천장 벽 또는 슬래브에 고정 삽입되어 하부로 연장된 앵커볼트(1)와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300)의 하부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하우징(300)을 받쳐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서포터(2)는 상기 하우징(300)의 하측에 폭 방향으로 구비되되, 상기 하우징(300)의 폭의 길이보다 일정 길이 길게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300) 기준에서 돌출된 양 단에서 앵커볼트(1)와 고정 연결되며, 그 형상은 특정한 것에 국한되지 않으나 앵커볼트(1)에 의해 지지되어야 하므로 그 무게를 고려하여 하중이 크지 않은 재질의 빔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클램프(400)는, 상기 서포터(2)의 하부에 끼워져 상기 너트 삽입부(110)와 대응되는 부위에서 나사 결합방식으로 서로 연결하여 서포터(2)와 하우징(300)이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하우징(300)이 서포터(2) 위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서포터(2)에 결합되어 앵커볼트(1)와 연결됨으로써 더욱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클램프(4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포터(2)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클램프(400)의 하측으로 상기 서포터(2)와 대응되는 크기의 공간을 형성하고, 이러한 공간의 상부 양 단에서 베이스 방향으로 연장되되 볼트가 관통할 수 있는 통공을 구비하여, 상기 너트(700)와 볼트가 상기 클램프(400)를 사이에 두고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너트(700)는 기본적으로 내주면에 나사산이 구비된 원통형의 바디에, 상기 너트 삽입부(110)의 삽입공(111)에 걸림식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에 탄성이 있는 헤드가 연결된 것으로, 헤드는 상기 바디의 원주보다 큰 원주를 가지되 내부가 빈 원통의 형상이다. 즉, 상술한 너트(700)의 종단면의 형상은 '
Figure 112010034452227-pat00001
'와 유사하다.
일사용예를 설명하면, 상기 너트 삽입부(110) 내에 상기 너트(700)를 삽입하면 상기 헤드가 상기 삽입공(111)에 걸려 고정되고, 사용자는 상기 클램프(400)에 구비된 통공과 상기 너트(700)가 대응되도록 상기 클램프(400)를 서포터(2)에 끼운 후 외주면에 나사산을 구비한 볼트로써 상기 클램프(400)와 상기 너트(700)를 돌려 끼우는 방식으로 결합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터(2) 외에 보조패널(500)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패널(500)과 측벽(200)의 결합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보조패널(500)은 일 측에서 상기 측벽(200)의 제 1,2,3 절곡부로 인해 형성된 홈에 삽입 안착되되 타 측에서는 상기 앵커볼트(1)와 고정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패널 형상으로, 좌/우 측에 복수 개 구비되어 상기 홈의 상부 면에 맞닿아 상기 하우징(300)이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제 1절곡부(210)를 180˚절곡시켜 베이스패널(100) 위에 접히는 형상으로 구성한 것은 후술할 보조패널(500)과 서포터(2) 사이의 이격 공간을 줄여 상기 하우징(300)을 고정하는 데에 있어서 보다 안정적인 지지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홈을 측벽(200)의 타 부위에 형성하는 경우보다 제작 단계에서의 공정도 훨씬 간편해져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큰 효과가 있다.
상기 보조패널(500)은 기본적으로 일정 부위에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 단이 상기 홈에 삽입되고 상기 체결공에 상기 앵커볼트(1)를 관통시켜 결합하는 방식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보조패널(500)은 서포터(2) 및 앵커볼트(1)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밀폐형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에 복수 개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300)이 건물 상부 공중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구성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상기 보조패널(500)의 일 측을 상기 측벽(200)의 하부에 구비된 홈에 끼워 넣고 타 측에서는 상기 앵커볼트(1)와 연결시킨 후, 상기 서포터(2)를 상기 하우징(300)의 하부에 구비하고 양 단에서 앵커볼트(1)와 연결시켜 상기 하우징(300)이 이중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300)과 서포터(2) 및 보조패널(500)을 설치한 후, 케이블을 상기 하우징(300) 내 케이블 고정바(310) 상부에 안착시켜 케이블 타이와 같은 공지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 고정바(310)를 연결시킨다. 그 후 필요에 따라 상기 보조 케이블 고정바(320)를 장착하고 그 상부에 또 다른 케이블을 보조 케이블 고정바(320)와 연결시킬 수 있다.
더불어, 제 1,2 돌출부와 리세스(250) 및 첨단부(510)를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보조패널(500)이 상기 홈에 더욱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제 1돌출부(211)는 상기 제 1절곡부(210)의 일정 부위가 상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상기 측벽(2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한 것이며, 제 2돌출부(231)는 상기 제 1돌출부(211)와 대응되도록 제 3절곡부(230)의 일정 부위가 하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상기 측벽(2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한 것이다.
첨단부(510)는 상기 보조패널(500)의 일단이 타 부위보다 두껍게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제 1,2 돌출부는 홈의 일정 부위를 상기 첨단부(510)보다 약간 협소하게 형성하여 상기 보조패널(500)의 첨단부(510)가 상기 제 1,2 돌출부 사이를 통과한 후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함으로써 상기 보조패널(500)이 상기 홈에서 이탈되지 않고 더욱 안정적으로 상기 하우징(3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제 1,2,3 절곡부 중 하나 이상의 절곡부의 일정 부위에 리세스(250)를 구비할 수 있는 바, 상기 리세스(250)는 상기 절곡부의 면에 길이 방향으로 고랑을 형성한 것으로 상기 절곡부에 탄성을 주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리세스(25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제 1,2 돌출부 사이의 공간이 탄성적으로 유동될 수 있어 첨단부(510)가 형성된 보조패널(500)이 제 1,2 돌출부 사이를 더욱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다.
지금까지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베이스패널(100)로 인해 내부가 밀폐되어 케이블을 화염 기타 상황에서 보호할 수 있고, 상기 케이블 고정바(310)로 인해 케이블이 베이스패널(100)과 직접 닿지 않고 일정 간격 이격되어 안착됨으로써 일반적인 바닥 밀폐형 케이블 트레이와는 달리 통풍이 보다 용이하여 과열에 의해 케이블이 손상될 위험을 줄이며, 상기 케이블 고정바(310) 및 보조 케이블 고정바(320)를 이용하여 전력선 또는 통신선을 별도로 분리하여 안착시킬 수 있어 유도 장애 기타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더하여, 규격화된 상기 하우징(300)을 길이 방향으로 연결하여 설치할 때 하우징(300)의 길이가 설치하고자 하는 길이보다 조금 모자라는 경우를 대비하여, 일정 길이의 결합패널(600)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다시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측벽(200)에 결합패널(600)이 추가로 도시된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결합패널(600)은 상기 측벽(200)의 제 3,4 절곡부에 의해 형성된 면과 접촉 연장되되 상기 측벽(200)의 내측 면을 따라 형성되며, 그 끝단에서는 상기 만곡부(270)와 반대방향으로 라운딩 처리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만곡부(270)와 탄성에 의해 맞물려 연결된다. 또한, 결합패널(600)의 하단의 휨을 방지하게 위하여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패널(600)의 일정 부위에 패널 형상의 지지대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결합패널(6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300)의 길이를 일정 길이 연장하여 사용자가 설치하고자 하는 케이블 트레이의 길이에 보다 용이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설치하고자 하는 개수만큼 상기 하우징(300)을 연결하여 설치를 완료한 후 상기 결합패널(600)을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하우징(300)의 측벽(200)의 길이를 연장함으로써 모자라는 길이를 보충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상기 하우징(300)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밀폐형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의 조립식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립부는 상기 베이스 패널(100)의 일부를 절단 및 변형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제 1 조립부(150)와 제 2 조립부(160) 및 폭조절판(17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립부의 원활한 작용을 위하여 상기 케이블 고정바(31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전제로 하며, 그 조절방식은 끼움식, 슬라이드식 등 공지된 길이조절방식을 이용하는 것으로 한다.
제 1 조립부(150)는 길이 방향으로 절단되어 두 개로 나뉜 베이스 패널(100) 중 어느 하나의 베이스 패널(100)의 측벽 반대 측 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너트 삽입부(110)와 같은 방식으로 상부를 향해 절곡 연장되되 상기 너트 삽입부(110)의 상면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절단되어 수용부(151)를 형성하는 것으로, 숫자 5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며, 후술할 삽입부(161)가 끼워져 맞물리는 방식으로 연결된다.
제 2 조립부(160)는 두 개로 나뉜 베이스패널(100)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되 상기 수용부(151)와 대응되는 삽입부(161)를 형성되는 것으로, 측벽(200) 반대측 단에서 상부로 수직 연장되고, 다시 내측으로 일정 길이 수직 연장되어 'ㄱ'과 유사하게 형성된다.
폭조절판(170)은 일 측에 상기 수용부(151)가 형성되고, 타 측에 상기 삽입부(161)가 형성되되, 중앙 부위에 상기 너트 삽입부(110)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 1 조립부(150)와 상기 제 2 조립부(160)가 연결되도록 한다. 이러한 폭조절판(170)은 복수 개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설치되는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베이스 패널(100)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상기 폭조절판(170)을 다양한 크기(50cm, 80cm, 1m 등)로 각각 구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폭의 너비에 더욱 가깝도록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너트 삽입부(110)의 형상으로 연장된 부위에 너트(700)를 삽입하여 상기 서포터(2)에 장착되는 클램프(400)와 추가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조립부의 구성에 대한 사용예를 설명하면, 상기 제 1 조립부(150)의 수용부(151)에 상기 폭조절판(170)의 삽입부(161)를 삽입하고, 상기 폭조절판(170)의 수용부(151)에 상기 제 2 조립부(160)에 형성된 삽입부(161)를 삽입함으로써, 상세하게는 상기 수용부(151)의 상면에 상기 삽입부(161)의 상면이 닿도록 삽입되어, 상기 제 1,2 조립부(150,160)와 폭조절판(170)의 탄성에 의해 서로 맞물리는 형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조립부에서 상기 폭조절판(170)은 한 개 또는 복수 개 사용되어 상기 베이스 패널(100)의 폭의 너비를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조립부에 따르면, 하우징(300) 내에 안착될 케이블의 개수 및 기 설치된 앵커볼트(1)의 위치 등에 따라 다른 기계적인 구성을 추가로 사용할 필요 없이 간편하게 상기 하우징(300)의 폭을 조절할 수 있어 일정 크기로 규격화된 기존 케이블 트레이에 비해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너트 삽입부(110)를 포함한 폭조절판(170)으로 상기 케이블 고정바(310)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케이블 고정바(310)가 자체 하중으로 인해 하측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너트 삽입부(110)에 너트(700)를 삽입하여 상기 클램프(400)와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300)이 상기 서포터(2)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더욱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밀폐형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앵커볼트 2: 서포터
100: 베이스 패널 110: 너트 삽입부
111: 삽입공 112: 관통공
150: 제 1 조립부 151: 수용부
160: 제 2 조립부 161: 삽입부
170: 폭조절판 200: 측벽
210: 제 1 절곡부 211: 제 1 돌출부
220: 제 2 절곡부 230: 제 3 절곡부
231: 제 2 돌출부 240: 제 4 절곡부
250: 리세스 270: 만곡부
300: 하우징 310: 케이블 고정바
320: 보조 케이블 고정바 330: 탄성 구획부
331: 받침판 332: 지지스프링
333: 캡 333a: 최상점
333b: 제 1 곡률부 333c: 제 2 곡률부
400: 클램프 500: 보조패널
510: 첨단부 600: 결합패널
700: 너트

Claims (7)

  1. 바닥 밀폐형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로서,
    밀폐된 바닥면을 이루는 베이스 패널과 상기 베이스 패널의 길이 방향의 양측 단에서 상부로 절곡된 측벽으로 이루어진 하우징;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베이스 패널의 표면에 돌출 연장된 것으로서, 상부에 삽입공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공의 하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삽입공보다 협소하게 형성된 관통공으로 구성된 너트 삽입부;
    상기 너트 삽입부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양 측벽 사이를 횡단하는 케이블 고정바;
    상기 베이스 패널과 상기 케이블 고정바 사이에 마련된 스페이스;
    상기 삽입공에 헤드가 수용되도록 상기 너트 삽입부에 삽입 고정되는 너트;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서 폭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하우징의 폭보다 길게 연장 형성된 서포터;
    상기 서포터에 끼워져 상기 너트에 나사 결합되는 클램프;
    일 측이 천장에 고정 삽입되고 타 측이 상기 서포터의 측단과 수직 연결되는 앵커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밀폐형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상기 베이스 패널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180˚로 접히도록 연장된 제 1 절곡부;
    상기 제 1 절곡부에서 상부로 수직 절곡 연장된 제 2 절곡부;
    상기 제 2 절곡부에서 상기 베이스 패널의 외측으로 수직 절곡 연장된 제 3 절곡부;
    상기 제 3 절곡부에서 상부로 수직 절곡 연장된 제 4 절곡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 1 내지 3 절곡부에 의하여 상기 측벽의 하부에 상기 하우징의 내측을 향해 상기 측벽의 길이 방향으로 함입된 홈을 형성하고,
    상기 바닥 밀폐형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는,
    일 측 단이 상기 홈에 삽입되고, 표면의 일 부위에 형성된 체결공에 상기 앵커볼트가 관통되는 방식으로 상기 앵커볼트와 결합되는 보조 패널;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밀폐형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상기 제 1 절곡부의 일 측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된 제 1 돌출부;
    상기 제 1 돌출부와 대응되도록 제 3 절곡부의 일 측에서 하부로 돌출 형성된 제 2 돌출부;
    상기 제 1,2,3 절곡부 중 어느 하나의 일 측 표면에서 함입 형성된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패널은,
    상기 홈에 삽입되는 단 측에 타 부위보다 두껍게 형성된 첨단부;를 포함하여,
    상기 리세스로 인해 상기 홈이 탄성 유동됨으로써 상기 첨단부가 상기 제 1 돌출부와 상기 제 2 돌출부 사이의 공간 내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밀폐형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탈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양 측벽 사이를 횡단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케이블 고정바와 높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보조 케이블 고정바;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밀폐형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고정바 및 보조 케이블 고정바 중 어느 하나는,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서 상면에서 일정 깊이 함입 형성된 홀,
    상기 홀의 바닥면에 형성된 받침판,
    상기 받침판에서부터 일정 높이로 기립 형성되어 압축력을 제공하는 지지스프링,
    상기 지지스프링의 상단에 형성된 캡으로 이루어진 탄성구획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밀폐형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최상점을 기준으로 이등분된 곡면을 각각 구비한 제 1,2 곡률부로 구분되되,
    상기 제 1 곡률부의 곡면은 위로 볼록하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 2 곡률부의 곡면은 아래로 볼록하되 상기 제 1 곡률부보다 연장 길이가 길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밀폐형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상부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을 향해 라운딩 처리된 만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바닥 밀폐형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는,
    상기 측벽의 내측 면을 따라 구비되되 상부에서 상기 만곡부와 반대 방향으로 라운딩 처리되도록 형성하여 상기 만곡부와 탄성에 의해 맞물려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결합패널;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밀폐형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
KR1020100050338A 2010-05-28 2010-05-28 바닥 밀폐형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 KR100974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0338A KR100974227B1 (ko) 2010-05-28 2010-05-28 바닥 밀폐형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0338A KR100974227B1 (ko) 2010-05-28 2010-05-28 바닥 밀폐형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4227B1 true KR100974227B1 (ko) 2010-08-05

Family

ID=42759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0338A KR100974227B1 (ko) 2010-05-28 2010-05-28 바닥 밀폐형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422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71257A (zh) * 2017-06-02 2017-09-15 安徽奥睿德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电缆桥架的阻燃型装配式抗震支架
CN108347020A (zh) * 2018-04-25 2018-07-31 福建通宇电缆有限公司 一种多功能电缆
CN110086127A (zh) * 2019-05-18 2019-08-02 德清索茂特桥架有限公司 电缆桥架
KR102378045B1 (ko) * 2021-07-20 2022-03-24 주식회사 성우이엠이 전력용 케이블 지지장치
KR102384920B1 (ko) * 2021-05-12 2022-04-11 정상열 케이블 트레이 커버용 잠금장치
CN117895393A (zh) * 2024-03-18 2024-04-16 合肥雷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线缆桥架安装辅助装置
CN117895393B (zh) * 2024-03-18 2024-06-07 合肥雷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线缆桥架安装辅助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41911U (ko) 1985-02-21 1986-09-02
JPS6388017U (ko) 1986-11-26 1988-06-08
KR20040020685A (ko) * 2002-08-31 2004-03-09 최정 염의 오클루젼기법에 의한 제올라이트 비료의 제조방법
KR100575060B1 (ko) 2005-12-07 2006-04-28 (주)도원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폭 조정이 가능한 케이블 트레이 및 사용방법
KR200420685Y1 (ko) 2006-04-12 2006-07-06 주식회사 제원에이스산업 사다리형 및 바닥 밀폐형 겸용 케이블 트레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41911U (ko) 1985-02-21 1986-09-02
JPS6388017U (ko) 1986-11-26 1988-06-08
KR20040020685A (ko) * 2002-08-31 2004-03-09 최정 염의 오클루젼기법에 의한 제올라이트 비료의 제조방법
KR100575060B1 (ko) 2005-12-07 2006-04-28 (주)도원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폭 조정이 가능한 케이블 트레이 및 사용방법
KR200420685Y1 (ko) 2006-04-12 2006-07-06 주식회사 제원에이스산업 사다리형 및 바닥 밀폐형 겸용 케이블 트레이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71257A (zh) * 2017-06-02 2017-09-15 安徽奥睿德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电缆桥架的阻燃型装配式抗震支架
CN108347020A (zh) * 2018-04-25 2018-07-31 福建通宇电缆有限公司 一种多功能电缆
CN108347020B (zh) * 2018-04-25 2024-03-15 福建通宇电缆有限公司 一种多功能电缆
CN110086127A (zh) * 2019-05-18 2019-08-02 德清索茂特桥架有限公司 电缆桥架
KR102384920B1 (ko) * 2021-05-12 2022-04-11 정상열 케이블 트레이 커버용 잠금장치
KR102378045B1 (ko) * 2021-07-20 2022-03-24 주식회사 성우이엠이 전력용 케이블 지지장치
CN117895393A (zh) * 2024-03-18 2024-04-16 合肥雷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线缆桥架安装辅助装置
CN117895393B (zh) * 2024-03-18 2024-06-07 合肥雷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线缆桥架安装辅助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4227B1 (ko) 바닥 밀폐형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
KR101985204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케이블 트레이
US7614195B2 (en) Suspended ceiling grid network utilizing seismic separation joint clips
KR100847877B1 (ko)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케이블 트레이
KR100982474B1 (ko)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
KR200442126Y1 (ko)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
CA2984652C (en) Power bar hanger for modular lighting system
KR101047854B1 (ko) 건물 마감용 패널 및 패널 프레임의 조립구조
WO2014171978A1 (en) Hanger system for suspendible illuminated fixtures
EP3186549A1 (en) Strip light arrangement for t bar ceiling grid systems
CA2984671C (en) Light bar for a lighting system
KR101029151B1 (ko) 칸막이 패널의 고정 프레임
CA2984672C (en) Low profile hanger for modular lighting system
US7401681B2 (en) Mounting support device for ceiling embedded speaker system
KR101186997B1 (ko) 조명장치를 구비한 목재 데크
KR100826918B1 (ko) 건축물의 전기 배선용 덕트
KR101463981B1 (ko)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
KR20120048318A (ko) 천정재 설치구조
EP2149952B1 (en) Plural electrical mechanism carrier
KR20120030051A (ko) 미부착된 천장 패널과 천장 빔을 가진 천장 상에 물체를 부착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KR101069588B1 (ko) 경량철골 천장시스템 설치 구조
ES2257324T3 (es) Chasis para montar unidades componentes de un armario de conmutacion electrica para ascensores y escaleras mecanicas.
JP5316159B2 (ja) 配線ダクト付天井パネルシステム
KR101917646B1 (ko) 케이블 트레이
WO2016009205A1 (en) Utility suppor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