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3960B1 - 배전용 전주의 배전선 지지완철 - Google Patents

배전용 전주의 배전선 지지완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3960B1
KR101413960B1 KR1020140043663A KR20140043663A KR101413960B1 KR 101413960 B1 KR101413960 B1 KR 101413960B1 KR 1020140043663 A KR1020140043663 A KR 1020140043663A KR 20140043663 A KR20140043663 A KR 20140043663A KR 101413960 B1 KR101413960 B1 KR 101413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spring
distribution line
piec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3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현종
Original Assignee
(주)에스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시 filed Critical (주)에스시
Priority to KR1020140043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39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3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3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01M29/08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using reflection, colours or films with specific transparency or reflectivit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birds, e.g. spik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14Supporting insulators
    • H01B17/16Fastening of insulators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53Suspension clamps and clips for electric overhead lines not suspended to a supporting wire
    • H02G7/056Dead-end clam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4Arrangements or devices for damping mechanical oscillations of lines, e.g. for reducing production of soun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sulators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류가 가공 배전선에 앉거나 또는 완철에 둥지를 트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애자의 교체작업이 용이하고 가공 배전선의 위치을 손쉽게 변경시킬 수 있으며 강풍 등에 의한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한 배전용 전주의 배전선 지지완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관통되는 장공이 형성된 지지대와; 장착공이 형성되어 지지대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ㄷ자형 단면을 갖는 브라켓과; 절연재질의 바디부, 둘레면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장착돌기를 가지며 바디부의 상부 중앙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부, 장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홈과 내부 상단면에 형성되어 스프링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스프링장착부 및 가이드홈을 갖는 안치홈이 형성된 애자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대의 외측에는 원반형상의 제1 및 제2활주편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대의 내측에는 반구형 지지편, 가이드봉, 고정편으로 이루어진 탄력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애자의 내측에는 스프링장착부, 고정구, 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애자의 외측에는 밴딩러버, 브라켓, 반사판으로 이루어진 조류퇴치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애자의 상측 연결부에는 원통캡 및 날개편으로 이루어진 결속 하우징 및 가공 배전선을 고정시키기 위한 클램프, 애자고정부재가 구비되어 있다.

Description

배전용 전주의 배전선 지지완철 {Supporting bar for supply of electric power line at the electric pole}
본 발명은 배전용 전주의 배전선 지지완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류(鳥類)가 가공 배전선에 앉거나 또는 완철에 둥지를 트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애자의 교체작업이 용이하고 가공 배전선의 위치을 손쉽게 변경시킬 수 있으며 강풍 등에 의한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한 배전용 전주의 배전선 지지완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생산되는 대 전력은 송전탑 등의 송전선로를 통해 고압의 전력으로 각 변전소로 송전된 다음, 변전소에서는 여러 단계의 변압과정을 거쳐 각 가정 또는 건물 등의 수용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케이블을 이용하여 각 지역으로 공급하게 되는 배전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고압 송전용 케이블, 즉 가공 배전선은 알루미늄 나선 다발 및 그 외주면을 따라 피복되는 합성수지 피복층으로 코팅 처리되어 있으며, 이는 전주(電柱)에 연결되어 발전소 또는 변전소에서 송전되는 전기를 각 수용가로 공급하는 역할을 행하게 된다.
이때, 전주나 배전반에 가공 배전선을 가설할 경우 하중에 의한 처짐 및 완철과의 전기적인 접촉을 차단하기 위하여 통상 애자를 설치하게 되는데, 상기 가공 배전선에 집중되는 응력을 줄이고 가공 배전선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되고 있으며, 더구나 상기 완철에는 조류 등이 쉽게 접근할 수 있어 각 부품이나 가공 배전선이 조류에 의해 쉽게 손상되어 유지보수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통상의 가공 배전선이 설치되는 완철 구조와 관련하여 국내 등록특허 제1000031호나 제1194832호 등의 공보에는 전선을 지지하는 애자 부위에 주기적으로 회전하는 돌출부를 구비하여 조류의 접근을 막고, 바람에 의해 장력 변화 유발시 전선에 걸리는 압력을 감지하여 전선의 유동을 완충시키는 장치의 동작을 통해 단선을 막도록 구성된 "가공전선 배전용 배전반 지지완철"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 기술은 주기적으로 회전하는 돌출부는 정해진 경로로만 회전 유동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조류가 적응하므로 접근 자체를 완벽하게 차단할 수는 없고, 또 바람에 의한 전선의 장력 변화시에 흔들림이나 길이방향으로의 팽창과 수축이 동반하게 되므로 수축, 팽창시에는 여전히 단선의 위험이 남아 있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161001호 공보에 기재된 "송전용 가공전선 지지용 고정애자"의 경우에는 애자 상에 전선을 결속하기 위하여 연결구 및 고정구 등과 같은 복합적인 기구물을 포함하여 가압블록 등을 가설해야 함은 물론 별도의 완충기능이 결여되어 있어 약한 충격만 가해져도 파손될 우려가 매우 높다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0031호(2010.12.03. 등록) 발명의 명칭: 가공전선 배전용 배전반 지지완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94832호(2012.10.19. 등록) 발명의 명칭: 가공전선 배전용 배전반 지지완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61001호(2012.06.22. 등록) 발명의 명칭: 송전용 가공전선 지지용 고정애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74356호(2012.08.09. 등록) 발명의 명칭: 송전용 가공전선의 지지완철.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류가 가공 배전선에 앉거나 또는 완철에 둥지를 트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면서 현장 여건에 따라 애자를 연결 및 분리하여 늘리거나 줄일 수 있어 매우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배전용 전주의 배전선 지지완철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애자의 교체작업을 손쉽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강풍 등에 의해 애자나 지지완철에 발생하는 수직 및 수평방향에 대한 외력을 효과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음은 물론 가공 배전선의 위치를 손쉽게 변경시킬 수 있는 배전용 전주의 배전선 지지완철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관통되는 장공이 형성된 지지대와; 장착공이 형성되어 지지대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ㄷ자형 단면을 갖는 브라켓과; 절연재질의 바디부, 둘레면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장착돌기를 가지며 바디부의 상부 중앙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부, 장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홈과 내부 상단면에 형성되어 스프링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스프링장착부 및 가이드홈을 갖는 안치홈이 형성된 애자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대의 외측에는 단턱에 의해 각각 장공에 안치되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하는 원반형상의 제1 및 제2활주편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대의 내측에는 제1 및 제2활주편의 양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반구형 지지편, 반구형 지지편에 고정 설치되어 스프링이 끼워지는 가이드봉, 반구형 지지편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스프링의 반발력을 지탱하기 위한 고정편으로 이루어진 탄력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애자의 내측에는 스프링장착부, 가이드홈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가이드돌기를 가지며 안치홈에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고정구, 절연체와 고정구의 스프링장착부에 각각 유지되어 고정구를 일 방향으로 탄발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애자의 외측에는 바디부의 둘레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밴딩러버, 밴딩러버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는 브라켓,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빛을 반사하는 반사판으로 이루어진 조류퇴치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애자의 상측 연결부에는 원통캡 및 날개편으로 이루어진 결속 하우징이 볼트에 의해 고정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날개편에 장착된 클램프에 의해 가공 배전선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며, 상기 애자의 하단부에는 바디부에 장착되는 환형링 및 이 환형링에 접속되는 연결바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바의 끝단부에 형성된 걸림편이 제1활주편의 상면에 고정 설치된 케이싱 내에 스프링을 개재하여 장착되는 애자고정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용 전주의 배전선 지지완철에 의하면, 조류퇴치기구에 의해 조류가 가공 배전선에 앉거나 또는 완철에 둥지를 트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현장 여건에 따라 애자를 연결 및 분리하여 늘리거나 줄일 수 있어 매우 범용적이면서 애자 손상시에 쉽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강풍 등에 의해 애자에 발생할 수 있는 수직 및 수평방향에 대한 외력을 효과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음은 물론 가공 배전선을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가공 배전선의 위치를 변동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쉽게 대응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완철 및 애자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완철 및 애자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애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애자의 결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배전선 지지완철의 변형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애자 상단부에 설치되는 결속 하우징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지지대의 주요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지지대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평면 구성도,
그리고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등록특허 제1174356호의 일부 구성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애자가 장착되는 연결부의 구조를 개선한 내용이 더 포함된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1174356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애자 및 완철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자 및 완철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완철 및 애자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애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애자의 결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자 설치형 완철은 지지대(100)와 브라켓(200) 및 애자(300)로 이루어지며, 가공 배전선(L)을 안전하게 절연 지지하면서 조류가 가공 배전선(L)에 앉거나 주변에 둥지를 트는 것을 차단시키는 기능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100)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조된 사각형상의 바(Bar)로서, 애자(300)의 고정구(320)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개구된 장공(1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지지대(100)는 공지의 전주나 배전반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지지대(100)에는 브라켓(200)을 매개로 애자(300)가 설치되며, 이 애자 (300)는 지지대(100)에 형성된 장공(1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특히 기존에 설치되어 있던 가공 배전선(L)의 위치를 필요에 따라 약간의 조작을 통해 얼마든지 위치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이 상당히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잇점을 갖는다.
상기 브라켓(200)은 ㄷ자형 단면을 갖는 부재로서, 중앙에는 장공(110)과 상호 연이어지는 장착공(210)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100)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장착공(210)에는 애자(300)의 고정구(320)가 삽입되어 지지대(100)의 장공(110)을 통해 관통되며, 관통된 고정구(320)에는 와셔 및 너트가 체결된다(도 2 참조).
다음에,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애자(300)는 절연체(310)와 고정구(320), 스프링(330) 및 조류퇴치기구(340)로 구성되며, 상기 브라켓(200)에 안착되어 지지대(100)에 와셔 및 너트를 매개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 고정된다(도 2 참조).
상기 절연체(310)는 바디부(311)와 연결부(312) 및 안치홈(313)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고정구(320)를 매개로 지지대(100) 상에 설치된다.
상기 바디부(311)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접시형태의 원판이 연속적으로 적층된 형태를 이루고 있다. 상기 바디부(311)의 상면에는 연결부(312)가 일체로 형성되며, 여기서 연결부(312)는 안치홈(313)에 끼워져 설치된다.
상기 연결부(312)의 둘레면에는 안치홈(313)의 결합홈(313a)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착돌기(312a)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312)의 상면은 가공 배전선(L)을 용이하게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지만 가공 배전선(L)을 연결부(312)의 오목한 부분으로 안착시킬 수 있다.
상기 안치홈(313)은 바디부(311)의 내측에 형성되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연결부(31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단이 하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특히 상기 안치홈(313)에는 장착돌기(312a)가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결합홈(313a)이 형성되고, 내부 상단면에는 스프링(330)의 일단부가 압입고정되는 스프링장착부(313b)가 일체로 형성되며, 결합홈(313a)과 스프링장착부(313b) 사이에는 고정구(320)의 가이드돌기(322)가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가이드홈(313c)이 일체로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홈(313a)은 정면에서 본 모양이 '7'자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애자(300)를 새로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연결부(312)를 안치홈(313)에 삽입한 상태에서 수직축을 중심으로 연결부(312)를 회전시켜 주게 되면, 연결부(312)에 형성된 장착돌기(312a)가 결합홈(313a)을 따라 이동되며 최종적으로 하단으로 연장된 홈에 장착돌기(312a)가 삽입되면서 고정된다.
상기 고정구(320)는 절연체(310)의 안치홈(313)에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되, 하단부는 브라켓(200)의 장착공(210) 및 지지대(100)의 장공(110)에 삽입되어 관통되며, 상기 고정구(32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와서 및 너트와 상호 체결되거나 또는 안치홈(313)으로 삽입된 연결부(312)를 스프링(330)의 탄발력을 매개로 일방향으로 가압하여 연결부(312)가 결합홈(313a)을 따라 회동되어 연결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특히, 상기 고정구(320)의 일단부 둘레면에는 나사가 형성되고, 타단부 둘레면은 외향으로 돌출되어 가이드홈(313c)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돌기(322)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면에는 스프링(330)의 타단부가 압입 고정되는 스프링장착부(321)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330)은 공지의 탄성체로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절연체(310)와 고정구(320)의 스프링장착부(313b,321)에 각각 고정되어 고정구(320)를 일방향으로 탄발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조류퇴치기구(340)는 밴딩러버(341)와 브라켓(342) 및 반사판(343)으로 구성되며, 절연체(310)의 둘레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조류가 가공 배전선 (L)에 앉거나 주변에 둥지를 트는 것을 예방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밴딩러버(341)는 탄성력을 갖춘 고무재질의 링으로서, 본 실시예의 경우 절연체(310)의 둘레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브라켓(342)은 밴딩러버(341)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며, 말단부는 C자 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내주면에는 반사판(343)이 축(도시생략)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반사판(343)은 빛을 반사할 수 있는 공지의 거울이나 혹은 표면이 매끈한 금속판으로서, 브라켓(34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빛을 반사하는 기능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반사판(343)에 의해 빛은 주변으로 반사되며, 이 반사되는 빛을 매개로 조류의 시야를 방해함으로써, 조류가 가공 배전선(L)에 앉거나 또는 지지대(100)에 둥지를 트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잇점을 가진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전주(도시생략)에 설치된 지지대(100) 상에 애자(300)를 장착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지지대(100) 상에 브라켓(200)을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다음 애자(300)의 고정구(320)를 브라켓(200)의 장착공(210)으로 삽입하여 지지대(100)의 장공 (110)을 통해 관통되도록 한 상태에서 애자(300)가 지지대(100) 및 브라켓(2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와셔 및 너트를 매개로 체결하여 고정시켜 준다.
이러한 상태에서 가공 배전선(L)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 작업자는 애자 (300)의 고정구(320)에 체결된 너트를 살짝 푼 다음 원하는 위치까지 애자(300) 및 브라켓(200)을 장공(110)을 따라 이동시켜 준 후에 위치가 정해지면 풀었던 너트를 강하게 체결하여 고정시켜 주면 된다.
또한, 현장 여건에 따라 애자(300)의 높이를 조절해야 할 필요가 있는데, 이때에는 한 쌍의 애자(300,300')를 동일 수직축 선상에 배치한 상태에서 하부에 배치된 애자(300)의 연결부(312)로 상부에 배치된 애자(300')의 안치홈(313)을 자연스럽게 삽입시켜 결합한다.
이때, 하부에 배치된 애자(300)의 연결부(312)에 의해 탄발 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상측 애자(300')의 고정구(320)는 가이드돌기(322)가 가이드홈(313c)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되면서 스프링(330)을 압축하게 된다.
상기 하부에 배치된 애자(300)의 연결부(312)에 형성된 장착돌기(312a)는 상부에 배치된 애자(300')의 안치홈(313)에 형성된 결합홈(313a)에 삽입되어 연결부(312)와 함께 자연스럽게 이동한다.
상기와 바와 같은 상태에서, 상부에 배치된 애자(300')를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주게 되면, 상부에 배치된 애자(300')의 연결부(312)에 형성된 장착돌기 (312a)가 하부에 배치된 애자(300)의 안치홈(313)에 형성된 결합홈(313a)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며, 장착돌기(312a)가 결합홈(313a)의 말단에 맞닿아 더 이상 돌아가지 않게 되면 자연스럽게 힘을 풀어 장착돌기(312a)가 하방향으로 연장된 결합홈(313a)에 걸리도록 한다.
한편, 작업자가 가압하고 있던 힘을 풀게 되면, 스프링(330)의 복원력에 의해 고정구(320)는 하방향으로 밀리게 되고, 이로 인해 하부에 배치된 애자(300)의 연결부(312)는 하방향으로 밀리는 상부에 배치된 애자(300')의 고정구(320)에 의해 견실하게 지지 및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작업자는 필요한 갯수만큼 애자를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으며, 다수의 애자를 연결해서 사용하는 과정에서 외력에 의해 손상된 경우 해당 애자만 분리한 다음, 상기에서 기술한 방법을 통해 새로운 애자로 교체해 주면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애자가 손상된 경우 해당 애자만을 실질적으로 교체해 주면 되므로 비용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어 상당히 경제적이며, 연결작업이 매우 쉽고 단순하므로 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절연체(310)에 설치되는 조류퇴치기구(340)를 매개로 태양 빛을 반사하여 조류의 시야를 방해함으로써, 조류가 가공 배전선(L)에 앉거나 지지대(100)에 둥지를 트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까지의 구성은 등록특허 제1174356호에 개시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을 기본으로 하여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구성이 더 추가됨으로써, 애자의 교체작업을 손쉽게 행할 수 있음은 물론 강풍 등에 의해 애자에 발생할 수 있는 수직 및 수평방향에 대한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으며, 가공 배전선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게 된다.
첨부된 도 7은 배전선 지지완철의 변형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애자 상단부에 설치되는 결속 하우징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지지대의 주요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지지대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평면 구성도, 그리고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로서,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술한 지지대(100)의 외측에 장착되는 제1 및 제2활주편(120A,120B)과, 상기 지지대(100)의 내부에 배치됨과 동시에 제1 및 제2활주편(120A,120B)의 외주면에 밀착 설치되는 탄력부재(130) 및 가공 배전선(L)을 고정시키기 위한 결속 하우징(140) 및 클램프(150), 애자고정부재(160)를 더 포함하고 있다.
즉, 상기 제1 및 제2활주편(120A,120B)은 단턱(121)에 의해 직경이 서로 다른 원반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지대(100)의 상,하단부에 형성된 장공(110)에 끼워져 조립됨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장공(110)의 경우, 제1 및 제2활주편(120A,120B)의 외주 형상에 맞도록 단차(111)를 두고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100)의 하측에는 가공 배전선(L)의 위치 조절을 위하여 통공(112a)을 갖는 평판부재(112)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탄력부재(130)는 제1 및 제2활주편(120A,120B)의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반구형 지지편(131)과, 이 반구형 지지편(131)에 고정 설치되어 스프링(132)이 끼워지는 가이드봉(133)과, 반구형 지지편(131)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스프링 (132)의 반발력을 지탱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대(100) 내부에 장착된 고정편(134)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결속 하우징(140)은 원통캡(141a) 및 이 원통캡(141a)의 양측으로 확장하여 형성된 날개편(141b)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원통캡(141a)에 형성된 통공(142a)을 이용하여 애자(300)의 상단부에 형성된 연결부(312)에 볼트(142)로서 고정 설치된다.
또한, 상기 날개편(141b)의 양측에는 구멍(143)을 통해 위치 이동이 가능한 지주(144)가 볼트(145)에 의해 장착됨과 동시에 지주(144)의 상단에 클램프(15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클램프(150)는 가공 배전선(L)이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둘로 분할된 반구형의 케이싱(151a,151b) 내로 가공 배전선(L)을 끼워 유지한 상태에서 케이싱(151a,151b)의 양단에 형성된 돌출편(152)으로 볼트(153)를 체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애자고정부재(160)는 애자(300) 하단의 바디부(311)와 지지대(100)의 장공(110) 내에 장착되는 제1활주편(120A) 사이에 설치되어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의 외력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애자고정부재(160)는 환형링(161) 및 이 환형링(161)에 접속된 연결바(162)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연결바(162)의 끝단부에 형성된 걸림편(162a)이 제1활주편(120A)의 상면에 고정 설치된 케이싱(163) 내에 스프링(164)을 개재하여 장착된다.
상기 환형링(161)의 경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양측으로 분할 구성하여 애자(300)의 바디부(311)를 감싼 상태에서 상호 걸림 고정시키거나 볼트 등으로 조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애자(300)나 혹은 결속 하우징(140) 상의 클램프(150)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가공 배전선(L)에 강풍이나 외력에 의한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결속 하우징(140)을 구성하는 날개편(141b)을 포함하여 상기 지지대(100)에 브라켓(200)을 개재하여 설치된 고정구(320)에 의해 애자(300)는 수직방향으로의 완충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상기 결속 하우징(140)에 형성된 날개편(141b)의 경우 애자(300)의 상단부에 원통캡(141a)이 고정된 상태에서 양측으로 확장되어 있기 때문에 원통캡 (141a)을 매개로 하여 수직방향으로의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고, 애자(300)의 안치홈(313) 내에 장착된 고정구(320)가 스프링(330)에 의해 유지됨으로써 완충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더구나, 애자(300)의 하단부에는 제1활주편(120A) 상에 장착된 케이싱(163) 내의 스프링(164)에 의해 수직방향으로의 완충 기능을 갖는 애자고정부재(160)가 a마련됨으로써 전술한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의 완충 기능을 더욱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애자(300)가 강풍 등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고정구(320)에 장착된 제1 및 제2활주편(120A,120B)이 지지대(100)의 장공(110)에 위치한 상태에서 힘을 받게 되므로 제1 및 제2활주편(120A.120B)에 면 접촉되어 있는 반구형 지지편(131)이 가이드봉(134)에 끼워진 스프링(132)에 저항하여 밀려남에 따라 외력을 흡수하여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공 배전선(L)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작업자에 의해 결속 하우징(140) 상의 클램프(150)에 체결된 볼트(153)를 풀고 지주(144)를 이동시킨 후 다시 해당하는 구멍(143)에 지주(144)를 배치하고 볼트(153)를 체결하여 고정시켜 주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조류퇴치기구에 의해 조류가 가공 배전선에 앉거나 또는 완철에 둥지를 트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현장 여건에 따라 애자를 연결 및 분리하여 늘리거나 줄일 수 있어 매우 범용적이면서 애자 손상시에 쉽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강풍 등에 의해 애자에 발생할 수 있는 수직 및 수평방향에 대한 외력을 효과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음은 물론 가공 배전선을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가공 배전선의 위치를 변동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쉽게 대응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100: 지지대 110: 장공
111: 단차 120A: 제1활주편
120B: 제2활주편 121: 단턱
130: 탄력부재 131: 반구형 지지편
132: 스프링 133: 가이드봉
134: 고정편 140: 결속 하우징
141a: 원통캡 141b: 날개편
142: 볼트 142a: 관통공
143: 구멍 144: 지주(支柱)
145: 볼트 150: 클램프
151a,151b: 반구형 케이싱 152: 돌출편
153: 볼트 160: 애자고정부재
161: 환형링 162: 연결바
162a: 걸림편 163: 케이싱
164: 스프링 200: 브라켓
210: 장착공 300: 애자
310: 절연체 311: 바디부
312: 연결부 312a: 장착돌기
313: 안치홈 313a: 결합홈
313b: 스프링장착부 313c: 가이드홈
320: 고정구 321: 스프링장착부
322: 가이드돌기 330: 스프링
340: 조류퇴치기구 341: 밴딩러버
342: 브라켓 343: 반사판

Claims (1)

  1.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관통되는 장공(110)이 형성된 지지대(100)와; 장착공(210)이 형성되어 지지대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ㄷ자형 단면을 갖는 브라켓(200)과; 절연재질의 바디부(311), 둘레면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장착돌기(312a)를 가지며 바디부의 상부 중앙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부(312), 장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홈(313a)과 내부 상단면에 형성되어 스프링(330)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스프링장착부(313b) 및 가이드홈(313c)을 갖는 안치홈(313)이 형성된 애자(300)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대(100)의 외측에는 단턱(121)에 의해 각각 장공(110)에 안치되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하는 원반형상의 제1 및 제2활주편(120A,120B)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대(100)의 내측에는 제1 및 제2활주편의 양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반구형 지지편(131), 반구형 지지편에 고정 설치되어 스프링(132)이 끼워지는 가이드봉(133), 반구형 지지편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스프링의 반발력을 지탱하기 위한 고정편(134)으로 이루어진 탄력부재(130)가 설치되고,
    상기 애자(300)의 내측에는 스프링장착부(321), 가이드홈(313c)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가이드돌기(322)를 가지며 안치홈(313)에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고정구(320), 절연체(310)와 고정구(320)의 스프링장착부(313b,321)에 각각 유지되어 고정구(320)를 일 방향으로 탄발하는 스프링(330)을 구비하며,
    상기 애자(300)의 외측에는 바디부(311)의 둘레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밴딩러버(341), 밴딩러버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는 브라켓(342),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빛을 반사하는 반사판(343)으로 이루어진 조류퇴치기구(340)가 설치되고,
    상기 애자(300)의 상측 연결부(312)에는 원통캡(141a) 및 날개편(141b)으로 이루어진 결속 하우징(140)이 볼트(142)에 의해 고정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날개편(141b)에 장착된 클램프(150)에 의해 가공 배전선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며,
    상기 애자(300)의 하단부에는 바디부(311)에 장착되는 환형링(161) 및 이 환형링에 접속되는 연결바(162)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바의 끝단부에 형성된 걸림편(162a)이 제1활주편(120A)의 상면에 고정 설치된 케이싱(163) 내에 스프링(164)을 개재하여 장착되는 애자고정부재(16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용 전주의 배전선 지지완철.
KR1020140043663A 2014-04-11 2014-04-11 배전용 전주의 배전선 지지완철 KR101413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663A KR101413960B1 (ko) 2014-04-11 2014-04-11 배전용 전주의 배전선 지지완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663A KR101413960B1 (ko) 2014-04-11 2014-04-11 배전용 전주의 배전선 지지완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3960B1 true KR101413960B1 (ko) 2014-07-04

Family

ID=51740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3663A KR101413960B1 (ko) 2014-04-11 2014-04-11 배전용 전주의 배전선 지지완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39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1428B1 (ko) * 2017-12-06 2018-02-22 두양전기건설(주) 송전전용 특고압 가공 전선의 철탑고정식 완철
CN110912062A (zh) * 2019-11-30 2020-03-24 国网福建省电力有限公司 一种防止输电线大幅振动的减振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9244B1 (ko) 2011-09-30 2011-11-03 (주)영상엔지니어링 특고압 송배전선의 장력조절용 애자링커
KR101174356B1 (ko) 2012-07-02 2012-08-16 (주)대림엠이씨 송전용 가공전선의 지지완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9244B1 (ko) 2011-09-30 2011-11-03 (주)영상엔지니어링 특고압 송배전선의 장력조절용 애자링커
KR101174356B1 (ko) 2012-07-02 2012-08-16 (주)대림엠이씨 송전용 가공전선의 지지완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1428B1 (ko) * 2017-12-06 2018-02-22 두양전기건설(주) 송전전용 특고압 가공 전선의 철탑고정식 완철
CN110912062A (zh) * 2019-11-30 2020-03-24 国网福建省电力有限公司 一种防止输电线大幅振动的减振装置
CN110912062B (zh) * 2019-11-30 2021-03-30 国网福建省电力有限公司 一种防止输电线大幅振动的减振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9043B1 (ko) 가공 배전선 고정용 전주의 애자 설치형 완철
KR101440275B1 (ko) 가공 배전선 고정용 전주의 애자 설치형 완철
KR101399044B1 (ko) 전신주의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구조
KR101174356B1 (ko) 송전용 가공전선의 지지완철
KR101079244B1 (ko) 특고압 송배전선의 장력조절용 애자링커
KR101381347B1 (ko) 특고압 가공배전선의 지지완금
KR101324705B1 (ko) 전주 고정식 배전용 가공전선 연결대
KR100899771B1 (ko) 송전 가공선로용 점퍼선 고정장치
KR101236132B1 (ko) 송전선로 피뢰기설치용 고정금구
KR101413169B1 (ko) 가공전선 배전용 배전반 지지완철
KR101413960B1 (ko) 배전용 전주의 배전선 지지완철
KR102333248B1 (ko)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
KR101416849B1 (ko) 특고압 배전선의 전선라인 고정대
CN101761840A (zh) 嵌入式机场跑道中线灯
KR101122717B1 (ko) 송배전선지지용 절연완철
KR101113816B1 (ko) 감전방지를 위한 배전선 고정애자
KR101653500B1 (ko) 라인포스트 애자
CN201866724U (zh) 嵌入式筒灯安装装置
KR101924558B1 (ko) 배전선의 장력조절 애자 링거장치
KR101895431B1 (ko) 송전 특고압 전선의 철탑 고정형 홀더
CN103883987B (zh) 减振灯座结构及采用该减振灯座结构的线性光源结构、舰船用灯具
KR101228543B1 (ko) 가공전선 고정용 배전용 애자를 갖춘 전주
CN105822131A (zh) 一种输电横担
KR102076185B1 (ko) 가공배전라인 이탈방지용 가공배전선 지지장치
KR101199518B1 (ko) 가공배전선 고정용 전주의 애자 설치형 완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