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2025B1 - 공동주택 화염 확산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화염 확산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2025B1
KR101772025B1 KR1020170019794A KR20170019794A KR101772025B1 KR 101772025 B1 KR101772025 B1 KR 101772025B1 KR 1020170019794 A KR1020170019794 A KR 1020170019794A KR 20170019794 A KR20170019794 A KR 20170019794A KR 101772025 B1 KR101772025 B1 KR 101772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plate
controller
gear
slid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9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규석
Original Assignee
(주)단에이앤씨 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단에이앤씨 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단에이앤씨 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70019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20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2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2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8Sliding damp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62C2/241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mechanical actuators and heat sensitiv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2011/009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 화염 확산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공동주택 화염 확산 방지 장치는, 실내와 연결되며, 슬라이딩 홀이 형성되는 베란다 벽체(10)와, 외부로 돌출 가능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홀(11)에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방화판(1)과, 상기 실내(10)에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기(50)와, 상기 방화판(1)의 하단에 배치되며, 화재 발생시 회전되어 화재로 인해 발생되는 연기를 강제로 외부로 유동되도록 하는 강제 배기부(3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동주택 화염 확산 방지 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FLAME DIFFUSION}
본 발명은 공동주택 화염 확산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의 해당 가구의 베란다 벽체에 설치되되,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돌출되어 상방으로의 화재 전파를 방지함과 아울러, 화재가 발생된 해당 가구의 실내에서의 화염을 외부로 강제로 배출을 유도함과 동시에, 소화제를 회전식으로 방사시켜 소화 영역을 증가시키면서 화염 확산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공동주택 화염 확산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의 경우 발코니를 확장하여 거실과 방의 면적을 확대시키는 공간 활용이 합법화되면서 거실 창호가 외벽과 나란하게 발코니에 시공되므로 종래와 달리 아래층에서 발생된 화재가 창호에 옮겨붙어 그를 통해 위층으로 확산되기 쉬운 구조로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코니 외벽에 높이 90cm 이상인 불투명 소재의 방화판을 설치하여 위층으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방화판은 화재발생시 아래층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한 화염의 확산을 차단시킬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발코니 외측에 불투명 소재를 사용하여 시공되므로 평상시에는 실내에서 외부를 조망할 수 있는 조망권이 일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하여, 종래의 화염 방지는 아래층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한 화염의 확산을 차단시키는 점만이 장점으로 작용하나, 정작 화재가 발생된 가구의 소화 기능은 부재되어, 자칫 화재가 발생된 가구 내로 화염이 역으로 유입되어 화재로 인한 손실 및 인명 피해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별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903084호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동주택의 해당 가구의 베란다 벽체에 설치되되,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돌출되어 상방으로의 화재 전파를 방지함과 아울러, 화재가 발생된 해당 가구의 실내에서의 화염을 외부로 강제로 배출을 유도함과 동시에, 소화제를 회전식으로 방사시켜 소화 영역을 증가시키면서 화염 확산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공동주택 화염 확산 방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공동주택 화염 확산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공동주택 화염 확산 방지 장치는, 실내와 연결되며, 슬라이딩 홀이 형성되는 베란다 벽체(10)와, 외부로 돌출 가능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홀(11)에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방화판(1)과, 상기 실내(10)에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기(50)와, 상기 방화판(1)의 하단에 배치되며, 화재 발생시 회전되어 화재로 인해 발생되는 연기를 강제로 외부로 유동되도록 하는 강제 배기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방화판(1)의 제 1방화판(100)의 하단 다수 위치에는 서로 간격을 이루고, 각각의 회전축들(310a)이 형성되는 회전홀들(211b)이 형성된다.
상기 강제 배기부(300)는, 상기 회전홀들(211b)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원주에 벤딩되는 블레이드들(312)이 형성되는 회전체들(310)과, 상기 회전축들(310a) 각각을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들(320)과, 상기 화재 감지기(50)로부터 화재 감지 신호를 전송 받아, 상기 회전 모터(320)를 구동시키는 제어기(130)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기(130)는, 상기 제 1방화판(100)을 돌출 시킨 이후에, 상기 회전 모터들(320)을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실내에는 연기의 농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상기 농도를 상기 제어기(130)로 전송하는 연기 감지기(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기(130)는, 상기 회전 모터들(320)을 개별적으로 구동시키고, 전송된 상기 연기의 농도에 따라, 비례되는 설정된 회전수를 이루도록 상기 회전 모터들(320)을 구동시킨다.
상기 제 1방화판(100)은 불연재 코팅을 이루며, 판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단열물질이 충진되는 제 1플레이트(110)로 형성된다.
상기 제 1방화판(100)의 하단에는 기어이(111)가 형성된다.
상기 벽체(10)에는, 상기 슬라이딩 홀(11)에 위치되는 방화판(1)의 기어이(11)에 기어 연결되는 회전 기어(120)가 설치된다.
상기 회전 기어(120)는, 상기 제어기(130)의 제어에 의해 회전되어, 기어 연결되는 상기 제 1방화판(100)을 전진 또는 후진 이동시켜 상기 슬라이딩 홀(11)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제어기(130)는, 상기 화재 감지기(50)로부터 화재 감지 신호를 전송 받으면, 상기 제 1방화판(100)이 상기 슬라이딩 홀(11)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회전 기어(120)를 구동시킨다.
상기 방화판(1)은, 제 1방화판(100)과, 제 2방화판(200)과, 상기 제 1방화판(100)과 상기 제 2방화판(200)을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회전 부재(500)를 구비한다.
상기 제 1방화판(100)의 하단에는, 상기 기어이(111)가 형성된다.
상기 제 2방화판(200)의 하단에는, 상기 회전체들(310)이 배치된다.
상기 회전 부재(500)는, 회전기(510)와 연결된다.
상기 제어기(130)는, 상기 회전기(510)를 구동시켜, 상기 회전 부재(500)를 통해 상기 제 2방화판(200)을 상하회전시킨다.
상기 회전 부재는 축과 같은 부재이고, 상기 회전기는 상기 축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같은 장치이다.
상기 벽체(10)에서, 상기 슬라이딩 홀(11) 상측에는, 회전되는 상기 제 2방화판(200)이 수용되는 수용홀(12)이 형성된다.
상기 제 2방화판(200)의 상단부에는, 소화제 분사부(400)가 설치된다.
상기 제 2방화판(200)에는, 상기 회전홀들(212a)과 연결되는 공급홀들(211a)이 형성된다.
상기 소화제 분사부는, 상기 제 2방화판(200)의 상단에 설치되며, 소화제를 공급하는 소화제 공급기(400)와, 상기 소화제 공급기(400)와, 상기 공급홀들(211a)은 내화성의 튜브(410)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제어기(130)는, 상기 화재 감지기(50)로부터 화재 감지 신호를 전송 받으면, 상기 소화제 공급기(400)를 사용하여, 상기 튜브들(410) 및 상기 공급홀들(211a) 각각을 통해 상기 소화제를 상기 회전홀들(211b) 각각으로 공급하여, 회전되는 상기 회전체들(310)에 의해 강제 비산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해당 가구의 베란다 벽체에 설치되되,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돌출되어 상방으로의 화재 전파를 방지함과 아울러, 화재가 발생된 해당 가구의 실내에서의 화염을 외부로 강제로 배출을 유도함과 동시에, 소화제를 회전식으로 방사시켜 소화 영역을 증가시키면서 화염 확산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 화염 확산 방지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도 1의 표시 부호 A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방화판에 설치되는 소화제 분사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공동주택 화염 확산 방지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 화염 확산 방지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도 1의 표시 부호 A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방화판에 설치되는 소화제 분사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공동주택 화염 확산 방지 장치는, 실내와 연결되며, 슬라이딩 홀이 형성되는 베란다 벽체(10)와, 외부로 돌출 가능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홀(11)에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방화판(1)과, 상기 실내(10)에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기(50)와, 상기 방화판(1)의 하단에 배치되며, 화재 발생시 회전되어 화재로 인해 발생되는 연기를 강제로 외부로 유동되도록 하는 강제 배기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방화판(1)의 제 1방화판(100)의 하단 다수 위치에는 서로 간격을 이루고, 각각의 회전축들(310a)이 형성되는 회전홀들(211b)이 형성된다.
상기 강제 배기부(300)는, 상기 회전홀들(211b)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원주에 벤딩되는 블레이드들(312)이 형성되는 회전체들(310)과, 상기 회전축들(310a) 각각을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들(320)과, 상기 화재 감지기(50)로부터 화재 감지 신호를 전송 받아, 상기 회전 모터(320)를 구동시키는 제어기(130)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기(130)는, 상기 제 1방화판(100)을 돌출 시킨 이후에, 상기 회전 모터들(320)을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실내에는 연기의 농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상기 농도를 상기 제어기(130)로 전송하는 연기 감지기(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기(130)는, 상기 회전 모터들(320)을 개별적으로 구동시키고, 전송된 상기 연기의 농도에 따라, 비례되는 설정된 회전수를 이루도록 상기 회전 모터들(320)을 구동시킨다.
상기 제 1방화판(100)은 불연재 코팅을 이루며, 판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단열물질이 충진되는 제 1플레이트(110)로 형성된다.
상기 제 1방화판(100)의 하단에는 기어이(111)가 형성된다.
상기 벽체(10)에는, 상기 슬라이딩 홀(11)에 위치되는 방화판(1)의 기어이(11)에 기어 연결되는 회전 기어(120)가 설치된다.
상기 회전 기어(120)는, 상기 제어기(130)의 제어에 의해 회전되어, 기어 연결되는 상기 제 1방화판(100)을 전진 또는 후진 이동시켜 상기 슬라이딩 홀(11)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제어기(130)는, 상기 화재 감지기(50)로부터 화재 감지 신호를 전송 받으면, 상기 제 1방화판(100)이 상기 슬라이딩 홀(11)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회전 기어(120)를 구동시킨다.
특히, 상기 방화판(1)은, 제 1방화판(100)과, 제 2방화판(200)과, 상기 제 1방화판(100)과 상기 제 2방화판(200)을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회전 부재(500)를 구비한다.
상기 제 1방화판(100)의 하단에는, 상기 기어이(111)가 형성된다.
상기 제 2방화판(200)의 하단에는, 상기 회전체들(310)이 배치된다.
상기 회전 부재(500)는, 회전기(510)와 연결된다.
상기 제어기(130)는, 상기 회전기(510)를 구동시켜, 상기 회전 부재(500)를 통해 상기 제 2방화판(200)을 상하회전시킨다.
상기 회전 부재는 축과 같은 부재이고, 상기 회전기는 상기 축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같은 장치이다.
상기 벽체(10)에서, 상기 슬라이딩 홀(11) 상측에는, 회전되는 상기 제 2방화판(200)이 수용되는 수용홀(12)이 형성된다.
상기 제 2방화판(200)의 상단부에는, 소화제 분사부(400)가 설치된다.
상기 제 2방화판(200)에는, 상기 회전홀들(212a)과 연결되는 공급홀들(211a)이 형성된다.
상기 소화제 분사부는, 상기 제 2방화판(200)의 상단에 설치되며, 소화제를 공급하는 소화제 공급기(400)와, 상기 소화제 공급기(400)와, 상기 공급홀들(211a)은 내화성의 튜브(410)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제어기(130)는, 상기 화재 감지기(50)로부터 화재 감지 신호를 전송 받으면, 상기 소화제 공급기(400)를 사용하여, 상기 튜브들(410) 및 상기 공급홀들(211a) 각각을 통해 상기 소화제를 상기 회전홀들(211b) 각각으로 공급하여, 회전되는 상기 회전체들(310)에 의해 강제 비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 및 작용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공동주택의 해당 가구의 베란다 벽체에 설치되되,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돌출되어 상방으로의 화재 전파를 방지함과 아울러, 화재가 발생된 해당 가구의 실내에서의 화염을 외부로 강제로 배출을 유도함과 동시에, 소화제를 회전식으로 방사시켜 소화 영역을 증가시키면서 화염 확산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 본 발명의 공동주택 화염 확산 방지 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벽체
50 : 화재 감지기
100 : 제 1방화판
130 : 제어기
200 : 제 1방화판
300 : 강제 배기부

Claims (5)

  1. 실내와 연결되며, 슬라이딩 홀이 형성되는 베란다 벽체;
    외부로 돌출 가능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홀에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방화판;
    상기 실내에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기; 및
    상기 방화판의 하단에 배치되며, 화재 발생시 회전되어 화재로 인해 발생되는 연기를 강제로 외부로 유동되도록 하는 강제 배기부를 포함하되,
    상기 방화판의 하단 다수 위치에는 서로 간격을 이루고, 각각의 회전축들이 형성되는 회전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강제 배기부는,
    상기 회전홀들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원주에 벤딩되는 블레이드들이 형성되는 회전체들과,
    상기 회전축들 각각을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들과,
    상기 화재 감지기로부터 화재 감지 신호를 전송 받아, 상기 회전 모터를 구동시키는 제어기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방화판은 돌출 시킨 이후에, 상기 회전 모터들을 구동시키고,
    상기 실내에는 연기의 농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상기 농도를 상기 제어기로 전송하는 연기 감지기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회전 모터들을 개별적으로 구동시키고,
    전송된 상기 연기의 농도에 따라, 비례되는 설정된 회전수를 이루도록 상기 회전 모터들을 구동시키고,
    상기 방화판의 하단에는 기어이가 형성되고,
    상기 벽체에는, 상기 슬라이딩 홀에 위치되는 방화판의 기어이에 기어 연결되는 회전 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 기어는,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회전되어, 기어 연결되는 상기 방화판을 전진 또는 후진 이동시켜 상기 슬라이딩 홀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화재 감지기로부터 화재 감지 신호를 전송 받으면, 상기 방화판이 상기 슬라이딩 홀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회전 기어를 구동시키되,
    상기 방화판은, 제 1방화판과, 제 2방화판과, 상기 제 1방화판과 상기 제 2방화판을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회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방화판의 하단에는, 상기 기어이가 형성되고,
    상기 제 2방화판의 하단에는, 상기 회전체들이 배치되고,
    상기 회전 부재는, 회전기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회전기를 구동시켜, 상기 회전 부재를 통해 상기 제 2방화판을 상하회전시키고,
    상기 벽체에서, 상기 슬라이딩 홀 상측에는, 회전되는 상기 제 2방화판이 수용되는 수용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2방화판의 상단부에는, 소화제 분사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 2방화판에는, 상기 회전홀들과 연결되는 공급홀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화염 확산 방지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제 분사부는,
    상기 제 2방화판의 상단에 설치되며, 소화제를 공급하는 소화제 공급기와, 상기 소화제 공급기와, 상기 공급홀들을 연결하는 내화성의 튜브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화재 감지기로부터 화재 감지 신호를 전송 받으면, 상기 소화제 공급기를 사용하여, 상기 튜브들 및 상기 공급홀들 각각을 통해 상기 소화제를 상기 회전홀들 각각으로 공급하여, 회전되는 상기 회전체들에 의해 강제 비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화염 확산 방지 장치.
KR1020170019794A 2017-02-14 2017-02-14 공동주택 화염 확산 방지 장치 KR101772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794A KR101772025B1 (ko) 2017-02-14 2017-02-14 공동주택 화염 확산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794A KR101772025B1 (ko) 2017-02-14 2017-02-14 공동주택 화염 확산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2025B1 true KR101772025B1 (ko) 2017-08-28

Family

ID=59759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9794A KR101772025B1 (ko) 2017-02-14 2017-02-14 공동주택 화염 확산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20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2661B1 (ko) * 2021-09-17 2022-05-26 (주)종합건축사사무소동우건축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소방용 방화판 구조
KR20220162197A (ko) * 2021-05-31 2022-12-08 주식회사 한진지티씨 전기자동차 화재진압용 화재 진압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5938A (ja) * 1999-08-24 2001-03-16 Tokyo Gas Co Ltd 排気扇制御装置
KR100903084B1 (ko) * 2008-11-13 2009-06-18 주식회사 석문이엔지 화염확산 방지 구조
KR101691998B1 (ko) * 2016-04-20 2017-01-18 (주)진전기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유독가스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5938A (ja) * 1999-08-24 2001-03-16 Tokyo Gas Co Ltd 排気扇制御装置
KR100903084B1 (ko) * 2008-11-13 2009-06-18 주식회사 석문이엔지 화염확산 방지 구조
KR101691998B1 (ko) * 2016-04-20 2017-01-18 (주)진전기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유독가스 제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2197A (ko) * 2021-05-31 2022-12-08 주식회사 한진지티씨 전기자동차 화재진압용 화재 진압포
KR102623288B1 (ko) * 2021-05-31 2024-01-12 주식회사 한진지티씨 전기자동차 화재진압용 화재 진압포
KR102402661B1 (ko) * 2021-09-17 2022-05-26 (주)종합건축사사무소동우건축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소방용 방화판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2025B1 (ko) 공동주택 화염 확산 방지 장치
KR101953115B1 (ko) 아파트 자동 화재감지 소방장치
KR101259478B1 (ko) 무인 화재진압 시스템
CN107206264B (zh) 壁挂式喷射头单元
KR101819867B1 (ko) 소화 기능을 갖는 인테리어 패널 구조물
KR102348873B1 (ko)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스프링클러 연결장치
KR102126192B1 (ko)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방화판 구조
US201302640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re Suppression in Residential Attics and Basements
KR101700383B1 (ko) 건축물 자동 화재감지 소방장치
KR101059693B1 (ko) 자동소화설비장치
KR100823958B1 (ko) 제연기를 구비한 소방방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39353A (ko) 급기댐퍼
KR101771981B1 (ko) 건축공간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KR101551626B1 (ko) 지하전력구내 화염 확산 방지구조
KR102403275B1 (ko) 공동주택용 지하 공동구 화재진압 및 전기시설보호설비
US20050252989A1 (en) Water driven fire hose spinning nozzle
KR101754232B1 (ko) 공동주택의 원격 소방 점검 시스템
CN106014149A (zh) 一种快速防火的卷帘门
KR20050032924A (ko) 벽걸이형 자동 화재 탐지 및 소화장치
KR102027439B1 (ko) 제연기능을 갖는 건물과 아파트 피난구 설치용 방연시스템
US20140237842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654596B1 (ko) 지하전력구용 화염 확산 방지 설비
KR100676916B1 (ko) 발코니용 회전식 방화판
JP6829481B2 (ja) ダンパー開閉器
KR20100070437A (ko) 다층 건축물용 방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