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5892Y1 - 비상구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비상구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5892Y1
KR200205892Y1 KR2020000018658U KR20000018658U KR200205892Y1 KR 200205892 Y1 KR200205892 Y1 KR 200205892Y1 KR 2020000018658 U KR2020000018658 U KR 2020000018658U KR 20000018658 U KR20000018658 U KR 20000018658U KR 200205892 Y1 KR200205892 Y1 KR 2002058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exit
unit
display device
voice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86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운주
Original Assignee
이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운주 filed Critical 이운주
Priority to KR20200000186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58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58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58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2019/225Fire evacuation route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비상구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대형 건물의 복도에 설치된 비상구 표시장치에 있어서는 어느 방향으로 이동을 해야하는지 그 이동 방향을 식별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건물 등의 내부에서 비상구를 표시하며, 비상 상황시 대피 방향을 지시하는 비상구 표시장치에 있어서, LED로 이루어진 비상구 표시부, 표시부에 표시될 문자에 대응하는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표시부에 표시될 문자 및 음성 출력부에서 출력될 음성을 저장하는 저장수단, 저장수단에서 표시부 및 음성출력부로 출력될 데이터를 제어하는 제어수단 및 관리자가 대피 방향에 따라 제어수단을 조작하는 조작부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하는 것에 의해, 비상구의 표시를 원격지에서 조작자가 임의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비상 상황시 위험 지역에서 원활한 대피를 유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비상구 표시장치{EMERGENCY EXIT DISPLAY}
본 고안은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비상구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상구, 안내판 등의 표시상태를 조작자가 조정가능하고, 무선으로 데이터 신호를 수신 받아 출력할 수 있는 비상구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까지 비상구 표시장치는 발광부재로서 주로 형광등을 사용하며, 비상구의 천정 또는 복도의 측벽 하부에 부착되어 사용되고 있다.
또한, 표시판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크릴수지 등으로 이루어지고, 녹색으로 '비상구'를 표시하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비상구 표시장치는 실제의 비상상황의 발생시 재역할을 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건물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연기에 의해 비상구 표시장치를 식별하기 곤란한 경우가 있다.
또한, 대형 건물의 복도에 설치된 비상구 표시장치에 있어서는 어느 방향으로 이동을 해야하는지 그 이동 방향을 식별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시각장애자의 경우, 상기와 같은 '비상구'를 인식할 수 없으므로, 타인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비상구 표시장치에 있어서 이동 방향을 표시할 수 있는 비상구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비상구 표시장치에 있어서 비상상황인 경우 음성으로 이동방향을 안내할 수 있는 비상구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비상상황인 경우 중앙제어부(상황실)에서의 제어에 따라 음성으로 이동방향을 안내할 수 있는 비상구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비상구 표시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비상구 표시장치의 제1의 실시예의 블록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라 표시부에 표시되는 일 예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비상구 표시장치의 제2의 실시예의 블록도,
도 5는 종래의 비상구 표시장치의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중앙 제어부, 22‥·공중파 수신부,
23‥·A/D 변환부, 24‥·문자 생성부,
25‥·표시장치 제어부, 26‥·표시부,
27‥·음성 출력부 28‥·기억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비상구 표시장치는 건물 등의 내부에서 비상구를 표시하며, 비상 상황시 대피 방향을 지시하는 비상구 표시장치에 있어서, LED로 이루어진 비상구 표시부, 표시부에 표시될 문자에 대응하는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표시부에 표시될 문자 및 음성 출력부에서 출력될 음성을 저장하는 저장수단, 저장수단에서 표시부 및 음성출력부로 출력될 데이터를 제어하는 제어수단 및 관리자가 대피 방향에 따라 제어수단을 조작하는 조작부로 이루어진다.
또, 본 고안의 비상구 표시장치에 있어서, 조작부는 원격지에서 조작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의 비상구 표시장치에 있어서, 표시부에 표시될 문자 및 음성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음성은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반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설명 및 첨부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실시예 1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비상구 표시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는 통상의 경우에 LED를 사용하여 '비상구'를 표시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b는 통상의 경우 비상상황시 이동방향 예를 들어 '←왼쪽으로 가십시오'를 표시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c는 통상의 경우 비상상황시 이동방향 예를 들어 '↓아래층으로 가십시오'를 표시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상구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비상구 표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있어서, (21)은 건물의 중앙제어부 또는 비상상황의 상황실 제어부를 나타내고, (22)는 중앙제어부(21)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공중파수신부이다.
(23)은 A/D 변환부로서, 공중파수신부(22)에서 수신된 광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24)는 문자 생성부로서, 중앙제어부(21)에 의해 설정된 문자를 생성한다.
(25)는 표시장치 제어부로서, 문자생성부(24)에서 생성된 문자 신호에 따라, 중앙제어부(21)에서 요구한 표시내용을 표시부(26)에 표시하기 위한 제어를 실행한다.
(26)은 도 1a∼도 1c에 도시된 문자를 나타내는 표시부이고, (27)은 음성 출력부로서 표시부(26)에 표시된 문자에 대응한 음성을 출력한다.
(28)은 기억부로서, 본 고안의 비상구 표시장치의 전체 조작에 관한 기본 데이터를 저장하는 ROM(29)와 외부에서 입력된 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일시 기억하는 DRAM 또는 SRAM 등으로 이루어진 RAM(30)을 구비한다.
다음에 본 고안에 의해 표시패널에 표시되는 예를 도 3의 흐름도에 따라 설명한다.
통상의 상태에서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구' 점등상태로 유지된다(S31).
실제의 비상 상황 예를 들어 화제 등이 발생하여 건물내의 사람들이 대피해야 하는 경우, 건물내의 관리실에 장착된 중앙제어부(21)에서 비상 상황인가를 판단한다(S32). 이 때, 중앙제어부에서 비상 상황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스텝S31로 되돌아가 '비상구'의 표시상태를 정상으로 유지한다.
그러나, 비상 상황이라고 판정된 경우, 중앙제어부에서는 비상구의 표시상태를 예를 들어 도 1b 또는 도 1c와 같이 변경하도록 공중파수신부(22)로 제어명령을 송신한다. 공중파수신부(22)는 수신된 명령을 A/D변환기(23)으로 출력하고, 문자 생성부(24)는 수신된 명령에 따른 문자 즉 도 1b 또는 도 1c와 같은 문자를 생성한다. 표시장치 제어부(25)가 문자생성부(24)에서 생성된 문자와 이에 대응하는 이동방향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에 의해, 표시부(26)에는 도 1b 또는 도 1c와 같이 생성된 문자 및 이동방향이 표시된다(S33).
또한, 표시장치 제어부(25)는 예를 들어 도 1b 및 도 1c에 표시된 문자에 대응하는 음성이 미리 기억되어 있는 기억부(28)을 제어하고, 이 제어에 따라 음성출력부(27)에서는 '왼쪽으로 가십시오' 또는 '아래층으로 가십시오' 등의 음성이 출력된다(S34).
상기 스텝S33의 이동방향 표시 및 상기 스텝S34의 이동방향 음성출력은 소정의 시간 간격 예를 들어 5초 내지 10초 간격으로 반복되어 실행된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1에 있어서는 대형 건물의 경우, 중앙 제어부에서 비상구 표시장치를 제어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소형 건물의 경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비상구 표시장치의 제2의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4에 있어서, (41)은 표시부(26)에 표시될 내용을 그 상황에 따라 변경하기 위한 제어부로서, 도 1a의 문자 표시를 미리 설정된 소정의 문자 예를 들어 도 1b 또는 도 1c로 변경하기 위한 메모리부를 구비한다. 통상의 경우에는 '비상구'만 표시된다.
(42)는 음성 IC로서, 제어부(41)에서 생성될 문자에 대응하는 음성인 '왼쪽으로 가십시오' 또는 '아래층으로 가십시오' 이 저장되며, 저장된 데이터는 스피커(43)을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
도 4의 구조에 있어서는 비상 상황인 경우,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도시하지 않은 조작 버튼으로 제어부(41)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작동된다.
이상 본 고안자에 의해서 안출된 고안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비상구의 표시를 원격지에서 조작자가 임의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비상 상황시 위험 지역에서 원활한 대피를 유도할 수 있다.
또, 본 고안에 의하면 시각 장애자나 청각 장애자 등의 장애자에게도 안전한 비상구로 대피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건물 등의 내부에서 비상구를 표시하며, 비상 상황시 대피 방향을 지시하는 비상구 표시장치에 있어서,
    LED로 이루어진 비상구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될 문자에 대응하는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될 문자 및 상기 음성 출력부에서 출력될 음성을 저장하는 저장수단,
    상기 저장수단에서 상기 표시부 및 상기 음성출력부로 출력될 데이터를 제어하는 제어수단 및
    관리자가 상기 대피 방향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을 조작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 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원격지에서 조작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 표시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될 문자 및 상기 음성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음성은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 표시장치.
KR2020000018658U 2000-06-29 2000-06-29 비상구 표시장치 KR2002058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658U KR200205892Y1 (ko) 2000-06-29 2000-06-29 비상구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658U KR200205892Y1 (ko) 2000-06-29 2000-06-29 비상구 표시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0103A Division KR20010035538A (ko) 2001-02-27 2001-02-27 비상구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5892Y1 true KR200205892Y1 (ko) 2000-12-01

Family

ID=19663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8658U KR200205892Y1 (ko) 2000-06-29 2000-06-29 비상구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589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815A (ko) * 2001-12-20 2002-03-29 박종락 복합경보기능 및 재충전건전지가 내장된 비상구 안내판
KR100734475B1 (ko) 2005-07-12 2007-07-03 경기엔지니어링(주) 안내 스피커 내장형 비상구 유도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815A (ko) * 2001-12-20 2002-03-29 박종락 복합경보기능 및 재충전건전지가 내장된 비상구 안내판
KR100734475B1 (ko) 2005-07-12 2007-07-03 경기엔지니어링(주) 안내 스피커 내장형 비상구 유도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96018A (en) Exit guiding system
KR101565727B1 (ko) 시각 및 청각 장애인을 위한 화재 감지 및 경보 시스템
KR200472941Y1 (ko) 화재 발생 위치에 따른 최적의 대피 경로를 방향표시, 문자 및 음성으로 출력하는 비상구 표시 장치
JP6139793B2 (ja) 避難誘導報知装置およびシステム
US20020149491A1 (en) Egress system
KR20080103471A (ko) 동적으로 변하는 비상 대피 경로를 갖는 유틸리티 아웃렛들
KR20180019979A (ko) 조명이 구비된 비상유도장치
KR102276733B1 (ko) 화재 발생시 소방 피난 유도등 시스템
KR200205892Y1 (ko) 비상구 표시장치
AU2022100030A4 (en) Safety corridor arrangement
KR20040076396A (ko) 피난로 유도 시스템
JP2005173833A (ja) トンネル照明装置
KR20150114246A (ko) 비상구 위치로 유도하는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사운드 기반의 비상유도장치
KR20110008331U (ko) 피난구 유도등
KR20170046773A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010035538A (ko) 비상구 표시 장치
KR101980088B1 (ko) 모바일 시스템을 이용한 소방 화재 안전관리 시스템
EP2983148B1 (en) Voice-sensitive emergency alert system
KR100945857B1 (ko) 멀티 소방 피난 유도장치
KR200206904Y1 (ko) 비상구등의 방향지시 유도장치
KR20160143899A (ko) 지능형 원격제어 led 유도등
KR102249142B1 (ko) 광고라이트를 이용한 비상유도장치
KR101237021B1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화재 음성경보 제어장치와 제어방법
KR200260322Y1 (ko) 비상작동모드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0326369Y1 (ko) 시청각 인지수단을 갖는 비상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