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8302B1 - 지능형 다목적 대피 유도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대피 유도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능형 다목적 대피 유도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대피 유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8302B1
KR102568302B1 KR1020220181527A KR20220181527A KR102568302B1 KR 102568302 B1 KR102568302 B1 KR 102568302B1 KR 1020220181527 A KR1020220181527 A KR 1020220181527A KR 20220181527 A KR20220181527 A KR 20220181527A KR 102568302 B1 KR102568302 B1 KR 102568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exit
indicator light
exit indicator
evacuation
evacuation guid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1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학수
김민채
Original Assignee
인천광역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천광역시 filed Critical 인천광역시
Priority to KR1020220181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83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8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8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2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indicating emergency exi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24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with indicator element moving about a pivot, e.g. hinged flap or rotating van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udible And Visible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능형 다목적 대피 유도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대피 유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재와 같은 재난 발생시 능동적으로 최적의 대피경로를 안내하면서도 실내에 유독가스나 연기가 유입되는 것을 지연시켜 효율적인 대피를 가능하게 하는 지능형 다목적 대피 유도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대피 유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능형 다목적 대피 유도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대피 유도 시스템{MULTI-PURPOSE INTELLECTUAL APPARATUS FOR GUIDANCE OF EMERGENCY EVACUATION AND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재와 같은 재난 발생시 능동적으로 최적의 대피경로를 안내하면서도 실내에 유독가스나 연기가 유입되는 것을 지연시켜 효율적인 대피를 가능하게 하는 지능형 다목적 대피 유도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대피 유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중 이용 시설에는 화재나 홍수와 같은 재난 사태에 대비하여 긴급 대피 설비에 대한 설치 기준이 마련되어 있다. 특히, 소방시설은 화재시 피난을 유도하도록 유도등과 함께 스피커로 비상구로의 대피를 안내하고 있다.
이와 같이 긴급 대피 설비는 재난 발생시 신속한 상황 전파와 더불어 안전하고 조속하게 피난자를 대피시키고 재난 상황을 조기에 진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최소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런데, 현재 지하철 역사나 지하 상가와 같은 건축물 내 다중 이용 시설에 설치되어 있는 긴급 대피 설비는 고정식 비상 유도등과 같은 일부 장치만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최적의 대응조치 안내 및 대피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예컨대, 화재의 발생으로 정전, 농연, 유독가스가 발생하면 시야 확보가 어렵고 두려움을 유발하여 방향 감각을 상실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대피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7057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0279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15711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53945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화재와 같은 재난 발생시 능동적으로 최적의 대피경로를 안내하면서도 실내에 유독가스나 연기가 유입되는 것을 지연시켜 효율적인 대피를 가능하게 하는 지능형 다목적 대피 유도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대피 유도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다목적 대피 유도 장치는 다중 이용 시설에 설치되는 것으로, 대피 유도 경로에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조립되며, 비상구 방향을 표시하는 제1 비상구 표시등과; 상기 제1 비상구 표시등과 다른 방향을 바라보도록 설치되는 제2 비상구 표시등; 및 전방을 향해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기분사모듈에 제공하는 흡입구; 및 상기 공기분사모듈을 통해 가압된 공기를 상기 대피 유도 경로를 향해 분출시키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비상구 표시등은 제1 위치에서 바라보는 피난자에게 대피 방향을 표시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정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비상구 표시등은 제2 위치에서 바라보는 피난자에게 대피 방향을 표시하도록, 바닥면에 수직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정면으로부터 설정된 각도 만큼 회전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제1 비상구 표시등과 제2 비상구 표시등이 지시하는 대피 방향은 서로 연결되어 특정된 비상구를 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비상구 표시등과 제2 비상구 표시등은 상기 대피 유도 경로상에 있는 굴곡진 벽면의 경계를 기준으로 일측 벽면과 타측 벽면에서 각각 대피를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비상구 표시등은 일측 측단부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측단부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된 자세를 갖도록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기분사모듈은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가압 송출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흡입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연기 필터; 및 상기 송풍팬에서 송출된 공기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각 부로 공급하는 다수의 공급 배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비상구 표시등의 상부에는 각종 정보를 표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비상구 표시등 및 제2 비상구 표시등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스피커 및 비상조명등이 각각 탈부착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대피 유도 경로 상에서 상기 지능형 다목적 대피 유도 장치들 사이에 설치되는 보급형 유도 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급형 유도 장치는 상기 대피 유도 경로에 설치되는 소형 프레임과; 상기 소형 프레임에 조립되며, 비상구 방향을 표시하는 보조 비상구 표시등; 및 전방을 향해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보조 공기분사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중 이용 시설 내부의 통로를 포함하는 맵(map)에 비상구 및 유도 장치의 위치가 표시되는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장치가 탑재된 인공지능 관리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중 비상구 표시등, 지향성 스피커 및 라이트를 통해 화재와 같은 재난 발생시 능동적으로 최적의 대피경로를 안내하면서도 실내에 고압 공기의 분사하여 유독가스나 연기가 유입되는 것을 지연시키고 효율적인 대피를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피 유도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피 유도 시스템을 나타낸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다목적 대피 유도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비상등 표시등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표시등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지향성 스피커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보급형 유도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반형 유도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다목적 대피 유도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대피 유도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100)은 지하철 역사나 지하 상가와 같은 다중 이용 시설에 설치되어 화재나 홍수와 같은 재난 발생시 최적의 대응조치 안내 및 대피를 가능하게 한다.
예컨대, 본 발명은 다중 이용 시설 내에서 화재가 발생한 지점을 분석하고, 해당 화재 지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 있는 비상구에 도달하도록 최단 거리의 대피 경로를 안내한다.
화재의 발생으로 정전, 농연, 유독가스가 발생하면 시야 확보가 어렵고 두려움을 유발하여 방향 감각을 상실하기 때문에 시각 및 음성 정보에 기초하여 방향을 안내하고, 분사 공기로 연기 유입을 지연시켜 실질적 대피를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도 2와 같이 본 발명은 운영서버(10)를 포함한다. 운영서버(10)는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D-TW) 장치가 탑재된 인공지능 관리서버로, 시설 내부의 통로를 나타내는 맵(map)에 비상구 및 유도 장치 등의 위치가 표시된다.
디지털 트윈은 현실 세계의 기계나 장비, 사물 등을 컴퓨터 속 가상 세계에 구현한 것으로, 지능형 다목적 대피 유도 장치가 설치된 다중 이용 시설은 디지털 트윈을 통해 현실과 근접한 네트워크 환경하에서 관리된다.
구체적으로, 운영서버(10)가 설치되어 있는 관리실은 센터 VPN(Virtual Private Network)을 통해 현장 VPN에 네트워크 접속되고, 현장의 각 구역에 설치된 화재 감지기의 감시 정보는 화재 수신반을 통해 관리실에 전송된다.
또한, 화재(재난) 감지 종합 모니터링 장치(11)를 구비한 운영서버(10)는 디지털 트윈에 기반하여 현장에 설치된 비상구 표시등, 공기분사모듈, 스피커(싸이렌), 지향성 스피커 및 비상조명등(써치 라이트) 등을 인공지능으로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통합 관제 시스템을 구성하는 운영서버(10)를 통해 중앙제어 시스템에 기반하여 장치들에 내장된 쌍방향 비상콜 기능 및 웹 캠(web cam) 기능을 제공하며, 재난문자 연동 어플리케이션과 연계하여 장비단 주변 상황을 능동적으로 제어한다.
도 3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다목적 대피 유도 장치(110)는 실시예로서 베이스 프레임(111), 제1 비상구 표시등(112), 제2 비상구 표시등(113) 및 공기분사모듈(114)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115)를 비롯하여 스피커(116) 및 비상조명등(117)와 같이 재난시 대피(피난)에 필요한 다른 필수적인 보조 구성들을 더 포함한다.
위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11)은 대피 유도 장치의 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다중 이용 시설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다중 이용 시설 내 대피 유도 경로 상에 있는 벽면이나 기둥 등에 부착 설치된다.
베이스 프레임(111)은 사각 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그 내측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대피 유도 장치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이 설치되고, 대피자(피난자)가 바라보는 전면부에는 비상구 표시등(112)이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 발생시 가스나 연기가 급속히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공기분사모듈(114)을 포함하므로, 공기 흡입 및 그 흡입된 공기를 분출시키도록 베이스 프레임(111)의 테두리에 다수의 에어홀(111-IN, 111-OUT)이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베이스 프레임(111)은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분사모듈(114)에 제공하는 흡입구(111-IN) 및 공기분사모듈(114)을 통해 가압된 공기를 대피 유도 경로를 향해 분출시키는 토출구(111-OUT)를 포함한다.
흡입구(111-IN)와 토출구(111-OUT)는 각각 다수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베이스 프레임(111)의 테두리 부분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토출구(111-OUT)는 베이스 프레임(111)의 높이 방향 전체에 걸쳐 설치될 수 있으며, 비상 표시등을(112)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비상구 표시등(112)은 비상구가 위치하는 방향을 조명에 의해 표시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111)에 조립된다. 이러한 제1 비상구 표시등(112)은 법규에 따라 통로의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한다.
일 예로, 비상구의 방향을 표시하기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나 문구('EXIT') 이외에 사람 형상의 도형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표시등은 LED 백라이트에 의해 표시가 이루어져 시인성을 높인다.
또한, 제1 비상구 표시등(112)은 베이스 프레임(111)의 전면에서 피난을 안내하는 것으로, 설정값 이상의 휘도를 갖는 실외용 LED를 채택하여 화재로 인해 연기가 가득찬 실내에서도 대피 방향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예로, 도 4의 (a)와 같이 제1 비상구 표시등(112)은 유관기관에 의해 인증(예: KIF 인증)된 비상구 표시등(112a)을 중심부에 탈부착 가능한 방식으로 장착하고, 그 좌우에 이동 방향을 점멸식 화면(112b)으로 표시할 수 있다. 물론, 그 외 다양한 변형 역시 가능하다.
제2 비상구 표시등(113)은 제1 비상구 표시등(112)과 인접한 다른 방향에서 비상구가 위치하는 방향을 조명에 의해 표시하는 것으로, 베이스 프레임(111)에서 제1 비상구 표시등(112)과 다른 방향을 바라보도록 설치된다.
일 예로, 제2 비상구 표시등(113) 역시 비상구의 방향을 표시하기 위해 화살표나 문구 이외에 사람 형상의 도형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표시등은 LED 백라이트에 의해 표시가 이루어져 시인성을 높인다.
위와 같은 제2 비상구 표시등(113)은 베이스 프레임(111)의 전면으로부터 일정 각도를 갖는 방향에서 보조적으로 피난을 안내하는 것으로, 에너지 절약 차원에서 설정값 이하의 휘도를 갖는 실내용 LED를 채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4의 (b)와 같이 제2 비상구 표시등(113)은 유관기관에 의해 인증된 표시등을 배제하고, 그 전체에 자체에서 제공하는 방식의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각종 문구나 점멸식 이동 방향을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비상구 표시등(112)은 제1 위치에서 바라보는 피난자에게 대피 방향을 표시하도록 베이스 프레임(111)의 정면에 설치된다. 따라서, 제1 비상구 표시등(112)에 의해 안내되는 대피자는 현재 베이스 프레임(111)의 정면을 바라볼 수 있는 위치에 있는 사람이다.
반면, 제2 비상구 표시등(113)은 제2 위치에서 바라보는 피난자에게 대피 방향을 표시하도록, 바닥면에 수직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베이스 프레임(111)의 정면으로부터 설정된 각도 만큼 회전된 상태로 설치된다.
제2 비상구 표시등(113)의 설치를 위해 일 예로 베이스 프레임(111)의 상단부에는 지지대(1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118)은 벽면 고정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일측에 제2 비상구 표시등(113)에 설치된다.
설정된 각도 만큼 회전된 상태로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제2 비상구 표시등(113)은 베이스 프레임(111)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서로 다른 환경의 설치 장소에 최적화시킬 수 없다.
이에, 제2 비상구 표시등(113)은 그 측단부에 끼움구 등을 구비하여 탈부착 가능한 조립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도시한 바와 같이 경첩(힌지)(113a)에 의해 조립되어 현장에 맞게 각도를 조절 후 고정시키는 방식도 적용될 수 있다. 즉, 제2 비상구 표시등(113)은 일측 측단부가 베이스 프레임(111)의 측단부에 연결 설치되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된 자세를 갖도록 조정 후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비상구 표시등(112)과 제2 비상구 표시등(113)은 하나의 베이스 프레임(111)의 상하에 배치되어 두 개의 표시등으로 두 방향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제1 비상구 표시등(112)과 제2 비상구 표시등(113)이 지시하는 대피 방향은 서로 연결(연속)되어 특정된 비상구를 향하도록 한다.
도 5에 일 예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비상구 표시등(112)과 제2 비상구 표시등(113)은 대피 유도 경로상에 있는 굴곡진 벽면의 경계를 기준으로 일측 벽면(S1)과 타측 벽면(S2)에서 각각 대피를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철 역사나 지하 상가와 같이 통로가 길고 복잡한 건축물 내에서는 통로의 방향이 바뀌는 굴곡 부분이 있고, 그에 따라 피난자가 현재 위치에서 바라볼 수 있는 벽면(표시등 설치부)도 서로 다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의 대피 유도 장치로 두 방향의 대피 안내를 가능하게 하므로, 서로 연속되는 두 개의 통로 벽면(S1, S2)에 제1 비상구 표시등(112)과 제2 비상구 표시등(113)을 각각 배치하여 연속된 대피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제1 비상구 표시등(112)만으로는 대피 경로를 안내하지 못하는 음영 구역에도 제2 비상구 표시등(113)으로 대피 경로를 안내할 수 있게 한다.
공기분사모듈(114)은 화재가 발생한 실내에 유독가스나 연기가 유입되거나 차오르는 시간을 지연시켜 안전지대(Safety Air Zone)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전방을 향해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공기의 유입을 억제하고 비상구 표시등이 잘보이도록 한다.
실시예로, 공기분사모듈(114)은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가압 송출시키는 송풍팬(114a)과, 흡입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연기 필터(114b) 및 송풍팬(114a)에서 송출된 공기를 베이스 프레임(111)의 각 부로 공급하는 공급 배관(114c)을 포함한다.
이러한 공기분사모듈(114)은 베이스 프레임(111) 내부에 설치되며 커버로 덮여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송풍팬(114a)은 전원공급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전원공급기는 일 예로 무정전전원장치(UPS)가 사용될 수 있으며, 용량에 따라서 재충전이 가능한 충전지도 단독으로 또는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송풍팬(114a)의 흡입측은 흡입관을 통해 베이스 프레임(111)의 테두리 부분에 관통 형성된 흡입구(에어홀)(111-IN)에 연결되어 실내 공기를 흡기한다. 이때 흡입 중인 실내 공기는 연기 필터(114b)에 의해 정화된다.
공기분사모듈(114)의 용량은 송풍팬(114a) 및 그에 연결된 공급 배관(114c)에 의해 결정되므로, 실시예와 같이 송풍팬(114a)을 2개 구비하여 듀얼 휀을 구성할 수 있으나, 후술하는 보급형과 같이 비교적 소형인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하나의 송풍팬(114a)을 구성될 수도 있다.
그 후 연기 필터(114b)에 의해 정화된 공기는 송풍팬(114a)에 의해 가압 토출되고, 다수의 공급 배관(114c)들을 통해 베이스 프레임(111)의 테두리 각 부로 전달됨에 따라 토출구(111-OUT)를 통해 비교적 신선한 공기가 실내에 공급된다.
따라서, 유독 가스나 연기 등의 유입을 지연시키고, 비상구 표시등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긴급시나 부득이한 경우에는 피난자가 잠시 머무를 수 있게 한다.
다음, 디스플레이 장치(115)는 주위를 통행하는 보행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일종의 디지털정보 디스플레이(DID: Digital Information Display)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행자의 눈높이를 고려하여 제1 비상구 표시등(112)의 상부에 설치되어 각종 정보를 표출한다.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15)는 현장 상황에 맞게 그 크기나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송풍에 따른 공기의 흐름이 바뀌어 와류가 발생하거나 각 시설내 제연설비의 위치나 높이가 다를 수 있어 그에 맞게 최적화되도록 변형이 가능하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115)는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되며, 자체에 탑재된 메모리에 기록된 영상데이터는 물론 외부에서 전송된 영상데이터를 화면에 표출한다. 따라서, 각종 광고나 안내정보를 제공하고, 비상시에는 운영서버(10)의 제어하에 대피 장려 및 그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지능형 다목적 대피 유도 장치(110)는 스피커(116) 및 비상조명등(117)을 포함한다. 스피커(116)는 싸이렌으로도 사용되며 화재 발생 등 피난을 경고한다. 도 6과 같이, 본 발명은 지향성 스피커(116)를 사용함으로써 먼 거리까지 소리를 집중해서 전파시킨다.
비상조명등(117)은 화재로 인해 실내 전력이 차단되어 어둡거나 연기가 가득찬 실내에 고휘도의 조명을 제공함으로써, 피난자의 대피를 돕는다.
특히, 본 발명의 스피커(116) 및 비상조명등(117)은 제1 비상구 표시등(112) 및 제2 비상구 표시등(113)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각각 탈부착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로 베이스 프레임(111)의 상단부에 설치된 지지대(118)에 소켓(119)을 구비하고, 제1 비상구 표시등(112)을 위한 스피커(116)와 비상조명등(117)을 소켓(119)에 끼워 조립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 비상구 표시등(113)을 위한 스피커(116)와 비상조명등(117)은 해당 표시등의 상면에 직접 조립될 수 있으며, 이러한 스피커(116)와 비상조명등(117)을 탈착 후 지지대(118)에 구비된 소켓(119)에 끼워 조립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피 유도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대피 유도 시스템(100)은 상술한 지능형 다목적 대피 유도 장치(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화재(재난) 감지 종합 모니터링 장치를 구비한 운영서버(10) 및 보급형 유도 장치(12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보급형 유도 장치(120)는 지능형 다목적 대피 유도 장치(확장형)(110)의 기술적 구성을 간략히 한 축소형 혹은 저가형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장형인 고가의 대피 유도 장치에 비해 최소한의 기능만으로 대피를 안내한다.
도 7과 같이, 보급형 유도 장치(120)는 일 예로 대피 유도 경로 상에서 지능형 다목적 대피 유도 장치(110)들 사이에 설치됨에 따라 이동(대피) 중인 피난자에게 연속하여 피난 경로를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보급형 유도 장치(120)는 대피 유도 경로에 설치되는 소형 프레임(121)과, 상기 소형 프레임(121)에 조립되며, 비상구 방향을 표시하는 보조 비상구 표시등(122) 및 전방을 향해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보조 공기분사모듈(124)을 포함한다.
소형 프레임(121)은 상술한 베이스 프레임(111)에 대응하는 것으로 그 크기와 무관하게 실질적으로 기능이 유사하고, 보조 비상구 표시등(122)은 소형 프레임(121) 내에 하나만 구비된다. 보조 공기분사모듈(124)은 실내에 공기를 분출하도록 하는 점에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다만, 본 발명은 상술한 보급형 유도 장치(120)를 일반형 유도 장치(130)로 대체하거나 혹은 보급형 유도 장치(120)와 함께 일반형 유도 장치(130) 역시 운영할 수 있다. 도 8과 같이 일반형 유도 장치(130)는 상술한 보급형에 비해 디스플레이 장치(135)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중 이용 시설 내에서 다수의 지능형 다목적 대피 유도 장치(110)에 보급형 유도 장치(120) 및/또는 일반형 유도 장치(130)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은 운영서버(10)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운영서버(10)는 다중 이용 시설 내부의 통로를 포함하는 맵(map)에 비상구 및 유도 장치의 위치가 표시되는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장치가 탑재된 인공지능 관리서버에 해당한다.
즉, 운영서버(10)는 본 발명에서 인공지능 관리서버에 해당하며, 인공지능 관리서버(10)에 의해 각각의 유도 장치들을 현장 상황에 최적화된 상태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운영서버(중앙관제 서버)
11: 화재(재난) 감지 종합 모니터링 장치
110: 지능형 다목적 대피 유도 장치
111: 베이스 프레임
112: 제1 비상구 표시등
113: 제2 비상구 표시등
114: 공기분사모듈
115: 디스플레이 장치
116: 스피커(지향성 스피커)
117: 비상조명등
120: 보급형 유도 장치
130: 일반형 유도 장치

Claims (10)

  1. 다중 이용 시설에 설치되는 지능형 다목적 대피 유도 장치에 있어서,
    대피 유도 경로에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111)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11)에 조립되며, 비상구 방향을 표시하는 제1 비상구 표시등(112)과; 상기 제1 비상구 표시등(112)과 다른 방향을 바라보도록 설치되는 제2 비상구 표시등(113); 및 전방을 향해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모듈(114);을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 프레임(111)은,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기분사모듈(114)에 제공하는 흡입구(111-IN); 및 상기 공기분사모듈(114)을 통해 가압된 공기를 상기 대피 유도 경로를 향해 분출시키는 토출구(111-OUT);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비상구 표시등(112)은 제1 위치에서 바라보는 피난자에게 대피 방향을 표시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111)의 정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비상구 표시등(113)은 제2 위치에서 바라보는 피난자에게 대피 방향을 표시하도록, 바닥면에 수직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정면으로부터 설정된 각도 만큼 회전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제1 비상구 표시등(112)과 제2 비상구 표시등(113)이 지시하는 대피 방향은 서로 연결되어 특정된 비상구를 향하도록 하고,
    상기 공기분사모듈(114)은,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가압 송출시키는 송풍팬(114a)과; 상기 흡입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연기 필터(114b); 및 상기 송풍팬(114a)에서 송출된 공기를 상기 베이스 프레임(111)의 각 부로 공급하는 다수의 공급 배관(114c);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비상구 표시등(112) 및 제2 비상구 표시등(113)은 서로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설치되되, 상기 베이스 프레임(111) 중 서로 다른 높이 및 서로 다른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공기분사모듈(114)의 토출구(111-OUT)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11)의 테두리에 구비되고, 상기 분사 공기로 연기를 밀어내어 상기 제1 비상구 표시등(112) 및 제2 비상구 표시등(113)의 시인성을 높이도록 상기 제1 비상구 표시등(112) 및 제2 비상구 표시등(113)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다목적 대피 유도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상구 표시등(112)과 제2 비상구 표시등(113)은 상기 대피 유도 경로상에 있는 굴곡진 벽면의 경계를 기준으로 일측 벽면과 타측 벽면에서 각각 대피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다목적 대피 유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상구 표시등(113)은,
    일측 측단부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111)의 측단부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된 자세를 갖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다목적 대피 유도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상구 표시등(112)의 상부에는 각종 정보를 표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15)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다목적 대피 유도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상구 표시등(112) 및 제2 비상구 표시등(113)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스피커(116) 및 비상조명등(117)이 각각 탈부착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다목적 대피 유도 장치.
  9. 제1항, 제4항, 제5항, 제7항 및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지능형 다목적 대피 유도 장치를 포함하는 지능형 다목적 대피 유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대피 유도 경로 상에서 상기 지능형 다목적 대피 유도 장치들 사이에 설치되는 보급형 유도 장치(12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급형 유도 장치(120)는
    상기 대피 유도 경로에 설치되는 소형 프레임(121)과;
    상기 소형 프레임(121)에 조립되며, 비상구 방향을 표시하는 보조 비상구 표시등(122); 및
    전방을 향해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보조 공기분사모듈(1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다목적 대피 유도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이용 시설 내부의 통로를 포함하는 맵(map)에 비상구 및 유도 장치의 위치가 표시되는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D-TW) 장치가 탑재된 인공지능 관리서버(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다목적 대피 유도 시스템.
KR1020220181527A 2022-12-22 2022-12-22 지능형 다목적 대피 유도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대피 유도 시스템 KR102568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1527A KR102568302B1 (ko) 2022-12-22 2022-12-22 지능형 다목적 대피 유도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대피 유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1527A KR102568302B1 (ko) 2022-12-22 2022-12-22 지능형 다목적 대피 유도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대피 유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8302B1 true KR102568302B1 (ko) 2023-08-21

Family

ID=87845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1527A KR102568302B1 (ko) 2022-12-22 2022-12-22 지능형 다목적 대피 유도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대피 유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8302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033B1 (ko) * 2010-09-15 2012-03-16 옥물결 비상구 안내판
KR102102796B1 (ko) 2019-10-04 2020-04-22 (주)피씨엠글로벌기술사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소방용 비상구 알림장치
KR20200053945A (ko) 2018-11-09 2020-05-19 김정집 레이저와 소리를 이용한 비상탈출 유도장치
KR20200114565A (ko) * 2019-03-29 2020-10-07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엘이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대피안내장치
KR20210157118A (ko) 2020-06-19 2021-12-28 박명옥 지능형 비상구 표시등 관리시스템
KR102370576B1 (ko) 2019-11-14 2022-03-04 주식회사 핸디소프트 다중 이용 시설의 대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27039A (ko) * 2020-08-26 2022-03-07 주식회사 엘쏠텍 디지털 트윈 기반의 재난 대피 제어 및 관리 시스템
KR20220148361A (ko) * 2021-04-28 2022-11-07 남양노비텍 주식회사 비상탈출 유도기능을 갖는 공기조화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033B1 (ko) * 2010-09-15 2012-03-16 옥물결 비상구 안내판
KR20200053945A (ko) 2018-11-09 2020-05-19 김정집 레이저와 소리를 이용한 비상탈출 유도장치
KR20200114565A (ko) * 2019-03-29 2020-10-07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엘이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대피안내장치
KR102102796B1 (ko) 2019-10-04 2020-04-22 (주)피씨엠글로벌기술사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소방용 비상구 알림장치
KR102370576B1 (ko) 2019-11-14 2022-03-04 주식회사 핸디소프트 다중 이용 시설의 대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57118A (ko) 2020-06-19 2021-12-28 박명옥 지능형 비상구 표시등 관리시스템
KR20220027039A (ko) * 2020-08-26 2022-03-07 주식회사 엘쏠텍 디지털 트윈 기반의 재난 대피 제어 및 관리 시스템
KR20220148361A (ko) * 2021-04-28 2022-11-07 남양노비텍 주식회사 비상탈출 유도기능을 갖는 공기조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2942B1 (ko) 피난장치
US20120092183A1 (en) Emergency Lighting System with Projected Directional Indication
US20090059602A1 (en) Directional evacuation lights
KR100729632B1 (ko) 열연기 탈출체험시스템
KR101841761B1 (ko) 건설현장 임시소방시설용 화재감지 및 대피유도 시스템
JP2017123008A (ja) 照明装置、照明制御システム及び避難誘導システム
CN109859434A (zh) 一种地铁车站通风排烟优化控制系统及方法
KR20170053910A (ko) 재난유도장치
KR101876168B1 (ko) 지능형 유도등을 이용한 종합 피난 유도 시스템
CN210606018U (zh) 一种智能型疏散逃生系统
WO2014179905A1 (zh) 消防投影逃生器
CN110807890A (zh) 一种逃生路线引导的智慧消防设备
AU2023208075A1 (en) Safety corridor arrangement
KR102121203B1 (ko)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비상구 유도장치
KR102568302B1 (ko) 지능형 다목적 대피 유도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대피 유도 시스템
CN116052350A (zh) 一种基于问路引导导航模式的火灾预警与救援系统及方法
KR200437697Y1 (ko) 피난 유도 체험장
KR102150228B1 (ko) 화재 안내 시스템
KR102102796B1 (ko) 공동주택의 소방용 비상구 알림장치
CN210865354U (zh) 楼宇火灾报警的演示系统
CN109140585B (zh) 分布式空调系统及其空调室内机和消防方法
CN213805830U (zh) 一种具备主动防排烟及坍塌自支护功能的气膜结构建筑
KR101886700B1 (ko) 비상상황대처 기능을 갖는 led비상유도등기구
GB2559368A (en) Apparatus for use within a fire protection system
CN210325046U (zh) 一种声光振动三位一体闭环消防逃生疏散低位照明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