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3981B1 -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 - Google Patents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63981B1 KR101463981B1 KR1020140114544A KR20140114544A KR101463981B1 KR 101463981 B1 KR101463981 B1 KR 101463981B1 KR 1020140114544 A KR1020140114544 A KR 1020140114544A KR 20140114544 A KR20140114544 A KR 20140114544A KR 101463981 B1 KR101463981 B1 KR 1014639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de wall
- main body
- cut
- cutout portion
- upper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061—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supporting construction for curved ceil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065—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comprising supporting beams having a folded cross-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의 폭을 갖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상판과, 상기 상판의 폭 방향 양측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각각 연장된 측벽을 구비하고, 하부가 개방된 본체와; 상기 측벽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복수의 훅;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는 상호 인접하는 훅들 사이의 일 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를 구부릴 수 있도록 상기 훅들 사이의 일부를 절개한 절개부가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에 의하면, 마감패널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구부릴 수 있게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곡면 구조를 갖는 천장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에 의하면, 마감패널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구부릴 수 있게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곡면 구조를 갖는 천장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장면을 곡면구조로 형성할 수 있는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천장에는 콘크리트 등의 거친 천장표면을 차폐하거나, 천장에 설치된 전기배선 등이 노출되지 않도록 마감패널이 설치되는데, 근래에는 이러한 마감패널을 쉽고 편리하게 시공하기 위한 경량철골 시스템이 많이 이용된다.
이러한 경량철골 시스템은 천장에 다수 고정설치되는 앵커와, 열 또는 행 방향으로 나란하게 다수 배열되도록 상기 앵커 하부에 결합되는 캐리어와, 상기 캐리어가 배열된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다수 배열되도록 상기 캐리어 하부에 결합되며, 마감패널이 설치되는 엠바(M-bar)를 포함한다.
일반적인 경량철골 시스템의 일 예로 국내 등록특허 제10-0583675호에는 "경량철골 천장마감재 설치용 구조"가 개시되어 있고, 국내 등록특허 제10-1413664호에는 "천장재 시공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경량철골 천장마감재 설치용 구조" 및 "천장재 시공구조"는 단순히 천장을 평평한 형상으로만 시공할 수 있을 뿐, 중앙부가 움푹 들어간 우물형 천장이나 천장을 곡면 형상으로 시공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마감패널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구부릴 수 있게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곡면 구조를 갖는 천장을 구현할 수 있는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은 소정의 폭을 갖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상판과, 상기 상판의 폭 방향 양측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각각 연장된 측벽을 구비하고, 하부가 개방된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본체를 상하 또는 좌우 또는 상하좌우 방향으로 각각 구부릴 수 있도록 상기 측벽의 일부를 절개한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벽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복수의 훅;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절개부는 서로 인접하는 훅들 사이의 일 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를 구부릴 수 있도록 상기 훅들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개부는 상기 상판과 인접한 일 지점으로부터 상기 측벽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확장되고, 상기 측벽의 하단까지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벽에는 상기 절개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본체를 보강하는 보강리브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리브는 중앙 부분에 하방 또는 상방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상판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된 제1절제부와 상기 측벽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된 제2절제부를 포함하는 절제부와, 상기 제2절제부 사이의 상기 측벽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된 절개부와, 상기 훅들 사이의 상기 측벽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역삼각 형상으로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좌우방향으로 구부릴 수 있도록 상기 상판의 일부를 상기 본체의 폭 방향을 따라 절제하여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절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절제부는 상기 본체의 폭 방향 일 측으로부터 타 측으로 연장되며 삼각형상으로 형성된 제1절제부와, 상기 제1절제부와 이격되며 상기 제1절제부와 대향되도록 상기 본체의 폭 방향 타 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삼각형상으로 형성된 제2절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개부는 상기 측벽의 상측 상기 절제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절개부와 이격되게 형성된 제1절개부와, 상기 측벽의 하측 상기 제1절개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 제2절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좌우방향으로 구부릴 수 있도록 상기 상판의 일부를 절개한 절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절제부는 상기 절제부는 상기 본체의 폭 방향 일 측으로부터 타 측으로 연장되며 삼각형상으로 형성된 제1절제부와, 상기 제1절제부와 이격되며 상기 제1절제부와 대향되도록 상기 본체의 폭 방향 타 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삼각형상으로 형성된 제2절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개부는 상기 제1절제부와 상기 제2절제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측벽으로 각각 연장된 제1절개부와 제2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의 하단에는 상기 절개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노치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에는 상기 측벽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부와 상방으로 인입된 인입부가 상기 측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된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는 서로 인접하는 인입부들 사이의 상기 돌출부의 상측 상기 측벽 일부를 마름모 형상으로 절개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상판에는 상기 측벽과 인접하는 상기 상판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판의 폭 방향 중심을 향하여 연장되며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제1절제부와, 상기 제1절제부들 사이에 상기 상판의 폭 방향을 따라 각각 서로 나란하게 연장된 제2절제부를 포함하는 절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는 상기 절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측벽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다수가 서로 나란하게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에는 상기 상판과 상기 측벽부에 각각 절취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들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프레임을 더 구비하고, 상기 결합프레임은 베이스와 삽입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측벽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상판과 나란하도록 절곡되게 형성된 절곡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절곡판의 하단에는 다수의 노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상판에는 절제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판과 상기 측벽 사이의 모서리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과 상기 절곡판 사이에는 상기 측벽과 상기 절곡판에 걸쳐 적어도 하나의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절제부는 상기 상판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서로 이격되며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는 상기 노치부의 상측 상기 측벽에 각각 형성된 제1절개부와 제2절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상판과 상기 측벽에 걸쳐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에 의하면, 마감패널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구부릴 수 있게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곡면 구조를 갖는 천장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의 단면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의 구부림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을 이용한 천장 마감 시스템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천장 마감 시스템의 단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천장 마감 시스템에서 지지프레임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과 도 6에 도시된 엠바를 이용한 천장 마감 시스템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의 사시도.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을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프레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의 단면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의 구부림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을 이용한 천장 마감 시스템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천장 마감 시스템의 단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천장 마감 시스템에서 지지프레임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과 도 6에 도시된 엠바를 이용한 천장 마감 시스템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의 사시도.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을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프레임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10)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10)은 본체(20)와; 훅(30)을 구비한다.
상기 본체(20)는 소정의 폭을 갖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상판(21)과, 상기 상판(21)의 폭 방향 양측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각각 연장된 측벽(25)을 구비하고, 하부가 개방되어 있다. 상기 본체(20)의 상판(21)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는 장공 형상의 결합홈(22)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결합홈(22)은 천장에 고정설치된 행거(5)를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20)의 상판(21)에는 결합홈(22)들 사이의 일부를 절제한 제1절제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절제부(23)는 후술하는 측벽(25)에 형성된 절개부(26)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측벽(25)과 인접하는 부분까지 연장되어 있다. 상기 제1절제부(2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측의 폭이 좁고 양단부 측의 폭이 중앙 측보다 더 넓은 모래시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20)는 구부림 가능하도록 금속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행거(5)는 본체(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의 높이조절용 홈들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20)는 상호 인접하는 훅(30)들 사이의 일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20)를 구부릴 수 있도록 상기 훅(30)들 사이의 측벽(25) 일부를 절개한 절개부(26)가 상기 본체(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개부(26)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21)과 인접한 일 지점으로부터 상기 측벽(25)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확장되어 있으며, 측벽(25)의 하단에 인접하는 영역까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개부(26)는 측벽(25)의 하단과 인접하는 부분까지 연장된 것을 적용하였으나, 도시된 바와 다르게 상기 측벽(25)의 하단까지 연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절개부(26)는 훅(30)들 사이의 일정 영역에 형성되어 있으며, 절개부(26)를 기준으로 양측에는 각각 역삼각 형상의 제2절제부(2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절제부(27)는 필요에 따라 생략할 수도 있다.
상기 절개부(2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의 훅(30)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하는 훅(30)을 상방으로 꺾어 올리거나 하방으로 꺾어 내림으로써 길이방향을 따라 곡선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절개부(26)는 일 측의 훅(30)을 기준으로 타 측의 훅(30)을 상방으로 꺾어 올리는 경우에는 좌우 폭이 최초의 상태보다 확장되고, 타 측의 훅(30)을 하방으로 꺾어 내리는 경우에는 좌우 폭이 최초의 상태보다 축소됨으로써, 본체(20)를 구부릴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절개부(26)를 통해 본체(20)를 구부릴 시, 본체(20)의 상판(21) 영역 중에서 제1절제부(23)들 사이의 영역에서 구부러짐이 발생한 것으로 적용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상판(21)과 측벽(25)이 만나는 모서리 일부분 더욱 상세하게는 절개부(26)의 상단과 제1절제부(23)와 제2절제부(27)가 서로 인접한 모서리 부분에서 구부러짐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판(21)의 제1절제부(23)들 사이의 영역에서 구부러짐이 발생한 경우보다 구부러진 영역이 더 작아 더 쉽게 본체(20)를 구부릴 수 있는 장점을 가지나, 구부러진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는 유지력은 상판(21)의 제1절제부(23)들 사이의 영역에서 구부러짐이 발생한 경우보다 작은 단점이 있다.
이와 반대로, 상판(21)의 제1절제부(23)들 사이의 영역에서 구부러짐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판(21)과 측벽(25)이 만나는 모서리 일부분에서 구부러짐이 발생한 경우보다 구부러지는 면적이 넓어 본체(20)를 구부리는데 더 큰 힘이 필요한 단점이 있으나, 구부러진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는 유지력은 상판(21)과 측벽(25)이 만나는 모서리 일부분에서 구부러짐이 발생한 경우보다 큰 장점이 있다. 따라서, 구부림 위치는 작업자가 적절하게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측벽(25)에는 상기 절개부(26)의 하부에 형성되어 본체(20)를 보강하는 보강리브(28)가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보강리브(28)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절개부(26)의 하부 일 측 끝단에 대응되는 측벽(25)으로부터 절개부(26)의 하부 타 측 끝단에 대응하는 측벽(25)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보강리브(28)의 중앙 부분에는 하방으로 절곡된 절곡부(2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곡부(29)는 도시된 바와 다르게 상방으로 절곡된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절곡부(29)는 최초 본체(20)를 구부릴 시 본체(20)가 구부러지지 않도록 저항력을 제공하나 본체(20)를 구부린 후에는 그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는 유지력을 제공한다. 상기 절곡부(29)는 본체(20)를 구부릴 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꺾여 최초 위치보다 측벽(25)의 하단으로부터 멀어지게 더 돌출되거나 측벽(25)의 하단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근접된다.
상기 훅(30)은 상기 측벽(25)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본체(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있다. 상기 훅(30)은 상기 본체(20)의 일 지점을 기준으로 좌우대칭되는 한 쌍의 제1훅(31)과 제2훅(32)을 포함한다.
상기 제1훅(31)과 제2훅(32)은 측벽(25)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있고, 상호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지지프레임을 걸쳐놓을 수 있도록 서로 대향되는 측에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훅(30)에는 지지프레임들을 본체(2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시킬 수도 있고, 훅(30)의 하부에서 지지프레임을 상방으로 밀어올려 훅(30)에 억지 끼움 결합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절개부(26)와 보강리브(28)는 서로 인접하는 훅들 사이에 하나를 형성한 것을 적용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구부림 각도를 증가시킬수 있도록 서로 인접하는 훅들 사이에 둘 이상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제1절제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리브를 중심으로 본체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각각 2개를 형성한 구조를 적용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본체를 구부릴 시 구부러지는 부분에 있어서 완만한 형상이 나타나도록 다수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4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을 이용한 천장 마감 시스템(100)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을 이용한 천장 마감 시스템(100)은 본체(20)와, 훅(30)을 포함하는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10)과; 경량프레임(10)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마감재(150)를 지지시키도록 지지프레임과 마감재(150) 사이에 설치되는 중계부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프레임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훅(30)들 사이에서 일 측 훅(30)의 제1훅(31)과 타 측 훅(30)의 제2훅(32)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는 제1지지프레임(110) 또는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훅(30)에 하나씩 결합되는 엠바(120)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엠바(120)는 통상적은 엠바(120)의 구조를 적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지지프레임(110)은 제1훅(31)의 단차부에 안착되는 제1안착리브(111)와, 제2훅(32)의 단차부에 안착되는 제2안착리브(112)와, 제1안착리브(111)와 제2안착리브(112)로부터 서로 나란하게 하방으로 연장된 제1수직리브(123)와 제2수직리브(124) 및 상기 제1수직리브(123)와 제2수직리브(124)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리브(125)를 포함한다.
상기 중계부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프레임(110)의 또는 엠바(120)의 저면 저면에 밀착고정되고 그 저면에 마감재(150)가 밀착되는 고정판(130)과, 마감재(150)와 고정판(130)을 관통하여 마감재(150)를 고정판(130)에 고정시키는 고정피스(140)를 포함한다.
상기 마감재(150)의 상면에는 도 4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또는 제1지지프레임(1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노치(151)들이 본체(20)의 길이방향 또는 제1지지프레임(11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마감재(150)는 일정 각도 이상 구부릴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노치(151)는 경량프레임(10)을 구부릴 시, 경량프레임(10)의 하부에 지지되는 마감재(150) 를 경량프레임(10)의 구부림 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지도록 함으로써 경량프레임(10)과 함께 곡면 형상의 천장 면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110)이 도시되어 있다. 도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은 본체(120)와; 훅(130)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120)는 상기 상판(121)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된 제1절제부(123)와 상기 측벽(125)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된 제2절제부(127)를 포함하는 절제부와, 상기 제2절제부(127) 사이의 상기 측벽(125)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된 절개부(126a, 126b)와, 상기 훅(130)들 사이의 상기 측벽(125)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역삼각 형상으로 형성된 돌출부(129)를 구비한다.
상기 절제부는 상판(121)에 형성된 제1절제부(123)와 측벽(125)에 형성된 제2절제부(127)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절제부(123)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에서 설명하고 있는 제1절제부(23)와 대응되는 형상 및 구조로 본체(120)의 상판(121)에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어 있다. 그리고, 제2절제부(127)는 본체(120)의 측벽(125)에 형성된 것으로서, 후술하는 절개부(126a, 126b)의 양측 즉, 일 측 훅(130)과 일 측 절개부(126a) 사이 그리고 타 측 훅(130)과 타 측 절개부(126b) 사이에 각각 한 쌍이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120)의 측벽(125)을 역삼각 형상으로 절제하여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126a, 126b)는 후술하는 돌출부(129)를 기준으로 본체(120)의 길이방향 양측에 돌출부(129)와 인접하는 위치에 형성된 것으로서 본체(120)의 측벽(125)을 삼각형상으로 절제하여 형성되며, 제2절제부(127)의 내측에 한 쌍이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돌출부(129)는 상기 훅(130)들 사이의 상기 측벽(125)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것으로서,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와 같은 역삼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은 상기 절개부(126a, 126b) 및 돌출부(129)를 본체(120)의 폭 방향 외측으로 밀어내거나 본체(120) 내측으로 인입시킴으로써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20)의 측벽(125) 부분의 길이를 축소시켜 본체(120)를 구부릴 수 있다.
한편,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이 도시되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210)은 소정의 폭을 갖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상판(221)과, 상기 상판(221)의 폭 방향 양측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각각 연장된 측벽(225)을 구비하고, 하부가 개방된 본체(220);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220)에는 상기 본체(220)를 상하 또는 좌우 또는 상하좌우 방향으로 각각 구부릴 수 있도록 상기 측벽(225)의 일부를 절개한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220)는 좌우방향으로 구부릴 수 있도록 상기 상판(221)의 일부를 상기 본체(220)의 폭 방향을 따라 절제하여 형성되며, 상기 본체(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절제부가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절제부는 상기 본체(220)의 폭 방향 일 측으로부터 타 측으로 연장되며 삼각형상으로 형성된 제1절제부(223)와, 상기 제1절제부(223)와 이격되며 상기 제1절제부(223)와 대향되도록 상기 본체(220)의 폭 방향 타 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삼각형상으로 형성된 제2절제부(227)를 포함한다. 상기 제1절제부(223)와 제2절제부(227)는 폭이 좁은 밑변을 갖는 이등변삼각형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꼭지점이 서로 대향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본체(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호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절제부(223)와 제2절제부(227)는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절개부는 상기 측벽(225)의 상측 상기 절제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절개부와 이격되게 형성되어 측벽(225)의 상측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한 제1절개부(226a)와, 상기 측벽(225)의 하측 상기 제1절개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측벽(225)의 하측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한 제2절개부(226b)를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체(220)의 구부림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절개부(226a)와 제2절개부(226b)를 서로 연결하여 하나로 구성할 수도 있고, 제1절개부(223a)와 절제부(223, 227)를 서로 연결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이 도시되어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마감용 경량 프레임(310)은 소정의 폭을 갖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상판(321)과, 상기 상판(321)의 폭 방향 양측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각각 연장된 측벽(325)을 구비하고, 하부가 개방된 본체(320);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320)에는 상기 본체(320)를 상하 또는 좌우 또는 상하좌우 방향으로 각각 구부릴 수 있도록 상기 측벽(325)의 일부를 절개한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320)는 좌우방향으로 구부릴 수 있도록 상기 상판(321)의 일부를 절개한 절제부가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절제부는 상기 본체(320)의 폭 방향 일 측으로부터 타 측으로 연장되며 삼각형상으로 형성된 제1절제부(323)와, 상기 제1절제부(323)와 이격되며 상기 제1절제부(323)와 대향되도록 상기 본체(320)의 폭 방향 타 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삼각형상으로 형성된 제2절제부(327)를 포함한다.
상기 절개부는 상기 제1절제부(323)와 상기 제2절제부(327)의 단부로부터 상기 양 측벽(325)의 상측 일부를 점유하도록 각각 양 측벽(325)을 향하여 연장된 제1절개부(326a)와 제2절개부(326b)를 포함한다. 상기 제1절제부(323)와 상기 제1절개(326a)부, 그리고 상기 제2절제부(327)와 상기 제2절개부(326b)는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절제부(323)와 상기 제2절제부(327) 그리고, 상기 제1절개(326a)부와 상기 제2절개부(326b)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측벽(325)의 하단에는 상기 절개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노치부(3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노치부(330)는 상기 측벽(25)의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깊이 인입되어 있으며, 제1절제부(23)와 제2절제부(27)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측벽(25)의 길이방향을 따라 불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측벽(25)에는 상기 제1절개부와 노치부(330) 상기 그리고 제2절개부와 노치부(330) 사이에는 측벽(25)을 내측으로 인입시키기 용이하도록 타공(3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은 제1절개부와 제2절개부 그리고 노치부(330)와 타공을 통해 측벽(25)의 일부를 내측으로 인입시킬 수 있어 본체(20)를 좌우방향으로 구부리거나 지그재그 형태로 구부릴 수 있다.
한편, 도 11에는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이 도시되어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마감용 경량 프레임(410)은 소정의 폭을 갖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상판(421)과, 상기 상판(421)의 폭 방향 양측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각각 연장된 측벽(425)을 구비하고, 하부가 개방된 본체(420);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420)에는 상기 본체(420)를 상하 또는 좌우 또는 상하좌우 방향으로 각각 구부릴 수 있도록 상기 측벽(425)의 일부를 절개한 절개부(426)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420)는 상하방향으로 구부리는 구조를 적용한다.
상기 본체(420)에는 상기 측벽(425)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부(431)와 상방으로 인입된 인입부(435)가 상기 측벽(25)의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된 요철부(4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개부(426)는 서로 인접하는 인입부(435)들 사이의 상기 돌출부(431)(129)의 상측 상기 측벽(25) 일부를 마름모 형상으로 절개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개부(426)는 상기 본체(20)를 상하방향으로 구부릴 때, 그 폭이 좁아지거나 확장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410)은 다수의 절개부(426)에 의해 본체(420)의 구부림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도 12에는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이 도시되어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510)은 소정의 폭을 갖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상판(521)과, 상기 상판(521)의 폭 방향 양측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각각 연장된 측벽(525)을 구비하고, 하부가 개방된 본체(520)와; 상기 측벽(525)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본체(5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복수의 훅(530);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520)에는 상기 본체(520)를 상하 또는 좌우 또는 상하좌우 방향으로 각각 구부릴 수 있도록 상기 측벽(525)의 일부를 절개한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510)은 상하뿐만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도 구부림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520)의 상판(521)에는 절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제부는 상기 측벽(525)과 인접하는 상기 상판(521)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판(521)의 폭 방향 중심을 향하여 연장되며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제1절제부(523)와, 상기 제1절제부(523)들 사이에 상기 상판(521)의 폭 방향을 따라 각각 서로 나란하게 연장된 제2절제부(527)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520)에는 상기 상판(521)과 상기 측벽(525)을 절취하여 형성한 절취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절제부(523)들 사이의 상판(521) 중앙 측에는 상판(521)의 구부림이 용이하도록 홀(529)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측벽(525)의 하단에는 상방으로 인입된 노치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520)의 상판(521)은 상기 제1절제부(523)와 제2절제부(527)가 형성된 부분이 접어지면서 하방으로 인입되거나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는 상기 절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측벽(525)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다수가 서로 나란하게 연장된 것으로서, 제1절개부(526a)와 제2절개부(526b) 및 제3절개부(526c)를 포함한다. 상기 절개부 또한 상기 측벽(525)을 내측으로 인입시키거나 외측으로 돌출되게 함으로써 본체(520)를 구부릴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13에는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이 도시되어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마감용 경량 프레임(610)은 소정의 폭을 갖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상판(621)과, 상기 상판(621)의 폭 방향 양측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각각 연장된 측벽(625)을 구비하고, 하부가 개방된 본체(620);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620)에는 상기 본체(620)를 상하 또는 좌우 또는 상하좌우 방향으로 각각 구부릴 수 있도록 상기 측벽(625)의 일부를 절개한 절개부(626a, 626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620)는 상기 측벽(625)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상판(621)과 나란하도록 절곡되게 형성된 절곡판(627)이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절곡판(627)의 하단에는 상방으로 인입되며 서로 이격된 다수의 노치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620)의 상판(621)에는 절제부(623)가 형성되고, 상기 상판(621)과 상기 측벽(625) 사이의 모서리에는 개구부(624)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625)과 상기 절곡판(627) 사이에는 상기 측벽(625)과 상기 절곡판(627)에 걸쳐 적어도 하나의 구멍(628)이 불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구멍(628)은 서로 연결하여 장공 형태로 변형할 수 있다. 이 경우 측벽(625)의 구부림이 더욱 용이한 장점이 있다.
상기 절제부(623)는 상기 상판(621)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서로 이격되며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절제부(623)는 장공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적용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상기 절제부(623)를 불연속적인 구멍(628)들의 형태로 변형된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절개부(626a, 626b)는 상기 노치부의 상측 상기 측벽(625)에 각각 형성된 제1절개부(626a)와 제2절개부(626b)를 포함한다.
상기 개구부(624)는 상기 상판(621)과 상기 측벽(625)의 일부분을 각각 점유하도록 상기 상판(621)과 상기 측벽(625)에 걸쳐 연장되어 있으며, 상판(621) 측에 형성된 개구부(624)의 일부분은 상판(621)의 폭 방향 중심을 향하여 소정길이 인입되어 있고, 측벽(625) 측에 형성된 개구부(624)의 일부분은 측벽(625)의 하단을 향하여 소정길이 인입되어 있다.
한편, 도 1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을 연장할 수 있도록 본체들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프레임(710)을 더 구비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결합프레임(710)은 상기 결합프레임(710)은 베이스(720)와, 연장부(730)와, 삽입리브(740)를 구비한다.
상기 결합프레임(710)을 본체에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에는 상기 상판과 상기 측벽부에 각각 절취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적용한다. 상기 본체는 도 12를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을 적용한다.
상기 결합프레임(710)의 베이스(720)는 본체의 상판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베이스(720)의 양측 단부에는 본체의 양 측벽을 각각 감싸도록 연장된 측벽의 상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연장된 연장부(7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720)와 상기 연장부(730)에는 각각 본체와 측벽에 형성된 절취부로 삽입하여 본체 내측으로 진입시킬 수 있도록 돌출된 리브가 다수 형성되어있다. 상기 리브는 각각 본체 내측으로 진입시킨 상태로 일 측으로 구부려 베이스(720)와 연장부(730)를 상판과 측벽에 각각 밀착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은 도면에 도시된 일 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5 : 행거
10 : 경량프레임
20 : 본체
21 : 상판
22 : 결합홈
23 : 제1절제부
25 : 측벽
26: 절개부
27 : 제2절제부
28 : 보강리브
29 : 절곡부
30 : 훅
100 : 천장 마감 시스템
110 : 제1지지프레임
120 : 엠바
130 : 고정판
140 : 고정피스
150 : 마감재
10 : 경량프레임
20 : 본체
21 : 상판
22 : 결합홈
23 : 제1절제부
25 : 측벽
26: 절개부
27 : 제2절제부
28 : 보강리브
29 : 절곡부
30 : 훅
100 : 천장 마감 시스템
110 : 제1지지프레임
120 : 엠바
130 : 고정판
140 : 고정피스
150 : 마감재
Claims (12)
- 소정의 폭을 갖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상판과, 상기 상판의 폭 방향 양측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각각 연장된 측벽을 구비하고, 하부가 개방된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본체를 상하 또는 좌우 또는 상하좌우 방향으로 각각 구부릴 수 있도록 상기 측벽의 일부를 절개한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복수의 훅;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절개부는 서로 인접하는 훅들 사이의 일 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를 구부릴 수 있도록 상기 훅들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상판과 인접한 일 지점으로부터 상기 측벽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확장되고, 상기 측벽의 하단까지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 -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에는 상기 절개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본체를 보강하는 보강리브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리브는 중앙 부분에 하방 또는 상방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상판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된 제1절제부와 상기 측벽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된 제2절제부를 포함하는 절제부와, 상기 제2절제부 사이의 상기 측벽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된 절개부와, 상기 훅들 사이의 상기 측벽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역삼각 형상으로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좌우방향으로 구부릴 수 있도록 상기 상판의 일부를 상기 본체의 폭 방향을 따라 절제하여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절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절제부는 상기 본체의 폭 방향 일 측으로부터 타 측으로 연장되며 삼각형상으로 형성된 제1절제부와, 상기 제1절제부와 이격되며 상기 제1절제부와 대향되도록 상기 본체의 폭 방향 타 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삼각형상으로 형성된 제2절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개부는 상기 측벽의 상측 상기 절제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절개부와 이격되게 형성된 제1절개부와, 상기 측벽의 하측 상기 제1절개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 제2절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좌우방향으로 구부릴 수 있도록 상기 상판의 일부를 절개한 절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절제부는 상기 절제부는 상기 본체의 폭 방향 일 측으로부터 타 측으로 연장되며 삼각형상으로 형성된 제1절제부와, 상기 제1절제부와 이격되며 상기 제1절제부와 대향되도록 상기 본체의 폭 방향 타 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삼각형상으로 형성된 제2절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개부는 상기 제1절제부와 상기 제2절제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측벽으로 각각 연장된 제1절개부와 제2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의 하단에는 상기 절개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노치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측벽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부와 상방으로 인입된 인입부가 상기 측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된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는 서로 인접하는 인입부들 사이의 상기 돌출부의 상측 상기 측벽 일부를 마름모 형상으로 절개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판에는 상기 측벽과 인접하는 상기 상판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판의 폭 방향 중심을 향하여 연장되며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제1절제부와, 상기 제1절제부들 사이에 상기 상판의 폭 방향을 따라 각각 서로 나란하게 연장된 제2절제부를 포함하는 절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는 상기 절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측벽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다수가 서로 나란하게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상판과 상기 측벽부에 각각 절취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들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프레임을 더 구비하고,
상기 결합프레임은 베이스와 삽입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측벽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상판과 나란하도록 절곡되게 형성된 절곡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절곡판의 하단에는 다수의 노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상판에는 절제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판과 상기 측벽 사이의 모서리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과 상기 절곡판 사이에는 상기 측벽과 상기 절곡판에 걸쳐 적어도 하나의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절제부는 상기 상판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서로 이격되며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는 상기 노치부의 상측 상기 측벽에 각각 형성된 제1절개부와 제2절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상판과 상기 측벽에 걸쳐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14544A KR101463981B1 (ko) | 2014-08-29 | 2014-08-29 |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14544A KR101463981B1 (ko) | 2014-08-29 | 2014-08-29 |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63981B1 true KR101463981B1 (ko) | 2014-11-26 |
Family
ID=52291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14544A KR101463981B1 (ko) | 2014-08-29 | 2014-08-29 |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63981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34907A (ko) * | 2016-09-28 | 2018-04-05 | 차민석 | 천정마감재 고정용 곡면엠바 및 이를 포함하는 천정마감재 고정용 행거조립체 |
KR101851305B1 (ko) | 2016-04-21 | 2018-04-23 | (주)유창 | 멀티캐리어 및 이를 이용한 루버 설치구조 |
KR102021297B1 (ko) | 2019-03-27 | 2019-11-04 | 최광림 | 천장프레임 시스템 |
KR20200068420A (ko) * | 2018-12-05 | 2020-06-15 | 주식회사 케이씨씨 | 바닥 구배 조정이 가능한 차수벽 구조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00430Y1 (ko) * | 1991-05-07 | 1996-01-10 | 주식회사 유창 | 천정판 부착용 간받이의 체결장치 |
KR200152673Y1 (ko) * | 1997-02-19 | 1999-07-15 | 조용선 | 간격조정이 가능한 천정 부착용 지지간 |
KR200156942Y1 (ko) * | 1996-11-21 | 1999-09-15 | 이근태 | 경량철골 천정틀의 설치구조 |
-
2014
- 2014-08-29 KR KR1020140114544A patent/KR10146398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00430Y1 (ko) * | 1991-05-07 | 1996-01-10 | 주식회사 유창 | 천정판 부착용 간받이의 체결장치 |
KR200156942Y1 (ko) * | 1996-11-21 | 1999-09-15 | 이근태 | 경량철골 천정틀의 설치구조 |
KR200152673Y1 (ko) * | 1997-02-19 | 1999-07-15 | 조용선 | 간격조정이 가능한 천정 부착용 지지간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51305B1 (ko) | 2016-04-21 | 2018-04-23 | (주)유창 | 멀티캐리어 및 이를 이용한 루버 설치구조 |
KR20180034907A (ko) * | 2016-09-28 | 2018-04-05 | 차민석 | 천정마감재 고정용 곡면엠바 및 이를 포함하는 천정마감재 고정용 행거조립체 |
KR20200068420A (ko) * | 2018-12-05 | 2020-06-15 | 주식회사 케이씨씨 | 바닥 구배 조정이 가능한 차수벽 구조 |
KR102208067B1 (ko) * | 2018-12-05 | 2021-01-26 | 주식회사 케이씨씨 | 바닥 구배 조정이 가능한 차수벽 구조 |
KR102021297B1 (ko) | 2019-03-27 | 2019-11-04 | 최광림 | 천장프레임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63981B1 (ko) |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 | |
RU2504625C2 (ru) | Потолок со скрытой подвесной системой со снимаемыми вниз панелями | |
CA2626250C (en) | Wall angle with pre-punched locating tabs | |
KR200495878Y1 (ko) | 2개의 평면 엘리먼트들을 유지하기 위한 클립 | |
KR200445747Y1 (ko) | 마감재 체결구조 | |
RU2008125127A (ru) | Профиль тавровый решетчатой конструкции подвесного потолка | |
CN107771233B (zh) | 悬挂式天花板系统 | |
US11274440B2 (en) | Suspension ceiling support clip | |
JP7043401B2 (ja) | 支持ヘッドと、天井支持体と、そのような天井支持体を有する天井型枠 | |
KR100974227B1 (ko) | 바닥 밀폐형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 | |
KR101618356B1 (ko) | 시공이 용이한 피트패널조립체 | |
KR20150001456U (ko) | 건식 벽체 시스템용 클립형 스터드 | |
KR101851305B1 (ko) | 멀티캐리어 및 이를 이용한 루버 설치구조 | |
KR20130019293A (ko) | 개량형 경량철골 천장시스템 설치 구조 | |
KR101069588B1 (ko) | 경량철골 천장시스템 설치 구조 | |
KR20120082701A (ko) | 경량철골 천장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 |
KR200441206Y1 (ko) | 천정패널 고정용 티이바 결합구조 | |
RU2789191C1 (ru) | Скоба, потолочное основание и способ его выполнения | |
JP7329233B2 (ja) | 天井板支持具、天井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 |
JPH10299139A (ja) | 間仕切り壁下地材 | |
KR101932758B1 (ko) | 유리 고정부재가 구비된 창틀용 프레임 | |
KR100741315B1 (ko) | 건축물의 천정판 시공장치 | |
KR200484127Y1 (ko) | 커브런너 | |
GB2364335A (en) | Stud wall construction | |
KR100442980B1 (ko) | 칸막이판넬용 하부 고정부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