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7112B1 - 배전반 프레임 연결용 앵글 구조체 - Google Patents

배전반 프레임 연결용 앵글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7112B1
KR100947112B1 KR1020080051498A KR20080051498A KR100947112B1 KR 100947112 B1 KR100947112 B1 KR 100947112B1 KR 1020080051498 A KR1020080051498 A KR 1020080051498A KR 20080051498 A KR20080051498 A KR 20080051498A KR 100947112 B1 KR100947112 B1 KR 100947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frame
fastening surface
switchgear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1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5401A (ko
Inventor
문복성
최종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명전기
(주)세계테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명전기, (주)세계테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명전기
Priority to KR1020080051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7112B1/ko
Publication of KR20090125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5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7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7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Frameworks
    • H02B1/014Corner connections for framewo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Frameworks
    • H02B1/012Details of mechanical conne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반 프레임 연결용 앵글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육면체의 배전반에서 각 코너에 위치되어 종단 프레임(5), 횡단 프레임(6) 및 수직 프레임(7)을 상호 연결시키는 배전반 프레임 연결용 앵글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의 하부 코너에 위치되며, 제 2 체결면(22)과 제 3 체결면(23)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ㄴ'자 형의 판형 부재이고, 제 1 체결면(21)이 제 2 체결면(22)과 제 3 체결면(23)에서 프레임 체결이 이루어지지 않는 배면상에 세워져 설치되며 제 3 체결면(23)과 면상으로 직각을 이루게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앵글 부재(1, 2); 및 상기 배전반의 상부 코너에 위치되며, 제 2 체결면(22), 제 3 체결면(23) 및 인양 고리판(16)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T'자 형의 판형 부재이고, 제 1 체결면(21)이 제 2 체결면(22)과 제 3 체결면(23)에서 프레임 체결이 이루어지지 않는 배면상에 세워져 설치되며 제 3 체결면(23)과 면상으로 직각을 이루게 형성되는 제 3 및 제 4 앵글 부재(3, 4); 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체결면(21), 제 2 체결면(22) 및 제 3 체결면(23)은 프레임과 체결되기 위한 돌출면의 폭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전판, 앵글

Description

배전반 프레임 연결용 앵글 구조체{CORNER ANGLE FOR FRAMES OF A SWITCHGEAR}
본 발명은 배전반 프레임 연결용 앵글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체형으로 형성되면서도 불필요한 돌출 부위 없이 3방향의 프레임 연결이 가능하며 인양 고리를 통해 설치 및 운송을 용이하게 하는 배전반 프레임 연결용 앵글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통상, 배전반은 옥외의 발전소, 변전소 또는 전기시설이 되어 있는 건물 같은 곳에 장치를 한 반(盤)으로서, 안전장치, 계기, 표시등, 계전기 등을 배치하여 전로의 개폐나 기기의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즉 전기계통의 감시, 제어, 보호를 행하는 기기이며, 계기, 계전기 및 개폐장치 등의 기구류와 이를 부착하는 지지물, 그리고 기구 간을 접속하는 전선 등으로 이루어진 집합체이다.
종래의 배전반의 구성은 용접고정방식에 의해 구성되어 조립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에 따라 개발된 'ㄱ'자형 앵글 또는 'ㄷ'자형 앵글에 다수의 프레임을 체결볼트 및 너트로 조립하여 전체적인 틀을 형성하도록 하는 방법이 사용되었으나, 이 역시 육면체 형태의 틀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용접 작업이 필요되어 조립성이 미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단 프레임, 횡단 프레임 및 수직 프레임을 동시에 체결할 수 있는 앵글이 개발되었으나, 이를 구현하기 위한 앵글의 구조로 인해 불필요한 공간 점유가 생겨 배전반 내 작업을 방해하고 내외부로 돌출된 구조로 인해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되기도 한다.
더군다나, 배전반 조립 후 별다른 운송 보조 수단이 갖추어지지 않아 조립 상태의 운송이 힘들어 배전반의 운송이나 위치 교정에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즉, 기존 인양용 아이볼트(eye bolt) 체결 방식은 운반 중 진동이나 작업 부주의에 따라 풀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 대형 사고의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은 배전반 프레임 연결용 앵글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육면체의 배전반에서 각 코너에 위치되어 종단 프레임(5), 횡단 프레임(6) 및 수직 프레임(7)을 상호 연결시키는 배전반 프레임 연결용 앵글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의 하부 코너에 위치되며, 제 2 체결면(22)과 제 3 체결면(23)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ㄴ'자 형의 판형 부재이고, 제 1 체결면(21)이 제 2 체결면(22)과 제 3 체결면(23)에서 프레임 체결이 이루어지지 않는 배면상에 세워져 설치되며 제 3 체결면(23)과 면상으로 직각을 이루게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앵글 부재(1, 2); 및 상기 배전반의 상부 코너에 위치되며, 제 2 체결면(22), 제 3 체결면(23) 및 인양 고리판(16)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T'자 형의 판형 부재이고, 제 1 체결면(21)이 제 2 체결면(22)과 제 3 체결면(23)에서 프레임 체결이 이루어지지 않는 배면상에 세워져 설치되며 제 3 체결면(23)과 면상으로 직각을 이루게 형성되는 제 3 및 제 4 앵글 부재(3, 4); 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체결면(21), 제 2 체결면(22) 및 제 3 체결면(23)은 프레임과 체결되기 위한 돌출면의 폭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체결면(21)은 상기 제 3 체결면(23)의 면상에 직각방향 절곡되어 세워진 판으로, 삼각 형상의 종단바 지지판(11)이 세워져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면(21, 22, 23)과 프레임(5, 6, 7)의 체결 시 해당 프레임의 길이방향 홈에는 면상의 너트보가 삽입되며 상기 프레임의 홀을 매개하여 체결면과 너트보가 체결됨으로써 체결면과 프레임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면(21, 22, 23)에는 프레임(5, 6, 7) 측의 너트보(30)에 형성된 끼움홀(33)에 삽입가능한 돌출구(13)가 다수 형성되고, 프레임(5, 6, 7) 측의 너트보(30)에 형성된 체결공(34)과 상응되는 체결공(14)이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면(21, 22, 23)에 형성되는 상기 돌출구(13)는 프레임측 너트보(30)의 끼움홀(33)에 삽입되는 속이 찬 돌출 부재이고, 상기 체결공(14)은 내부에 체결볼트가 체결될 수 있게 중공된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너트보(30)에 형성되는 상기 끼움홀(33)은 상기 체결면측의 돌출구(13)가 삽입되는 중공 형태이고, 상기 체결공(34)은 내부가 중공된 상태에서 돌출되어 내부에 체결볼트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결합시 상기 횡단 프레임(6)의 결합 말단은 수직 프레임(7)의 측면에 맞닿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 프레임 연결용 앵글 구조체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면서도 불필요한 돌출 부위 없이 3방향의 프레임 연결이 가능하여 배전반 조립 후 내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어 구조물의 배치나 외부 연결에 제약이 없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전반을 조립하기 위한 종단, 횡단, 수직 프레임이 체결되는 체결면들이 서로 동일한 폭을 가져 전체적으로 동일한 폭을 가진 종단, 횡단, 수직 프레임의 체결이 가능하여 안정적 구조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 앵글 부재의 상부로 인양 고리판이 일체로 형성되어 노출되게 되므로 조립 후 배전반의 운송이나 위치 교정시 크레인 와이어 등이 인양 고리에 삽 입될 수 있어 배전반의 해체 없이도 자유로운 위치 이동 및 교정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일체형으로 형성되면서도 불필요한 돌출 부위 없이 3방향의 프레임 연결이 가능하며 인양 고리를 통해 설치 및 운송을 용이하게 하는 배전반 프레임 연결용 앵글 구조체를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체적인 배전반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를 이루는 배전반은 종단 프레임(5), 횡단 프레임(6) 및 수직 프레임(7)이 각 코너에 구비되는 하나의 앵글 부재에 체결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이러한 앵글 부재는 육면체의 각 코너 위치(6개의 코너 위치)에서 각각 3 방향의 프레임(5, 6, 7) 끝단이 체결될 수 있도록 제 1 앵글 부재(1), 제 2 앵글 부재(2), 제 3 앵글 부재(3) 및 제 4 앵글 부재(4)로 구분된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각각의 앵글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으로, 육면체의 8 개 모서리에 설치되는 4 가지 타입의 앵글(제 1 앵글 부재(1), 제 2 앵글 부재(2), 제 3 앵글 부재(3) 및 제 4 앵글 부재(4))이 각각 사시도로서 도시되 어 있다.
본 발명의 앵글(1, 2, 3, 4)은 종단 프레임(5)이 설치되는 제 1 체결면(21), 횡단 프레임(6)이 설치되는 제 2 체결면(22) 그리고 수직 프레임(7)이 체결되는 제 3 체결면(23)이 구비된다.
우선, 상기 제 2 체결면(22)과 제 3 체결면(23)은 서로 직각을 이루게 직각 방향으로 돌출된 판으로 체결력 강화를 위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체결면(21)은 상기 제 3 체결면(23)의 면상에 직각방향 절곡되어 세워진 판으로, 체결력 강화를 위하여 2 개의 삼각 형상의 종단바 지지판(11)이 체결면의 반대면에 세워져 지지된다.
이때, 상기 종단바 지지판(11)은 직각 삼각형의 형상으로 성형되며, 직각을 이루는 내각의 양면이 각각 제 3 체결면(23)과 제 1 체결면(21)에 설치되어 제 1 체결면(21)의 직각 상태를 지지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종단바 지지판(11)의 직각을 이루는 양면에 형성된 돌출 끼움구를 통해 상기 제 3 체결면(23) 및 제 1 체결면(21)에 설치되는 것이 좋으며, 별도의 접합 보조 수단(예컨데, 용접)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 1 체결면(21), 제 2 체결면(22) 및 제 3 체결면(23)은 양 단부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에 있는 채널 형강 프레임인 종단 프레임(5), 횡단 프레임(6) 및 수직 프레임(7)의 홈형의 단면과 마주한 상태로 결합하게 되며, 이러한 결합을 지지하기 위해 프레임의 홈에는 면상의 너트보(30)(도 6 참조)가 삽입되어 전체 결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제 1 체결면(21), 제 2 체결면(22) 및 제 3 체결면(23)에 대하여 살펴보면, 체결면의 돌출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는 프레임측의 너트보(30)에 형성된 끼움홀(33)(도 7 참조)에 삽입가능한 돌출구(13)가 일렬로 나란하게 형성되며, 그 인접한 돌출 끝단측과 체결면의 돌출 방향을 따라 중앙으로는 프레임측의 너트보(30)에 형성된 체결공(34)과 상응되는 체결공(14)이 다수 형성된다.
이때, 체결면(21, 22, 23)에 형성되는 상기 돌출구(13)는 프레임측 너트보(30)의 끼움홀(33)에 삽입되는 속이 찬 돌출 부재이지만, 상기 체결공(14)은 내부에 체결볼트가 체결될 수 있게 중공된 형태를 가진다.
여기에서 제 2 체결면(22)과 제 3 체결면(23)은 일체형으로 형성된 'ㄴ'자 형의 판형 부재이며, 이와 결합되는 제 1 체결면(21)은 제 2 체결면(22)과 제 3 체결면(23)에서 프레임 체결이 이루어지지 않는 배면상에 세워져 설치되며 제 3 체결면(23)과 면상으로 직각을 이루게 된다.
상기 제 1 체결면(21), 제 2 체결면(22) 및 제 3 체결면(23)은 프레임과 체결하기 위해 돌출된 면이 서로 동일한 폭을 가져 굳이 수직 프레임(7)(또는 다른 프레임)을 폭이 좁은 것을 채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배전반 구조가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너트보(30)는 프레임(5, 6, 7)의 홈에 삽입되어 프레임(5, 6, 7)과 체결면(21, 22, 23)의 결합을 보조하게 되는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면(21, 22, 23)과 마주하는 면에는 양측으로 체결면에 형성된 돌출구(13)가 삽입가능한 끼움홀(33)이 일렬로 나란하게 형성되며, 그 인접한 끝단측과 중앙으로는 체결면에 형성된 체결공(14)과 상응되는 체결공(34)이 다수 형성된다.
이때, 너트보(30)에 형성되는 상기 끼움홀(33)은 상기 체결면측의 돌출구(13)가 삽입되는 중공 형태이지만, 상기 체결공(34)은 내부가 중공된 상태에서 돌출되어 볼트 체결용 나사선의 증가를 이루게 된다.
여기에서 양 단부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에 있는 채널 형강 프레임인 상기 프레임(5, 6, 7)의 양 단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상술한 체결면측의 돌출구(13)나 체결공(14, 34)에 삽입되는 볼트가 관통될 수 있게 제공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제 1 앵글 부재(1) 및 제 2 앵글 부재(2)는 전체 배전반의 하부 코너에 위치되지만, 제 4 및 도 5에 도시된 제 3 앵글 부재(3) 및 제 4 앵글 부재(4)는 배전반의 상부 코너에 위치되게 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앵글 부재(1, 2)는 제 2 체결면(22)과 제 3 체결면(23)은 일체형으로 형성된 'ㄴ'자 형의 판형 부재로 이루어지지만, 제 3 및 제 4 앵글 부재(3, 4)는 인양 고리판(16)이 더해져 'T'자 형의 판형 부재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인양 고리판(16)은 상기 제 3 체결면(23)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돌출된 판형의 부재로, 원형의 인양홀(17)이 형성된다. 이러한 인양 고리판(16)은 결합설치시 배전반의 상부로 노출되게 되고 조립 후 배전반의 운송이나 위치 교정시 해당 홀(17)에는 크레인 와이어 등이 삽입될 수 있어 배전반의 해체 없이도 자유로운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제 도 7을 참조하여 이러한 각각의 체결면(21, 22, 23)과 각각의 프레임(5, 6, 7) 간의 결합 상태를 살펴본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체결면(23)에는 수직 프레임(7)이 세워져 면접촉하게 되며 이러한 수직 프레임(7)의 길이방향 홈에는 너트보(30)가 삽입되어 수직 프레임(7)의 홀을 매개로 하여 돌출구(13)와 끼움홀(33)이 끼워지고 체결면(23)의 체결공(14)과 너트보(30)의 체결공(34)이 수직 프레임(7)의 홀을 매개로 하여 맞추어진 상태에서 볼트가 조여져 앵글 부재와 수직 프레임(7)의 체결이 완료되게 된다.
또한, 제 1 체결면(21)에는 종단 프레임(5)이 얹여지게 되며 이러한 종단 프레임(5)의 길이방향 홈에는 너트보(30)가 삽입되어 종단 프레임(5)의 홀을 매개로 하여 돌출구(13)와 끼움홀(33)이 끼워지고 체결면(21)의 체결공(14)과 너트보(30)의 체결공(34)이 종단 프레임(5)의 홀을 매개로 하여 맞추어진 상태에서 볼트가 조여져 앵글 부재와 종단 프레임(5)의 체결이 완료되게 된다.
또한, 제 2 체결면(22)에는 횡단 프레임(6)이 면접촉하게 되며 이러한 횡단 프레임(6)의 길이방향 홈에는 너트보(30)가 삽입되어 횡단 프레임(6)의 홀을 매개로 하여 돌출구(13)와 끼움홀(33)이 끼워지고 체결면(23)의 체결공(14)과 너트보(30)의 체결공(34)이 횡단 프레임(6)의 홀을 매개로 하여 맞추어진 상태에서 볼트가 조여져 앵글 부재와 횡단 프레임(6)의 체결이 완료되게 된다.
이때, 이러한 결합시 상기 횡단 프레임(6)의 결합 말단은 수직 프레임(7)의 측면에 맞닿게 되며, 따라서 전체 결합면적에 있어서 앵글 부재와 프레임의 결합은 수직 프레임(7)에게 보다 많이 할당되게 되어 배전반 구조의 수직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 프레임(7)이 결합되는 제 3 체결면(23)은 상기 제 1 체결면(21)이 세워지는 위치까지가 아닌 해당 제 1 체결면이 세워지는 기다란 면의 배면 전체 즉 종단 프레임(5)의 끝단이 마주하는 위치까지도 그 체결 대상 면적으로 하기 때문에 다른 제 1 체결면(21)이나 제 2 체결면(22)과 달리 더 긴 직사각형의 체결 면적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앵글 부재에 대하여 수직 프레임(7)의 체결 면적이 가장 넓게 되는 것이다.
이때, 해당 제 3 체결면(23)에서 프레임 돌출구(12)는 너트보(30)와 관계없이 해당 수직 프레임(7)의 말단 홀에 직접 끼워지게 되며, 수직 프레임(7)의 홈에 삽입되는 너트보(30)는 말단에서 소정 깊이 후퇴한 위치에서 제 3 체결면(23)과 결합하게 된다.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각각의 체결면과 너트보가 프레임을 매개로 하여 결합되는 상황이 도시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체결면(21, 22, 23)은 양 단부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에 있는 채널 형강 프레임인 상기 프레임(5, 6, 7)의 홈형의 단면과 마주한 상태로 결합하게 되며, 이러한 결합을 지지하기 위해 프레임의 홈에는 면상의 너트보(30)가 삽입되어 전체 결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체결면에 형성된 돌출구(13)는 프레임의 홀을 관통하여 너트보의 끼움 홀(33)에 삽입되어 끼워진다.
그리고, 너트보(30)에 형성된 체결공(34)은 프레임의 홀을 관통하여 체결면의 체결공(14)에 맞추어지며 볼트가 조여져 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너트보의 체결공(34)에는 안쪽으로 나사선이 형성되어 볼트의 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적인 배전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앵글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앵글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 앵글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4 앵글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너트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앵글 부재와 프레임 간의 결합 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앵글 부재와 프레임 간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Claims (7)

  1. 육면체의 배전반에서 각 코너에 위치되어 종단 프레임(5), 횡단 프레임(6) 및 수직 프레임(7)을 상호 연결시키는 배전반 프레임 연결용 앵글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의 하부 코너에 위치되며, 제 2 체결면(22)과 제 3 체결면(23)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ㄴ'자 형의 판형 부재이고, 제 1 체결면(21)이 제 2 체결면(22)과 제 3 체결면(23)에서 프레임 체결이 이루어지지 않는 배면상에 세워져 설치되며 제 3 체결면(23)과 면상으로 직각을 이루게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앵글 부재(1, 2); 및
    상기 배전반의 상부 코너에 위치되며, 제 2 체결면(22), 제 3 체결면(23) 및 인양 고리판(16)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T'자 형의 판형 부재이고, 제 1 체결면(21)이 제 2 체결면(22)과 제 3 체결면(23)에서 프레임 체결이 이루어지지 않는 배면상에 세워져 설치되며 제 3 체결면(23)과 면상으로 직각을 이루게 형성되는 제 3 및 제 4 앵글 부재(3, 4); 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체결면(21), 제 2 체결면(22) 및 제 3 체결면(23)은 프레임과 체결되기 위한 돌출면의 폭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프레임 연결용 앵글 구조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체결면(21)은 상기 제 3 체결면(23)의 면상에 직각방향 절곡되어 세워진 판으로, 삼각 형상의 종단바 지지판(11)이 세워져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프레임 연결용 앵글 구조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면(21, 22, 23)과 프레임(5, 6, 7)의 체결 시 해당 프레임의 길이방향 홈에는 면상의 너트보가 삽입되며 상기 프레임의 홀을 매개하여 체결면과 너트보가 체결됨으로써 체결면과 프레임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프레임 연결용 앵글 구조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면(21, 22, 23)에는 프레임(5, 6, 7) 측의 너트보(30)에 형성된 끼움홀(33)에 삽입가능한 돌출구(13)가 다수 형성되고, 프레임(5, 6, 7) 측의 너트보(30)에 형성된 체결공(34)과 상응되는 체결공(14)이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프레임 연결용 앵글 구조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면(21, 22, 23)에 형성되는 상기 돌출구(13)는 프레임측 너트보(30)의 끼움홀(33)에 삽입되는 속이 찬 돌출 부재이고, 상기 체결공(14)은 내부에 체결볼트가 체결될 수 있게 중공된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프레임 연결용 앵글 구조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보(30)에 형성되는 상기 끼움홀(33)은 상기 체결면측의 돌출구(13)가 삽입되는 중공 형태이고, 상기 체결공(34)은 내부가 중공된 상태에서 돌출되어 내부에 체결볼트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프레임 연결용 앵글 구조체.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합시 상기 횡단 프레임(6)의 결합 말단은 수직 프레임(7)의 측면에 맞닿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프레임 연결용 앵글 구조체.
KR1020080051498A 2008-06-02 2008-06-02 배전반 프레임 연결용 앵글 구조체 KR100947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498A KR100947112B1 (ko) 2008-06-02 2008-06-02 배전반 프레임 연결용 앵글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498A KR100947112B1 (ko) 2008-06-02 2008-06-02 배전반 프레임 연결용 앵글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5401A KR20090125401A (ko) 2009-12-07
KR100947112B1 true KR100947112B1 (ko) 2010-03-10

Family

ID=41686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1498A KR100947112B1 (ko) 2008-06-02 2008-06-02 배전반 프레임 연결용 앵글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711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0917B1 (ko) 2014-05-08 2017-10-26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반장치용 케이스
KR101835722B1 (ko) 2017-10-25 2018-03-07 선도전기주식회사 수배전반용 조립식 프레임
KR20190001060U (ko) 2017-10-25 2019-05-07 선도전기주식회사 수배전반용 프레임 연결 브래킷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827B1 (ko) * 2009-03-05 2011-04-15 (주)상아프론테크 액정표시장치 글래스 적재용 카세트의 육면체 틀구조
KR101371679B1 (ko) * 2012-06-07 2014-03-07 주식회사유성계전 투명 배전함
KR101332197B1 (ko) * 2012-07-30 2013-11-25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컨트롤 캐비닛용 골조
CN104466710B (zh) * 2014-12-17 2017-10-10 江苏成城电气有限公司 一种全组装的开关柜柜体
CN107758044A (zh) * 2017-10-11 2018-03-06 宁乡远大住宅工业有限公司 预制构件用运输架
CN111049008A (zh) * 2019-12-02 2020-04-21 贵州盛祥鸿电气设备有限公司 一种螺丝组装式箱变柜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7818A (ja) * 1995-02-24 1996-09-13 Ota Seisakusho:Kk フレーム組立用隅金具、フレーム及びフレームの組立方法
KR200207224Y1 (ko) 2000-04-17 2000-12-15 이민구 배전반함 골격 후레임 연결구
KR100629901B1 (ko) 2005-08-22 2006-10-02 송은영 알루미늄 조립식 배전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7818A (ja) * 1995-02-24 1996-09-13 Ota Seisakusho:Kk フレーム組立用隅金具、フレーム及びフレームの組立方法
KR200207224Y1 (ko) 2000-04-17 2000-12-15 이민구 배전반함 골격 후레임 연결구
KR100629901B1 (ko) 2005-08-22 2006-10-02 송은영 알루미늄 조립식 배전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0917B1 (ko) 2014-05-08 2017-10-26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반장치용 케이스
KR101835722B1 (ko) 2017-10-25 2018-03-07 선도전기주식회사 수배전반용 조립식 프레임
KR20190001060U (ko) 2017-10-25 2019-05-07 선도전기주식회사 수배전반용 프레임 연결 브래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5401A (ko) 2009-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7112B1 (ko) 배전반 프레임 연결용 앵글 구조체
WO2010024154A1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取付構造及び太陽電池装置
US20180148919A1 (en) Anchoring and attachment assembly for modular constructions
US20190226201A1 (en) Structural member joint and structure
US8381467B2 (en) Item of wall-like standing furniture
JP2005139623A (ja) 補強梁およびその補強梁を備えたユニット式建物
KR20180001758A (ko) 건축용 고정부재
KR200417902Y1 (ko) 타워 크레인의 앵커 프레임 조립체
KR102303740B1 (ko) 케이블 트레이
JP5371390B2 (ja) 建物ユニットの補強構造及びユニット建物
JP2004108141A (ja) 構造用接合金物
KR100878183B1 (ko) 물탱크용 기초 프레임
KR20100005039U (ko) 케이블 트레이
JP2007161438A (ja) ラック
JP4854310B2 (ja) ユニット建物
KR200489954Y1 (ko) 수배전반용 프레임 연결 브래킷
US10961697B2 (en) Metal reinforcement fitting and method for reinforcing wooden building component
JP5320220B2 (ja) 柱省略仕口構造、柱省略建物ユニット、及びユニット建物
KR20190083709A (ko) 케이블 트레이
KR100668593B1 (ko) 타워 크레인의 앵커 프레임 조립체
JP4526067B2 (ja) キャビネット用取付金具
JP6520476B2 (ja) コンテナ用連結具およびコンテナ連結体
JP5684648B2 (ja) ユニット住宅
JPH069131Y2 (ja) 柱と梁との接合構造
JP3766774B2 (ja) 補強梁およびユニット式建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