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9798B1 - 강판 조립 합성보 - Google Patents

강판 조립 합성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9798B1
KR101469798B1 KR1020130083520A KR20130083520A KR101469798B1 KR 101469798 B1 KR101469798 B1 KR 101469798B1 KR 1020130083520 A KR1020130083520 A KR 1020130083520A KR 20130083520 A KR20130083520 A KR 20130083520A KR 101469798 B1 KR101469798 B1 KR 101469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web plates
composite beam
pair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3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우
이승환
Original Assignee
이승우
이승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우, 이승환 filed Critical 이승우
Priority to KR1020130083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97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9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9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4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box-gird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4Columns; Pillars; Struts of concrete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permanent form elements,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 e.g. metal cove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체 자체에 먼지가 쌓이는 부분을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클린룸에 적용할 수 있고, 최외각 합성보로 이용할 경우 보 측면에 직접 외부 마감재를 부착할 있는 강판 조립 합성보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콘크리트가 채워지도록 복수의 강판을 조립하여 형성되는 합성보에 관한 것으로서, 상호 일정한 거리가 이격되도록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웨브 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웨브 플레이트의 하부에 웨브 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도록 결합되어 합성보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하부 플랜지;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웨브 플레이트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상단이 보 내측 또는 외측으로 수평 절곡된 상부 플랜지가 구비되고, 상기 웨브 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웨브 플레이트의 하단이 하부 플랜지 하부로 일정 길이 돌출되도록 하부 플랜지 측면에 용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강판 조립 합성보{Composite beam with built-up steel plate}
본 발명은 구조체 자체에 먼지가 쌓이는 부분을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클린룸에 적용할 수 있고, 최외각 합성보로 이용할 경우 보 측면에 직접 외부 마감재를 부착할 있는 강판 조립 합성보에 대한 것이다.
합성보(composite beam)는 콘크리트 슬래브와 철골보를 전단연결재로 연결하여 외력에 대한 구조체의 거동을 일체화시킨 구조를 뜻하는 것으로, 종래 기존의 철골 합성보와는 달리 강판이나 각종 형강 부재들을 볼팅 또는 용접 등의 접합 방식으로 조립하고 내부를 콘크리트로 채운 형태의 합성 조립보가 개발되어 클린룸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클린룸(Clean Room)이란 실내 공기 중에 존재하는 먼지 미립자뿐만 아니라 온도, 습도, 압력, 진동 등을 일정한 범위 내로 유지하기 위하여 환경적으로 제어되는 밀폐된 공간을 일컫는다.
이중 산업용 클린룸(Industrial Clean Room; ICR)은 먼지 등 미립자 제어를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실내에 떠다니는 미립자가 제품에 부착되면 제품의 불량 초래 및 신뢰성 하락과 생산 수율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공장 전체 또는 필요 작업장을 청정도가 높은 클린룸으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도 1과 같이 종래 하부 플랜지(20) 상부에 한 쌍의 웨브 플레이트(10)를 용접 결합한 형태의 합성보는 충분한 용접살을 확보하기 위하여 하부 플랜지(20)가 웨브 플레이트(10) 측면으로 일정 거리 돌출되도록 접합된다. 따라서 하부 플랜지(20) 상부에 먼지(D)가 쌓이는 문제를 안고 있어, 클린룸을 위한 최적의 공법이라고 보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나의 강판을 절곡하여 하부 플랜지와 웨브 플레이트를 일체로 형성한 합성보를 고려해 볼 수 있으나, 보의 규모가 큰 경우에는 강판 절곡 장비의 한계로 강판을 절곡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결국 도 1에서와 같이 복수 개의 강판을 용접한 조립보(built-up) 형태로 제작을 하여야만 한다.
따라서 클린룸의 경우 강판을 용접한 조립보를 이용하면서, 구조체 자체에 먼지(D)가 쌓이는 부분을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합성보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한편, 도 2는 종래 최외각 합성보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벽체(3)와 접하도록 배치되는 최외각 합성보는 하부 플랜지(20) 상면에 웨브 플레이트(10)를 용접한 종래 도 1과 같은 합성보를 이용할 경우, 웨브 플레이트(10) 외측으로 돌출된 하부 플랜지(20) 부분으로 인하여 외부 마감재(F)를 보 측면에 바로 부착하기 어렵다.
따라서 보 측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거리에 마감재(F)를 부착하여야 하므로, 스페이서 등의 부자재가 필요하게 되어 부자재 시공에 따른 작업량 증가, 공기 증가, 공사비 증가 등의 문제를 수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조체 자체에 먼지가 쌓이는 부분을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강판 조립 합성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최외각 합성보의 웨브 플레이트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없어, 보 측면에 외부 마감재를 직접 부착할 있는 강판 조립 합성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내부에 콘크리트가 채워지도록 복수의 강판을 조립하여 형성되는 합성보에 관한 것으로서, 상호 일정한 거리가 이격되도록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웨브 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웨브 플레이트의 하부에 웨브 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도록 결합되어 합성보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하부 플랜지;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웨브 플레이트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상단이 보 내측 또는 외측으로 수평 절곡된 상부 플랜지가 구비되고, 상기 웨브 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웨브 플레이트의 하단이 하부 플랜지 하부로 일정 길이 돌출되도록 하부 플랜지 측면에 용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조립 합성보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상부 플랜지가 양측 웨브 플레이트 상단에 모두 형성되고, 서로 같은 방향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조립 합성보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한 쌍의 웨브 플레이트 중 일측 웨브 플레이트는 타측 웨브 플레이트보다 높이가 높아 합성보 양측에 결합되는 슬래브의 단차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조립 합성보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한 쌍의 웨브 플레이트의 내측에는 웨브 플레이트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폭 지지구가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조립 합성보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폭 지지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양중 러그 체결을 위한 체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조립 합성보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하부 플랜지 측면에 웨브 플레이트를 결합함으로써, 웨브 플레이트 측면으로 돌출된 부분이 없어 구조체 자체에 먼지가 쌓이는 부분을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강판 조립 합성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강판 용접 조립보를 보의 크기와 무관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클린룸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청정한 클린룸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최외각 합성보의 웨브 플레이트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없어, 보 측면에 외부 마감재를 직접 부착할 있다.
따라서 종래 합성보와는 달리 외부 마감재 부착을 위한 스페이서 등의 부자재가 불필요하여, 부자재 시공에 따른 작업량, 공기 및 공사비 증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합성보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종래 최외각 합성보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 강판 조립 합성보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각각 본 발명 강판 조립 합성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강판 조립 합성보가 이용된 최외각 보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강판 조립 합성보가 이용된 최외각 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각각 본 발명 강판 조립 합성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1은 폭 지지구가 구비된 본 발명 강판 조립 합성보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 강판 조립 합성보(1)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강판 조립 합성보(1)는 내부에 콘크리트가 채워지도록 복수의 강판을 조립하여 형성되는 합성보(1)에 관한 것으로서, 상호 일정한 거리가 이격되도록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웨브 플레이트(10); 및 상기 한 쌍의 웨브 플레이트(10)의 하부에 웨브 플레이트(10)를 서로 연결하도록 결합되어 합성보(1)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하부 플랜지(2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웨브 플레이트(10)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상단이 보 내측 또는 외측으로 수평 절곡된 상부 플랜지(11)가 구비되고, 상기 웨브 플레이트(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웨브 플레이트(10)의 하단이 하부 플랜지(20) 하부로 일정 길이 돌출되도록 하부 플랜지(20) 측면에 용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웨브 플레이트(10)는 서로 평행하게 한 쌍 구비되며, 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하부 플랜지(20) 측면에 용접 결합된다.
이로써 적어도 일측 웨브 플레이트(10)는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없어 하부 플랜지(20) 상면에 먼지가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하부 플랜지(20) 하부로 돌출된 웨브 플레이트(10) 부분과 하부 플랜지(20) 사이에 용접살을 채워 넣어 충분한 용접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웨브 플레이트(10)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없어 최외각 보의 웨브 플레이트(10) 측면에 직접 외부 마감재(F)를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마감재(F) 시공이 간편하다.
상기 웨브 플레이트(10)는 상단이 내측 또는 외측으로 수평 절곡된 상부 플랜지(11)를 구비하며, 상부 플랜지(11) 상부에 데크 플레이트(4)를 거치한 다음 슬래브(2)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플랜지(11) 상부에 스터드 등과 같은 전단연결재(S)를 부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상기 웨브 플레이트(10)는 하부 플랜지(20) 양 측면에 각각 결합되었으며, 상부 플랜지(11)는 웨브 플레이트(10)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수평 절곡되었다.
또한, 도 4의 실시예에서 상기 웨브 플레이트(10)는 하부 플랜지(20) 양 측면에 각각 결합되었으며, 도 4의 (a)와 도 4의 (b)에서 상부 플랜지(11)는 웨브 플레이트(10)의 상단에서 각각 외측과 내측으로 수평 절곡되었다.
상기와 같이 한 쌍의 웨브 플레이트(10)와 하부 플랜지(20)가 결합되어 외면을 이루는 강판 내부에 콘크리트를 채워넣어 합성보(1)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강판 내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는 전부 공장 선타설하거나 또는 전부 현장 타설하거나 또는 일부는 공장 타설하고 접합부는 현장 타설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본 발명 강판 조립 합성보(1)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강판 조립 합성보(1)가 이용된 최외각 보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7의 실시예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강판 조립 합성보(1)에서 상기 상부 플랜지(11)는 같은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특히, 최외각 보에서 도 7에서와 같이 외부측 웨브(10)의 상부를 상부 플랜지(11)를 구조물 내측으로 절곡하는 경우, 외부 마감재(F)와 상부 플랜지(11)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벽체(3)까지 연장되는 수직철근(5) 배근시 웨브 플레이트(10) 또는 상부 플랜지(11)와의 간섭 없이 합성보(1) 내부에 수직철근(5)을 배근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의 실시예에서 각 합성보(1)를 구성하는 한 쌍의 상부 플랜지(11)는 모두 동일한 방향인 왼쪽으로 수평 절곡되었다.
이중, 도 6의 (a)의 실시예에서는 하부 플랜지(20) 양 측면에 웨브 플레이트(10)가 용접 결합되었다. 그리고 도 5, 도 6의 (b), 도 7의 실시예에서는 일측 웨브 플레이트(10)만 하부 플랜지(20) 일측면에 용접 결합되었으며, 타측 웨브 플레이트(10)는 하단에 하측 절곡부(12)를 형성한 채 하부 플랜지(20) 상면에 용접 결합되었다.
도 5, 도 6의 (b), 도 7의 실시예의 경우, 하부 절곡부(12)의 라운드진 부분과 하부 플랜지(20) 사이에 용접살을 채우기 위한 충분한 공간이 있으므로, 일측 웨브 플레이트(10)의 용접만으로도 웨브 플레이트(10)와 하부 플랜지(20) 간의 충분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 강판 조립 합성보(1)가 이용된 최외각 보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합성보와는 달리 한 쌍의 웨브 플레이트(10)중 한 쪽 웨브 플레이트(10) 상단에만 상부 플랜지(11)를 형성할 수 있다.
도 8은 내측 웨브 플레이트(10) 상단에만 상부 플랜지(11)를 형성하여 데크 플레이트(4) 등을 설치하고, 외측 웨브 플레이트(10)에는 상부 플랜지(11) 없이 웨브 플레이트(10) 내측으로 전단연결재(S)를 연결하여 내부 콘크리트와 일체화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벽체 철근(5) 배근 시 상부 플랜지(11)에 의한 간섭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최상층 슬래브의 경우 웨브 플레이트(10)가 슬래브의 마구리 거푸집 역할을 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각각 본 발명 강판 조립 합성보(1)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의 실시예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한 쌍의 웨브 플레이트 중 일측 웨브 플레이트(10a)는 타측 웨브 플레이트(10b)보다 높이가 높아 합성보(1) 양측에 결합되는 슬래브의 단차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합성보(1) 양측에 두께가 얇은 슬래브(2a)와 두꺼운 슬래브(2b)가 위치되어 인접 슬래브(2)에 단차부가 생기는 경우에는 웨브 플레이트의 높이를 다르게 하여 이들 단차부로 인한 슬래브(2)의 높이 차이를 합성보(1) 부분에서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1은 폭 지지구(30)가 구비된 본 발명 강판 조립 합성보(1)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한 쌍의 웨브 플레이트(10) 내측에는 웨브 플레이트(10)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폭 지지구(30)가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폭 지지구(30)는 도 11의 (a)와 같은 평판, 도 11의 (b)와 같은 ㄱ형강, 도 11의 (c)와 같은 ㄷ형강 등 강재의 대면하는 양단을 웨브 플레이트(10) 내측에 용접 결합하거나, 도면에는 미도시되었으나 철근 양단을 웨브 플레이트(10) 내측에 용접 결합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폭 지지구(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양중 러그 체결을 위한 체결공(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공(31)은 섀클(shackle) 등 양중 장비와 체결되는 부분으로, 본 발명 강판 조립 합성보(1)를 일반적인 양중 장비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양중 가능하도록 한다.
도 11의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공(31)은 각 폭 지지구(30)의 중앙에 1개소 형성되었으나, 각 폭 지지구(30)에 다수 개 형성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체결공(31)이 무게중심 위치에 오도록 구성하여, 양중시 본 발명 강판 조립 합성보(1)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1: 합성보 2, 2a, 2b: 슬래브
3: 벽체 4: 데크 플레이트
5: 수직철근 10, 10a, 10b: 웨브 플레이트
11: 상부 플랜지 12: 하측 절곡부
20: 하부 플랜지 30, 30a, 30b, 30c: 폭 지지구
31: 체결공 D: 먼지
F: 마감재 S: 전단연결재

Claims (5)

  1. 내부에 콘크리트가 채워지도록 복수의 강판을 조립하여 형성되는 합성보(1)에 관한 것으로서,
    상호 일정한 거리가 이격되도록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웨브 플레이트(10); 및
    상기 한 쌍의 웨브 플레이트(10)의 하부에 웨브 플레이트(10)를 서로 연결하도록 결합되어 합성보(1)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하부 플랜지(2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웨브 플레이트(10)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상단이 보 내측 또는 외측으로 수평 절곡된 상부 플랜지(11)가 구비되고,
    상기 웨브 플레이트(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웨브 플레이트(10)의 하단이 하부 플랜지(20) 하부로 일정 길이 돌출되도록 하부 플랜지(20) 측면에 용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조립 합성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랜지(11)는 양측 웨브 플레이트(10) 상단에 모두 형성되고, 서로 같은 방향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조립 합성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웨브 플레이트 중 일측 웨브 플레이트(10a)는 타측 웨브 플레이트(10b)보다 높이가 높아 합성보(1) 양측에 결합되는 슬래브의 단차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조립 합성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웨브 플레이트(10)의 내측에는 웨브 플레이트(10)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폭 지지구(30)가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조립 합성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폭 지지구(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양중 러그 체결을 위한 체결공(3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조립 합성보.
KR1020130083520A 2013-07-16 2013-07-16 강판 조립 합성보 KR101469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520A KR101469798B1 (ko) 2013-07-16 2013-07-16 강판 조립 합성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520A KR101469798B1 (ko) 2013-07-16 2013-07-16 강판 조립 합성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9798B1 true KR101469798B1 (ko) 2014-12-05

Family

ID=52677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3520A KR101469798B1 (ko) 2013-07-16 2013-07-16 강판 조립 합성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979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8794B1 (ko) * 2015-02-10 2016-05-09 (주)센벡스 강판 조립 합성보
KR101623901B1 (ko) * 2015-02-09 2016-05-24 (주)씨지스플랜 흙막이 벽체 연결 구조
US9909308B2 (en) 2015-02-16 2018-03-06 Yong Keun KWON Composite beam having truss reinforcement embedded in concrete
KR20190069934A (ko) 2017-12-12 2019-06-20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역u형 덮개의 측관통구에 앵커 걸림턱을 갖는 합성보
KR102120884B1 (ko) 2020-01-03 2020-06-09 백승철 Rc 벽체와 합성보 간 접합구조가 개선된 건축 구조물 시공방법
KR20210072592A (ko) * 2019-12-09 2021-06-17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중간종대와 중간횡대를 이용한 트러스 슬림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0834A (ko) * 2004-10-06 2006-04-11 이창남 병목형 상부 플랜지 tsc보
KR20060090405A (ko) * 2005-02-05 2006-08-11 유성근 평판형 쉬어코넥터를 갖는 강재 영구거푸집 보 및 그를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KR20080109958A (ko) * 2007-06-14 2008-12-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에이치형강과 성형강판을 이용한 층고절감형 강-콘크리트합성보-슬래브용 성형강판 조립 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0834A (ko) * 2004-10-06 2006-04-11 이창남 병목형 상부 플랜지 tsc보
KR20060090405A (ko) * 2005-02-05 2006-08-11 유성근 평판형 쉬어코넥터를 갖는 강재 영구거푸집 보 및 그를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KR20080109958A (ko) * 2007-06-14 2008-12-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에이치형강과 성형강판을 이용한 층고절감형 강-콘크리트합성보-슬래브용 성형강판 조립 보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3901B1 (ko) * 2015-02-09 2016-05-24 (주)씨지스플랜 흙막이 벽체 연결 구조
KR101618794B1 (ko) * 2015-02-10 2016-05-09 (주)센벡스 강판 조립 합성보
US9909308B2 (en) 2015-02-16 2018-03-06 Yong Keun KWON Composite beam having truss reinforcement embedded in concrete
KR20190069934A (ko) 2017-12-12 2019-06-20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역u형 덮개의 측관통구에 앵커 걸림턱을 갖는 합성보
KR20210072592A (ko) * 2019-12-09 2021-06-17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중간종대와 중간횡대를 이용한 트러스 슬림보
KR102278451B1 (ko) * 2019-12-09 2021-07-19 목포대학교 산학협력단 중간종대와 중간횡대를 이용한 트러스 슬림보
KR102120884B1 (ko) 2020-01-03 2020-06-09 백승철 Rc 벽체와 합성보 간 접합구조가 개선된 건축 구조물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9798B1 (ko) 강판 조립 합성보
KR101544803B1 (ko) 절곡강판 합성보의 기둥 접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2011127278A (ja) 鋼製耐震壁、及び当該鋼製耐震壁を有する建物
KR101384706B1 (ko) 철골보 접합부
US10280568B2 (en) Field-assembly concrete dowel basket
KR101381281B1 (ko) 고정브라켓-접합식 모듈러 건축물
KR101785721B1 (ko) 데크플레이트용 스페이서
KR20200114876A (ko) 모듈화된 리브보강 ㄷ강판과 클립강판을 이용한 보 강판거푸집
KR101560908B1 (ko) 개방형 강구조체의 접합부
KR101222206B1 (ko) 절곡강판형 강재 보와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
WO2016043386A1 (ko) 합성 트러스 탈형보용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합성 트러스 탈형보
KR20190012766A (ko) 탑u형 래티스 합성보
KR101222320B1 (ko) ㄷ자형 부재와 역티자형 부재를 조립한 강재 보와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
JP5460368B2 (ja) 補強用コンクリート型枠構造
WO2013145726A1 (ja) 床材及びこの床材を組み合わせた路面の床構造
KR102140099B1 (ko) 연결바로 조립된 탄성받침 및 그 교체방법
KR101482977B1 (ko) 내부 돌출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JP7070890B2 (ja) 仕口部構造
KR101720103B1 (ko) 건축 구조물용 합성보
KR101482979B1 (ko) 내부 전단 연결부가 형성된 덮개를 구비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및 이를 이용한 구조 시스템
JP2011127279A (ja) 波形鋼板耐震壁、及び該波形鋼板耐震壁を有する建物
KR20190124561A (ko) 기둥부재와 와이드보의 접합구조 및, 바닥구조체
KR20150088049A (ko) 비정형 콘크리트구조물 성형용 스틸폼 구조체
JP2015190296A (ja) H形鋼および柱梁接合構造
JP4854310B2 (ja) ユニット建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