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1741B1 -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의 조인트 조립체 - Google Patents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의 조인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1741B1
KR102551741B1 KR1020230016502A KR20230016502A KR102551741B1 KR 102551741 B1 KR102551741 B1 KR 102551741B1 KR 1020230016502 A KR1020230016502 A KR 1020230016502A KR 20230016502 A KR20230016502 A KR 20230016502A KR 102551741 B1 KR102551741 B1 KR 102551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fixing
wall
cable tray
accommodat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6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섭
Original Assignee
이주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섭 filed Critical 이주섭
Priority to KR1020230016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17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1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1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08Joints for connecting non cylindrical conduits, e.g.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실시예의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의 조인트 조립체는, 케이블 트레이를 구성하는 사이드 레일들을 연결하기 위한 조립체로서, 제 1 사이드 레일에 결합되는 제 1 바디와, 상기 제 1 사이드 레일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 2 사이드 레일에 결합되는 제 2 바디와, 상기 제 1 바디 및 제 2 바디 상에 각각 마련되는 고정 수단들과, 상기 고정 수단들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탄성 부재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 부재가 개재됨으로써 상기 제 1 바디와 제 2 바디는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의 조인트 조립체{Joint assembly for earthquake-resistant cable tray}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를 결합하는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케이블 트레이들의 연결을 보다 견고히 하면서도, 지진의 충격과 같은 강한 충격을 흡수하여 안정적인 케이블의 지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의 조인트 조립체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이나 선박 및 해양 구조물 등에는 전원 공급이나 유체 등의 공급을 위해 크고 작은 직경의 케이블이 천장 및 바닥 또는 벽체를 따라 배치되며, 배치되는 케이블은 미관이나 통행자들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기 위해 케이블 트레이를 사용하여 정리 정돈 상태로 지지 고정하고 있다.
복수개의 케이블을 지지 고정하는 케이블 트레이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좌우측에 각각 위치하는 한쌍의 측면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블 트레이는 천장이나 벽면에 고정하기 위해 지지부재를 사용하게 되며, 상기 지지부재는 건물의 청장에 매설된 앵커볼트와 결합되며, 수직으로 배치되는 한쌍의 전산볼트와, 상기 전산볼트들의 단부에 연결되면서 케이블 트레이가 놓여지도록 수평으로 배치되는 가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 트레이와 지지부재는 지진 등의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케이블 트레이 또는 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상하좌우로 심하게 흔들리며, 이에 따라 케이블 트레이는 가로부재로부터 이탈되거나 손상되어 전기적으로 큰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지진 등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케이블 트레이를 보호하기 위해 종래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326806호,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436333호에서는 내진용 케이블 트레이에 대한 기술들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970594호의 경우, 상하좌우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하고 있으나, 그 구성요소가 많고 조립이 복잡하며, 이로 인해 진동 흡수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KR10-2216665 B
위 특허문헌 1의 경우, 본 출원인이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를 위한 행거 장치에 관해 출원한 것으로서, 위 문헌의 경우 행거 장치를 이용한 충격 흡수가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나, 케이블 트레이들이 연결되는 부위(조인트)에 대한 내진 설계를 더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케이블 트레이의 조립 및 시공 시간을 줄이면서도, 다양한 방향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충분히 완충할 수 있는 조인트 조립체를 제안하고자 한다.
실시예의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의 조인트 조립체는, 케이블 트레이를 구성하는 사이드 레일들을 연결하기 위한 조립체로서, 제 1 사이드 레일에 결합되는 제 1 바디와, 상기 제 1 사이드 레일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 2 사이드 레일에 결합되는 제 2 바디와, 상기 제 1 바디 및 제 2 바디 상에 각각 마련되는 고정 수단들과, 상기 고정 수단들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탄성 부재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 부재가 개재됨으로써 상기 제 1 바디와 제 2 바디는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바디 및 제 2 바디 상에 각각 마련되는 고정 수단들 각각은, 제 1 탄성 부재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 1 수용 공간과, 제 3 탄성 부재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 3 수용 공간과, 상기 제 1 수용 공간과 제 3 수용 공간 사이에 형성되어 제 2 탄성 부재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 2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탄성 부재, 제 2 탄성 부재 및 제 3 탄성 부재는 압축 스프링이고, 상기 제 2 탄성 부재는 상기 제 1 탄성 부재와 제 3 탄성 부재와는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 2 수용 공간에 일부가 수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수용 공간은 제 1 고정벽과, 상기 제 1 고정벽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절곡 형성되어 제 1 탄성 부재의 상부면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 제 1 고정부와, 상기 제 1 고정부와는 다른 위치에서 상기 제 1 고정벽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절곡 형성되는 제 1 측벽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 3 수용 공간은 제 3 고정벽과, 상기 제 3 고정벽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절곡 형성되어 제 3 탄성 부재의 상부면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 제 3 고정부와, 상기 제 3 고정부와는 다른 위치에서 상기 제 3 고정벽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절곡 형성되는 제 3 측벽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 2 수용 공간은 상기 제 1 및 제 3 수용 공간보다 상기 제 1 또는 제 2 바디의 상부면 단부로부터 더 깊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수용 공간은 제 2 고정벽과, 상기 제 2 고정벽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 2 탄성 부재의 상부면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 제 2 고정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고정벽에는 볼트가 통과할 수 있는 나사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탄성 부재는 상기 나사홀을 통과한 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의 조인트 조립체에 의해서, 사이드 레일들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다양한 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이나 흔들림을 용이하게 저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실시예의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의 조인트 조립체와 사이드 레일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실시예의 조인트 조립체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와 도 10은 본 실시예의 조인트 조립체에서 제 2 바디가 제 1 바디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힘을 가하는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실시예의 조인트 조립체에서 제 2 바디를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힘을 가한 경우의 도면이고, 도 12는 본 실시예의 조인트 조립체에서 제 1 바디를 고정한 상태에서 제 2 바디를 위에서 아래로 힘을 가한 경우의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실시예의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의 조인트 조립체와 사이드 레일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 1 사이드 레일(1)과 제 2 사이드 레일(2)을 연결 및 결합하는 장치로서 조인트 조립체(10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사이드 레일(1)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 3 사이드 레일(3)과, 상기 제 3 사이드 레일(3)에 인접하게 배치되면서 상기 제 2 사이드 레일(2)과는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 4 사이드 레일(4)이 배치된다.
그리고, 이들 사이드 레일들은 케이블의 길이나 경로에 따라 복수개 연속하여 배치된다.
또한, 상기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 1 사이드 레일(1)과 제 3 사이드 레일(3) 사이에 렁(11)이 결합되어 케이블 등의 부품의 하중을 떠받치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제 2 사이드 레일(2)과 제 4 사이드 레일(4) 사이에도 렁(21)이 배치된다. 사진에서는 사이드 레일과 조인트 조립체(100) 사이의 결합이 볼트(10)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다양한 방법이나 부품을 통해 사이드 레일과 조인트 조립체 사이의 결합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케이블 트레이는 무엇보다도 케이블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강성을 갖도록 제작되어야 하는데, 케이블 트레이 전체가 평판 형태로 제작되면, 케이블 트레이의 제작에 많은 양의 재료가 소비될 뿐만 아니라, 그 무게 증가로 인하여 건물 천장에 부착되기가 어려워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케이블 트레이의 양 측벽은 복수 개의 사각판 형태의 사이드 레일들로 구성되고, 케이블 트레이의 바닥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사이드 레일들 사이를 연결하는 렁으로 구현된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제 1 사이드 레일(1)과 제 2 사이드 레일(2)에 의해 형성되는 케이블 트레이의 일측면을 체결 수단(100)을 이용해 결합하는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제 1 사이드 레일(1)과 제 2 사이드 레일(2)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케이블 트레이의 다른 측면을 구성하는 제 3 사이드 레일과 제 4 사이드 레일 역시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실시예의 조인트 조립체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예의 조인트 조립체(100)는 제 1 사이드 레일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 2 사이드 레일을 연결하면서 내진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며, 제 1 사이드 레일에 결합되는 제 1 바디(110)와, 제 2 사이드 레일에 결합되는 제 2 바디(120)와, 제 1 바디(110)에 마련된 고정 수단과, 제 2 바디(120)에 마련된 고정 수단과, 이들 고정 수단들 사이에 개재되어 충격 흡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 부재는 복수개가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하 방향으로의 진동과 좌우/수평 방향으로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 1 바디에(110)에 마련되는 고정 수단과, 제 2 바디(120)에 마련되는 고정 수단은 동일한 구조이며, 제 1 바디와 제 2 바디 역시 그 배치되는 위치나 방향에 따라 분류될 수 있는 것이며, 동일한 모양의 바디와, 해당 바디에 고정 수단을 구성시키고 이들 바디 한쌍에 의해 조인트 조립체가 형성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 1 바디와, 제 1 바디에 형성된 고정 수단을 중심으로 설명하여 본다.
제 1 바디(110)는 바디의 상부면을 형성하면서 사이드 레일과의 결합을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되어 있는 바디 상부면(111)과, 상기 바디 상부면(111)의 양측에서 하향 절곡되어 결합되는 사이드 레일의 측면을 감싸는 역할을 하는 한 쌍의 바디 측면(112)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바디(110)의 상부면(111)에는 고정부와 측벽으로 구성된 고정 수단이 마련된다.
상기 고정 수단은 고정부과 측벽이 단일 몸체로 이루어지도록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와 측벽은 탄성 부재들이 수용되도록 공간을 형성하면서 탄성 부재와 밀착되어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 수단은 제 1 바디와 제 2 바디에 각각 형성되기 때문에, 이들 고정 수단들 사이에 탄성 부재들이 개재되어 결합됨으로써, 제 1 바디와 제 2 바디의 연결과 함께 진동 저감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110) 상에 결합되는 고정 수단은 탄성 부재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는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고정벽(141)과 제 1 고정부(131) 및 제 1 측벽(134)에 의해 둘러싸이는 제 1 수용 공간(151)과, 제 3 고정벽(143)과 제 3 고정부(133) 및 제 2 측벽(135)에 의해 둘러싸이는 제 3 수용 공간(153)과, 상기 제 1 수용 공간(151)과 제 3 수용 공간(153) 사이에 형성되는 제 2 수용 공간(152)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수용 공간(152)은 상기 제 1 및 제 3 수용 공간(153)보다 바디 상부면의 에지로부터 더 깊은 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및 제 3 수용 공간의 고정벽들과 제 2 고정벽(142) 및 제 2 고정부((132)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형상을 통해, 제 1 내지 제 3 수용 공간은 중간에 더 깊은 깊이를 갖도록 모양이 된다.
한편, 제 1 수용 공간(151)과 제 3 수용 공간(153)을 형성하기 위하여 측벽과 고정벽 및 고정부 이외에 바디 상부면과 맞닿는 바닥부(1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부(161)는 제 1 바디부(110)의 상부면에 볼트 등의 체결 수단을 통해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수용 공간(152)은 제 2 고정부(132)와 제 2 고정벽(142)에 의해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벽(142)의 상부 일부는 절곡되어 상기 고정부(132)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벽(142)의 하부 일부는 절곡되어 바디 상부면에 접하도록 형성된 제 2 바닥부(162)를 형성한다. 상기 제 2 바닥부(162),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 상부면(111)에 접하도록 형성되어 볼트 등의 체결 수단(222)을 통해 고정 수단과 바디 상부면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실시예에서는, 제 1 수용 공간(151)과 제 3 수용 공간(153) 보다 더 깊은 깊이를 갖도록 제 2 수용 공간(152)이 형성되고, 제 2 수용 공간을 구성하는 제 2 고정벽의 일부가 절곡되는 제 2 바닥부(162)가 제 1 바닥부(161)와 제 3 바닥부(163)와는 다른 방향으로 절곡되어 바디 상부면에 접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각각의 바닥부의 절곡 방향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제 1 수용 공간(151)과 제 3 수용 공간(153)을 형성하는 고정부, 고정벽 및 측벽에 대해서는 제 1 수용 공간(151)을 중심으로 설명하여 본다.
제 1 고정벽(141)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1 고정부(131), 제 1 측벽(134) 및 제 1 바닥부(161)에 의해 제 1 수용 공간(151)의 형성되는데, 이들 제 1 고정부, 제 1 측벽 및 제 1 바닥부는 상기 제 1 고정벽(141)으로부터 연장된 부위들이 각각 절곡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바디 상부면(111)의 단부측으로부터 상기 제 1 고정벽(141) 보다 더 먼 위치에 제 2 고정벽(142)이 형성되고, 제 3 고정벽(143)은 상기 제 1 고정벽(141)과 동일한 정도의 위치에 형성된다.
한편,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제 1 바디(110) 및 제 1 고정 수단(제 1 바디에 마련된 고정 수단)은, 제 2 바디(120)와 제 2 고정 수단(제 2 바디에 마련된 고정 수단) 사이에는 탄성 부재들이 개재된다.
즉, 제 1 수용 공간(151)에 일부가 수용되는 제 1 탄성 부재(201)와, 제 2 수용 공간(152)에 일부가 수용되는 제 2 탄성 부재(202)와, 제 3 수용 공간(153)에 일부가 수용되는 제 3 탄성 부재(203)가 제 1 바디(110)와 제 2 바디(120)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탄성 부재들은 압축 스프링이 될 수 있으며, 제 1 탄성 부재(201)와 제 3 탄성 부재(203)는 동일한 방향으로 제 1 및 제 3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되고, 제 2 탄성 부재(202)는 제 1 및 제 3 탄성 부재와는 다른 방향(수직한 방향)으로 제 2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3 탄성 부재(201,203)는 제 1 방향으로 압축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제 2 탄성 부재(202)는 제 1 방향과 수직한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압축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제 2 방향으로 압축이 가능하도록 배치된 탄성 부재(202)는 내부에 홀이 형성되어 있어, 제 2 고정벽(142)에 형성된 나사홀(210)을 통해 삽입되는 나사 또는 볼트(301)가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제 2 고정벽(142)의 나사홀(210)을 통해 삽입되는 볼트(301)는 제 2 탄성 부재(202) 내부를 통과한 다음 제 2 바디(120)의 제 2 고정벽에 형성된 나사홀을 통해 일부가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 2 바디(120)의 제 2 고정벽을 통과한 볼트에 너트(302)를 체결시킴으로써, 제 1 바디(110)와 제 2 바디(120)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제 1 바디(110)의 제 1 고정부(131)와 마주보는 제 2 바디(120)의 고정부를 제 1 고정부라고 정의하는 경우, 제 1 바디의 제 1 수용 공간 내지 제 3 수용 공간들은 제 2 바디의 제 1 수용 공간 내지 제 3 수용 공간을 대향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볼트(301)가 제 2 탄성 부재(202)를 통과함으로써 제 1 바디(110)와 제 2 바디(120)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진 상태가 도 4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바디(110)의 고정부들과 제 2 바디(120)의 고정부들 사이이 접하지 않고 소정 거리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가 되도록 탄성 부재들의 길이와 크기가 결정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조인트 조립체에 의해서, 제 1 방향으로의 진동에 대해서는 제 1 및 제 3 탄성 부재들에 의한 충격 감소가 이루어지고, 제 2 방향으로의 진동에 대해서는 제 2 탄성 부재에 의한 충격 감소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 1 바디(110)와 제 2 바디(120) 사이에 탄성 부재가 개재된 상태로 결합되어 있어, 제 1 바디(110)와 제 2 바디(120)가 직접 접촉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제 1 바디(110)와 제 2 바디(120)가 어느 하나를 중심으로 소정 범위 회전을 허용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9와 도 10은 본 실시예의 조인트 조립체에서 제 2 바디가 제 1 바디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힘을 가하는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바디(120)가 제 1 바디(110)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되도록 힘을 가하고 힘을 제거하게 되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11은 본 실시예의 조인트 조립체에서 제 2 바디를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힘을 가한 경우의 도면이고, 도 12는 본 실시예의 조인트 조립체에서 제 1 바디를 고정한 상태에서 제 2 바디를 위에서 아래로 힘을 가한 경우의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바디와 제 2 바디가 서로 직접 접하도록 결합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토크를 부여하더라도 탄성 부재가 갖는 탄성을 이용하여 소정 각도 회전될 수 있으며, 회전 후에는 복귀가 이루어져 충격에 의해 제 1 바디와 제 2 바디가 파손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를 통해 제 1 바디와 제 2 바디가 소정 간격을 둔 상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의 유동에 대해서 대응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며, 바디들 사이에 개재된 탄성 부재들에 의해 그 충격 흡수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5)

  1. 케이블 트레이를 구성하는 사이드 레일들을 연결하기 위한 조립체로서,
    제 1 사이드 레일에 결합되는 제 1 바디와,
    상기 제 1 사이드 레일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 2 사이드 레일에 결합되는 제 2 바디와,
    상기 제 1 바디 및 제 2 바디 상에 각각 마련되는 고정 수단들과,
    상기 고정 수단들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탄성 부재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 부재가 개재됨으로써 상기 제 1 바디와 제 2 바디는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결합되고,
    상기 제 1 바디 및 제 2 바디 상에 각각 마련되는 고정 수단들 각각은,
    제 1 탄성 부재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 1 수용 공간과,
    제 3 탄성 부재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 3 수용 공간과,
    상기 제 1 수용 공간과 제 3 수용 공간 사이에 형성되어 제 2 탄성 부재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 2 수용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탄성 부재는 상기 제 1 탄성 부재와 제 3 탄성 부재와는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 2 수용 공간에 일부가 수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의 조인트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탄성 부재, 제 2 탄성 부재 및 제 3 탄성 부재는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의 조인트 조립체.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용 공간은 제 1 고정벽과, 상기 제 1 고정벽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절곡 형성되어 제 1 탄성 부재의 상부면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 제 1 고정부와, 상기 제 1 고정부와는 다른 위치에서 상기 제 1 고정벽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절곡 형성되는 제 1 측벽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 3 수용 공간은 제 3 고정벽과, 상기 제 3 고정벽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절곡 형성되어 제 3 탄성 부재의 상부면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 제 3 고정부와, 상기 제 3 고정부와는 다른 위치에서 상기 제 3 고정벽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절곡 형성되는 제 3 측벽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 2 수용 공간은 상기 제 1 및 제 3 수용 공간보다 상기 제 1 또는 제 2 바디의 상부면 단부로부터 더 깊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수용 공간은 제 2 고정벽과, 상기 제 2 고정벽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 2 탄성 부재의 상부면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 제 2 고정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의 조인트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정벽에는 볼트가 통과할 수 있는 나사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탄성 부재는 상기 나사홀을 통과한 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의 조인트 조립체.
KR1020230016502A 2023-02-08 2023-02-08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의 조인트 조립체 KR102551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6502A KR102551741B1 (ko) 2023-02-08 2023-02-08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의 조인트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6502A KR102551741B1 (ko) 2023-02-08 2023-02-08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의 조인트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1741B1 true KR102551741B1 (ko) 2023-07-04

Family

ID=87156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6502A KR102551741B1 (ko) 2023-02-08 2023-02-08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의 조인트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174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302B1 (ko) * 2016-03-25 2016-07-08 이주섭 케이블 트레이
KR20180085961A (ko) * 2017-01-20 2018-07-30 부경트레이 주식회사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KR20190001615A (ko) * 2017-06-26 2019-01-07 주식회사 제원에이스산업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
KR20190005023A (ko) * 2017-07-05 2019-01-15 아인텍(주)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KR102303740B1 (ko) * 2021-04-14 2021-09-16 이주섭 케이블 트레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302B1 (ko) * 2016-03-25 2016-07-08 이주섭 케이블 트레이
KR20180085961A (ko) * 2017-01-20 2018-07-30 부경트레이 주식회사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KR20190001615A (ko) * 2017-06-26 2019-01-07 주식회사 제원에이스산업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
KR20190005023A (ko) * 2017-07-05 2019-01-15 아인텍(주)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KR102303740B1 (ko) * 2021-04-14 2021-09-16 이주섭 케이블 트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6806B1 (ko) 케이블 트레이 지지부재의 내진장치
KR102247602B1 (ko) 수직방향 진동을 효과적으로 완충하는 면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붕구조물
US9562585B2 (en) Vibration-insulating device and system
JP6800289B2 (ja) 耐震用ケーブルトレイハンガー装置
JP6118194B2 (ja) 防音床構造
KR102551741B1 (ko)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의 조인트 조립체
KR102250444B1 (ko) 내진형 다기능 방음벽
KR102247586B1 (ko) 수평방향 진동을 효과적으로 완충하는 면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붕구조물
JP5268775B2 (ja) フレーム式キャビネット
JP6379133B2 (ja) 天井下地構造及び吊り部材
JP2006342580A (ja) 建物の天井構造
JP5279798B2 (ja) 免震床構造
JP2000104786A (ja) 免震装置の浮き上がり防止機構
JP5252227B2 (ja) 免震システム
JP2008280818A (ja) 建築物の免震構造とそれを採用した建築物
KR102247590B1 (ko) 수평방향 진동을 효과적으로 완충하는 태양광 패널 지붕 설치용 면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광 패널 지붕
KR102247587B1 (ko) 수직방향 진동을 효과적으로 완충하는 태양광 패널 지붕 설치용 면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광 패널 지붕
JP6651149B2 (ja) 制震装置
JP2002130364A (ja) 免震装置
JP2019157593A (ja) 天井面材の支持構造及びユニット建物
JPH0415877Y2 (ko)
KR102591557B1 (ko) 내진용 트레이 지지장치
JP5026996B2 (ja) 床支持具、床構造、及び、床設置方法
JP7037351B2 (ja) 建物
JP2015063861A (ja) 床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