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9979A - 조명이 구비된 비상유도장치 - Google Patents

조명이 구비된 비상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9979A
KR20180019979A KR1020160104347A KR20160104347A KR20180019979A KR 20180019979 A KR20180019979 A KR 20180019979A KR 1020160104347 A KR1020160104347 A KR 1020160104347A KR 20160104347 A KR20160104347 A KR 20160104347A KR 20180019979 A KR20180019979 A KR 20180019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rocessing unit
signal processing
disast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4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덕
Original Assignee
박종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덕 filed Critical 박종덕
Priority to KR1020160104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9979A/ko
Priority to US15/672,694 priority patent/US20180050226A1/en
Publication of KR20180019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99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2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indicating emergency ex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9/00Alarms responsive to two or more different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e.g. burglary and fire, abnormal temperature and abnormal rate of flow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guiding along a path, e.g. evacuation path lighting stri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2013/05Constructional details indicating exit way or orientation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표시부에서 방향지시, 상황알림 문자 및 기호가 디스플레이되고, 스피커에서 음향이 출력되며, 라이트가 올바른 대피방향을 향해 점등됨으로써 재난의 종류와 상황에 따라 인명 피해가 최소화 될 수 있는 방향으로 대피안내가 이루어질 수 있는 조명이 구비된 비상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이 구비된 비상유도장치는 건물 내 복수의 장소에 설치된 재난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재난신호가 중앙제어부로 송신되고, 재난신호가 수신된 상기 중앙제어부에서 송신된 처리신호가 수신됨에 의해 대피방향이 지시되는 비상유도장치에 있어서, 건물 내 복수의 장소에 설치되되 내부에는 상기 중앙제어부와 통신 가능한 신호처리부가 구비되고 전면에는 상기 신호처리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신호처리부로 수신되는 신호의 종류에 따라 방향지시, 상황알림 문자 및 기호가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부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신호처리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신호처리부로 수신되는 신호의 종류에 따라 소정 음향이 출력되는 스피커와, 상기 본체와 인접된 위치에 다수 개가 점멸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신호처리부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며 상기 신호처리부로 수신되는 신호의 종류에 따라 상기 표시부와 연계되어 대피방향을 향해 소정의 조명이 점등되는 라이트가 포함된다.

Description

조명이 구비된 비상유도장치{EMERGENCY LEADING APPARATUS WITH LIGHT}
개시된 내용은 건물이나 지하철 역사와 같은 다중이용시설 내에서 화재, 지진, 붕괴, 폭발 및 가스누출과 같은 재난 발생시 대피 안내가 이루어져 인명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게 하는 비상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재나 폭발과 같은 재난 상황에 대비하여 지하철이나 지하도, 학교, 병원, 백화점 등과 같이 많은 사람이 사용하는 각종 건물에는 대피 방향이 안내되는 비상유도장치가 의무적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비상유도장치는 보통 케이스의 전면에 화살표나 문자, 도형 등으로 비상구를 표시한 스크린판이 부착되고, 케이스 내부에 광원으로서 전원에 의해 점등되는 램프로 구성된다. 또한, 최근에는 광고를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액정형 비상유도장치가 사용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비상유도장치는 건물의 벽이나 출입구의 인근에 설치된다. 하지만, 건물 내에서 화재가 발생 되면 건물 내부는 유독가스가 포함된 연기로 가득 차게 된다. 따라서 화재의 규모나 상황에 따라 비상유도장치가 대피자들에게 쉽게 식별될 수 없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처럼 비상유도장치의 시인성이 확보되지 못하게 될 경우 자칫 대형 인명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일반적인 비상유도장치에서 사용되는 유도 표시는 화염과 매연에 의해 대피자에게 인식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종래의 비상유도장치는 램프 불빛에 의한 표시만으로 비상구의 위치를 알려주도록 되어 있어 특히 시각 장애가 있는 경우 비상구로의 대피를 유도하는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재난발생 상황에 따라 비상유도장치가 안내하는 비상구의 방향이 오히려 위험한 경우가 될 수도 있다. 즉, 비상구 방향에서 화재가 발생 되거나 가스가 누출될 수도 있다. 종래의 비상유도장치는 이러한 상황에 대처할 수 없어 대피자들이 오히려 위험한 곳으로 대피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3-0073427호(2013.07.03) 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317654호(2013.10.07) 3.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6-0105214호(2006.10.11)
건물이나 지하철 역사와 같은 다중이용시설 내에서 화재, 지진, 붕괴, 폭발 및 가스누출과 같은 재난 발생시, 그 재난의 종류나 상황에 따라 최적의 대피장소로 안내가 가능하고, 문자, 기호, 음향, 조명을 이용해 시각 및 청각 정보가 동시에 전달될 수 있는 조명이 구비된 비상유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하나의 실시 예로서 개시된 내용은 건물 내 복수의 장소에 설치된 재난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재난신호가 중앙제어부로 송신되고, 재난신호가 수신된 상기 중앙제어부에서 송신된 처리신호가 수신됨에 의해 대피방향이 지시되는 비상유도장치에 있어서, 건물 내 복수의 장소에 설치되되 내부에는 상기 중앙제어부와 통신 가능한 신호처리부가 구비되고 전면에는 상기 신호처리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신호처리부로 수신되는 신호의 종류에 따라 방향지시, 상황알림 문자 및 기호가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부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신호처리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신호처리부로 수신되는 신호의 종류에 따라 소정 음향이 출력되는 스피커와, 상기 본체와 인접된 위치에 다수 개가 점멸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신호처리부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며 상기 신호처리부로 수신되는 신호의 종류에 따라 상기 표시부와 연계되어 대피방향을 향해 소정의 조명이 점등되는 라이트가 포함되는 조명이 구비된 비상유도장치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조명이 구비된 비상유도장치는 표시부에서 방향지시, 상황알림 문자 및 기호가 디스플레이되고, 스피커에서 음향이 출력되며, 라이트가 올바른 대피방향을 향해 점등됨으로써 재난의 종류와 상황에 따라 인명 피해가 최소화 될 수 있는 방향으로 대피안내가 이루어질 수 있는 탁월한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이 구비된 비상유도장치의 블럭구성도.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이 구비된 비상유도장치의 설치도.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이 구비된 비상유도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명이 구비된 비상유도장치의 설치도.
개시된 내용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개시된 내용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개시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된 내용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개시된 내용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개시된 내용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개시된 내용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개시된 내용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개시된 내용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블럭구성도이고, 도 2는 설치도이며, 도 3은 사용상태도 이다.
이하에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이 구비된 비상유도장치(1)의 구성부재와 그 작동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이 구비된 비상유도장치(1)는 건물이나 지하철 역사와 같은 다중이용시설 내에 설치되어 화재, 지진, 붕괴, 폭발 및 가스누출과 같은 재난 발생시 대피안내를 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재난이 발생되면 건물 내 복수의 장소에 설치된 재난감지센서(40)에 의해 어떤 종류의 재난이 어느 위치에서 어느 정도의 규모로 발생 되었는지가 감지된다. 감지된 재난신호는 건물 내 구비된 중앙제어부(50)로 송신되며 재난신호가 수신된 중앙제어부(50)에서는 비상유도장치로 처리신호가 송신된다. 처리신호가 수신된 비상유도장치는 표시부(12), 스피커(20), 라이트(30)를 이용해 모든 상황을 고려한 최적의 대피장소를 안내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면, 건물 내 복수의 장소에는 본체(10)가 설치된다. 이 본체(10)는 추후에 설명될 구성부재들이 작동 가능하게 설치 및 연결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본체(10) 건물 내 주요 위치,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앞, 비상계단 근처와 같은 곳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10) 내부에는 전술한 중앙제어부(50)와 통신 가능한 신호처리부(11)가 구비된다. 그리고 전면에는 신호처리부(1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신호처리부(11)로 수신되는 신호의 종류에 따라 방향지시, 상황알림 문자 및 기호가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부(12)가 구비된다.
전술한 신호처리부(11)는 중앙제어부(50)로부터 재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재난신호가 수신된다. 이를 위해 신호처리부(11)는 중앙제어부(50)와 유/무선으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또한 표시부(12)는 광고용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비상구 유도등 중 하나인 것으로 한다. 신호처리부(11)로 수신되는 화재신호, 지진신호, 붕괴신호, 폭발신호, 가스누출신호와 같은 재난신호의 종류에 따라 해당 재난에 대한 문자정보와, 탈출방향을 안내하는 방향지시 화살표가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면, 재난신호가 화재신호인 경우 표시부(12)에 "○○○에 화재발생"과 같은 문자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동시에 기호 등의 화살표로 대피방향이 안내된다.
한편, 본체(10)의 일측에는 스피커(20)가 구비된다. 이 스피커(20)는 신호처리부(1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신호처리부(11)로 수신되는 신호의 종류에 따라 소정 음향이 출력되는 역할을 한다. 즉, 스피커(20)는 신호처리부(11)로 수신되는 화재신호, 지진신호, 붕괴신호, 폭발신호, 가스누출신호와 같은 재난신호의 종류에 따라 해당 재난에 대한 문자정보 및 기호정보와, 탈출방향을 안내하는 피난유도 정보가 출력된다. 예를 들면, 재난신호가 화재신호인 경우 일정 시간동안 경보음이 출력되고 뒤이어 "화재가 발생되었으니 신속하게 대피 바랍니다"와 같은 안내가 반복적으로 출력된다. 따라서 일반인뿐만 아니라 상황판단력이 일반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시각장애인과 같이 장애인, 노인, 어린이들도 빠른 상황판단으로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본체(10)와 인접된 위치에는 다수 개의 라이트(30)가 점멸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라이트(30)는 대피방향을 지시해주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라이트(30)는 신호처리부(11)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며, 신호처리부(11)로 수신되는 신호의 종류에 대피방향을 향해 소정의 조명이 점등된다.
이때 라이트(30)는 건물 내 복수의 장소에 고정 또는 구동각도(drive angle)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며, 신호처리부(11)로 수신되는 화재신호, 지진신호, 붕괴신호, 폭발신호, 가스누출신호와 같은 재난신호의 종류에 따라 다른 색상의 빛이 조사된다.
라이트(30)는 하나의 본체(10)마다 구비되고, 고정 설치된 라이트(30)는 건물 내 갈림길마다 각각 설치되어야 한다. 이는 재난 발생시 갈림길 중에 대피해야 하는 방향으로 조사되는 라이트(30)만 점등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구동각도(drive angle)조절 가능한 라이트(30)는 건물내 갈림길에 한 개만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이는 재난 발생시 갈림길 중에 대피해야 하는 방향으로 라이트(30)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라이트(30)는 화재, 지진, 붕괴, 폭발, 가스누출에 따라 고유한 색상의 빛이 조사된다. 예를 들면 화재발생시에는 푸른색, 지진발생시에는 노란색, 붕괴시에는 빨간색 등으로 조사될 수 있다. 색상의 변경은 종래기술에 따른 다양한 방법중 하나가 선택되는 것으로 하며, 램프로는 종래기술에 따른 서치라이트(30)(searchlight)에 사용되는 램프와 동일한 것이 사용된다.
이하에는 도 3을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이 구비된 비상유도장치(1)의 전체적인 사용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건물 내부의 특정 장소에서 화재가 발생되면 이 신호가 인근의 재난감지센서(40)에 의해 감지된다. 재난감지센서(40)는 재난의 종류, 위치, 규모 등이 감지되며 그 재난신호는 건물 내의 중앙제어부(50)로 송신된다. 재난신호가 수신된 중앙제어부(50)에서는 다수의 본체(10) 신호처리부(11)를 향해 처리신호가 송신된다. 처리신호가 수신된 신호처리부(11)는 본체(10)에 구비된 표시부(12), 스피커(20) 및 라이트(30)를 통해서 최적의 대피 안내가 이루어진다. 즉, 표시부(12)에서는 해당 재난에 대한 상황알림 문자와 대피 방향이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스피커(20)에서는 경보음과 함께 재난에 대한 정보가 출력된다. 또한 라이트(30)는 대피방향을 향해 점등된다. 따라서 항시 동일한 비상구 방향으로 대피가 안내되는 것이 아니라 최적의 방향으로 대피안내가 이루어질 수 있어 인명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다.
도 4에는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명이 구비된 비상유도장치의 설치도가 도시된다. 여기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이 구비된 비상유도장치(1)와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가 사용됨을 밝혀둔다.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명이 구비된 비상유도장치(1')는 건물 내 복수의 장소에 설치된 재난감지센서(40)에 의해 감지된 재난신호가 중앙제어부(50)로 송신되고, 재난신호가 수신된 상기 중앙제어부(50)로부터 송신된 처리신호가 수신됨에 의해 대피방향이 지시되는 비상유도장치에 있어서, 건물 내 복수의 장소에 설치되되 내부에는 상기 중앙제어부(50)와 통신 가능한 신호처리부(11)가 마련되고 전면에는 상기 신호처리부(1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신호처리부(11)로 수신되는 신호의 종류에 따라 방향지시, 상황알림 문자 및 기호가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부(12)가 구비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신호처리부(1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신호처리부(11)로 수신되는 신호의 종류에 따라 소정 음향이 출력되는 스피커(20)와, 상기 본체(10)의 타측에 구동각도(drive angle)조절 및 점멸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신호처리부(11)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며 상기 신호처리부(11)로 수신되는 신호의 종류에 따라 상기 표시부(12)와 연계되어 대피방향을 향해 소정의 조명이 점등되는 라이트(30)가 포함된다.
여기서 라이트(30)는 상기 본체(10) 타측에 구동각도(drive angle)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신호처리부(11)로 수신되는 화재신호, 지진신호, 붕괴신호, 폭발신호, 가스누출신호와 같은 재난신호의 종류에 따라 다른 색상의 빛이 조사된다.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명이 구비된 비상유도장치(1')는, 라이트(30)가 본체(10) 상에 일체로 설치된다는 점만 다를 뿐, 전체적인 발명의 구성과 작동관계는 전술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이 구비된 비상유도장치와 동일, 유사하여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충분히 유추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서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조명이 구비된 비상유도장치(1,1')에 의하면 표시부(12)에서 방향지시, 상황알림 문자 및 기호가 디스플레이되고, 스피커(20)에서 음향이 출력되며, 라이트(30)가 올바른 대피방향을 향해 점등됨으로써 재난의 종류와 상황에 따라 인명 피해가 최소화 될 수 있는 방향으로 대피안내가 이루어질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자라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1' : 조명이 구비된 비상유도장치
10 : 본체
11 : 신호처리부
12 : 표시부
20 : 스피커
30 : 라이트
40 : 재난감지센서
50 : 중앙제어부

Claims (6)

  1. 건물 내 복수의 장소에 설치된 재난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재난신호가 중앙제어부로 송신되고, 재난신호가 수신된 상기 중앙제어부에서 송신된 처리신호가 수신됨에 의해 대피방향이 지시되는 비상유도장치에 있어서,
    건물 내 복수의 장소에 설치되되 내부에는 상기 중앙제어부와 통신 가능한 신호처리부가 구비되고 전면에는 상기 신호처리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신호처리부로 수신되는 신호의 종류에 따라 방향지시, 상황알림 문자 및 기호가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부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신호처리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신호처리부로 수신되는 신호의 종류에 따라 소정 음향이 출력되는 스피커; 및
    상기 본체와 인접된 위치에 다수 개가 점멸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신호처리부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며 상기 신호처리부로 수신되는 신호의 종류에 따라 상기 표시부와 연계되어 대피방향을 향해 소정의 조명이 점등되는 라이트;가 포함되는 조명이 구비된 비상유도장치.
  2. 건물 내 복수의 장소에 설치된 재난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재난신호가 중앙제어부로 송신되고, 재난신호가 수신된 상기 중앙제어부에서 송신된 처리신호가 수신됨에 의해 대피방향이 지시되는 비상유도장치에 있어서,
    건물 내 복수의 장소에 설치되되 내부에는 상기 중앙제어부와 통신 가능한 신호처리부가 마련되고 전면에는 상기 신호처리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신호처리부로 수신되는 신호의 종류에 따라 방향지시, 상황알림 문자 및 기호가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부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신호처리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신호처리부로 수신되는 신호의 종류에 따라 소정 음향이 출력되는 스피커; 및
    상기 본체의 타측에 구동각도(drive angle)조절 및 점멸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신호처리부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며 상기 신호처리부로 수신되는 신호의 종류에 따라 상기 표시부와 연계되어 대피방향을 향해 소정의 조명이 점등되는 라이트;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이 구비된 비상유도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광고용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비상구 유도등 중 하나인 것으로 하되, 상기 신호처리부로 수신되는 화재신호, 지진신호, 붕괴신호, 폭발신호, 가스누출신호와 같은 재난신호의 종류에 따라 해당 재난에 대한 문자정보와, 탈출방향을 안내하는 방향지시 화살표가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이 구비된 비상유도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상기 신호처리부로 수신되는 화재신호, 지진신호, 붕괴신호, 폭발신호, 가스누출신호와 같은 재난신호의 종류에 따라 해당 재난에 대한 문자정보와, 탈출방향을 안내하는 피난유도 정보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이 구비된 비상유도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는 건물 내 복수의 장소에 고정 또는 구동각도(drive angle)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신호처리부로 수신되는 화재신호, 지진신호, 붕괴신호, 폭발신호, 가스누출신호와 같은 재난신호의 종류에 따라 다른 색상의 빛이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이 구비된 비상유도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는 상기 본체 타측에 구동각도(drive angle)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신호처리부로 수신되는 화재신호, 지진신호, 붕괴신호, 폭발신호, 가스누출신호와 같은 재난신호의 종류에 따라 다른 색상의 빛이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이 구비된 비상유도장치.
KR1020160104347A 2016-08-17 2016-08-17 조명이 구비된 비상유도장치 KR2018001997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347A KR20180019979A (ko) 2016-08-17 2016-08-17 조명이 구비된 비상유도장치
US15/672,694 US20180050226A1 (en) 2016-08-17 2017-08-09 Emergency Guidance Apparatus with Ligh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347A KR20180019979A (ko) 2016-08-17 2016-08-17 조명이 구비된 비상유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9979A true KR20180019979A (ko) 2018-02-27

Family

ID=61191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347A KR20180019979A (ko) 2016-08-17 2016-08-17 조명이 구비된 비상유도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80050226A1 (ko)
KR (1) KR2018001997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9142B1 (ko) 2020-10-29 2021-05-07 주식회사 다원코리아 광고라이트를 이용한 비상유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70226A1 (en) * 2017-03-15 2018-09-20 Carrie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fire sensing and controlling escape path guide signs accordingly
CN110895723A (zh) * 2018-09-13 2020-03-20 开利公司 火灾探测系统-用于火灾设备的火灾智能信号发送
CN109215263A (zh) * 2018-11-21 2019-01-15 奕铭(大连)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应急照明与疏散引导系统
US11189141B2 (en) * 2019-05-24 2021-11-30 Charles Armpriester Universal threat awareness management system for occupant safety
DE102019130700A1 (de) * 2019-11-14 2021-05-20 Zumtobel Lighting Gmbh Dynamisches und/oder adaptives wegeleitsystem
US10991216B1 (en) * 2020-12-04 2021-04-27 Khaled Alali Auditory and visual guidance system for emergency evacuation
CN114299683B (zh) * 2022-03-09 2022-08-05 广东铭昌消防机电工程有限公司 一种电气火灾智能监控方法、系统、装置及云平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302689D0 (en) * 2013-02-15 2013-04-03 Visuwall Ltd An improved evacuation assistance system
US9685053B2 (en) * 2013-03-14 2017-06-20 Richard Palmeri Conducting and guiding individuals safe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9142B1 (ko) 2020-10-29 2021-05-07 주식회사 다원코리아 광고라이트를 이용한 비상유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050226A1 (en) 2018-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19979A (ko) 조명이 구비된 비상유도장치
KR101565727B1 (ko) 시각 및 청각 장애인을 위한 화재 감지 및 경보 시스템
EP1998300A2 (en) Utility outlets having dynamically changing emergency evacuation routing
CN102714002B (zh) 用于显示安全指示的装置
KR200472941Y1 (ko) 화재 발생 위치에 따른 최적의 대피 경로를 방향표시, 문자 및 음성으로 출력하는 비상구 표시 장치
JP2013242689A (ja) 避難誘導システム
US20020149491A1 (en) Egress system
KR101807265B1 (ko) 지진 감지가 가능한 소방 방재 시스템
US11935396B2 (en) Dynamic and/or adaptive signposting system
KR101605880B1 (ko) 조명장치
KR102471645B1 (ko) 지능형 비상구 표시등 관리시스템
KR20170037753A (ko) 청각장애인용 알림 장치
KR20110008331U (ko) 피난구 유도등
KR101317654B1 (ko) 비상구 유도등
KR101735264B1 (ko) 비상 유도 및 통화 시스템
KR101300099B1 (ko) 무전원 방향 유도등을 구비한 스피커 시스템
KR20170071706A (ko) 소화기 위치 및 탈출경로 표시 시스템
KR20160004745A (ko) 비상 대피로의 안내장치
KR102249142B1 (ko) 광고라이트를 이용한 비상유도장치
KR20160012358A (ko) 조명장치의 제어 방법
KR200260322Y1 (ko) 비상작동모드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79165A (ko) 지진 감지가 가능한 소방 방재 시스템
WO2009039647A1 (en) Utility outlets and alertment/fire safety systems
KR101616780B1 (ko) 조명장치의 제어 방법
JP2002109670A (ja) 緊急避難情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