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2206B1 - 절곡강판형 강재 보와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 - Google Patents
절곡강판형 강재 보와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22206B1 KR101222206B1 KR1020100090790A KR20100090790A KR101222206B1 KR 101222206 B1 KR101222206 B1 KR 101222206B1 KR 1020100090790 A KR1020100090790 A KR 1020100090790A KR 20100090790 A KR20100090790 A KR 20100090790A KR 101222206 B1 KR101222206 B1 KR 1012222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ck plate
- bent
- bent steel
- concrete
- beam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17—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 E04B5/23—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with stiffening ribs or other beam-like formations wholly or partly prefabricated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17—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 E04B5/23—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with stiffening ribs or other beam-like formations wholly or partly prefabricated
- E04B5/29—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with stiffening ribs or other beam-like formations wholly or partly prefabricated the prefabricated parts of the beams consisting wholly of meta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04B5/40—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with metal form-slab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3/06—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substantially solid, i.e. unapertured, web
- E04C3/07—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substantially solid, i.e. unapertured, web at least partly of bent or otherwise deformed strip- or sheet-lik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내부에 제1 콘크리트 수용공간을 가지는 하부 플랜지와 제1 콘크리트 수용공간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 콘크리트 수용공간을 내부에 가지는 한 쌍의 웨브 및 한 쌍의 웨브의 상단에서 각각 수평하게 연장되어 고정면을 제공하는 한 쌍의 상부 플랜지를 갖도록 하나의 강판을 절곡하여 형성된 절곡강판형 강재 보; 절곡강판형 강재 보의 상부 플랜지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한 폭방향으로 일정 길이가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다수 개의 고정부재; 바닥면과, 바닥면의 폭방향으로 양쪽 끝단에서 연장된 2개의 측면과, 각각의 측면 끝 부분에 연장된 연결 단부로 구성되어 한쪽 면이 개방된 단면형상을 가지고 고정부재의 돌출된 부분에 바닥면이 거치되어 절곡강판형 강재 보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한 폭방향으로 양쪽에 매달리고 연결 단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절곡강판형 강재 보의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되는 다수 개의 데크플레이트; 및 절곡강판형 강재 보의 내부와 데크플레이트의 상부에 타설되어 이들과 합성되면서 보와 슬래브를 일체로 형성하는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강판형 강재 보와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도 1a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절곡강판형 강재 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b는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고정부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b는 고정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c는 고정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d는 고정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a는 데크플레이트의 사시도 그리고 3b는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4a는 도 2a에 제시된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데크플레이트를 강재 보에 매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b는 합성 후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2b에 제시된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데크플레이트를 강재 보에 매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b는 합성 후 단면도이다.
도 6a는 도 2c에 제시된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데크플레이트를 강재 보에 매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b는 합성 후 단면도이다.
도 7a는 도 2d에 제시된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데크플레이트를 강재 보에 매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b는 합성 후 단면도이다.
111: 바닥부 112: 수직부
113: 수평부 12: 웨브
13: 상부 플랜지 20,20a,20b: 고정부재
21: 수평 부분 22: 수직 부분
23: 홈 형성 부분 30: 데크플레이트
31: 측면 32: 바닥면
40: 콘크리트
Claims (5)
- 내부에 제1 콘크리트 수용공간을 가지는 하부 플랜지와 제1 콘크리트 수용공간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 콘크리트 수용공간을 내부에 가지는 한 쌍의 웨브 및 한 쌍의 웨브의 상단에서 각각 수평하게 연장되어 고정면을 제공하는 한 쌍의 상부 플랜지를 갖도록 하나의 강판을 절곡하여 형성된 절곡강판형 강재 보;
절곡강판형 강재 보의 상부 플랜지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한 폭방향으로 일정 길이가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다수 개의 고정부재;
바닥면과, 바닥면의 폭방향으로 양쪽 끝단에서 연장된 2개의 측면과, 각각의 측면 끝 부분에 연장된 연결 단부로 구성되어 한쪽 면이 개방된 단면형상을 가지고 고정부재의 돌출된 부분에 바닥면이 거치되어 절곡강판형 강재 보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한 폭방향으로 양쪽에 매달리고 연결 단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절곡강판형 강재 보의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되는 다수 개의 데크플레이트; 및
절곡강판형 강재 보의 내부와 데크플레이트의 상부에 타설되어 이들과 합성되면서 보와 슬래브를 일체로 형성하는 콘크리트를 포함하며,
고정부재는 막대 형상으로 연장되는 수평 부분과 수평 부분에 대하여 윗쪽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1개 이상의 수직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강판형 강재 보와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90790A KR101222206B1 (ko) | 2010-09-15 | 2010-09-15 | 절곡강판형 강재 보와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90790A KR101222206B1 (ko) | 2010-09-15 | 2010-09-15 | 절곡강판형 강재 보와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28765A KR20120028765A (ko) | 2012-03-23 |
KR101222206B1 true KR101222206B1 (ko) | 2013-01-16 |
Family
ID=46133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90790A Expired - Fee Related KR101222206B1 (ko) | 2010-09-15 | 2010-09-15 | 절곡강판형 강재 보와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22206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3362B1 (ko) * | 2013-07-09 | 2015-01-15 |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 외부 돌출 결합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
KR102240355B1 (ko) * | 2019-12-09 | 2021-04-13 |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 충격음 저감 슬래브 시공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10598B1 (ko) * | 2014-10-23 | 2015-04-08 | 강병구 | 데크 플레이트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데크 플레이트 시공방법 |
KR101618798B1 (ko) * | 2015-08-25 | 2016-05-09 | (주)센벡스 | 데크거푸집 고정 구조 |
DE202015104628U1 (de) * | 2015-09-01 | 2016-12-05 | Pfeifer Holding Gmbh & Co. Kg | Tragbalken für Deckensysteme und Deckensystem |
CN106758582A (zh) * | 2017-01-24 | 2017-05-31 | 北京交通大学 | 一种基于装配式技术的悬挂式单轨交通钢混组合轨道梁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42952U (ja) * | 1997-04-28 | 1997-11-04 | 文男 川阪 | 補強兼用スプライスプレート |
KR100486448B1 (ko) | 2002-12-24 | 2005-04-29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철골구조물에서 h형강보의 상부 플랜지에 데크를결합시킨 층고절감형 바닥구조 |
KR20060030834A (ko) * | 2004-10-06 | 2006-04-11 | 이창남 | 병목형 상부 플랜지 tsc보 |
-
2010
- 2010-09-15 KR KR1020100090790A patent/KR101222206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42952U (ja) * | 1997-04-28 | 1997-11-04 | 文男 川阪 | 補強兼用スプライスプレート |
KR100486448B1 (ko) | 2002-12-24 | 2005-04-29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철골구조물에서 h형강보의 상부 플랜지에 데크를결합시킨 층고절감형 바닥구조 |
KR20060030834A (ko) * | 2004-10-06 | 2006-04-11 | 이창남 | 병목형 상부 플랜지 tsc보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3362B1 (ko) * | 2013-07-09 | 2015-01-15 |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 외부 돌출 결합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
KR102240355B1 (ko) * | 2019-12-09 | 2021-04-13 |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 충격음 저감 슬래브 시공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28765A (ko) | 2012-03-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82044B1 (ko) | ㄷ자형 부재로 구성된 조립형 강재 보를 이용한 합성보 | |
KR101222206B1 (ko) | 절곡강판형 강재 보와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 | |
KR101222320B1 (ko) | ㄷ자형 부재와 역티자형 부재를 조립한 강재 보와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 | |
KR101152270B1 (ko) | 장경간 고하중 건물에 적합한 피씨 슬래브 및 그 시공방법 | |
KR101942842B1 (ko) | 장스팬용 데크플레이트 | |
KR102204901B1 (ko) | 강판 보강 전단벽 | |
KR101880490B1 (ko) | 딥데크 슬래브용 합성 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구조 | |
KR101238030B1 (ko) | 외부 보강프레임 조립체를 갖는 조립식 물탱크 | |
KR101594974B1 (ko) | 복합보 | |
KR101599811B1 (ko) | 파형강판 결합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KR100870070B1 (ko) | 층고절감형 강-콘크리트 합성보-슬래브용 성형강판 조립 보 | |
KR101162179B1 (ko) | 전단연결재 형상의 고정 부재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와 강재 보의 결합 구조 및 그에 따른 합성보 | |
KR101222208B1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와 데크플레이트의 합성보 | |
KR101160763B1 (ko) | 다수 개의 캡 플레이트를 갖는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 | |
KR101170897B1 (ko) | 별도의 내화피복이 필요 없는 층고절감형 합성보 및 그를 이용한 보-슬래브 접합부 구조 | |
KR100796216B1 (ko) | 건축물의 콘크리트 복합보 | |
KR101249600B1 (ko) | 고정부재를 이용해 데크플레이트가 강재 보에 매달린 형태로 결합된 합성보 | |
KR100870068B1 (ko) | 층고절감형 강-콘크리트 합성보-슬래브용 성형강판 조립 보 | |
KR101191545B1 (ko) | 다수 개의 캡 플레이트를 갖는 데크 플레이트 | |
KR20180001721A (ko) | Uh형 보강블럭으로 단부가 보강된 압축 보강형 복합보 | |
KR20120006727A (ko) | 클램프 형상의 고정 부재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와 강재 보의 결합 구조 및 그에 따른 합성보 | |
KR101921834B1 (ko) | 돌출 데크를 이용한 콘크리트 합성기둥 | |
KR20160149087A (ko) | 트러스보강 조립보 | |
KR100830238B1 (ko) | 층고절감형 강-콘크리트 합성보-슬래브용 성형강판 조립 보 | |
KR102350905B1 (ko) | 강선을 이용한 조적조 내진보강 구조 및 이를 위한 내진보강 공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5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1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1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1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