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2473A - 천정판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천정판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2473A
KR20170112473A KR1020160039545A KR20160039545A KR20170112473A KR 20170112473 A KR20170112473 A KR 20170112473A KR 1020160039545 A KR1020160039545 A KR 1020160039545A KR 20160039545 A KR20160039545 A KR 20160039545A KR 20170112473 A KR20170112473 A KR 201701124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ixing
clip
bent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9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호전
Original Assignee
디에스엠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에스엠씨(주) filed Critical 디에스엠씨(주)
Priority to KR1020160039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2473A/ko
Publication of KR20170112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24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8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having grooves engaging with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1/40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04B9/0435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having connection means at the 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정판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사각의 평판에서 서로 대응하는 양단부에는 일정 높이로서 형성되는 수직 안내면의 상단부를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일정 폭이 절곡되도록 한 엠바 고정부(11)를 형성하고, 평판의 판면에는 각 단면측으로 중앙으로부터 균일한 거리에서 각각 일정 폭이 이격되도록 한 판면이 일부 절개되도록 하여 절개한 판면을 상호 안쪽 또는 바깥쪽 단부를 축으로 하향 절곡되도록 한 한 쌍 이상의 고정편(12)을 사방으로 형성하는 고정 플레이트(10); 고정 플레이트(10)의 한 쌍의 고정편(12) 사이의 판면과 밀착되는 밀착면(21)의 양측단부를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근접하도록 하향 절곡되도록 한 한 쌍의 리브(22)에서 하단부측의 절곡부(23)에는 동일 수평선상에 일정 간격을 이격하여 하나 이상의 관통홀(24)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각 절곡부(24)가 타측의 리브(22)에 형성된 관통홀(24)을 일부 관통하여 절곡부(24)가 교차하도록 하고, 양측의 각 리브(22)에는 밀착면(21)측으로 고정 플레이트(10)의 고정편(12)이 절곡 삽입되도록 고정홀(25)이 형성되도록 하는 클립(20); 상호 인접하는 한 쌍의 클립(20)으로 상향 절곡되도록 한 스커트부(31)의 모서리에서 클립(20)과 동일 수직선상에 클립(20)의 절곡부(23)가 일부 관통 삽입되도록 걸림홀(32)을 형성하는 천정판(30)의 조립에 의해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Description

천정판 고정구조{Setup structure of ceiling plate}
본 발명은 천정판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 플레이트와 분리 제작되는 클립은 각 리브의 절곡부와 관통홀이 교호로 형성되도록 하면서 한 쌍의 리브간 절곡부가 관통홀을 관통하여 교차 조립되도록 하고, 각 클립은 고정 플레이트의 절곡편에 의해 절곡시켜 조립되도록 하는 천정판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공건물이나 대형건물에는 천정 슬라브의 하부로 천정판이 구비되도록 하고 있다.
천정판은 천정 슬라브로부터 일정 높이에 구비하게 되는 배관이나 전선 등의 다양한 천정 구조물을 커버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비되기도 하지만 이러한 단순한 기능 외에도 다양한 미감을 제공하는 장식적인 기능도 갖도록 하고 있다.
천정판은 과거 주로 석고보드를 조립 고정하는 방식으로 사용하였으나, 유해성으로 인해 최근에는 다양한 재질의 천정판이 사용되고 있다.
현재 천정판은 천정 슬라브로부터 일정 길이로 구비되는 장볼트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도록 한 채널형상의 엠바에 일정 간각으로 와이어클립을 사용하여 채널형상의 클립바가 고정되도록 하고, 이 클립바에 천정판의 측단부를 일정 높이로 절곡되게 형성한 스커트부가 삽입되면서 스커트부의 걸림돌부가 클립바의 끝단이 서로 맞닿도록 형성한 측판의 절곡부에 걸려져 하향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적용되고 있다.
등록특허 제1398676호(2014.05.16.명칭:천정 마감용 패널 고정구)는 금속의 판재로 이루어지는 천정판을 이용한 천정구조이다.
이와 같은 선등록특허의 천정판은 종전과 마찬가지로 측단부로 스커트부를 형성하는 금속의 판재를 사용하지만 이들 천정판을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가 개선되도록 한 것이다.
즉 종래에는 엠바에 와이어클립을 이용하여 클립바가 고정되도록 하여 천정판이 고정되도록 하였으나, 선등록특허에서는 와이어클립과 클립바를 생략하고 직접 엠바에 일정 간격마다 고정구가 연결되도록 하면서 고정구의 하부로부터 천정판이 조립되도록 하는 클립이 일체로 또는 조립식으로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고정구에서 본체에 클립을 분리되도록 한 구성에서는 본체와 클립간 결합력이 견고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시공장소에서 본체에 클립을 조립시켜야만 하므로 클립의 분실 위험이 많으며, 무엇보다도 클립에 고정된 천정판이 하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쉽게 고정구로부터 이탈되어 낙하하면서 불량 시공으로 인한 사고가 발생되기도 한다.
또한, 고정구에 클립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은 클립의 제작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천정판의 고정력이 약해 적용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398676호(2014.05.16.)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발명은 엠바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와 천정판을 고정하는 클립을 별도로 제작하여 간단히 조립되게 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한 천정판 고정구조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클립의 양측 리브에서 절곡부는 교호로 일정 간격마다 관통홀을 형성하여 리브간 절곡부가 관통홀을 관통하도록 함으로써 천정판을 더욱 안정되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천정판 고정구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천정판 고정구조는, 사각의 평판에서 서로 대응하는 양단부에는 일정 높이로서 형성되는 수직 안내면의 상단부를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일정 폭이 절곡되도록 한 엠바 고정부를 형성하고, 평판의 판면에는 사방의 각 단면측으로 중앙으로부터 균일한 거리에서 각각 일정 폭이 이격되도록 한 판면이 일부 절개되도록 하여 절개한 판면을 상호 안쪽 또는 바깥쪽 단부를 축으로 하향 절곡되도록 한 한 쌍 이상의 고정편을 형성하는 고정 플레이트; 고정 플레이트의 한 쌍의 고정편 사이의 판면과 밀착되는 밀착면의 양측단부를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근접하도록 하향 절곡되도록 한 한 쌍의 리브에서 하단부측의 절곡부에는 동일 수평선상에 일정 간격을 이격하여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각 절곡부가 타측의 리브에 형성된 관통홀을 일부 관통하여 절곡부가 교차하도록 하고, 양측의 각 리브에는 밀착면측으로 고정 플레이트의 고정편이 절곡 삽입되도록 고정홀이 형성되도록 하는 클립; 상호 인접하는 한 쌍의 클립으로 상향 절곡되도록 한 스커트부의 모서리에서 클립과 동일 수직선상에 클립의 절곡부가 일부 관통 삽입되도록 걸림홀을 형성하는 천정판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천정판 고정구조는 엠바에 결합되는 고정 플레이트와 천정판이 조립되는 클립이 분리 제작되어 간단히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용이한 제작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클립의 리브 하단부측 절곡부로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되도록 하면서 양 리브의 절곡부가 관통홀을 통해 교차하면서 관통하도록 함으로써 이들 리브의 절곡부가 천정판의 스커트부에 형성한 걸림홀을 통해 일부 삽입되면서 천정판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정판 고정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정판 고정구조의 고정 플레이트를 예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천정판 고정구조의 클립을 예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천정판 고정구조의 고정 플레이트와 클립의 다른 결합 구조를 예시한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천정판 고정구조의 고정 플레이트에 클립을 조립하는 상태를 예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천정판 고정구조의 고정 플레이트와 클립을 조립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천정판 고정구조의 고정 플레이트와 클립의 결합 구조를 엠바에 조립한 상태를 예시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천정판 고정구조에서 천정판을 클립에 조립하는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천정판 고정구조에서 천정판이 클립의 절곡부 사이로 삽입되는 상태를 예시한 조립 구조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천정판 고정구조에서 클립에 천정판이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 조립 구조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천정판 고정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정판 고정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천정판 고정구조는 크게 엠바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10)와 천정판이 고정되는 클립(2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정판 고정구조의 고정 플레이트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정 플레이트(10)는 사각 특히 정사각형의 평판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이며, 이러한 사각의 평판에서 서로 대응하는 양단부에는 일정 높이로서 상향 절곡되도록 하거나 양측으로 일정 간격을 이격시켜 일정 높이로서 수직 안내면을 이루고, 이렇게 형성되는 수직 안내면의 상단부는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일정 폭이 절곡되도록 하여 엠바 고정부(11)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런 엠바 고정부(11)의 양측 수직 안내면간 거리는 엠바의 폭보다는 큰 폭으로 이격되도록 하여 엠바가 내부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하며, 상단부는 엠바의 상부면 양측에 얹혀질 수 있도록 수평 및 그 이상으로 절곡되도록 한다.
그리고 고정 플레이트(10)의 평판의 판면에는 각 단면측의 사방으로 중앙으로부터 균일한 거리에서 일정 폭이 이격되도록 하여 한 쌍 이상의 고정편(12)이 형성되도록 한다.
즉, 고정편(12)은 판면이 일부 절개되도록 하고, 절개한 판면을 상호 안쪽 또는 바깥쪽 단부를 축으로 하향 절곡되도록 하여 형성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천정판 고정구조의 클립을 예시한 측단면도이다.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천정판 고정구조에서 클립(20)은 고정 플레이트(10)에서 한 쌍의 고정편(12) 사이의 판면에 밀착되면서 조립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클립(20)은 고정 플레이트(10)에 밀착되는 밀착면(21)과 이 밀착면(21)의 양측단부를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하향 절곡되도록 하면서 근접하도록 하는 한 쌍의 리브(22)와 이 리브(22)의 하단부는 상호 겹쳐지도록 한 후 다시 외측으로 하향 절곡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클립(20)의 양측 리브(22)에서 하단부측의 절곡부(23)에는 동일 수평선상에 일정 간격을 이격하여 하나 이상의 관통홀(24)이 형성되도록 하여 각 리브(22)에서 각 절곡부(23)는 타측의 리브(22)에 형성된 관통홀(24)을 일부 관통하여 양 리브(22)의 절곡부(23)가 교차되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일측의 리브(22)에서 절곡부(23)와 관통부(24)의 순으로 형성되면 타측의 리브(22)에서는 관통부(24)와 절곡부(23) 순으로 상호 교차되도록 절곡부(24)와 관통부(24)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클립(20)의 양측 리브(22)에는 밀착면(21)측으로 일정 크기 즉 고정 플레이트(10)로부터 하향 절곡되도록 한 고정편(12)의 폭보다는 큰 폭으로 고정홀(25)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리브(22)에 형성되는 고정홀(25)은 도 4에서와 같이 일정 간격을 이격하여 양측단부로 형성되도록 하고, 이와 동일한 간격으로 고정 플레이트(10)에도 고정편(12)이 일정 간격을 이격하여 병렬로 2쌍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클립(20)은 고정 플레이트(10)의 한 쌍의 고정편(12) 사이에서 밀착면(21)이 고정 플레이트(10)에 밀착되도록 하여 고정편(12)에 의해서 각각 결합되도록 한다.
즉, 고정 플레이트(10)에서 사방에 형성되도록 한 한 쌍 이상의 고정편(12) 사이에 각각 클립(20)이 밀착되도록 하면서 고정편(12)을 상호 마주보는 방향의 안쪽으로 절곡시켜 각 클립(20)의 양측 고정홀(25)에 삽입되도록 하면 각 클립(20)이 고정 플레이트(10)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상태가 된다.
고정 플레이트(10)에 결합되는 상호 인접하는 한 쌍의 클립(20)에는 천정판(30)의 모서리측 스커트부(31)가 삽입 고정된다.
클립(20)에 고정되는 천정판(30)에는 스커트부(31)의 모서리측으로 클립(20)과 동일 수직선상에 걸림홀(32)이 형성되도록 한다.
천정판(30)의 걸림홀(32)은 클립(20)의 관통홀(24) 외의 절곡부(23)가 일정 높이 관통하도록 형성한다.
따라서, 천정판(30)에 형성되는 걸림홀(32)은 클립(20)의 길이보다는 긴 길이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천정판 고정구조를 이용한 천정판 시공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천정 구조물인 엠바에 일정 간격마다 직접 결합되면서 천정판(30)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천정판 고정구조는 우선 엠바에 결합되는 고정 플레이트(10)와 천정판(30)이 조립되는 클립(20)이 각각 별도로 제작되도록 한다.
따라서 고정 플레이트(10)는 정사각 또는 직사각의 사각형의 판면에서 양측의 판면은 수직으로 상향 절곡되게 하여 엠바 고정부(11)를 이루고, 평판의 판면에는 사방의 각 측단면으로 판면을 일부 절개시켜 하향 절곡되도록 한 고정편(12)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고정 플레이트(10)는 평판을 단순히 프레싱과 밴딩하는 공정을 통해 손쉽게 성형할 수가 있다.
또한, 고정 플레이트(10)에 조립되는 클립(20)도 평판을 프레싱과 밴딩하는 공정을 통해서 손쉽게 제작이 가능하다.
이렇게 본 발명은 고정 플레이트(10)와 클립(20) 및 천정판(30)이 각각 별도의 공정을 통해 제작되도록 하면서 고정 플레이트(10)와 클립(20)은 제작 공장에서 미리 조립되도록 하고, 천정판(30)만 시공 현장에서 조립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천정판 고정구조의 고정 플레이트에 클립을 조립하는 상태를 예시한 측단면도로서, 예시한 바와 같이 클립(20)은 고정 플레이트(10)의 하향 절곡한 한 쌍의 고정편(12) 사이에서 밀착면(21)이 고정 플레이트(10)에 밀착되도록 하면서 양측 고정편(12)을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시켜 클립(20)의 리브(22)에 형성한 고정홀(25)을 관통하여 삽입되도록 한다.
양측의 고정편(12)을 절곡시켜 클립(20)의 각 고정홀(25)에 삽입되도록 하면 클립(20)이 견고하게 고정되는 상태가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천정판 고정구조의 고정 플레이트와 클립을 조립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정 플레이트(10)에는 한 쌍의 고정편(12)을 절곡시켜 하나의 클립(20)이 고정되도록 하는 작업을 사방에서 수행되게 함으로써 고정 플레이트(10)에는 사방으로 4개의 클립(20)이 조립되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고정 플레이트(10)와 클립(20)이 결합된 상태로 제작이 되면 별도로 제작되는 천정판(30)과 함께 천정을 시공할 현장으로 운송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천정판 고정구조의 고정 플레이트와 클립의 결합 구조를 엠바에 조립한 상태를 예시한 측단면도이다.
예시한 바와 같이 고정 플레이트(10)와 클립(20)을 조립한 구성을 천정에서 일정 간격을 이격시켜 병렬로 나란하게 형성한 엠바(40)에 일정 간격마다 조립되도록 한다.
즉 고정 플레이트(10)는 상부로 한 쌍의 수직 안내면을 형성하면서 수직 안내면의 상단을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한 엠바 고정부(11)가 엠바(40)의 하부로부터 상향 조립되도록 한다.
이때 한 쌍의 수직 안내면간 사이는 엠바(40)의 폭보다는 크게 형성되도록 하고 있으나, 수직 안내면의 상단부를 절곡시킨 절곡 단부간 사이는 엠바(40)의 폭보다는 작게 형성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일측의 수직 안내면측의 절곡 단부를 엠바(40)의 상단부에 먼저 걸쳐지도록 한 후 반대측의 수직 안내면이 엠바(40)의 일측면을 타고 상향 이동하면서 엠바(40)에 조립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엠바(40)에 고정 플레이트(10)와 클립(20)의 결합 구조가 일정 간격마다 고정되도록 하면 가까운 고정 플레이트(10)와 클립(20)의 결합 구조간 양 클립(20)간으로 천정판(30)이 조립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천정판 고정구조에서 천정판을 클립에 조립하는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천정판 고정구조에서 천정판이 클립의 절곡부 사이로 삽입되는 상태를 예시한 조립 구조도이다.
예시한 바와 같이 천정판 고정구조에서 고정 플레이트(10)에 결합한 4개의 클립(20)들 중 인접하는 2개의 클립(20)에 걸쳐 천정판(30)의 모서리측 스커트부(31)가 상향 삽입되도록 한다.
스커트부(31)를 삽입 시 스커트부(31)에 형성한 걸림홀(32)이 클립(20)과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하면서 삽입시키게 되면 스커트부(31)의 상단부가 상호 교차되도록 한 클립(20)의 양측 절곡부(23)가 양측으로 이격되도록 한다.
천정판(30)의 스커트부(31)가 상향 이동하면서 양측 절곡부(23)는 스커트부(31)의 양측 판면에 밀착되는 상태가 되고, 스커트부(31)의 걸림홀(32)이 클립(20)의 절곡부(23)에 위치되는 순간 양측의 절곡부(23)는 스커트부(31)의 걸림홀(32)을 관통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천정판 고정구조에서 클립에 천정판이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 조립 구조도이다.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천정판(30)을 하나씩 인접하는 2개의 클립(20)에 걸쳐 한 쌍의 리브(22) 사이로 삽입되도록 하면 천정판(30)의 모서리측 스커트부(31)에 형성한 걸림홀(32)을 통해 각 클립(20)의 절곡부(23)가 일부 관통 삽입되어 각 클립(20)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2개의 클립(20)에 걸쳐 하나의 천정판(30)이 고정되면, 인접한 하나의 클립(20)과 이미 스커트부(31)가 삽입된 클립(20)의 절곡부(23) 사이로 별도의 천정판(30) 스커트부(31)가 삽입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하나의 클립(20)에는 서로 다른 천정판(30)의 스커트부(31)가 동시에 고정되도록 하면서 각 클립(20)으로 천정판(30)을 하나씩 결합한다.
본 발명에서 하나의 고정 플레이트(10)에는 2개의 스커트부(31)를 고정하는 클립(20)이 4개로 형성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각 클립(20)을 따라 4개의 천정판(30)이 고정되도록 한다.
이렇게 천정판(30)이 엠바(40)를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결합된 본 발명의 고정 플레이트(10)와 클립(20)으로 연속해서 천정판(30)이 조립되도록 하면 보다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더욱 안정된 유지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설치된 상태에서 천정판(30)의 하부로부터 일정 강도의 충격이 가해지게 되더라도 천정판(30)의 걸림홀(32)을 통해 관통 삽입되도록 한 클립(20)의 절곡부(23)에 의해 견고한 결합상태가 유지되게 함으로써 하부로부터의 충격으로 인한 천정판(30)의 낙하를 방지할 수가 있게 되므로 안전 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 플레이트(10)와 클립(20) 및 천정판(30)의 제작을 각각 별도로 수행하여 성형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쉽고 빠른 제작을 제공하게 된다,
10 : 고정 플레이트 11 : 엠바 고정부
12 : 고정편 20 : 클립
21 : 밀착면 22 : 리브
23 : 절곡부 24 : 관통홀
25 : 고정홀 30 : 천정판
31 : 스커트부 32 : 걸림홀

Claims (4)

  1. 사각의 평판에서 서로 대응하는 양단부에는 일정 높이로서 형성되는 수직 안내면의 상단부를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일정 폭이 절곡되도록 한 엠바 고정부를 형성하고, 평판의 판면에는 각 단면측으로 중앙으로부터 균일한 거리에서 각각 일정 폭이 이격되도록 한 판면이 일부 절개되도록 하여 절개한 판면을 상호 안쪽 또는 바깥쪽 단부를 축으로 하향 절곡되도록 한 한 쌍 이상의 고정편을 사방으로 형성하는 고정 플레이트;
    고정 플레이트의 한 쌍의 고정편 사이의 판면과 밀착되는 밀착면의 양측단부를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근접하도록 하향 절곡되도록 한 한 쌍의 리브에서 하단부측의 절곡부에는 동일 수평선상에 일정 간격을 이격하여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각 절곡부가 타측의 리브에 형성된 관통홀을 일부 관통하여 절곡부가 교차하도록 하고, 양측의 각 리브에는 밀착면측으로 고정 플레이트의 고정편이 절곡 삽입되도록 고정홀이 형성되도록 하는 클립;
    상호 인접하는 한 쌍의 클립으로 상향 절곡되도록 한 스커트부의 모서리에서 클립과 동일 수직선상에 클립의 절곡부가 일부 관통 삽입되도록 걸림홀을 형성하는 천정판;
    으로 이루어지는 천정판 고정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립에는 고정 플레이트로부터 하향 절곡되도록 한 고정편의 폭보다는 큰 폭으로 고정홀을 형성하는 천정판 고정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는 판면을 절개하여 하향 절곡되도록 한 고정편이 각 일단면에서 일정 간격을 이격하여 병렬로 2쌍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클립의 양측 리브에는 상기 고정편과 같은 간격으로 각 리브의 양측에 고정홀이 형성되도록 하는 천정판 고정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천정판은 걸림홀이 상기 클립의 길이보다는 긴 길이로 형성하는 천정판 고정구조.
KR1020160039545A 2016-03-31 2016-03-31 천정판 고정구조 KR201701124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9545A KR20170112473A (ko) 2016-03-31 2016-03-31 천정판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9545A KR20170112473A (ko) 2016-03-31 2016-03-31 천정판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473A true KR20170112473A (ko) 2017-10-12

Family

ID=60141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9545A KR20170112473A (ko) 2016-03-31 2016-03-31 천정판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247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8220A (ko) * 2018-11-19 2020-05-27 정민시 타일 체결구조
KR102145958B1 (ko) * 2020-01-28 2020-08-19 정진호 마감패널 고정부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8220A (ko) * 2018-11-19 2020-05-27 정민시 타일 체결구조
KR102145958B1 (ko) * 2020-01-28 2020-08-19 정진호 마감패널 고정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32197B (zh) 用于吊顶式天花板的嵌条
KR101075156B1 (ko) 케이블 트레이
KR101422617B1 (ko) 조립구조가 개선된 케이블 트레이
KR102000228B1 (ko) 천장마감패널 어셈블리
KR20170112473A (ko) 천정판 고정구조
KR101815510B1 (ko) 데크의 설치구조
KR101805132B1 (ko) 트러스 거더 설치용 지지대
KR200470819Y1 (ko) 스터드기능을 갖는 조립형 스퀘어바
KR101765289B1 (ko) 천정 마감재 지지용 엠바 연결구
KR101767118B1 (ko) 케이블 트레이용 가로대
JP2020076252A (ja) 建築用金具
KR101324770B1 (ko) 천정 및 벽용 패널 조립체
KR100538280B1 (ko) 천장 패널 지지용 행거
JP2015007355A (ja) 部材係止具、梁下取付部材および天井構造
JP6159557B2 (ja) 足場構造
JP4308029B2 (ja) 床板材連結金具、床板材連結方法及びその床構造体
KR200475755Y1 (ko) 프레임용 석재 판넬 고정 브라켓
KR20160000774U (ko) 천정 구조물 고정용 클립
JP7022961B2 (ja) 天井構造および天井板取付部材
KR200371856Y1 (ko) 천장 패널 지지용 행거
KR20160138854A (ko) 천장패널 고정용 클립장치
KR102042237B1 (ko) 케이블 트레이
JP6389376B2 (ja) 天井板材の取付装置並びにこれを使用した天井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7276834B2 (ja) 天井板落下防止装置及び天井構造
KR20110027465A (ko) 탄성고정형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