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6975B1 -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체 - Google Patents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6975B1
KR101286975B1 KR1020120039479A KR20120039479A KR101286975B1 KR 101286975 B1 KR101286975 B1 KR 101286975B1 KR 1020120039479 A KR1020120039479 A KR 1020120039479A KR 20120039479 A KR20120039479 A KR 20120039479A KR 101286975 B1 KR101286975 B1 KR 101286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late
connection
cable tray
side rails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9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창
이선구
Original Assignee
태양트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양트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양트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9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69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6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6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08Joints for connecting non cylindrical conduits, e.g. chann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004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 F16B5/0032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mov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or the interlocking key parallel to the abutting edge
    • F16B5/0044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mov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or the interlocking key parallel to the abutting edge and using interlocking keys of circular, square, rectangular or like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004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 F16B5/0056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mov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or the interlocking key perpendicular to the main plan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H02G3/381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in ceilings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의 제 1,2사이드 레일이 단순 구조의 고정판을 매개로 서로 연결되도록 함과 아울러, 조립작업이 간편하면서 단순 구성으로 견고하게 지지 가능하며, 조립시 제약을 받지 않는 연결구조를 제공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케이블 트레이를 구성하며 단부가 서로 맞대도록 배치되고, 상,하단부에 플랜지가 각각 절곡되게 형성되며, 서로 맞대도록 배치된 단부에 근접된 위치에 각각의 연결구멍을 갖는 복수의 고리부가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게 형성된 제 1,2사이드 레일과; 제 1,2사이드 레일의 상부 플랜지에 안착되는 절곡부가 형성되고, 타단부가 각각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고리부의 연결구멍 내로 각각 끼움 결합되는 고정편들이 복수개 형성된 고정판과; 고정편의 일부를 제 1,2사이드 레일에 록킹 결합시켜 상기 고정편의 상방향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록킹수단으로 대별된다.

Description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체{CONNECTING STRUCTURE OF CABLE TRAY}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케이블 트레이들의 연결 부위를 단순 구조로 개선함과 아울러, 지지력을 보강하면서 조립작업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조립작업시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이나 아파트, 플랜트, 기타 선박 및 해양 구조물 등에는 전원 공급이나 유체 등의 공급을 위해 크고 작은 직경의 케이블이 천정 및 바닥 또는 벽체를 따라 시공되며, 최근에는 반도체, LCD, 태양광 발전 등의 초정밀 제품의 품질 시공을 요구하여 설치되고 있으며, 이렇게 설치되는 케이블은 미관이나 통행자들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기 위해서 케이블 트레이를 사용하여 정리 정돈상태로 지지 고정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816296호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는 케이블 트레이의 양측 레일의 양단에 천공된 복수 개의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테두리와 구멍이 형성된 연결부재와, 상기 레일의 관통공으로 관통된 테두리가 빠지지않도록 고정하는 고정편이 형성된 고정부재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는 2개의 케이블 트레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위가 수직하중을 받게 되면, 연결부위의 하단이 벌어지면서 "V" 형태로 꺾이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연결부재가 하부에서 상부로 거꾸로 끼워졌을 경우, 진동에 의해 고정부재가 빠질 수 있는 위험이 있고, 접지점퍼(ground jumper)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고, 접지점퍼의 양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단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 10-0993138호에 개시되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케이블 트레이(10)의 단부와 제 2케이블 트레이(20)의 단부가 맞대게 배치되고, 제 1케이블 트레이(10)의 사이드 레일(11) 단부에 4개의 천공부(30)의 중앙 수직판부(31) 우측부에 각각 4개의 고리 돌기부(32)가 형성되고, 연결부재(30)의 중앙 수직판부(31) 좌측부에 각각 4개의 고리의 고리 돌기부(34)가 형성되며, 연결부재(30)의 고리 돌기부(32,34)가 제 1 및 제 2케이블 트레이(10)(20)의 천공부(12)(22)에 각각 끼워지고, 고정부재(40)의 고정편(41)이 천공부(12)(22)에서 돌출된 고리 돌기부(32,34)의 고리 구멍(33,35)에 끼워짐으로써, 제 1케이블 트레이(10)와 제 2케이블 트레이(20)가 연결부재(30)와 고정부재(40)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제 1 및 제 2케이블 트레이(10)(20)의 사이드 레일(11)(21)의 천공부(12)(22)의 하부에 2개의 하부 보강구멍(13,14)(23,24)이 각각 형성되고, 연결부재(30)의 중앙 수직판부(31)에 4개의 보강 돌기부(36,37,38,39)가 형성되어, 상기 보강 돌기부(36,37,38,39)가 고리 돌기부(32,34)가 제 1 및 제 2케이블 트레이(10)(20)에 끼워질 때 연결부재(30)의 보강 돌기부(36,37,38,39)가 하부 보강구멍(13,14)(23,24)에 끼워진다.
이러한 기존의 케이블 트레이의 사이드 레일 연결구조는 크게 사이드 레일과 연결부재 및 고정부재가 연결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며, 사이드 레일에 연결부재를 밀착되게 배치하여 연결부재의 고리 돌기부(32,34)가 제 1,2케이블 트레이의 천공부에 삽입되도록 한 후에 천공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고리 돌기부(32,34)의 고리 구멍(33,35)에 고정부재의 고정편을 끼움 결합시키는 조립 작업이 번거롭고 이에 따른 구조가 복잡한 단점을 갖는다.
또한, 연결부재를 사이드 레일의 내측에서 조립해야 함과 아울러, 렁이라 지칭하는 가로대와 간섭되지 않는 부위에서 조립이 이루어져야 하는 공간 제약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케이블 트레이의 사이드 레일들 간의 연결 구조를 개선하여 단순 구조로 구성되어 조립이 간편하면서 접지판과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부가 서로 맞대도록 배치되고, 상,하단부에 플랜지가 각각 절곡되게 형성되며, 상기 단부에 근접된 위치에 연결구멍을 갖는 복수의 고리부가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게 형성된 케이블 트레이의 제 1,2사이드 레일과;
상기 제 1,2사이드 레일의 상부 플랜지에 안착되는 절곡부가 형성되고, 타단부가 상기 절곡부로부터 각각 연장되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고리부의 연결구멍 내로 각각 끼움 결합되는 고정편들이 복수개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일부를 상기 제 1,2사이드 레일에 록킹 결합시켜 상기 고정판의 상방향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록킹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제 1,2사이드레일의 단부와 근접된 위치에 각각 형성된 결합공과,
상기 고정판의 일부가 절개되도록 형성되고, 절개 형성시 하측 테두리 단부가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각 결합공의 상부 테두리와 접촉되는 복수의 록킹편을 갖는 절개부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판의 중앙에 외측으로 돌출되고 내측이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내부에 접지판이 수용되는 수용홈부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판의 수용홈부에 천공되게 형성되고 천공 형성된 테두리가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연결버어를 갖는 연결공과,
상기 접지판에 상기 연결버어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끼움공을 구비한다.
첫째, 제 1,2사이드 레일의 단부들이 단순 구조의 고정판을 매개로 서로 연결되는 구성을 가지므로, 조립구조를 단순화시켜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둘째, 본 발명은 절곡부가 제 1,2사이드 레일의 상부 플랜지에 안착되어 하측 방향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 1,2사이드 레일의 결합공에 고정판의 록킹편이 접촉되어 상측 방향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간단한 구조로 고정판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셋째, 과전류 방지용 접지판이 수용홈부 내에 수용되고, 연결버어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간단한 구조로 제 1,2사이드 레일과 고정판 사이에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넷째, 본 발명은 고정판과 제 1,2사이드 레일의 조립구조가 제 1,2사이드 레일의 외측에서 이루어지게 되므로, 조립 작업성이 향상되고 작업 공간의 제약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다섯째, 고정판에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절개부를 통해 분해도구의 진입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분해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체의 제 1실시 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제 1실시 예의 결합상태도.
도 4a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3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체의 제 2실시 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접지판과 고정판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체의 제 3실시 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결합 전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7의 결합 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의 제 1,2사이드 레일이 고정판을 매개로 서로 연결되도록 함과 아울러, 단순 구조로 구성되어 조립작업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단순구조로 고정판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함과 아울러, 조립시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연결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실시 예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체의 제 1실시 예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그 구성은 케이블 트레이를 구성하며 단부가 서로 맞대도록 배치되고, 상,하단부에 플랜지(105)가 각각 절곡되게 형성되며, 서로 맞대도록 배치된 단부에 근접된 위치에 각각의 연결구멍(112)을 갖는 복수의 고리부(110)가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게 형성된 제 1,2사이드 레일(100A,100B)과; 제 1,2사이드 레일(100A,100B)의 상부 플랜지(105)에 안착되는 절곡부(210)가 형성되고, 타단부가 각각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고리부(110)의 연결구멍(112) 내로 각각 끼움 결합되는 고정편(220)들이 복수개 형성된 고정판(200)과; 고정판(200)의 일부를 제 1,2사이드 레일(100A,100B)에 록킹 결합시켜 상기 고정판(200)의 상방향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록킹수단으로 대별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 1,2사이드 레일(100A,100B)은 서로 맞대도록 배치된 단부와 근접되고 상,하부 플랜지(105)를 연결하는 중간부위에 상,하로 각각 3개의 고리부(110)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상응하도록 고정판(200)은 타단부에 각각 고리부(110)의 연결구멍(112)에 끼움 결합되도록 고정편(220)들이 연장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고리부(110)는 가로대(미도시)와 간섭되지 않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하 연통되는 연결구멍(112)을 형성하도록 스크랩이 발생되지 않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는 달리, 고리부(110)는 제 1,2사이드레일(100A,100B)의 외측에 브라켓 형태로 용접될 수도 있다.
그리고, 고리부(110)는 서로 동일한 폭 간격을 갖도록 수평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하로 형성된 고리부(110)는 동일한 수직선상에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고정편(220)들은 고리부(110)의 이격된 폭 간격과 대응되는 폭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고정편(220)은 그 단부의 길이가 제 1,2사이드 레일(100A,100B)의 하부 플랜지(105)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더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고정편(220)이 고리부(110)에 끼움 결합된 후에 단부가 제 1,2사이드 레일(100A,100B)의 하단부보다 더 돌출될 경우 조립시 다른 부위에 간섭될 수 있기 때문이다.
록킹수단은 제 1,2사이드 레일(100A,100B)의 단부와 근접된 위치에 각각 형성된 결합공(120)과, 고정판(200)의 일부가 절개되도록 형성되고 절개 형성시 하측 테두리 단부가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각 결합공(120)의 상부 테두리와 접촉되는 복수의 록킹편(235)을 갖는 절개부(230)로 구성된다.
결합공(120)은 사각 형태의 구멍으로 천공 형성되며, 제 1,2사이드 레일(100A,100B)의 서로 맞대는 단부에 근접된 위치, 즉 제 1,2사이드 레일(100A,100B)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절개부(230)는 펀칭 가공에 의해 고정판(200)의 절곡부(210)와 고정편(220)의 상부가 구멍 형태로 절개 형성된 것으로, 절개된 구멍의 하측 테두리에 복수의 록킹편(235)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록킹편(235)은 탄성 변형이 가능한 구조로서, 단부가 결합공(120)의 상부 테두리와 접촉되어 고정판(200)의 상측 방향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또한, 절개부(230)는 구멍 형태로 절개 형성되어 있으므로, 분리 작업시 분해도구의 진입이 가능하게 되어 분해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제 1실시 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체는, 제 1,2사이드 레일(100A,100B)의 단부를 서로 맞대도록 한 후에, 고정판(200)의 고정편(220)들을 각각의 연결구멍(112)에 끼움 결합시키면, 각각의 고정편(220)들이 고리부(110)에 각각 끼워지면서 제 1,2사이드 레일(100A,100B)을 연결시키게 된다.
이때, 고정판(200)의 고정편(220)들과 고리부(110)들간의 결합과정은 도 2에서와 같이, 고정판(200)을 제 1,2사이드 레일(100A,100B)의 상부에서 하측으로 하강시키면, 각각의 고정편(220)들이 고리부(110)들의 연결구멍(112)에 각각 끼움 결합되어 조립된다.
각각의 고리부(110)에 결합된 고정편(220)들로 인해 제 1,2사이드 레일(100A,100B)은 수평방향 움직임이 구속된다.
한편, 고정판(200)의 절곡부(210)는 제 1,2사이드 레일(100A,100B)의 상부 플랜지(105)에 안착되어 밀착됨에 따라 제 1,2사이드 레일(100A,100B)간의 연결력을 보조함과 아울러, 고정판(200)의 하측 방향 이탈을 방지하며 고정편(220)에 전달되는 수직 하중을 분산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본 발명 제 1실시 예의 조립과정은 고정판(200)을 수직 하강시킴에 따라 제 1,2사이드 레일(100A,100B)의 고리부(110)에 각각 끼움 결합방식으로 결합되는 단순 조립과정을 갖는다.
또한, 록킹편(235)들이 제 1,2사이드레일의 결합공(120)에 록킹 결합됨에 따라, 록킹편(235)들의 단부가 결합공(120)의 상부 테두리에 접촉되어 고정판(200)의 상측 방향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즉, 고정판(200)의 하측 방향 이탈은 절곡부(210)와 상부 플랜지(105)와의 간섭에 의해 제한되고, 고정판(200)의 상측 방향 이탈은 록킹편(235)과 결합공(120)의 간섭에 의해 제한되므로, 고정판(200)과 제 1,2사이드 레일(100A,100B)의 결합력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제 1실시 예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기재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2실시 예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그 구성은 앞서 설명한 선 실시 예의 구성요소를 가지되, 고정판(200)의 중앙에 외측으로 돌출되고 내측이 함몰되는 요홈 형태로 형성된 수용홈부(240)와, 수용홈부(240) 내에 수용되어 과전류를 방지하는 접지판(300)이 구비된 것이다.
접지판(300)은 일 예로 구리(Cu) 소재로 구성되며,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접지판(300)은 수용홈부(240)내에 수용된 상태로 고정판(200)과 제 1,2사이드 레일(100A,100B) 사이에 개재되도록 배치되어 제 1,2사이드 레일(100A,100B)에 순간적인 과전류가 흐르게 될 경우 전류를 집전하여 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하는 기능을 갖는다.
제 3실시 예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그 구성은 제 2실시 예의 접지판(300)을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로서, 그 구성은 앞의 제 2실시 예의 구성요소(절개부(230), 결합공(120)등)를 가지며, 고정판(200)의 수용홈부(240)에 천공되게 형성되고 천공 형성된 테두리가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연결버어(242a)를 갖는 연결공(242)과, 상기 접지판(300)에 상기 연결버어(242a)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끼움공(305)을 구비한 것이다.
연결버어(242a)는 프레스 가공인 버링(burring) 가공에 의해 단부가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끼움공(305)의 내부에 끼움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의 제 3실시 예는, 고정판(200)의 고정편(220)들이 각 고리부(110)의 연결구멍(112) 내에 삽입되어 끼움 결합되는 조립구조는 동일하며, 연결버어(242a)가 접지판(300)의 끼움공(305)에 삽입되도록 결합되어 접지판(300)의 고정을 지지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외에도, 접지판(300)의 고정구조로는 리벳이 연결공(242) 내부를 관통하여 접지판(300)과 결합되는 리벳팅 결합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한 실시 예들에 의해 기존의 복잡한 구조를 갖는 연결부재(30: 도 10참조)를 생략할 수 있는 단순 구성으로 구성되어 조립작업이 간편하여 조립성이 향상되고, 접지판(300)을 간편하고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 작업시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이점을 갖는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A,100B : 제 1,2사이드 레일 105 : 상,하부 플랜지
110 : 고리부 112 : 연결구멍
120 : 결합공 200 : 고정판
210 : 절곡부 220 : 고정편
230 : 절개부 235 : 록킹편
240 : 수용홈부 242 : 연결공
242a : 연결버어 300 : 접지판
305 : 끼움공

Claims (4)

  1. 단부가 서로 맞대도록 배치되고, 상,하단부에 플랜지(105)가 각각 절곡되게 형성되며, 상기 단부에 근접된 위치에 연결구멍(112)을 갖는 복수의 고리부(110)가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게 형성된 케이블 트레이의 제 1,2사이드 레일(100A,100B)과;
    상기 제 1,2사이드 레일(100A,100B)의 상부 플랜지(105)에 안착되는 절곡부(210)가 형성되고, 타단부가 상기 절곡부(210)로부터 각각 연장되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고리부(110)의 연결구멍(112) 내로 각각 끼움 결합되는 고정편(220)들이 복수개 형성된 고정판(200)과;
    상기 고정판(200)의 일부를 상기 제 1,2사이드 레일(100A,100B)에 록킹 결합시켜 상기 고정판(200)의 상방향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록킹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제 1,2사이드 레일(100A,100B)의 단부와 근접된 위치에 각각 형성된 결합공(120)과,
    상기 고정판(200)의 일부가 절개되도록 형성되고, 절개 형성시 하측 테두리 단부가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각 결합공(120)의 상부 테두리와 접촉되는 복수의 록킹편(235)을 갖는 절개부(23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체.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200)의 중앙에 외측으로 돌출되고 내측이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내부에 접지판(300)이 수용되는 수용홈부(2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200)의 수용홈부(240)에 천공되게 형성되고 천공 형성된 테두리가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연결버어(242a)를 갖는 연결공(242)과,
    상기 접지판(300)에 상기 연결버어(242a)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끼움공(305)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체.
KR1020120039479A 2012-04-17 2012-04-17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체 KR101286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479A KR101286975B1 (ko) 2012-04-17 2012-04-17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479A KR101286975B1 (ko) 2012-04-17 2012-04-17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6975B1 true KR101286975B1 (ko) 2013-07-16

Family

ID=48997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9479A KR101286975B1 (ko) 2012-04-17 2012-04-17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69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6378B1 (ko) * 2016-11-04 2017-08-23 탁길수 플레이트 바 연결장치를 이용한 케이블 트레이
WO2018070610A1 (ko) * 2016-10-13 2018-04-19 이영현 작업발판의 토보드 결합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3138B1 (ko) * 2010-05-26 2010-11-09 육홍수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
KR101128007B1 (ko) * 2010-11-02 2012-03-29 아인텍(주) 신축 연결부 일체형 케이블 트레이
KR101140026B1 (ko) 2012-01-26 2012-05-02 태양트레이 주식회사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3138B1 (ko) * 2010-05-26 2010-11-09 육홍수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
KR101128007B1 (ko) * 2010-11-02 2012-03-29 아인텍(주) 신축 연결부 일체형 케이블 트레이
KR101140026B1 (ko) 2012-01-26 2012-05-02 태양트레이 주식회사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0610A1 (ko) * 2016-10-13 2018-04-19 이영현 작업발판의 토보드 결합구조
KR101766378B1 (ko) * 2016-11-04 2017-08-23 탁길수 플레이트 바 연결장치를 이용한 케이블 트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0026B1 (ko)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체
KR100993138B1 (ko)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
EP3052711B1 (en) False ceiling suspension system, profile and method
KR101869286B1 (ko) 케이블트레이
KR101422617B1 (ko) 조립구조가 개선된 케이블 트레이
US20070034584A1 (en) Assembling type sectional shelf structure
KR100816296B1 (ko)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
KR101286664B1 (ko)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체
CA2620871A1 (en) Cable trough system
JP3176451U (ja) ケーブル管理アームの連接デバイス
KR101870518B1 (ko) 케이블트레이
KR101286975B1 (ko)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체
WO2009005233A2 (en) Cable duct
KR200486927Y1 (ko) 그레이팅 결합 고정구
KR101244055B1 (ko)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
KR100974227B1 (ko) 바닥 밀폐형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
US10851937B2 (en) Mounting bracket with support structure
JP5707298B2 (ja) 接合具
EP2434189B1 (en) Rapid joint coupling bracket assembly for supporting cable-carrying systems
JP5285498B2 (ja) 梁の接合構造
KR200490126Y1 (ko)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체
KR101850067B1 (ko) 조립식 트레이용 측판
JP6940440B2 (ja) 管状体固定具及びその構造
KR20170088529A (ko) 조립식 선반
KR101726493B1 (ko) 케이블 트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