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3740B1 - 케이블 트레이 - Google Patents

케이블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3740B1
KR102303740B1 KR1020210048396A KR20210048396A KR102303740B1 KR 102303740 B1 KR102303740 B1 KR 102303740B1 KR 1020210048396 A KR1020210048396 A KR 1020210048396A KR 20210048396 A KR20210048396 A KR 20210048396A KR 102303740 B1 KR102303740 B1 KR 102303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pocket
tool
protrusion
cable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8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섭
Original Assignee
이주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섭 filed Critical 이주섭
Priority to KR1020210048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37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08Joints for connecting non cylindrical conduits, e.g.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실시예의 케이블 트레이는, 복수 개의 사이드 레일과, 단부가 상호 접하게 되는 사이드 레일들을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사이드 레일들 상부면으로 결합되는 체결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 수단은 상기 사이드 레일의 상부면과 측면 일부를 덮을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체결 바디와, 상기 체결 바디 내측면 일부가 소정 깊이 함몰형성됨으로써 상기 체결 바디 상부면에 소정 두께 돌출형성되는 포켓과, 상기 체결 바디 일부가 절개됨으로써 형성된 복수 개의 절개부와, 상기 각각의 절개부로 소정 길이 돌출형성되는 돌출편을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레일은 상기 절개부로 삽입가능한 크기의 복수의 체결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커넥터는 상기 돌출편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를 결합하는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케이블 트레이들의 연결을 보다 견고히 하면서, 그 결합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결합 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이나 플랜트 등의 건물이나 선박 등 해양 구조물에는 전원이나 유체를 공급하기 위해서 케이블이 천정, 바닥 또는 벽체 내부에 설치된다.
케이블 트레이는 천정, 바닥 등에 배치되는 다수의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하여 금속 등으로 이루어진 지지대이다.
케이블 트레이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트레이 유닛을 한 단위로 하여 복수의 트레이 유닛을 조인트와 같은 연결 장치로 연결한다. 그러나, 이러한 볼트 타입의 케이블 트레이 연결 장치들은 한 쌍의 트레이 유닛이 인접하는 단부에 덮개 판을 덧대고 구멍을 뚫어서 볼트로 연결하는 구조로서, 케이블 트레이의 하중을 견디기 위하여 다수의 볼트를 체결하여야만 했다. 따라서, 큰 건축물을 건설할 때에는 다수의 케이블 트레이가 연결되기 때문에 좁은 공간에서 다수의 볼트를 체결하는데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KR10-1587590 B
위의 특허문헌 1은, 트레이 유닛인 사이드 레일을 통하여 격자 링크가 돌출되도록 사이드 레일 내면에 밀착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에 돌출된 격자 링크 내로 상하 방향으로 끼울 수 있도록 형성된 록바를 이용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즉, 이러한 구조에서는, 가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사이드 레일과, 상기 사이드 레일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커넥터에 체결되는 록바에 의하여 복수 개의 사이드 레일이 고정되고 있다.
그러나, 사이드 레일이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록바가 체결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사이드 레일(케이블 트레이)의 길이방향과 그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의 체결력/결합력이 집중되고, 사이드 레일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지 않은 방향이나 회전되는 방향에 대해서는 그 결합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복잡한 구조로 인해 결합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결합과 해체 모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로는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은 기존의 케이블 트레이의 조립 및 시공 시간을 줄이면서, 강도 역시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레일 바디에 다수의 홈을 형성하고 그 홈에 끼워져서 고정될 수 있는 돌기가 형성된 체결 조인트를 이용해 사이드 레일들의 결합이 간편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수리나 보수 등을 위해 필요시 사이드 레일을 분리하는 경우에도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의 케이블 트레이는, 복수 개의 사이드 레일과, 단부가 상호 접하게 되는 사이드 레일들을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사이드 레일들 상부면으로 결합되는 체결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 수단은 상기 사이드 레일의 상부면과 측면 일부를 덮을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체결 바디와, 상기 체결 바디 내측면 일부가 소정 깊이 함몰형성됨으로써 상기 체결 바디 상부면에 소정 두께 돌출형성되는 포켓과, 상기 체결 바디 일부가 절개됨으로써 형성된 복수 개의 절개부와, 상기 각각의 절개부로 소정 길이 돌출형성되는 돌출편을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레일은 상기 절개부로 삽입가능한 크기의 복수의 체결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커넥터는 상기 돌출편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돌출편 상에는 소정 두께의 체결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 바디 상에는 소정 크기의 홀로 이루어져 외부 도구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체결부측 도구 삽입홀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 레일들에는 상기 체결 수단이 장착되었을 때 상기 체결부측 도구 삽입홀을 통과한 상기 도구가 통과할 수 있는 레일측 도구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 바디 상부면에는 상기 체결부측 도구 삽입홀에 인접한 위치에 소정 두께 돌출형성되어 상기 도구의 회전시 받침점이 될 수 있는 도구 회전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도구 회전 걸림턱은 상기 체결 바디 상부면 양단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측 도구 삽입홀은 상기 포켓과 도구 회전 걸림턱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포켓 내측면에는 접지 전극이 결합되고, 상기 포켓에는 일부가 절개된 포켓측 절개부와, 상기 포켓측 절개부의 절개 형상에 의하여 형성되는 포켓측 돌출편이 형성되고, 상기 접지 전극 상부면에는 상기 포켓측 절개부를 통과할 수 있으면서, 상기 포켓측 돌출편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홀이 형성된 포켓 커넥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실시예의 케이블 트레이에 의해서, 사이드 레일들의 결합과 해제가 쉬운 조작으로 가능해지며, 복수개의 돌출편과 체결 돌기들이 체결 커넥터들 내부로 삽입 및 고정됨으로써, 그 고정력 역시 견고하며, 견고한 고정력은 간단한 조작으로 그 해제가 쉽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수십개 내지는 수백개의 사이드 레일들을 연결/결합하는 때에 간단한 작업으로 수행해낼 수 있으며, 그 고정력 역시 상당히 우수한 결과를 얻어낼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라 사이드 레일들을 체결 수단을 이용해 결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라 체결 수단에 의한 사이드 레일들의 결합을 해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라 체결 수단의 결합과 결합 해제의 작업을 하나의 도면으에 모두 표현해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라 케이블 트레이에 구성되는 접지 전극이 체결 수단에 결합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의 체결 돌기의 단면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케이블 트레이를 구성하는 사이드 레일(1,2)과 이들 사이드 레일(1,2)들을 견고하면서도 용이하게 겹합/체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체결 조인트로서 체결 수단(10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여 본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사이드 레일(1,2)들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체결 수단(100)에 의해 인접한 사이드 레일들의 결합이 이루어지며, 사이드 레일(1,2) 내주면에 추가로 구성/장착해야 할 부품은 없다.
사이드 레일과, 체결 수단은 용융아연도금 강판이나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건물 내부의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는 부품의 절단면의 내식성이 우수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용융아연도금 강판 대신에 아연, 마그네슘, 및 알루미늄의 합금도금 강판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건물이나 터널 등의 공간 내부에 설치되는 케이블의 길이나 경로는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케이블 트레이는 복수 개의 사이드 레일(1,2) 등과 같은 일정한 사이즈의 단위 부재들로 분할되어 생산되며, 케이블의 길이나 경로에 따라 필요한 만큼 단위 부재들을 연결하여 사용된다.
도 1에서는,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 1 사이드 레일(1)과 제 2 사이드 레일(2)이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 현장에서 케이블 트레이를 구성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사이드 레일(1)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 3 사이드 레일과, 상기 제 3 사이드 레일에 인접하게 배치되면서 상기 제 2 사이드 레일(2)과는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 4 사이드 레일이 배치될 것이고, 이들 사이드 레일들은 케이블의 길이나 경로에 따라 복수개 연속하여 배치된다.
케이블 트레이는 무엇보다도 케이블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강성을 갖도록 제작되어야 하는데, 케이블 트레이 전체가 평판 형태로 제작되면, 케이블 트레이의 제작에 많은 양의 재료가 소비될 뿐만 아니라, 그 무게 증가로 인하여 건물 천장에 부착되기가 어려워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케이블 트레이의 양 측벽은 복수 개의 사각판 형태의 사이드 레일들로 구성되고, 케이블 트레이의 바닥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사이드 레일들 사이를 연결하는 렁으로 구현된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제 1 사이드 레일(1)과 제 2 사이드 레일(2)에 의해 형성되는 케이블 트레이의 일측면을 체결 수단(100)을 이용해 결합하는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제 1 사이드 레일(1)과 제 2 사이드 레일(2)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케이블 트레이의 다른 측면을 구성하는 제 3 사이드 레일과 제 4 사이드 레일 역시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체결 수단(100)은 "ㄷ"자 형상으로 사이드 레일(1,2)의 측면 일부를 감쌀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갖는 체결 바디(101)와, 상기 체결 바디(101)의 일부가 절개됨으로써 그 절개된 영역에 형성되는 돌출편(112)과, 상기 체결 바디(101)의 중앙부에 소정 높이 돌출되도록 형성되면서 그 내측면에 접지전극이 결합되도록 하는 포켓(130)을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체결 바디(101)는 2개의 사이드 레일(1,2)의 상부면 일부와, 측면 일부를 덮을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상부면에는 "ㄷ"자 형상으로 절개된 복수개의 부위를 갖는다.
즉, 상기 체결 바디(101) 상에는 복수개의 절개 영역이 형성되며, "ㄷ"자 형상으로 체결 바디의 일부가 절개됨으로써, 그 절개된 영역에 해당하는 절개부(111)가 복수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절개부(111)는 상기 체결 바디(101)의 복수개 영역에 형성되는데, 절개부(111)의 위치와 개수는 사이드 레일(1,2)에 형성된 돌출된 형상으로 상기 돌출편(112)이 삽입 및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 커넥터(11,12,13,14,21,22,23,24)들의 위치와 개수에 의존한다. 그리고, 상기 절개부(111)는 사이드 레일에 형성된 체결 커넥터가 통과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져야 한다.
반대로, 상기 체결 커넥터들은 상기 체결 바디(101)에 형성된 절개부(111)의 위치와 개수에 의존한다고도 할 수 있다. 다만, 제조되는 사이드 레일(1,2)들 각각의 양단에는 복수개의 체결 커넥터들이 모두 동일한 개수와 위치에 형성되어야 하고, 상기 체결 수단(100)에 의해 제 1 사이드 레일(1)의 일측과, 제 2 사이드 레일(2)의 일측의 결합이 이루어져야 하고, 상기 제 1 사이드 레일(1)의 타측과 제 3 사이드 레일의 일측 또는 타측과도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즉, 도 1에 도시된 제 1 사이드 레일(1)의 경우, 도시되지 않은 제 1 사이드 레일(1)의 타측에도 제 1 내지 제 4 체결 커넥터(11,12,13,14)와, 레일측 도구 삽입홀(15)이 형성되어, 또 다른 체결 수단과의 체결 및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체결 수단(100)의 체결 바디(101)의 상부면 양측에는 소정 두께 돌출 형성된 도구 회전 걸림턱(121)과, 드라이버 등의 외부 도구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체결부측 도구 삽입홀(120)이 상기 도구 회전 걸림턱(121)에 인접하도록 형성된다. 도면에는 상기 체결 바디(101) 상부면의 양단에 각각 도구 회전 걸림턱(121)이 형성되고, 두 개의 도구 회전 걸림턱(121) 각각에 인접한 위치에 소정 크기의 홀로 이루어진 체결부측 도구 삽입홀(120)이 형성된다.
상기 도구 회전 걸림턱(121)은 상기 체결 바디(101) 상에 2개 형성되는데, 체결 바디(101) 상부면에서 양쪽 단부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측 도구 삽입홀들은 상기 도구 회전 걸림턱에 인접하게 배치되면서 상기 도구 회전 걸림턱보다 체결 바디 중앙측에 형성된다. 즉, 상기 체결부측 도구 삽입홀들은 상기 도구 회전 걸림턱에 인접하게 형성되면서, 상기 도구 회전 걸림턱과 포켓(130) 사이에 형성되며, 이러한 배치로 인해 체결 바디 상부면에서 양단에는 도구 회전 걸림턱이 형성되고, 체결 바디 내측으로 갈수록 체결부측 도구 삽입홀이 형성되고, 그 다음 중앙부에 포켓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사이드 레일(1)과 제 2 사이드 레일(2)의 양단이 접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 수단(100)이 사이드 레일들의 결합을 위해 장착되면, 상기 체결부측 도구 삽입홀(120)을 통과한 도구가 사이드 레일도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부측 도구 삽입홀(120)이 위치한 영역에 레일측 도구 삽입홀(15)이 형성된다.
따라서, 체결 수단(100)이 사이드 레일측에 접하도록 위치/장착된 상태에서 도구의 일부를 체결부측 도구 삽입홀(120)과 레일측 도구 삽입홀(15)을 모두 통과시킨 상태에서,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해 상기 도구 회전 걸림턱(121)을 받침점으로 하여 도구에 힘을 가하면, 상기 체결 수단(100)이 사이드 레일 상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소정 거리 이동이 가능하다. 여기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의 소정 거리 이동은 사이드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가리키며, 도 1에서는 좌상향 방 또는 우하향 방향이 될 것이다.
상기 체결 수단(100)이 사이드 레일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사이드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구조를 통해, 상기 체결 수단(100)의 돌출편(112)과 상기 돌출편(112) 상에 형성된 체결 돌기(113)가 사이드 레일의 체결 커넥터(11,12,13,14)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되거나, 고정된 상태를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세히, 상기 체결 바디(101) 상에 형성된 복수개의 돌출편(112)은 체결 바디의 일부가 "ㄷ"자 형상으로 절개됨으로써, 절개부(111)가 형성되는데, 상기 절개부(111) 내에 체결 바디의 일부가 절개부(111) 내로 돌출되어 있는 형상을 갖는 돌출편(1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편(112) 상에는 소정 두께를 갖는 체결 돌기(113)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체결 돌기(113)에 의해 상기 돌출편(112)이 사이드 레일의 체결 커넥터(11,12,13,14) 내부로 억지끼움이 이루어진다. 이때, 이러한 억지끼움의 작업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도구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체결부측 도구 삽입홀(120)과, 레일측 도구 삽입홀(15)이 체결 수단(100)과 사이드 레일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체결 돌기(113)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또는 양단측에 가장 두꺼운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며, 중앙부의 두께는 보다 작게 형성되며, 벤딩 가공을 통해 이러한 두께 형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체결 돌기(113)의 상부면은 중앙부가 소정 깊이 함몰되는 오목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체결 돌기(113)의 위치별 두께 차이로 인해 벤딩 효과를 부여할 수 있으며, 체결 커넥터 내부로 체결 돌기가 삽입되는 때에 슬라이딩 삽입이 쉬워지도록 하고, 체결(삽입)된 이후에는 쉽게 그 결합이 해제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부여하며, 강제적인 역방향으로의 도구(레버)를 이용한 힘이 부여되는 때에만 결합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사이드 레일들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 커넥터들(11,12,13,14,21,22,23,24)은 사이드 레일의 상부면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갖고 있으며, 반드시 사이드 레일 일부가 절개되어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성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사이드 레일 상부면에서 돌출편(112)이 삽입될 수 있는 홀을 갖는 커넥터가 결합/용접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체결 바디(101)에서 체결부측 도구 삽입홀(120)과 포켓(130) 사이에는 일부가 절개되어 절곡된 형상을 갖는 코킹부(140)가 구성된다. 상기 코킹부(140)는 상기 체결 바디(101)의 일부가 절개, 즉, 3방향으로 절개되어 절개되지 않은 1방향에 연장되어 있는 부위이다. 그리고, 그 부위가 일부 절곡 형성되어 코킹을 형성하도록 하여, 체결 수단과 사이드 레일 사이의 결합, 즉, 체결 커넥터(21)에 돌출편(112)과 체결 돌기(113)가 삽입되는 과정에 텐션이 발생하여 그 결합/삽입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협조한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라 사이드 레일들을 체결 수단을 이용해 결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라 체결 수단에 의한 사이드 레일들의 결합을 해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라 도구를 이용하여 체결 수단을 결합 및 결합 해제하는 작업들을 하나의 도면에 그려본 것이다.
먼저,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 1 사이드 레일과 제 2 사이드 레일의 단부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체결 수단(100)을 사이드 레일들 상에 위치시킨다. 이때, 각각의 사이드 레일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 커넥터(21)가 체결 수단(100)의 절개부(111)를 통과한 상태가 되고, 체결 수단(100)의 돌출편(112)과 체결 돌기(113)는 아직 체결 커넥터(21) 내부로 삽입되기 전이다.
그 다음, 소정 길이를 갖는 도구(5)를 체결부측 도구 삽입홀(120)과 레일측 도구 삽입홀(15) 내부로 삽입/통과시킨다. 상기 체결 수단의 체결부측 도구 삽입홀(120)과 사이드 레일의 레일측 도구 삽입홀(15)은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야 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여기서, 상기 도구(5)는 도구 회전 걸림턱(121)과 도구 삽입홀들(120,15)의 위치를 고려하여 도구(5)를 이용한 체결 수단의 결합을 수행하거나, 반대로 체결 수단의 결합 해제 작업을 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구 회전 걸림턱(121)을 받침점으로 이용하여 도구(5)에 힘을 가해 소정 각도 회전을 가하게 되면, 체결 수단(100)이 도구에 힘을 가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체결 수단(100)이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체결 수단(100)이 이동하는 방향이 상기 돌출편(112)이 체결 커넥터(21) 내부로 삽입되는 방향인 경우에 사이드 레일들과 체결 수단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편(112)과 체결 돌기(113)가 체결 커넥터(21) 내부로 삽입되면서 억지끼움이 이루어진다.
반대로, 체결 수단(100)을 이용한 사이드 레일들의 결합을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시 이용한 도구 삽입홀 대신에, 반대편에 위치한 도구 삽입홀과, 도구 회전 걸림턱을 이용하여 체결 수단(100)을 반대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돌출편(112)과 체결 돌기(113)가 상기 체결 커넥터(21)로부터 분리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사이드 레일들의 결합과 해제가 쉬운 조작으로 가능해지며, 복수개의 돌출편과 체결 돌기들이 체결 커넥터들 내부로 삽입 및 고정됨으로써, 그 고정력 역시 견고하며, 견고한 고정력은 간단한 조작으로 그 해제가 쉽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수십개 내지는 수백개의 사이드 레일들을 연결/결합하는 때에 간단한 작업으로 수행해낼 수 있으며, 그 고정력 역시 상당히 우수한 결과를 얻어낼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라 케이블 트레이에 구성되는 접지 전극이 체결 수단에 결합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케이블 트레이 내에 수용되는 복수의 전기 케이블로부터 전기 누전 등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고, 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하여 동판 등의 전기가 잘 통하는 도체로 이루어진 접지 전극(200)은 체결 수단(100)의 포켓(130)에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포켓(30)은 상기 체결 바디(101)의 중앙부에 위치하면서 체결 바디의 내측면 일부가 함몰형성되면서 외부에서는 소정 두께 돌출된 형상을 갖으며, 일부가 "ㄷ"자 모양으로 절개된 포켓측 절개부(131)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포켓측 절개부(131)의 절개 형상에 의하여 포켓(130) 일부가 절개부(131)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포켓측 돌출편(132)이 형성된다.
상기 접지 전극(200)의 상부면에는 포켓측 절개부(131)를 통과할 수 있으면서, 상기 포켓측 돌출편(132)이 삽입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된 포켓 커넥터(201,202)가 형성된다. 상기 포켓 커넥터(201,202)는 상기 포켓(130)에 형성된 포켓측 돌출편(132)의 개수와 위치에 대응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접지 전극(200)을 상기 포켓(130) 내측면에 밀착시킨 다음, 상기 포켓 커넥터(201,202)의 홀 내부로 상기 포켓측 돌출편(132) 삽입되는 방향으로 접지 전극을 이동시킴으로써, 이들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Claims (5)

  1. 복수 개의 사이드 레일과,
    단부가 상호 접하게 되는 사이드 레일들을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사이드 레일들 상부면으로 결합되는 체결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 수단은 상기 사이드 레일의 상부면과 측면 일부를 덮을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체결 바디와, 상기 체결 바디 내측면 일부가 소정 깊이 함몰형성됨으로써 상기 체결 바디 상부면에 소정 두께 돌출형성되는 포켓과, 상기 체결 바디 일부가 절개됨으로써 형성된 복수 개의 절개부와, 상기 각각의 절개부로 소정 길이 돌출형성되는 돌출편을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레일은 상기 절개부로 삽입가능한 크기의 복수의 체결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커넥터는 상기 돌출편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 바디 상에는 소정 크기의 홀로 이루어져 외부 도구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체결부측 도구 삽입홀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 레일들에는 상기 체결 수단이 장착되었을 때 상기 체결부측 도구 삽입홀을 통과한 상기 도구가 통과할 수 있는 레일측 도구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 바디 상부면에는 상기 체결부측 도구 삽입홀에 인접한 위치에 소정 두께 돌출형성되어 상기 도구의 회전시 받침점이 될 수 있는 도구 회전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편 상에는 소정 두께의 체결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 돌기의 상부면은 소정 깊이 함몰형성되는 오목한 모양을 갖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 바디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 바디의 일부가 절개된 뒤 절개된 부위가 일부 절곡형성됨으로써 텐션을 부여하는 코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구 회전 걸림턱은 상기 체결 바디 상부면 양단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측 도구 삽입홀은 상기 포켓과 도구 회전 걸림턱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 내측면에는 접지 전극이 결합되고,
    상기 포켓에는 일부가 절개된 포켓측 절개부와, 상기 포켓측 절개부의 절개 형상에 의하여 형성되는 포켓측 돌출편이 형성되고,
    상기 접지 전극 상부면에는 상기 포켓측 절개부를 통과할 수 있으면서, 상기 포켓측 돌출편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홀이 형성된 포켓 커넥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KR1020210048396A 2021-04-14 2021-04-14 케이블 트레이 KR102303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396A KR102303740B1 (ko) 2021-04-14 2021-04-14 케이블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396A KR102303740B1 (ko) 2021-04-14 2021-04-14 케이블 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3740B1 true KR102303740B1 (ko) 2021-09-16

Family

ID=77926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8396A KR102303740B1 (ko) 2021-04-14 2021-04-14 케이블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37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1741B1 (ko) * 2023-02-08 2023-07-04 이주섭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의 조인트 조립체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7028B1 (ko) * 2012-05-22 2012-07-24 (주)석영엔터프라이즈 케이블 트레이 연결 장치
KR101587590B1 (ko) * 2015-08-31 2016-01-26 정윤석 케이블 트레이
KR101604741B1 (ko) * 2015-09-18 2016-03-21 조충식 케이블트레이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트레이 조립체
KR101638302B1 (ko) * 2016-03-25 2016-07-08 이주섭 케이블 트레이
KR20170138313A (ko) * 2016-06-07 2017-12-15 육성진 케이블 트레이
KR20180015776A (ko) * 2016-08-03 2018-02-14 김영산 케이블트레이
KR20190102549A (ko) * 2018-02-26 2019-09-04 아인텍(주) 케이블 트레이 결합체
KR20190118408A (ko) * 2018-04-10 2019-10-18 육성진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
KR20200020180A (ko) * 2018-08-16 2020-02-26 황성재 케이블트레이의 연결구와 이를 이용한 케이블트레이의 연결방법
KR102180561B1 (ko) * 2020-03-18 2020-11-18 (주)석영엔터프라이즈 내진성이 향상된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7028B1 (ko) * 2012-05-22 2012-07-24 (주)석영엔터프라이즈 케이블 트레이 연결 장치
KR101587590B1 (ko) * 2015-08-31 2016-01-26 정윤석 케이블 트레이
KR101604741B1 (ko) * 2015-09-18 2016-03-21 조충식 케이블트레이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트레이 조립체
KR101638302B1 (ko) * 2016-03-25 2016-07-08 이주섭 케이블 트레이
KR20170138313A (ko) * 2016-06-07 2017-12-15 육성진 케이블 트레이
KR20180015776A (ko) * 2016-08-03 2018-02-14 김영산 케이블트레이
KR20190102549A (ko) * 2018-02-26 2019-09-04 아인텍(주) 케이블 트레이 결합체
KR20190118408A (ko) * 2018-04-10 2019-10-18 육성진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
KR20200020180A (ko) * 2018-08-16 2020-02-26 황성재 케이블트레이의 연결구와 이를 이용한 케이블트레이의 연결방법
KR102180561B1 (ko) * 2020-03-18 2020-11-18 (주)석영엔터프라이즈 내진성이 향상된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1741B1 (ko) * 2023-02-08 2023-07-04 이주섭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의 조인트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635641B (zh) 用于将两个并置的板安装到结构从而允许热膨胀和收缩的组件
KR100886956B1 (ko) 로스트 거푸집으로서의 상호 체결형 중공 패널
US6209278B1 (en) Flooring panel
US20100086348A1 (en) Method of joining cable racks, and a splice plate
KR101638302B1 (ko) 케이블 트레이
KR200476064Y1 (ko) 선박용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
US20090145626A1 (en) Separation and/or reinforcement device for a wire cable duct
KR100947112B1 (ko) 배전반 프레임 연결용 앵글 구조체
KR102303740B1 (ko) 케이블 트레이
US10047936B2 (en) Ceiling system
KR101657939B1 (ko) 렁 체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EP0083809B1 (en) Raceway
US10851937B2 (en) Mounting bracket with support structure
KR102180561B1 (ko) 내진성이 향상된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
CN101023273A (zh) 把两块成型拉挤板联接一起的方法以及固定装配件
KR200484260Y1 (ko) 선박용 바닥 구조물
US6537155B2 (en) Counterweight arbor guide system
JP2011247004A (ja) 屋根上設置物の取付具
JP2016141990A (ja) 太陽電池パネル取付部材および太陽電池パネル取付方法
KR101970595B1 (ko) 원터치 조립방식의 무볼트형 케이블 트레이
KR20210152352A (ko) 케이블 트레이 및 그 조립 방법
KR20170066024A (ko) 철골구조물의 건식 내화피복구조체
KR101850067B1 (ko) 조립식 트레이용 측판
KR200490126Y1 (ko)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체
JP2017043963A (ja) 太陽電池パネル取付部材および太陽電池パネル取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