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0518B1 - 케이블트레이 - Google Patents

케이블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0518B1
KR101870518B1 KR1020160098715A KR20160098715A KR101870518B1 KR 101870518 B1 KR101870518 B1 KR 101870518B1 KR 1020160098715 A KR1020160098715 A KR 1020160098715A KR 20160098715 A KR20160098715 A KR 20160098715A KR 101870518 B1 KR101870518 B1 KR 101870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able tray
connection
plate
ru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8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5776A (ko
Inventor
김영산
김승호
Original Assignee
김영산
김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산, 김승호 filed Critical 김영산
Priority to KR1020160098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0518B1/ko
Publication of KR20180015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5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08Joints for connecting non cylindrical conduits, e.g. chann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공사에서 전선을 지지시키는 케이블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전단 가공을 통해 형성된 제1연결판 및 제2연결판이 구비된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케이블트레이의 부재 수를 최소화하고 조립 및 설치시 작업 효율성과 부재 제작시 제작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케이블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케이블트레이{CABLE TRAY}
본 발명은 건설공사에서 전선을 지지시키는 케이블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전단 가공을 통해 형성된 제1연결판 및 제2연결판이 구비된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케이블트레이의 부재 수를 최소화하고 조립 및 설치시 작업 효율성과 부재 제작시 제작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케이블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트레이는 대부분 건물 골조의 천장에 매달리는 형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케이블트레이를 설치하거나 조립하기 위해서는 고소에서 작업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작업자는 불편하고 위험한 환경에서 작업해야하는데, 이는 작업효율을 떨어트리고 작업자를 안전사고에 노출시킨다.
도 1은 종래의 사이드레일 간의 조립 및 접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사이드레일(10)을 맞대서 연결시킬 때, 보조판을 덧대고 사이드레일과 보조판을 볼트로 결합시켜 사이드레일(10)을 연결한다. 그리고 접지를 위해 별도의 접지선(11)을 볼트(12)로 사이드레일(10)에 연결시켜 왔다. 따라서, 사이드레일의 연결에는 다수의 부재가 필요할 뿐 아니라, 사이드레일(10) 연결작업 이후에도 접지를 위해서도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해서, 케이블트레이 설치의 전체적인 공정의 효율성을 저해한다.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다수의 제안들이 있었고, 본인 또한 케이블트레이의 사이드레일 간 접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특허등록 제10-1182635호의 '케이블트레이의 사이드레일 접속장치'를 제안한 바가 있다.
종래의 용접 방식이나 볼트 및 너트 결합 방식에 비해 부재 간 결합 방식은 개선되지만, 사이드레일의 상부 등의 일측에 설치를 위한 여유공간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케이블트레이는 협소한 공간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아서, 설치를 위한 여유공간이 별도로 필요하다는 것은 케이블트레이의 설치에 있어서 큰 제약이 된다. 또한, 해당 접속장치가 아닌 케이블트레이의 다른 부분에서는 여전히 종래의 용접 방식이나 볼트 및 너트 결합 방식을 적용해야 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그리고 기존의 제안들은 케이블트레이의 조립 효율성만 개선시키고, 각 부재의 제작 효율성을 고려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트레이의 부재의 수를 최소화하고 부재의 조립을 더욱 간편하게 하여, 케이블트레이 조립 및 설치시 작업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안전사고도 미연에 예방하는 케이블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케이블트레이의 부재를 제작함에 있어, 부재의 수를 최소화하고 원자재인 금속판에 최소의 가공만을 하여 제작 효율성을 증대시켜, 저비용 고효율의 케이블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트레이는, 양단 측면의 상부에 천공되어 형성된 제1a연결공;과, 양단 측면의 하부에 천공되어 형성된 제2a연결공;과, 제1a연결공 및 제2a연결공 사이의 중앙에 천공되어 형성되는 제1접지공;이 구비되는 사이드레일;과, 양단 측면의 상부를 전단 가공하되, 일측은 전단되지 않아 측면과 연결되고 타측의 전단된 면은 측면과 평행을 유지하여 한쪽으로 밀려 형성되어, 제1a연결공에 삽입이 가능한 제1연결판;과, 양단 측면의 하부를 전단 가공하되, 일측은 전단되지 않아 측면과 연결되고 타측의 전단된 면은 측면과 평행을 유지하여 한쪽으로 밀려 형성되어, 제2a연결공에 삽입이 가능한 제2연결판;과, 제1연결판 및 제2연결판 사이의 중앙에 천공되되, 제1접지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접지공;이 구비되는 연결부재;와, 제1접지공 및 제2접지공에 통과되는 접지볼트;와, 접지볼트에 연결되는 전기를 통하게 하는 접지전선;을, 포함하여, 사이드레일들 사이를 접지시키고 사이드레일과 연결부재를 결합시키는 접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연결부재는, 금속판재를 ㄱ자로 절곡시켜 형성되어, 사이드레일의 상면에 대응하여 밀착가능한 연결상면;과, 사이드레일의 외측면에 대응하여 밀착가능하며, 제1연결판과 제2연결판과 제2접지공이 구비되는 연결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제1연결판 및 제2연결판은, 연결측면을 전단 가공을 하여 성형시킬 때, 전단되지 않는 일측부가 제1연결판 및 제2연결판의 상부에 형성되고, 연결상면이 위치하지 않는 연결측면의 외측으로부터, 연결상면이 위치하는 연결측면의 내측으로, 밀어내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제1연결판 및 제2연결판은, 제1a연결공에 제1연결판이 삽입되고, 제2a연결공에 제2연결판이 삽입되어, 연결측면이 사이드레일의 외측면과 밀착된 후, 연결상면이 하측으로 이동하여 사이드레일의 상면과 밀착하게 되면, 제1연결판과 연결측면이 연결된 절곡부가 제1a연결공의 하측과 밀착하게 되고, 제2연결판과 연결측면이 연결된 절곡부가 제2a연결공의 하측과 밀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트레이는, 사이드레일들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결합시키는 렁을 포함하며, 렁에는, 상단면을 형성하는 금속판의 일부가 단부로 돌출된 후 절곡되어 형성되는 렁결합핀;과, 렁 하단면 단부에 천공된 제1리벳공;이 구비되며, 사이드레일에는, 내측면 하단부에 프레싱 가공을 통해 형성되어서 렁결합핀이 삽입되게 되는 렁결합슬롯;과, 사이드레일들 하단면에 천공되어서 제1리벳공과 함께 리벳이 삽입되어 렁과 사이드레일을 결합시키는 제2리벳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렁의 제1리벳공은, 렁 하단면 양단부의 양쪽 모서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트레이는, 사이드레일들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결합시키는 렁을 포함하며, 상기 렁은, 렁의 양단 측부의 일부가 절개된 후 절곡되어 상기 사이드레일과 평행하게 위치하게 되는 렁결합부;를 포함하되, 렁결합부에는 사이드레일에 연결되는 제1리벳공;이 구비되고, 사이드레일에는, 측면에 천공되어서 제1리벳공과 함께 리벳이 삽입되어 렁과 사이드레일을 결합시키는 제2리벳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트레이는, 케이블트레이의 부재의 수를 최소화하고 부재의 조립을 더욱 간편하게 하여, 케이블트레이 조립 및 설치시 작업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안전사고도 미연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트레이는, 케이블트레이의 부재를 제작함에 있어, 부재의 수를 최소화하고 원자재인 금속판에 최소의 가공만을 하여 제작 효율성을 증대시켜, 저비용 고효율로 케이블트레이의 부재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사이드레일 간의 조립 및 접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연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사이드레일 연결 및 사이드레일 간의 접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사이드레일 연결 및 사이드레일 간의 접지를 나타낸 조립 사시도이다.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사이드레일 및 연결부재의 결합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렁 및 사이드레일의 결합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렁 및 사이드레일의 결합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트레이는, 사이드레일(10);과 연결부재(20);와 접지부재(30);와 렁(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이드레일(10)은 케이블트레이를 구성하는 기본적 부재로 아연 도금판을 ㄷ자로 절곡시켜 제작하게 된다. 연결부재(20)는 사이드레일(10)이 장방향으로 연결되게 하는 부재이다. 접지부재(30)는 사이드레일(10) 간의 접지를 위한 부재로, 더불어 연결부재(20)가 사이드레일(10)을 연결시키는 것을 보조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렁(40)은 사이드레일(10)들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한 방향으로 결합되게 하는 부재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연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연결부재(20)는, 금속판재를 ㄱ자로 절곡시켜 형성되어, ㄷ자 형상의 사이드레일상면(13)에 대응하여 밀착가능한 연결상면(21);과, 사이드레일측면(14)에 대응하여 밀착가능한 연결측면(22);을 포함한다.
또한, 연결측면(22)에는, 연결측면(22)의 양단의 상부를 전단 가공하되, 일측은 전단되지 않아 연결측면(22)과 연결되고 타측의 전단된 면은 연결측면(22)과 평행을 유지하여 한쪽으로 밀려 형성되는 제1연결판(23b);과, 연결측면(22)의 양단의 하부를 전단 가공하되, 일측은 전단되지 않아 연결측면(22)과 연결되고 타측의 전단된 면은 연결측면(22)과 평행을 유지하여 한쪽으로 밀려 형성되는 제2연결판(24b);과, 제1연결판(23b) 및 제2연결판(24b) 사이의 중앙에 천공되는 제2접지공(25);이 구비된다.
또한, 제1연결판(23b) 및 제2연결판(24b)은, 연결측면(22)을 전단 가공을 하여 성형시킬 때, 전단되지 않는 일측부가 제1연결판(23b) 및 제2연결판(24b)의 상부에 형성되고, 연결상면(21)이 위치하지 않는 연결측면(22)의 외측으로부터, 연결상면(21)이 위치하는 연결측면(22)의 내측으로, 밀어내어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연결부재(20)는, 연결측면(22)의 외측에는 제1연결판(23b) 및 제2연결판(24b)이 밀려가면서 형성되는 제1b연결공(23a) 및 제2b연결공(24a)이 형성되고, 연결측면(22)의 내측에는 제1연결판(23b) 및 제2연결판(24b)이 형성되게 된다.
제1연결판(23b) 및 제2연결판(24b)을 형성시키는 제1b연결공(23a) 및 제2b연결공(24a)은,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U자형으로 전단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가 전단되지 않고 연결측면(22)에 연결되고, 상부의 폭보다 하부의 폭이 넓지 않는 형태라면 다른 형상으로도 전단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하나의 직사각형의 금속판재만으로 상기 연결부재(20)를 형성시키기 위해서이다. 직사각형의 금속판재를 [( ㄱ자형의 ) 절곡 - (제1b 연결공 및 제2b 연결공의 ) 전단 및 ( 제1접지공의 ) 천공 - ( 제1연결판 제2연결판의 ) 프레스]의 공정을 통해 가공하면, 다른 재료를 부가하지 않고 연결부재(20)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사이드레일 연결 및 사이드레일 간의 접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사이드레일 연결 및 사이드레일 간의 접지를 나타낸 조립 사시도이고,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사이드레일 및 연결부재의 결합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b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사이드레일(10)은, 금속판재를 ㄷ자로 절곡시켜 제작되고, 양단 측면의 상부에 천공되어 형성된 제1a연결공(15);과, 양단 측면의 하부에 천공되어 형성된 제2a연결공(16);과, 제1a연결공(15) 및 제2a연결공(16) 사이의 중앙에 천공되어 형성되는 제1접지공(17);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접지부재(30)는, 제1접지공(17) 및 제2접지공(25)에 통과되는 접지볼트(33);와, 접지볼트(33)에 연결되는 전기를 통하게 하는 접지전선(31);과, 접지볼트(33)에 접지전선(31)을 고정시키는 접지너트(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제1연결판(23b) 및 제2연결판(24b)은, 제1a연결공(15)에 제1연결판(23b)이 삽입되고, 제2a연결공(16)에 제2연결판(24b)이 삽입되어, 연결측면(22)이 사이드레일측면(14)과 밀착된 후, 연결상면(21)이 하측으로 이동하여 사이드레일상면(13)과 밀착하게 되면, 제1연결판(23b)과 연결측면(22)이 연결된 절곡부가 제1a연결공(15)의 하측과 밀착하게 되고, 제2연결판(24b)과 연결측면(22)이 연결된 절곡부가 제2a연결공(16)의 하측과 밀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a연결공(15)은 제1연결판(23b)에 대응되어 형성되고, 제2a연결공(16)은 제2연결판(24b)에 대응되어 형성된다.
즉, 제1a연결공(15)은 제1연결판(23b)이 삽입가능한 크기와 형상으로 천공되나, 삽입 시 소정의 마찰력이 발생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되도록 동일한 크기와 형상으로 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a연결공(16)은 제2연결판(24b)이 삽입가능한 크기와 형상으로 천공되나, 삽입 시 소정의 마찰력이 발생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되도록 동일한 크기와 형상으로 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천공되는 위치에 있어서는, 제1a연결공(15)에 제1연결판(23b)이 삽입될 때, 동시에 제2a연결공(16)에 제2연결판(24b)이 삽입되는 위치에 천공되어야 한다. 또한, 제1연결판(23b)과 연결측면(22)이 연결된 절곡부가 제1a연결공(15)의 하측과 밀착하게 되고 제2연결판(24b)과 연결측면(22)이 연결된 절곡부가 제2a연결공(16)의 하측과 밀착하게 되게 하기 위해서, 사이드레일(10)에 연결부재(20)가 삽입 및 결합된 상태에서 제1a연결공(15) 및 제2a연결공(16)은 제1연결판(23b) 및 제2연결판(24b)보다 제1a연결공(15) 및 제2a연결공(16)의 높이만큼 상부측에 위치해야 한다.
이것은, 제1a연결공(15)에 제1연결판(23b)에 삽입시키고, 제2a연결공(16)에 제2연결판(24b)에 삽입시킨 후, 하측으로 끼움결합을 시켜 사이드레일(10)과 연결부재(20)를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사이드레일상면(13)과 연결상면(21)이 밀착하게 되어 상기의 끼움결합이 완료될 시, 제1a연결공(15) 및 제2a연결공(16)과 제1연결판(23b) 및 제2연결판(24b)은 케이블트레이의 내측에서 서로 밀착하게 되어, 사이드레일(10)의 외형이 유려해진다. 그리고, 사이드레일(10)을 연결시키는데 있어, 하나의 연결부재(20)만을 사용할 뿐, 볼트 내지 너트 등의 여타 부재가 필요하지 않다. 그리고, 끼움결합방식이므로 종래의 용접 내지 볼트결합 등의 연결방식에 비해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사이드레일(10)의 연결공(15,16)과 연결판(23b,25b)을 상측 및 하측에 분리시켜 형성시키는 것은 끼움결합에 필요한 여유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서이다. 끼움결합을 위해서는 사이드레일(10)의 상부측에 연결상면(21)이 움직일 수 있는 여유공간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트레이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유공간이 높이 'D' 만큼만 필요하게 된다. 높이 'D'는 사이드레일(10)의 연결공(15,16)과 연결판(23b,25b)의 높이에 대응하는데, 연결공(15,16)과 연결판(23b,25b)을 상하로 분리하여 배치시킴으로써, 연결공(15,16)과 연결판(23b,25b)의 높이를 줄일 수 있고, 따라서 높이 'D'도 줄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사이드레일(10)의 연결공(15,16)과 연결판(23b,25b)은, 수평방향으로 병렬하여 2개 이상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사이드레일(10)과 연결부재(20)의 결속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사이드레일(10)의 연결공(15,16)과 연결판(23b,25b)의 갯수가 증가함에 따라, 사이드레일(10)과 연결부재(20) 간의 마찰력이 증가하고, 사이드레일(10)과 연결부재(20)의 결속력이 증가하는 것은 물론인 사실이다. 또한, 사이드레일(10)의 연결공(15,16)과 연결판(23b,25b)이 수평방향으로 병렬하여 2개 이상 설치되게 되면, 사이드레일(10)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모멘트(휨)에 대한 저항력도 증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에 있어, 제1접지공(17)은 제2접지공(25)에 대응되어 형성된다. 사이드레일(10)과 연결부재(20)의 끼움결합이 완료되게 되면, 제1접지공(17)과 제2접지공(25)은 일치하게 되어 제1접지공(17) 및 제2접지공(25)에 접지볼트(33)가 통과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접지볼트(33)를 제1접지공(17) 및 제2접지공(25)에 통과시키고, 접지전선(31)을 접지볼트(33)에 연결시킨 후, 접지너트(32)를 조이면 사이드레일(10) 간의 접지가 완료되는데, 이것은 접지뿐 아니라 사이드레일(10)의 상방으로 연결부재(20)가 이동하여 끼움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제1접지공(17) 및 제2접지공(25)에 접지볼트(33)가 통과되어 연결부재(20)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제한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접지볼트(33)가 연결부재(20)를 통과하여 사이드레일(10)을 접지하는 구성을 통해, 접지부재(30)는 사이드레일(10) 간의 접지뿐 아니라, 사이드레일(10)과 연결부재(20)의 결합을 보조하는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사이드레일(10) 연결작업과 사이드레일(10) 접지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하여, 케이블트레이 설치작업이 더욱 간소화되게 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렁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렁 및 사이드레일의 결합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트레이는, 사이드레일(10)들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결합시키는 렁(40)에는, 렁(40)의 단부에 렁(40)의 상단면을 형성하는 금속판의 일부가 돌출 후 절곡되어 형성되는 렁결합핀(41);과 렁(40) 단부 하단면에 천공된 제1리벳공(42);이 구비된다.
그리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레일(10)들에는 내측 하단부에 렁결합슬롯(43);과 사이드레일(10) 하단면에 천공된 제2리벳공(44);이 구비되어, 렁결합슬롯(43)에 렁결합핀(41)이 삽입 결합된 후, 제1리벳공(42)과 제2리벳공(44)에 리벳건을 이용해 리벳(45)을 삽입 결합시키게 되면, 용접 방식이나 볼트 및 너트 결합 방식 없이 사이드레일(10)들을 평행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이 방식은 용접 방식이나 볼트 및 너트 결합 방식과 같은 결속력을 보장하지만 용접 방식이나 볼트 및 너트 결합 방식에 비해 사용되는 기자재 및 부재 수는 현저히 줄게 된다.
또한, 하단에서 상단이라는 일방향으로 리벳(45)을 삽입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인해, 연속해서 작업이 가능해지고 단시간에 더 많은 작업이 가능해지며, 작업 집중도가 높아져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리벳공(42)과 제2리벳공(44)은 일 회의 펀칭 가공을 통해서, 렁결합슬롯(43)은 일 회의 프레싱 가공을 통해서, 렁결합핀(41)은 렁(40)을 형성하는 금속판의 일부를 절곡시켜서, 형성이 가능하기 때문에 부재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를 제작하는데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렁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렁 및 사이드레일의 결합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트레이는, 사이드레일(10)들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결합시키는 렁(40)은, 렁(40)의 양단 측부의 일부가 절개된 후 절곡되어 사이드레일(10)과 평행하게 위치하게 되는 렁결합부(4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렁결합부(46)에는 사이드레일(10)과 연결되는 제1리벳공(42)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레일(10)에는, 측면에 천공되어서 제1리벳공(42)과 함께 리벳이 삽입되어 렁(40)과 사이드레일(10)을 결합시키는 제2리벳공(44);이, 구비되어, 제1리벳공(42)과 제2리벳공(44)에 리벳건을 이용해 리벳(45)을 삽입 결합시키게 되면, 용접 방식이나 볼트 및 너트 결합 방식 없이 사이드레일(10)들을 평행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이 방식은 용접 방식이나 볼트 및 너트 결합 방식과 같은 결속력을 보장하지만 용접 방식이나 볼트 및 너트 결합 방식에 비해 사용되는 기자재 및 부재 수는 현저히 줄게 된다. 또한, 이 결합방식은 종래의 결합방식과 작업방법에 있어서는 변화가 없어서, 작업자의 혼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나, 작업 난이도는 현저하게 낮아져서 더욱 용이하게 작업을 진행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렁을 가공하는 작업도 종래에 비해 간편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트레이는, 전단 가공을 통해 형성된 제1연결판 및 제2연결판이 구비된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케이블트레이의 부재 수를 최소화하고 조립 및 설치시 작업 효율성과 부재 제작시 제작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사이드레일
11...접지선
12...볼트
13...사이드레일상면
14...사이드레일측면
15...제1a연결공
16...제2a연결공
17...제1접지공
20...연결부재
21...연결상면
22...연결측면
23a...제1b연결공
23b...제1연결판
24a...제2b연결공
25b...제2연결판
25...제2접지공
30...접지부재
31...접지전선
32...접지너트
33...접지볼트
40...렁
41...렁결합핀
42...제1리벳공
43...렁결합슬롯
44...제2리벳공
45...리벳
46...렁결합부

Claims (7)

  1. 금속판재를 ㄷ자로 절곡시켜 제작되는 사이드레일이 구비되는 케이블트레이에 있어서,
    양단 측면의 상부에 천공되어 형성된 제1a연결공;과, 양단 측면의 하부에 천공되어 형성된 제2a연결공;과, 상기 제1a연결공 및 상기 제2a연결공 사이의 중앙에 천공되어 형성되는 제1접지공;이 구비되는 상기 사이드레일;과,
    금속판재를 ㄱ자로 절곡시켜 형성되어, 상기 사이드레일의 상면에 대응하여 밀착가능한 연결상면;과, 상기 사이드레일의 외측면에 대응하여 밀착가능한 연결측면;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측면 상에, 상기 연결측면의 상부를 전단 가공하는데 있어 상부측은 전단되지 않아 상기 연결측면과 연결되고 전단된 면은 상기 연결측면과 평행을 유지하며 상기 연결상면이 위치하지 않는 상기 연결측면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연결상면이 위치하는 상기 연결측면의 내측으로 밀려 형성되어 상기 제1a연결공에 삽입이 가능한 제1연결판;과, 상기 연결측면의 하부를 전단 가공하는데 있어 상부측은 전단되지 않아 상기 연결측면과 연결되고 전단된 면은 상기 연결측면과 평행을 유지하며 상기 연결상면이 위치하지 않는 상기 연결측면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연결상면이 위치하는 상기 연결측면의 내측으로 밀려 형성되어 상기 제2a연결공에 삽입이 가능한 제2연결판;과, 상기 제1연결판 및 상기 제2연결판 사이의 중앙에 천공되고 상기 제1접지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접지공;이 구비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제1접지공 및 상기 제2접지공에 통과되는 접지볼트;와, 상기 접지볼트에 연결되는 전기를 통하게 하는 접지전선;을, 포함하여, 상기 사이드레일들 사이를 접지시키고 상기 사이드레일과 상기 연결부재를 결합시키는 접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트레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판 및 상기 제2연결판은,
    상기 제1a연결공에 상기 제1연결판이 삽입되고, 상기 제2a연결공에 상기 제2연결판이 삽입되어, 상기 연결측면이 상기 사이드레일의 외측면과 밀착된 후,
    상기 연결상면이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사이드레일의 상면과 밀착하게 되면, 상기 제1연결판과 상기 연결측면이 연결된 절곡부가 상기 제1a연결공의 하측과 밀착하게 되고, 상기 제2연결판과 상기 연결측면이 연결된 절곡부가 상기 제2a연결공의 하측과 밀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트레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트레이는 상기 사이드레일들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결합시키는 렁을 더 포함하되,
    상기 렁에는, 상단면을 형성하는 금속판의 일부가 단부로 돌출된 후 절곡되어 형성되는 렁결합핀;과, 상기 렁 하단면 단부에 천공된 제1리벳공;이 구비되며,
    상기 사이드레일에는, 내측면 하단부에 프레싱 가공을 통해 형성되어서 상기 렁결합핀이 삽입되게 되는 렁결합슬롯;과, 상기 사이드레일들 하단면에 천공되어 형성되뇌, 상기 제1리벳공과 함께 리벳이 삽입되어 상기 렁과 상기 사이드레일을 결합시키는 제2리벳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트레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벳공은,
    상기 렁 하단면의 양단부의 양쪽 모서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트레이.
  7. 삭제
KR1020160098715A 2016-08-03 2016-08-03 케이블트레이 KR101870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715A KR101870518B1 (ko) 2016-08-03 2016-08-03 케이블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715A KR101870518B1 (ko) 2016-08-03 2016-08-03 케이블트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5776A KR20180015776A (ko) 2018-02-14
KR101870518B1 true KR101870518B1 (ko) 2018-06-25

Family

ID=61229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8715A KR101870518B1 (ko) 2016-08-03 2016-08-03 케이블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05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65342A (zh) * 2019-04-29 2019-08-23 武汉虹信通信技术有限责任公司 用于移相器的连接装置
KR20220168352A (ko) 2021-06-16 2022-12-23 주식회사 픽센 통신 배선 공사용 케이블 트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319B1 (ko) 2018-12-10 2020-06-04 주식회사 만도 조향 제어 시스템, 조향 제어 장치 및 조향 제어 방법
KR102240297B1 (ko) * 2020-04-24 2021-04-14 (주)건축사사무소테크뱅크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WO2022077057A1 (en) * 2020-10-12 2022-04-21 Idc Solutions Pty Ltd A cable support assembly
KR102303740B1 (ko) * 2021-04-14 2021-09-16 이주섭 케이블 트레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269B1 (ko) * 2013-08-20 2014-01-07 주식회사 태화이엔지 원터치 방식의 케이블 트레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269B1 (ko) * 2013-08-20 2014-01-07 주식회사 태화이엔지 원터치 방식의 케이블 트레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65342A (zh) * 2019-04-29 2019-08-23 武汉虹信通信技术有限责任公司 用于移相器的连接装置
CN110165342B (zh) * 2019-04-29 2021-08-10 中信科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用于移相器的连接装置
KR20220168352A (ko) 2021-06-16 2022-12-23 주식회사 픽센 통신 배선 공사용 케이블 트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5776A (ko) 2018-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0518B1 (ko) 케이블트레이
RU2233954C2 (ru) Соединение главных балок подвесного потолка
JP6223571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室、及びその組立方法
KR101422617B1 (ko) 조립구조가 개선된 케이블 트레이
JP6377420B2 (ja) フェンス及び安全柵
KR101954359B1 (ko) 케이블 트레이
KR101393061B1 (ko) 레이스 웨이용 조이너
KR101469798B1 (ko) 강판 조립 합성보
US3901611A (en) Connector
KR101803723B1 (ko) 케이블 트레이
KR101767118B1 (ko) 케이블 트레이용 가로대
JP4795224B2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の位置合わせ治具及びこれを用いた組み立て方法
KR101480480B1 (ko) 밀폐형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CN110528917A (zh) 手术室八角型模块化装配式结构
JP2011061980A (ja) 閉鎖配電盤のパネルフレーム構造
KR101587590B1 (ko) 케이블 트레이
CN107881918A (zh) 一种用于钢桥梁面板与u型肋装配的施工方法
KR101726493B1 (ko) 케이블 트레이
JP4308029B2 (ja) 床板材連結金具、床板材連結方法及びその床構造体
KR101286975B1 (ko)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체
JP2677517B2 (ja) 組立家屋の結合構造
KR20170125199A (ko) 케이블 트레이의 사이드레일과 렁의 결합 구조 및 결합구조를 이용한 체결방법
CN218177436U (zh) 连接结构、连接组件、柱塞泵装置及发电机装置
JP4202242B2 (ja) 木造建築部材の連結金具
CN209960203U (zh) 一种多通向冲孔c型钢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