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4907A - 천정마감재 고정용 곡면엠바 및 이를 포함하는 천정마감재 고정용 행거조립체 - Google Patents

천정마감재 고정용 곡면엠바 및 이를 포함하는 천정마감재 고정용 행거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4907A
KR20180034907A KR1020160124713A KR20160124713A KR20180034907A KR 20180034907 A KR20180034907 A KR 20180034907A KR 1020160124713 A KR1020160124713 A KR 1020160124713A KR 20160124713 A KR20160124713 A KR 20160124713A KR 20180034907 A KR20180034907 A KR 20180034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ed
unit
folding
pair
embl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4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민석
Original Assignee
차민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민석 filed Critical 차민석
Priority to KR1020160124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4907A/ko
Publication of KR20180034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49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061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supporting construction for curved cei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12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16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the members lying in different pl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정마감재 고정용 곡면엠바에 관한 것으로서,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 접혀지며 곡면형상을 구현하는 복수개의 단위엠바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단위엠바는 직렬형태로 연속되게 결합되어 제조되며, 상기 단위엠바는 각각, 지면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양측에 수직하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측벽과; 상기 한 쌍의 측벽의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일정면적 연장형성되는 클립걸림바와; 이웃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단위엠바의 경계영역의 베이스판에 가로방향으로 일정길이 관통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단위엠바가 접혀지도록 하는 접힘슬릿과; 이웃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단위엠바의 경계영역의 측벽에 삼각형 형태로 절개되어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단위엠바가 접혀지도록 하는 접힘노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천정마감재 고정용 곡면엠바 및 이를 포함하는 천정마감재 고정용 행거조립체{FIXING CURVED M-BAR FOR CEILING FINISHING MATERIAL AND HANGER ASSEMBLY HAVING THEREOF}
본 발명은 천정마감재 고정용 고정엠바 및 이를 포함하는 천정마감재 고정용 행거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 곡면형성이 가능하여 다양한 천정형상을 구현할 수 있는 천정마감재 고정용 곡면엠바 및 이를 포함하는 천정마감재 고정용 행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석고보드와 같은 천정마감재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행거조립체가 사용된다. 천정마감재와 천정 사이에는 배관, 덕트 및 전기배선 등이 위치되므로, 이러한 복잡한 라인들이 외부로 드러나는 것을 방지하고 미관을 미려하게 보이도록 하기 위해 천정마감재를 천정의 하부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한다.
도 1은 종래 천정마감재를 설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행거조립체(1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행거조립체(10)는 천정으로부터 하부로 연장형성된 볼트(11)와, 볼트(11)의 하부에 결합되며 고정너트(12)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는 행거(13)와, 행거(13)에 끼움결합되는 캐링채널(15)과, 캐링채널(15)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직교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엠바(17)와, 엠바(17)를 캐링채널(15)에 결합시키는 고정클립(19)를 포함한다. 천정마감재는 엠바(17)의 하부에 결합된다.
여기서, 종래 엠바(17)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긴 길이를 갖는 바의 형태로 형성되므로, 천정마감재가 결합된 천정의 형상이 항상 수평하게 형성되는 한계가 있었다.
즉, 상부방향으로 곡면형성된 돔형상, 하부방향으로 곡면형성된 함몰형상, 돌출과 함몰이 반복된 엠보 형상등으로 천정을 구현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311208호 "천정마감재 고정용 행거"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곡면형상으로 천정을 구현할 수 있는 천정마감재 고정용 곡면엠바 및 이를 포함하는 천정마감재 고정용 행거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천정마감재 고정용 곡면엠바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천정마감재 고정용 곡면엠바는,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 접혀지며 곡면형상을 구현하는 복수개의 단위엠바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단위엠바는 직렬형태로 연속되게 결합되어 제조되며, 상기 단위엠바는 각각, 지면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양측에 수직하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측벽과; 상기 한 쌍의 측벽의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일정면적 연장형성되는 클립걸림바와; 이웃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단위엠바의 경계영역의 베이스판에 가로방향으로 일정길이 관통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단위엠바가 접혀지도록 하는 접힘슬릿과; 이웃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단위엠바의 경계영역의 측벽에 삼각형 형태로 절개되어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단위엠바가 접혀지도록 하는 접힘노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힘노치는 상기 단위엠바가 형성하는 곡면의 상하방향에 따라 삼각형 또는 역삼각형으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힘슬릿의 전후에 구비되어 상기 접힘슬릿의 접힘을 보조하는 하나 이상의 보조접힘슬릿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상단이 천정에 결합되고 일정 길이 하부로 연장형성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의 하부에 결합되는 행거와; 상기 행거에 삽입되는 결합엠바와; 상기 결합엠바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 곡면형상을 구현하는 천정마감재 고정용 곡면엠바와; 하단은 상기 곡면엠바의 클림걸림바에 걸림결합되며, 상단은 상기 결합엠바에 걸림결합되어 상기 곡면엠바와 상기 결합엠바를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마감재 고정용 행거조립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곡면엠바와 이를 이용한 천정마감재 고정용 행거조립체는 곡면엠바가 단위엠바들이 관절형태로 접혀지며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 다양한 곡면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단순히 수평한 천정 형상 뿐만 아니라 돔형상, 함몰형상, 물결형상 등 다양한 천정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행거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곡면엠바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곡면엠바를 이용해 곡면을 형성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곡면엠바를 이용한 천정마감재 고정용 행거조립체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두 가지 경우의 곡면엠바(100,100a)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곡면엠바(100,100a)는 복수개의 단위엠바가 관절형태로 연속되게 구비되어 하부방향으로 접혀지거나, 상부방향으로 접혀져 천정의 형상을 하부로 볼록한 곡면(100) 또는 상부로 볼록한 곡면(100a)으로 형성할 수 있게 한다.
앞서 설명한 종래 엠바(도 1의 17)는 직선 형태로만 천정을 형성할 수 있었던데 반해 본 발명은 곡면엠바(100,100a)를 이용해 다양한 천정 형상이 시공이 가능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곡면엠바(100,100a)를 이용해 곡면을 형성한 경우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여기서, 하부로 볼록한 곡면엠바(100)와 상부로 볼록한 곡면엠바(100a)는 대부분의 구성이 동일하므로, 상부로 하부로 볼록한 곡면엠바(100)에 대해서 먼저 자세히 설명한다.
곡면엠바(100)는 일정 길이를 갖는 바의 형태로 형성된다. 곡면엠바(100)의 상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엠바(400)가 결합되어 곡면엠바(100)의 곡면형상이 유지되도록 지지한다. 곡면엠바(100)는 접힘슬릿(112,122,132)에 의해 독립적으로 접혀질 수 있는 복수개의 단위엠바(110,120,130)로 구분된다.
각각의 단위엠바(110,120,130)는 이웃하는 단위엠바(110,120,130)와 접힘슬릿(112,122,132)에 의해 구분된다. 일례로, 제1단위엠바(110)는 제2단위엠바(120)와 제1접힘슬릿(112)에 의해 구분되고, 제1단위엠바(110)는 단부엠바(130)와 단부접힘슬릿(132)에 의해 구분된다.
제1단위엠바(110)는 지면에 수평하게 배치된 제1베이스판(111)과, 제1베이스판(111)의 단부에 구비된 제1접힘슬릿(112)과, 제1접힘슬릿(112)의 내측에 배치된 좌우 한 쌍의 제1보조접힘슬릿(113,119)과, 제1베이스판(111)의 양측에 수직하게 기립형성된 한 쌍의 제1측벽(114)과, 제1접힘슬릿(112)에 대응되는 제1측벽(114)에 일정 면적 절개되어 형성된 제1접힘노치(115)와, 제1측벽(114)의 상단에서 수평하게 일정면적 연장형성된 제1클립걸림바(117)를 포함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곡면엠바(100)가 복수개의 단위엠바(110,120,130)로 구획된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곡면엠바(100)는 한 개의 부재로 일체로 형성된다. 즉, 한개의 곡면엠바(100)의 바닥판에 일정간격으로 접힘슬릿(112,122, 132)을 형성하고, 측벽에 접힘슬릿(112,122)의 위치에 대응되게 접힘노치(115,125)를 절개하여 제조된다.
곡면엠바(100)는 하부에 결합되는 천정마감재(미도시)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강성을 갖는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제1베이스판(111)은 지면에 수평하게 형성되어, 하부면에 천정마감재가 결합된다.
제1접힘슬릿(112)은 제1베이스판(111)의 폭방향으로 일정 길이 관통형성된다. 이 때, 제1접힘슬릿(112)은 제1베이스판(111)의 폭방향 전체를 관통하지 않고 양측에 일정 여유공간이 형성되도록 제1베이스판(111) 전체 폭의 2/3 정도의 길이로 관통된다.
제1측벽(114)은 제1베이스판(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일정 높이 수직하게 기립형성된다. 제1측벽(114)에는 제1접힘슬릿(112)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접힘노치(115)가 삼각형 형상으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이 때, 곡면을 형성하는 곡면엠바(100)는 제1접힘노치(115)가 역삼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역삼각형 형태의 제1접힘노치(115)의 꼭지점이 제1접힘슬릿(112)에 대응되는 위치가 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1접힘노치(115)와 제1접힘슬릿(112)의 형상에 의해 작업자가 적은 힘으로 제1단위엠바(110)와 제2단위엠바(120)를 희망하는 각도로 접을 수 있다.
제1접힘노치(115)를 사이에 두고 제1단위엠바(110)와 제2단위엠바(12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방향으로 함몰되는 곡면을 형성한다. 즉, 작업자는 제1접힘노치(115)의 상부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제1단위엠바(110)와 제2단위엠바(120)를 오무려 하부로 함몰된 형태의 곡면을 형성한다.
한편, 제1측벽(114)의 상부에는 제1클립걸림바(117)가 일정면적 수평하게 연장형성된다. 제1클립걸림바(117)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클립(500)의 걸림리브(510)가 걸림되어 곡면엠바(100)가 결합엠바(400)에 결합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곡면엠바(100)는 천정마감재의 무게에 의해 상하방향의 하중만 작용받으므로 걸림리브(510)가 제1클립걸림바(117)에 걸림결합된 상태로 충분한 구속력을 작용하여 결합엠바(400)과의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클립걸림바(117,127,137)의 가운데 영역에는 접힘노치(115)에 의해 오무려질 때, 도 3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로 접혀져 각도조절을 용이하게 하는 접힘선(117a)이 구비된다.
제2단위엠바(120)는 제1단위엠바(110)에 대응되는 구성을 가지며, 단부엠바(130)는 곡면엠바(100)의 양단에 배치된다.
한편, 도 2의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부 볼록형 곡면엠바(100a)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하부 볼록형 곡면엠바(100)는 제1접힘슬릿(112)이 역삼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반면, 상부 볼록형 곡면엠바(100a)는 접힘노치(116)의 꼭지점이 클립걸림바(118)를 향하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볼록형 곡면엠바(100a)는 제1접힘슬릿(112)의 내측에 한 쌍의 제1보조접힘슬릿(113,119)이 형성된다. 제1보조접힘슬릿(113,119)은 제1접힘슬릿(112)을 중심으로 이웃하는 제1단위엠바(110)와 제2단위엠바(120)가 접혀질 때, 접혀지는 각도를 조절하거나 접혀지는 폭을 조절한다.
상부볼록형 곡면엠바(100a)는 도 3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위엠바(110a)와 제2단위엠바(120a)가 접혀질 때, 제1접힘슬릿(112)과 이웃하게 배치된 복수개의 제1보조접힘슬릿(113,119)들이 접혀지면서 보다 부드러운 곡면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접힘노치(116)들 간의 간격(W1, W2)은 이웃하는 제1보조접힘슬릿 및 제2보조접힘슬릿들의 접힘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천정마감재 고정용 행거조립체(1)의 시공과정을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천정마감재(미도시) 시공을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축(200)을 천정에 고정한다. 볼트축(200)의 상부를 천정에 인서트하여 고정하고, 하부는 행거(300)에 결합한다. 이 때, 볼트축(200)의 하부에 형성된 볼트(210)에 높이조절너트(220)가 결합되어 천정(미도시)과 천정마감재(미도시) 사이의 높이를 조절한다.
볼트축(200)의 하부에 결합된 행거(300)의 결합고리(310)에 결합엠바(400)를 삽입하여 배치한다. 결합엠바(400)는 긴 길이를 갖는 엠바의 형태로 형성된다.
작업자는 복수개의 곡면엠바(100a)를 나란하게 배치하여 희망하는 곡면형상으로 형성한다. 작업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위엠바(110a)와 제2단위엠바(120a)를 제1접힘노치(116)와 제1접힘슬릿(112)을 중심으로 오무려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휜 곡면을 형성한다. 이렇게 곡면이 형성된 곡면엠바(100a)의 양단과 가운데 영역에 결합엠바(400)가 배치된다. 복수개의 고정클립(500)을 삽입하여 걸림리브(510)가 클립걸림바(118,138)의 하부에 걸림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고정클립(500)의 상단에 절곡형성된 채널걸림고리(520)를 결합엠바(400)의 상단에 걸어 곡면엠바(100a)을 결합엠바(400)에 결합한다. 곡면엠바(100a)의 양단과 가운데 영역을 각각 복수개의 결합엠바(400)에 결합시킨다.
이 때, 희망하는 형상에 따라 하부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엠바(100)와, 상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엠바(100a)를 선택적으로,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복수개의 곡면엠바(100a)를 이용해 곡면형상이 완성되면, 곡면엠바(100a)의 하단에 천정마감재(미도시)를 결합하여 천정 시공을 완료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곡면엠바와 이를 이용한 천정마감재 고정용 행거조립체는 곡면엠바가 단위엠바들이 관절형태로 접혀지며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 다양한 곡면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단순히 수평한 천정 형상 뿐만 아니라 돔형상, 함몰형상, 물결형상 등 다양한 천정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곡면엠바 및 이를 이용한 천정마감재 고정용 행거조립체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행거조립체 100 : 곡면엠바
110 : 제1단위엠바 111 : 제1베이스판
112 : 제1접힘슬릿 113 : 제1보조접힘슬릿
114 : 제1측벽 115 : 제1접힘노치
116 : 제1접힘노치 117 : 제1클립걸림바
117a : 제1접힘선 118 : 제1클립걸림바
120 : 제2단위엠바 121 : 제2베이스판
122 : 제2접힘슬릿 123 : 제2보조접힘슬릿
124 : 제2측벽 125 : 제2접힘노치
126 : 제2접힘노치 127 : 제2클립걸림바
127a : 제2접힘선 128 : 제2클립걸림바
130 : 단부엠바 137 : 단부클립걸림바
200 : 볼트축 210 : 볼트
220: 고정너트 300 : 행거
310 : 결합고리 400 : 결합엠바
500 : 고정클립 510 : 걸림리브
520 : 채널걸림고리

Claims (4)

  1.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 접혀지며 곡면형상을 구현하는 복수개의 단위엠바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단위엠바는 직렬형태로 연속되게 결합되어 제조되며,
    상기 단위엠바는 각각,
    지면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양측에 수직하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측벽과;
    상기 한 쌍의 측벽의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일정면적 연장형성되는 클립걸림바와;
    이웃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단위엠바의 경계영역의 베이스판에 가로방향으로 일정길이 관통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단위엠바가 접혀지도록 하는 접힘슬릿과;
    이웃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단위엠바의 경계영역의 측벽에 삼각형 형태로 절개되어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단위엠바가 접혀지도록 하는 접힘노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마감재 고정용 곡면엠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노치는 상기 단위엠바가 형성하는 곡면의 상하방향에 따라 삼각형 또는 역삼각형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마감재 고정용 곡면엠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슬릿의 전후에 구비되어 상기 접힘슬릿의 접힘을 보조하는 하나 이상의 보조접힘슬릿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마감재 고정용 곡면엠바.
  4. 상단이 천정에 결합되고 일정 길이 하부로 연장형성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의 하부에 결합되는 행거와;
    상기 행거에 삽입되는 결합엠바와;
    상기 결합엠바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 곡면형상을 구현하는 상기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천정마감재 고정용 곡면엠바와;
    하단은 상기 곡면엠바의 클림걸림바에 걸림결합되며, 상단은 상기 결합엠바에 걸림결합되어 상기 곡면엠바와 상기 결합엠바를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마감재 고정용 행거조립체.
KR1020160124713A 2016-09-28 2016-09-28 천정마감재 고정용 곡면엠바 및 이를 포함하는 천정마감재 고정용 행거조립체 KR201800349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713A KR20180034907A (ko) 2016-09-28 2016-09-28 천정마감재 고정용 곡면엠바 및 이를 포함하는 천정마감재 고정용 행거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713A KR20180034907A (ko) 2016-09-28 2016-09-28 천정마감재 고정용 곡면엠바 및 이를 포함하는 천정마감재 고정용 행거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4907A true KR20180034907A (ko) 2018-04-05

Family

ID=61977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4713A KR20180034907A (ko) 2016-09-28 2016-09-28 천정마감재 고정용 곡면엠바 및 이를 포함하는 천정마감재 고정용 행거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490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68756A (zh) * 2021-08-25 2021-11-19 苏州金螳螂建筑装饰股份有限公司 一种大跨度的铝方通多重跌级造型装配式安装设计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3097A (ko) * 2008-01-29 2009-08-03 조신복 천장재 부착용 고정장치
KR101463981B1 (ko) * 2014-08-29 2014-11-26 주식회사 조은데코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
KR20150084878A (ko) * 2012-11-13 2015-07-22 유에스지 인테리어스, 엘엘씨 건식 벽 구조들을 프레이밍하기 위한 유연한 건식 벽 그리드 부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3097A (ko) * 2008-01-29 2009-08-03 조신복 천장재 부착용 고정장치
KR20150084878A (ko) * 2012-11-13 2015-07-22 유에스지 인테리어스, 엘엘씨 건식 벽 구조들을 프레이밍하기 위한 유연한 건식 벽 그리드 부재
KR101463981B1 (ko) * 2014-08-29 2014-11-26 주식회사 조은데코 천장 마감용 경량프레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68756A (zh) * 2021-08-25 2021-11-19 苏州金螳螂建筑装饰股份有限公司 一种大跨度的铝方通多重跌级造型装配式安装设计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79202B1 (en) Metal baffles
US9337635B2 (en) Box hanger clip and electrical box assembly
US9300119B2 (en) Universal mounting bracket for electrical boxes in concrete block walls
US5311719A (en) Metal panels for accessible concealed ceiling system
US10306950B2 (en) Strap connection member
KR102026241B1 (ko) 경계 트림용 클립
JP2014202059A (ja) 野縁吊持用クリップ
US3221846A (en) Crossing beam
KR20180034907A (ko) 천정마감재 고정용 곡면엠바 및 이를 포함하는 천정마감재 고정용 행거조립체
KR102494932B1 (ko) 3차원 구조물을 위한 발광 튜브형 월 플레이트 및 이러한 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3차원 구조물
KR20100007586U (ko) 커튼레일 고정구
KR101765289B1 (ko) 천정 마감재 지지용 엠바 연결구
KR20170112473A (ko) 천정판 고정구조
JP2014047460A (ja) クリップ
JP2007513298A (ja) ブラケットストリッピングの改良
KR200367342Y1 (ko) 천정매입등용 행거바
JP2016089555A (ja) 野縁吊持用クリップ
KR20160138854A (ko) 천장패널 고정용 클립장치
US4987715A (en) Parallel beam system
KR101857234B1 (ko) 천장 마감용 프레임 어셈블리
JP7441354B1 (ja) システム天井
JP3123692U (ja) 金属製下地材固定用クリップ
KR20190010415A (ko) 건물 천장용 판넬 설치장치
JP2019060190A (ja) 天井の固定具
JP6883502B2 (ja) 天井構造及び固定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