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8794A - 안내 스피커 내장형 비상구 유도등 - Google Patents

안내 스피커 내장형 비상구 유도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8794A
KR20070008794A KR1020050062591A KR20050062591A KR20070008794A KR 20070008794 A KR20070008794 A KR 20070008794A KR 1020050062591 A KR1020050062591 A KR 1020050062591A KR 20050062591 A KR20050062591 A KR 20050062591A KR 20070008794 A KR20070008794 A KR 200700087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exit
tempered glass
case
voice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2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4475B1 (ko
Inventor
이원섭
Original Assignee
경기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기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경기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050062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4475B1/ko
Publication of KR20070008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8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4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4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2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indicating emergency ex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7/004Displays including an emergency or alarm mess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2013/05Constructional details indicating exit way or orient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2019/225Fire evacuation route indicat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027/002Advertising message recorded in a memory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Fire Alarms (AREA)
  • Audible And Visible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도등이 통로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시 시각경보와 음성안내에 의해 비상구까지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는 비상구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 상측이 개방된 상자 형상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부착되고 하면에는 비상구를 안내하기 위한 문자나 도형이 표시된 강화유리로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와 강화유리의 내부에는 빛을 투과시켜 외부에서 인식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백라이트부와, 음성으로 경보 상황을 알리고 비상구를 안내하기 위한 음성출력부와, 점멸에 의해 화재 등의 경보를 알리기 위한 시각 경보기와, 정전을 감지하기 위한 정전 감지 센서와,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 센서와,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충전하고 백라이트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축전기와, 상기 음성출력부에 출력되는 안내 메시지가 저장되는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백라이트의 점등과 상기 음성출력부로의 음성출력, 상기 시각 경보기의 점멸 등의 상기 유도등의 일련의 작용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통로의 바닥에 밀착된 상태에서도 유도등의 안내 표지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고, 안내 음성에 따라 비상구의 위치를 인지하여 신속히 대피할 수 있다.
화재, 비상구, 출입구, 유도등, 안내등

Description

안내 스피커 내장형 비상구 유도등{Guiding light Lamp for Emergency with Guiding speak}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유도등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a, b, 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유도등의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유도등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유도등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유도등의 설치예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케이스 11 : 가스켓
20 : 강화유리 21 : 안내 표지
30 : 백라이트부
31 : 냉음극형광램프 32 : 반사판
40 : 음성출력부(스피커) 50 : LED 시각 경보기
60 : 정전 감지 센서 70 : 화재 감지 센서
80 : 축전기 90 : 제어부
본 발명은 비상시 출입구를 안내하는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도등이 통로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시 시각경보와 음성안내에 의해 비상구까지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는 비상구 유도등에 관한 것이다.
비상구 유도등은 화재 등의 비상시를 대비하여 지하철이나 지하도, 학교, 병원, 백화점 등과 같이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각종 건물에는 의무적으로 설치되어 각종 건물의 출입구나 비상구를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상구 유도등은 상자형 케이스의 전방에 아크릴판으로 된 표시판이 부착되고 아크릴 표시판에는 화살표나 문자, 도형 등으로 비상구를 표시한 표시판에 인쇄되어 있으며, 함체의 내부에서 광원으로서 램프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되는 비상구 유도등은 유도등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원이 인가되면 램프가 점등되고 램프의 점등에 의해 표시판에 인쇄된 문자나 도형('비상구', '⇒' 등)이 환하게 나타나게 되어, 화재 등의 비상시에 있어서 사람들에게 출입구의 위치를 알려줌으로써 외부로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비상구 유도등은 케이스와 표시판은 합성수지로 제작되어 화재가 발생하여 불길이 접근하면 합성수지로 제작된 케이스 및 표시판이 열에 의 해 녹거나 불에 타버리게 되어 비상구 유도등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비상구 유도등은 대부분 건물의 벽이나 출입구의 문 위쪽에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나, 건물 내에서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고온의 연기는 건물내의 공간에서 위쪽부터 차게 되고, 산소는 아래쪽으로 위치하게 됨으로써, 대피자들은 건물의 바닥면에 엎드리거나 밀착하여 대피하게 된다. 이 경우 연기나 화염에 의해 위급한 상황에 처한 상태에서 대피자들은 벽이나 높은 문 위에 부착된 유도등을 볼 수 없는 상황이 되어, 비상구 유도등은 그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기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더구나 화재에 의해 탁한 연기와 유독 가스로 인해 시야와 정신이 흐려진 상태에 처하게 되는 대피자들은 유도등의 식별이 더욱 곤란하게 되어 유도등의 안내 표시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함으로써 큰 피해가 발생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비상구 유도등은 불빛에 의한 표시만으로 비상구의 위치를 알려주도록 되어 있어, 연기가 가득 찬 상태에서는 유도등의 표시를 제대로 인지할 수 가 없으며, 특히 시각 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유도등의 불빛을 볼 수가 없으므로 유도등으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도등 내에 시각 경보 장치와 안내 방송을 위한 스피커가 내장되고, 통로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화재 등이 발생하는 경우 연기로 인한 시각 장애 상태에서도 효율적으로 비상구로 안내할 수 있는 비상구 유도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열성의 케이스와 표시판으로 구성되어 고온에서도 견딜 수 있고, 화재의 열로부터 영향을 적게 받으며 대피자들이 바닥에 밀착된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유도등의 표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통로의 바닥에 설치될 수 있는 비상용 유도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비상구 유도등은 금속 재질의 내열성을 가지고 상측이 개방된 상자 형상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부착되고 하면에는 비상구를 안내하기 위한 문자나 도형이 표시된 내열성의 강화유리와, 상기 케이스와 강화유리 사이에서 케이스와 강화유리의 접촉을 치밀하게 하는 방수재질의 가스켓으로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와 강화유리의 내부에는 상기 강화유리에 표시된 문자나 도형에 빛을 투과시켜 외부에서 인식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백라이트부와, 음성으로 경보 상황을 알리고 비상구를 안내하기 위한 음성출력부와, 상기 강화유리의 측면에 부착되어 점멸에 의해 화재 등의 경보를 알리기 위한 시각 경보기와, 정전을 감지하기 위한 정전 감지 센서와,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충전하고 백라이트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축전기와, 상기 음성출력부에 출력되는 안내 메시지가 저장되는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백라이트의 점등과 상기 음성출력부로의 음성출력, 상기 시각 경보기의 점멸 등의 상기 유도등의 일련의 작용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유도등의 분리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유도등(100)은 상측이 개방된 상자 형상의 케이스(10)와 케이스의 상측에 부착되는 강화유리(20)로 구성되고, 케이스의 내부에는 강화유리에 빛을 투과시키기 위한 백라이트부(30)와, 음성으로 경보 상황을 알리고 비상구를 안내하기 위한 음성출력부(40)와, 점멸에 의해 화재 등의 비상 상황을 알리기 위한 시각 경보기(50)와, 정전을 감지하기 위한 정전 감지 센서(60), 건물내의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화재 감지 센서(70)와,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충전하여 백라이트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축전기(80), 상기 음성출력부에 출력되는 안내 메시지가 저장되는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백라이트의 점등과 상기 음성출력부로의 안내 음성출력, 상기 시각 경보기의 점멸 등의 상기 유도등의 일련의 작용을 제어하는 제어부(90)가 포함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케이스(10)는 통로나 홀의 바닥에 매설되어 삽입되는 부분으로 상측이 개방된 상자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화재로 인한 열이나 습기 등으로 마모가 되지 않도록 금속 재질이나 내열성의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10)의 하부 측면에는 전선이 통과하는 관통공(12)이 형성되며, 케이스(10)의 상측에는 강화유리(20)가 부착되는 것으로, 케이스(10)와 강화유리(20)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할 수 있으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볼트(22)를 이용하여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강화유리(20)와 케이스(10)는 탈부착이 가능하므로 케이스(10) 내부의 각종 장치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또한 강화유리(20)와 접촉하는 케이스(10)의 상측 접촉면에는 내열성의 가스켓(11)이 부착되어 케이스(10)와 강화유리(20)와의 접촉을 더욱 치밀하게 하고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이나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가스켓(11)은 청소 등의 경우 유도등 내부에 물기가 침투하지 못하도록 방수형 재질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비상구 유도등(100)은 통로의 바닥에 설치되므로, 케이스(10)를 덮는 표시부는 사람이 밟거나 물체가 이동하는 경우에도 파손되지 않도록 강화유리(20)를 사용한다. 강화유리(20)의 하측면에는 비상구를 안내하기 위한 문자나 도형(21)이 표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표시부의 문자나 도형(21)에는 백라이트부(30)의 빛이 투과하도록 하여 화재시 대피자에게 용이하게 인지되도록 한다. 강화유리(20)의 양측면에는 미세한 홀(23)이 형성되어 있어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된 스피커(40)에 의해 긴급 상황을 알리거나 비상구를 안내하는 음성이 흘러나오도록 구성되고, 강화유리(20)의 하측 양측면에는 홈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시각 경보기(50)가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되는 백라이트부(30)는 화재나 정전 등이 발생하는 경우 축전기에 충전된 전원을 이용하여 빛을 발하여 강화유리(20)의 문자나 도형(21)이 용이하게 인식되도록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냉음극형광램프(CCFL:Cold Cathode Flourescent Lamp,31)로 구성되었으나, 최근에 이용분야가 확대되고 있는 LED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냉음극형광램프(31)의 하측에는 빛 을 전방으로 효율적으로 방사하기 위한 반사판(32)이 위치한다.
음성출력부(40)에서는 연기로 인하여 유도등의 안내 표지(21)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지하기 어려운 경우나 시각 장애인을 위해 스피커를 통해 비상 상황이나 비상구로의 이동경로를 음성으로 안내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90)의 메모리에는 '화재가 발생 하였습니다','비상구는 우측입니다' 등의 비상 상황을 알리고 비상구로의 대피 경로를 안내하는 음성 메시지가 미리 저장되어 있다.
시각 경보기(50)는 점멸에 의해 화재 등의 비상 상황을 알리기 위한 것으로, LED 소자로 이루어져 정전 감지 센서(60)나 화재 감지 센서(70)에서 정전이나 화재가 감지 되는 경우 LED가 점멸되도록 구성된다.
정전 감지 센서(60)와 화재 감지 센서(70)는 각각 정전이나 화재 등3의 비상상황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센서들에 의해 정전이나 화재가 감지 되는 경우 본 발명의 유도등(100)에서는 제어부에 따라 백라이트부(30)와 음성출력부(40), 시각 경보기(50) 등이 동작하게 된다. 화재 감지 센서(70)는 열이나 연기 등을 감지하여 화재를 감지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유도등(100) 내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으나, 정확한 감지를 위해서는 별도로 건물내의 적당한 곳에 배치될 수 있다.
축전기(80)는 평상시에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을 하게 되고, 화재 발생으로 전원공급이 차단되거나 다른 사유로 인하여 정전 감지 센서에서 정전이 감지되는 경우 충전된 전원으로 백라이트부(30)와 음성출력부(40), 시각 경보기(50) 등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제어부(90)는 본 발명의 유도등(100)의 일련의 작용을 제어하는 것으로 음성 출력부(40)에 출력되는 안내 메시지가 저장되는 메모리를 구비하고 있으며,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의 형태로 구성된다.
도 2a, b, 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유도등의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비상구 유도등은 통로나 홀의 바닥(120)에 매설되어 삽입되는 것으로 사람들의 통행이나 물건의 이동에 지장이 없도록 케이스(10)의 상부를 덮고 있는 강화유리(20)의 상측면과 통로의 바닥(120)면이 일치되도록 매설된다.
도 2a를 참조하면, 강화유리(20)에는 비상구를 안내하는 다양한 형태의 문자나 도형(21)이 표시되고, 양측면에는 비상 상황을 나타내기 위한 LED 점멸구로 이루어진 시각 경보기(50)가 구비된다. 또한 음성출력부(40)에서 출력되는 안내 메시지가 흘러 나오기 위한 미세한 홀(23)이 형성되어 있다.
도 2b와 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유도등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직사각형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비상구 유도등은 바닥 인테리어에 있어서 설치가 용이하도록 타일 규격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유도등의 외형이나 강화유리에 표시되는 문자나 도형 등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케이스(10)의 내부에는 강화유리(20)에 표시된 안내 문자나 도형(21)을 나타내기 위해 냉음극형광램프(31)와 반사판(32)이 지지대(33)에 부착된 백라이트부(30)가 구비되고, 강화유리(20) 측면의 미세한 홀(23)과 일치하는 케이스(10)의 상측 양 측면에는 스피커로 구성된 음성출력부(40)가 구비된다. 케이 스(10)의 내부 저면에는 인쇄회로기판 형태의 제어부(90)와 정전 감지 센서(60), 화재 감지 센서(70), 축전지(8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10)의 저면 양측면에 형성된 홀(12)을 통하여 전원이 공급되는 전선(81)이 관통하게 되며, 전선(81)에 의해 유도등은 이웃하는 유도등과 연결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비상구 유도등(100)은 통로의 바닥에 설치되므로 화재발생시 열에 의한 영향을 적게 받게 되고, 열이나 연기를 피해 바닥에 밀착하여 대피하는 경우에도 유도등의 표시부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으며, 연기로 인한 시야 확보가 어려운 경우에도 음성 안내에 따라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유도등(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비상구 유도등(100)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하는 구성의 블록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상구 유도등(100)의 동작을 살펴보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평상시에는 외부 전원(81)과 연결되어 있는 축전지(80)에 전력이 충전된다. 그러나 외부로부터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정전 감지 센서(60)에서 정전이 감지 되는 경우 미리 축전기(60)에 충전된 전원을 냉음극형광등으로 이루어진 백라이트부(30)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서 어두운 상태에서도 비상구나 출입구를 안내하게 된다. 또한 화재 감지 센서(70)에 의해 화재가 감지되는 경우 축전기(80)에 충전된 전원으로 백라이트부(30)에 전원을 공급하여 비상구를 안내하고, LED로 이루어진 시각 경보기(50)를 점멸하게 되며, 메모리(91)에 저장된 화재발생 상황이나 비상구의 위치 등의 안내 메시지를 스피커(40)를 통하여 음성으로 안내하게 된다. 연기나 열에 의해 화재를 감지하는 센서(70)는 건물 내부에 설치 되거나, 본 발명의 비상구 유도등(100) 내부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유도등이 건물의 통로에 설치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비상구 유도등(100a,100b)은 학교나 병원, 백화점, 지하도 등과 같이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건물의 통로나 홀의 바닥(120)에 설치된다.
도 5를 참조하면, 건물내에서 비상구나 출입문(110)과 연결되는 통로나 거실, 홀, 비상계단, 복도 등의 바닥(120)의 적당한 위치에 매설되어 화재가 발생시 열이나 연기에 의해 대피자가 바닥에 엎드리거나 밀착된 상태에서도 유도등(100a,100b)의 표시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비상구 유도등은 음성으로 비상구를 안내하게 되므로, 이 경우 각 유도등의 안내 음성은 유도등이 매설되는 위치에 따라 다른 내용의 음성이 출력되어야 한다. 즉 도 5에 있어서는 제1위치의 유도등(100a)에서는 '출구는 전방입니다'라는 안내 음성이, 제2위치의 유도등(100b)에서는 '출구는 10미터 전방 좌측입니다'라는 음성이 각각 출력된다. 따라서 대피자는 본 발명의 유도등의 안내 표지나 안내 음성을 따라 신속히 화재나 재난으로부터 대피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상구 유도등은 유도등 내에 시각 경보 장치와 안내 방송을 위한 스피커가 내장되고 통로나 거실, 홀, 비상계단, 복 도 등의 바닥면에 설치되므로, 화재 등이 발생하는 경우 열이나 연기를 피해 통로의 바닥에 밀착된 상태에서도 유도등의 안내 표지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으며, 연기에 의해 유도등의 안내 표지를 시각적으로 인지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안내 음성에 따라 비상구의 위치를 인지하여 신속히 대피할 수 있다.

Claims (4)

  1. 금속 재질의 내열성을 가진 상측이 개방된 상자 형상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위치하고 하면에는 비상구를 안내하기 위한 문자나 도형이 표시된 내열성의 강화유리;
    상기 케이스와 강화유리 사이에서 케이스와 강화유리의 접촉을 치밀하게 하는 방수재질의 가스켓;
    상기 케이스와 강화유리의 내부에는 상기 강화유리에 표시된 문자나 도형에 빛을 투과시켜 외부에서 인식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백라이트부;
    음성으로 경보 상황을 알리고 비상구로 안내하기 위한 음성출력부;
    상기 강화유리의 측면에 부착되어 점멸에 의해 화재 등의 경보를 알리기 위한 시각 경보기;
    정전을 감지하기 위한 정전 감지 센서;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충전하고 백라이트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축전기;
    상기 음성출력부에 출력되는 안내 메시지가 저장되는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백라이트부의 점등과 상기 음성출력부로의 음성출력, 상기 시각 경보기의 점멸 등의 상기 유도등의 일련의 작용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통로나 거실, 홀, 비상계단, 복도 등의 바닥에 설치되는 비상구 유도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구 유도등은 화재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통로나 거실, 홀, 비상계단, 복도 등의 바닥에 설치되는 비상구 유도등.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부는 냉음극형광램프(CCFL)나 LE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통로나 거실, 홀, 비상계단, 복도 등의 바닥에 설치되는 비상구 유도등.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유리는 바닥 인테리어에 사용되는 타일 규격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통로나 거실, 홀, 비상계단, 복도 등의 바닥에 설치되는 비상구 유도등.
KR1020050062591A 2005-07-12 2005-07-12 안내 스피커 내장형 비상구 유도등 KR100734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591A KR100734475B1 (ko) 2005-07-12 2005-07-12 안내 스피커 내장형 비상구 유도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591A KR100734475B1 (ko) 2005-07-12 2005-07-12 안내 스피커 내장형 비상구 유도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794A true KR20070008794A (ko) 2007-01-18
KR100734475B1 KR100734475B1 (ko) 2007-07-03

Family

ID=38010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2591A KR100734475B1 (ko) 2005-07-12 2005-07-12 안내 스피커 내장형 비상구 유도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4475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843B1 (ko) * 2007-09-27 2009-09-30 에이피엘시스템(주) 노출형 유도로등
CN108729363A (zh) * 2018-07-30 2018-11-02 广州黑鹰停机坪建设有限公司 一种声控顺序闪光直升机坪消防通道
KR101996827B1 (ko) * 2019-02-08 2019-07-08 (주)케이아이기술단 공동주택의 신속한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방재장치
KR101994649B1 (ko) 2019-03-26 2019-09-24 민각기 비상구 유도등
KR102086528B1 (ko) * 2019-06-18 2020-03-09 민각기 광조도 조절이 되는 도료를 이용한 피난 유도선
WO2021002646A1 (ko) * 2019-07-01 2021-01-07 주식회사 엘티전자 경로 안내 시스템
KR102231148B1 (ko) 2020-02-06 2021-03-23 민각기 터널용 피난구 통로 유도등
KR102360272B1 (ko) 2020-09-29 2022-02-07 이금성 음성 및 점멸형 유도등
KR20240061135A (ko) 2022-10-31 2024-05-08 이금성 음성 점멸 유도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175B1 (ko) 2007-06-04 2007-12-10 한국이미지시스템(주) 주차장용 멀티 덕트
KR101771579B1 (ko) 2015-02-09 2017-08-29 (주)도원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통합형 센서모듈을 이용한 상시 환경제어 및 재난대응 관제시스템
KR101886700B1 (ko) 2017-07-20 2018-08-08 이순복 비상상황대처 기능을 갖는 led비상유도등기구
KR102107763B1 (ko) 2019-02-07 2020-05-07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카운터센서를 활용한 비상유도 조명시스템
KR20200116669A (ko) 2019-04-02 2020-10-13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람을 인지하여 작동하는 비상조명등
KR102252878B1 (ko) 2020-04-09 2021-05-25 주식회사 대훈 불연성을 갖는 주차유도등 및 비상유도등 제작방법
KR20200145815A (ko) 2020-12-23 2020-12-30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람을 인지하여 작동하는 비상조명등
KR20220169952A (ko) 2021-06-21 2022-12-29 주식회사 다온이엔지 잠금 수단을 구비한 음성 및 점멸 유도등
KR20230001564A (ko) 2021-06-28 2023-01-05 주식회사 다온이엔지 무지향 스피커를 구비한 음성 및 점멸 유도등
KR102520289B1 (ko) 2022-12-26 2023-04-13 주식회사 에스앤에이치솔루션 재난대피용 레이저유도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892Y1 (ko) 2000-06-29 2000-12-01 이운주 비상구 표시장치
KR20030038605A (ko) * 2003-04-18 2003-05-16 안균호 피난경로 표시장치
KR100572356B1 (ko) 2004-03-04 2006-04-24 주식회사 새치로 비상 통로 유도용 축광표시구
KR200359722Y1 (ko) 2004-05-25 2004-08-21 전경철 바닥에 설치하는 비상등.
KR200390209Y1 (ko) 2005-05-04 2005-07-20 김미진 발광기능을 구비한 바닥 통로 유도등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843B1 (ko) * 2007-09-27 2009-09-30 에이피엘시스템(주) 노출형 유도로등
CN108729363A (zh) * 2018-07-30 2018-11-02 广州黑鹰停机坪建设有限公司 一种声控顺序闪光直升机坪消防通道
KR101996827B1 (ko) * 2019-02-08 2019-07-08 (주)케이아이기술단 공동주택의 신속한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방재장치
KR101994649B1 (ko) 2019-03-26 2019-09-24 민각기 비상구 유도등
KR102086528B1 (ko) * 2019-06-18 2020-03-09 민각기 광조도 조절이 되는 도료를 이용한 피난 유도선
WO2021002646A1 (ko) * 2019-07-01 2021-01-07 주식회사 엘티전자 경로 안내 시스템
KR102231148B1 (ko) 2020-02-06 2021-03-23 민각기 터널용 피난구 통로 유도등
KR102360272B1 (ko) 2020-09-29 2022-02-07 이금성 음성 및 점멸형 유도등
KR20240061135A (ko) 2022-10-31 2024-05-08 이금성 음성 점멸 유도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4475B1 (ko) 2007-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4475B1 (ko) 안내 스피커 내장형 비상구 유도등
US20120092183A1 (en) Emergency Lighting System with Projected Directional Indication
KR100782417B1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안내등
US20100013658A1 (en) Dynamic emergency escape indicator
US7339488B2 (en) Threshold having safety lights
KR100602371B1 (ko) 비상구 유도등
US8024880B2 (en) Combination exit sign and emergency light bar
KR20170053910A (ko) 재난유도장치
KR200493709Y1 (ko) 시각경보장치를 구비한 거실용 입체형 피난구 유도등
KR101849330B1 (ko) 화재시 종합 대피 시스템
KR101799910B1 (ko) Led 천정등을 이용한 비상 대피 시스템
KR20160096303A (ko) 소방용 비상 경보 및 조명장치
JP4961763B2 (ja) 発光部を有する建物の避難誘導構造
GB2516073A (en) Fire Safety Light
KR102462453B1 (ko) 화재 또는 비상시에 안전하게 피난할 수 있는 기능성 피난구 유도지시장치
KR200359722Y1 (ko) 바닥에 설치하는 비상등.
KR101886700B1 (ko) 비상상황대처 기능을 갖는 led비상유도등기구
KR200332123Y1 (ko) 통로 유도등
KR20160004745A (ko) 비상 대피로의 안내장치
KR101886816B1 (ko) 다기능 유도등 시스템
KR200266079Y1 (ko) 비상구 표시등
KR200427265Y1 (ko) 랜턴이 구비된 비상구 유도등
KR100406842B1 (ko) 타일형태로 조립이 가능한 비상구 방향지시등
KR200303073Y1 (ko) 비상구 표시등
KR20190001440U (ko) 피난유도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