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440U - 피난유도등 - Google Patents

피난유도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440U
KR20190001440U KR2020170006299U KR20170006299U KR20190001440U KR 20190001440 U KR20190001440 U KR 20190001440U KR 2020170006299 U KR2020170006299 U KR 2020170006299U KR 20170006299 U KR20170006299 U KR 20170006299U KR 20190001440 U KR20190001440 U KR 2019000144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ire
illumination unit
coupled
evac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62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민영
Original Assignee
권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민영 filed Critical 권민영
Priority to KR20201700062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1440U/ko
Publication of KR201900014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44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H05B37/022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re Alarms (AREA)
  • Audible And Visible Signals (AREA)

Abstract

고안에 의한 피난유도등은, 발광램프가 내장되며 전방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비상안내표지;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대피통로에 조명을 인가하는 조명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조명유닛은, 상기 본체의 좌우측에 각각 결합되거나, 가로바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본체의 하측에 결합된다. 본 고안에 의한 피난유도등은, 비상안내표지를 밝게 비출 뿐만 아니라 대피통로에 조명을 인가할 수 있고, 화재 발생 지점이 어느 방향인지를 대피자에게 알릴 수 있어 인명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피난유도등 {Exit Light}
본 고안은 피난구 방향을 안내하는 피난유도등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화재 및 정전시에도 대피자가 안전하게 대피통로를 지날 수 있도록 대피통로에 조명을 인가하도록 구성되는 피난유도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지하철, 체육관, 공연장 등의 내벽에는 화재나 지진 및 정전 등과 같은 비상시를 대비하여 상시전원과 비상전원에 의해 항상 점등되도록 하여, 어두움 속에서도 사람들이 안전한 곳으로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길잡이 역할을 하는 피난유도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피난유도등은 벽면에 설치되게 통체형상을 가진 본체의 내부에 상시전원으로 점등되는 형광등과, 상시전원의 단전시 형광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비상전원과, 상기 비상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외부 전면에 형광등의 점등을 통해 밝게 나타내고자 하는 비상안내표지가 설치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형광등이 상시전원 또는 비상전원에 의해 상시 점등되면서 본체의 내부를 밝히고, 본체의 내부로부터 투과되는 빛을 통해 비상안내표지를 밝게 비춤으로써, 화재나 정전 등과 같은 비상시에 사람들이 쉽게 인지하여 안전한 곳으로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피난유도등은 형광등을 통해 본체의 내부를 밝게 하여 비상안내표지를 밝게 하는 구조인데, 상기 형광등은 빛을 직선방향으로 비추지 않고 사방으로 비추는 특성이 강하므로 그 빛을 통해 본체의 내부만을 환하게 밝힐 뿐 그 빛을 본체의 외부로 강하게 투과시키지는 못한다. 이에 따라 화재시 연기에 의해 피난유도등이 가려지게 되면 상기한 형광등의 특성에 의하여 사람들은 비상안내표지를 쉽게 인지할 수 없게 됨으로써, 피난유도등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피난유도등은 단순히 비상안내표지를 밝게 비추는데 목적이 있으므로, 정전 시에는 대피통로가 매우 어두워 대피자가 신속하게 이동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피난유도등은 화재가 발생된 지점의 방향까지는 안내를 하지 못하므로, 대피자가 화재 지점으로 이동하여 상해를 입는 경우를 방지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KR 20-0439100 Y1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비상안내표지를 밝게 비출 뿐만 아니라 대피통로에 조명을 인가할 수 있고, 화재 발생 지점이 어느 방향인지를 대피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구성되는 피난유도등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피난유도등은,
발광램프가 내장되며 전방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비상안내표지;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대피통로에 조명을 인가하는 조명유닛;
을 포함하되,
상기 조명유닛은, 상기 본체의 좌우측에 각각 결합되거나, 가로바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본체의 하측에 결합된다.
상기 조명유닛은, 상기 본체의 좌측에 결합되는 좌측조명유닛과, 상기 본체의 우측에 결합되는 우측조명유닛으로 구분되고,
상기 좌측조명유닛으로부터 좌측으로 이격된 지점에 설치되어 화재열기 또는 화재연기를 감지하는 제1 감지센서와, 상기 우측조명유닛으로부터 우측으로 이격된 지점에 설치되어 화재열기 또는 화재연기를 감지하는 제2 감지센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감지센서에 화재열기 또는 화재연기가 감지되었을 때 상기 좌측조명유닛이 점멸되고,
상기 제2 감지센서에 화재열기 또는 화재연기가 감지되었을 때 상기 우측조명유닛이 점멸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좌측조명유닛은 좌측을 향하는 화상을 대피통로 바닥에 출력하고, 상기 우측조명유닛은 우측을 향하는 화상을 대피통로 바닥에 출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감지센서에 화재열기 또는 화재연기가 감지되었을 때 상기 좌측조명유닛이 오프되고,
상기 제2 감지센서에 화재열기 또는 화재연기가 감지되었을 때 상기 우측조명유닛이 오프되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피난유도등은, 비상안내표지를 밝게 비출 뿐만 아니라 대피통로에 조명을 인가할 수 있고, 화재 발생 지점이 어느 방향인지를 대피자에게 알릴 수 있어 인명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피난유도등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피난유도등 제2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피난유도등 제3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피난유도등 제4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피난유도등 제5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피난유도등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피난유도등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피난유도등 제2 실시예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피난유도등 제3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피난유도등은 화재나 정전 발생 시 건물 내에 있던 사람들을 비상구로 안내하기 위한 장치로서, 발광램프(미도시)가 내장되며 전방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개구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비상안내표지(200)를 기본 구성요소로 구비한다. 상기 비상안내표지(200)는 빛이 투과할 수 있도록 기준치 이상의 투명도를 갖도록 제작되며, 비상구를 나타내는 형상이 인쇄되어 있는바, 상기 발광램프의 빛으로 인해 상기 비상안내표지(200)가 밝게 표시될 때 대피자는 상기 비상안내표지(200)를 보고 비상구를 찾아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체(100) 및 비상안내표지(200)는 종래의 피난유도등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는바, 본체(100) 및 비상안내표지(200)의 내부구조 및 작동원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본 고안에 의한 피난유도등은 단순히 비상안내표지(200) 주위만을 밝게 비추는 것이 아니라 상기 대피통로를 지나는 대피자가 빠르게 이동할 수 있도록 대피통로에 조명을 인가하는 기능까지 구비한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일반적으로 화재나 정전 등과 같은 사고가 발생되었을 때에는 대피통로의 벽체나 천정 일부가 무너지거나 대피통로의 바닥에 여러가지 물건이 떨어져 있을 수 있는데, 상기 대피통로가 어두우면 대피자가 이를 육안으로 확인하지 못하므로 발에 걸려 넘어지는 등의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 의한 피난유도등은 상기 본체(100)에 결합되어 대피통로에 조명을 인가하는 조명유닛(300)을 추가로 구비하는바, 본 고안에 의한 피난유도등을 사용하면 대피자가 대피통로를 지나는 동안 넘어지는 등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물론, 대피통로를 조명하는 비상조명등이 별도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조명유닛(300)은 대피자가 비상안내표지(200)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비상안내표지(200)의 주변만을 밝히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조명유닛(300)의 조사각은 본 고안에 의한 피난유도등이 설치된 지점의 구조적 특성이나 사용자의 요청 등 여러가지 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명유닛(300)은 평상시에는 점등되어 있지 아니하다가, 화재나 정전사고 발생 시 자동으로 점등되는바, 불필요한 전기에너지를 소모하지 아니하면서 화재나 정전사고 발생 시에는 대피자가 밝게 조명된 대피통로를 따라 안전하고 빠르게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비상안내표지(200) 주변에 다수 개의 조명유닛(300)이 설치되면, 실내에 연기나 먼지가 짙게 발생한 상태에서도 대피자가 비상안내표지(200)판을 더욱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화재나 정전사고 발생 시 조명유닛(300)이 자동으로 점등되는 제어시스템은, 본 고안이 해당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상용화되어 있는바, 상기 조명유닛(300)이 자동으로 점멸되는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조명유닛(3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좌우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조명유닛(300)은, 상기 본체(100)의 좌측에 결합되는 좌측조명유닛(310)과, 상기 본체(100)의 우측에 결합되는 우측조명유닛(320)으로 구성되어, 보다 넓은 면적에 걸쳐 대피통로를 밝게 비추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조명유닛(310)과 우측조명유닛(3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2개씩 구비될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3개씩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좌측조명유닛(310)의 개수와 우측조명유닛(320)의 개수는, 본 고안에 의한 피난유도등이 설치되는 지점의 규모나 특성 등 여러가지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조명유닛(3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램프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바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본체(100)의 하측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조명유닛(300)이 가로바 형상으로 제작되면, 하나의 조명유닛(300)으로 넓은 면적에 걸쳐 조명을 조사할 수 있는바, 제조비용 및 유지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명유닛(300)이 막대 형상으로 제작되는 경우, 상기 조명유닛(300)은 본체(100)의 하측에만 장착될 수도 있고, 본체(100)의 하측과 상측에 모두 장착되거나, 본체(100)의 상하 좌우를 둘러싸도록 장착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조명유닛(300)의 형상 및 장착구조는, 본 고안에 의한 피난유도등이 설치되는 공간의 규모나 특성, 조명유닛(300)의 성능 등 여러가지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명유닛(300)은 연기나 먼지가 다량으로 발생하더라도 대피통로를 밝게 비출 수 있도록, 엘이디램프로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엘이디램프는 형광램프에 비해 조명의 직진성이 우수하므로, 화재나 정전 사고 발생 시에도 보다 확실한 조명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피난유도등 제4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상기 조명유닛(300)이, 상기 본체(100)의 좌측에 결합되는 좌측조명유닛(310)과, 상기 본체(100)의 우측에 결합되는 우측조명유닛(320)으로 구분되어 설치되는 경우, 상기 좌측조명유닛(310)과 우측조명유닛(320)은 각각 개별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의한 피난유도등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조명유닛(310)으로부터 좌측으로 이격된 지점에 설치되어 화재열기 또는 화재연기를 감지하는 제1 감지센서(410)와, 상기 우측조명유닛(320)으로부터 우측으로 이격된 지점에 설치되어 화재열기 또는 화재연기를 감지하는 제2 감지센서(420)를 추가로 구비하여, 어느 방향에서 화재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피난유도등이 설치된 지점을 중심으로 어느 방향에서 화재가 진행되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으면, 좌측조명유닛(310)과 우측조명유닛(320)을 개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화재가 발생된 지점을 향해 대피자가 이동하지 하니하도록 경고를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고안에 의한 피난유도등은, 상기 제1 감지센서(410)에 화재열기 또는 화재연기가 감지되었을 때 상기 좌측조명유닛(310)이 점멸되고, 상기 제2 감지센서(420)에 화재열기 또는 화재연기가 감지되었을 때 상기 우측조명유닛(320)이 점멸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점멸되는 조명광은 위험을 표시하는바, 대피자는 점멸되는 좌측조명유닛(310) 측으로 이동하지 아니하고 지속적으로 점등되는 우측조명유닛(320) 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대피자는 화재가 발생된 지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피난유도등 제5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피난유도등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좌측조명유닛(310)과 우측조명유닛(320)의 점등 패턴을 달리하여 대피방향을 알리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화살표 등과 같이 방향을 알리는 화상을 이용하여 대피방향을 알리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본 고안에 의한 피난유도등은, 상기 좌측조명유닛(310)은 좌측을 향하는 화상을 대피통로 바닥에 출력하고 상기 우측조명유닛(320)은 우측을 향하는 화상을 대피통로 바닥에 출력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1 감지센서(410)에 화재열기 또는 화재연기가 감지되었을 때 상기 좌측조명유닛(310)이 오프되고, 상기 제2 감지센서(420)에 화재열기 또는 화재연기가 감지되었을 때 상기 우측조명유닛(320)이 오프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대피통로의 바닥에 화살표를 디스플레이하는 피난유도등이 다수 개 설치되면, 대피자는 화살표 방향을 따라감으로써 안전한 비상구를 찾아갈 수 있으므로, 화재 및 정전사고 발생 시에도 인명사고가 발생되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조명이 특정 형상을 출력하는 기술적 사상은, 본원발명이 해당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바, 상기 조명유닛(300)이 화살표 형상을 대피통로 바닥에 디스플레이하는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본체 200 : 비상안내표지
300 : 조명유닛 310 : 좌측조명유닛
320 : 우측조명유닛 410 : 제1 감지센서
420 : 제2 감지센서

Claims (4)

  1. 발광램프가 내장되며 전방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개구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비상안내표지(200);
    상기 본체(100)에 결합되어, 대피통로에 조명을 인가하는 조명유닛(300);
    을 포함하되,
    상기 조명유닛(300)은, 상기 본체(100)의 좌우측에 각각 결합되거나, 가로바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본체(100)의 하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유도등.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명유닛(300)은, 상기 본체(100)의 좌측에 결합되는 좌측조명유닛(310)과, 상기 본체(100)의 우측에 결합되는 우측조명유닛(320)으로 구분되고,
    상기 좌측조명유닛(310)으로부터 좌측으로 이격된 지점에 설치되어 화재열기 또는 화재연기를 감지하는 제1 감지센서(410)와, 상기 우측조명유닛(320)으로부터 우측으로 이격된 지점에 설치되어 화재열기 또는 화재연기를 감지하는 제2 감지센서(4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유도등.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센서(410)에 화재열기 또는 화재연기가 감지되었을 때 상기 좌측조명유닛(310)이 점멸되고,
    상기 제2 감지센서(420)에 화재열기 또는 화재연기가 감지되었을 때 상기 우측조명유닛(320)이 점멸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유도등.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좌측조명유닛(310)은 좌측을 향하는 화상을 대피통로 바닥에 출력하고, 상기 우측조명유닛(320)은 우측을 향하는 화상을 대피통로 바닥에 출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감지센서(410)에 화재열기 또는 화재연기가 감지되었을 때 상기 좌측조명유닛(310)이 오프되고,
    상기 제2 감지센서(420)에 화재열기 또는 화재연기가 감지되었을 때 상기 우측조명유닛(320)이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유도등.
KR2020170006299U 2017-12-07 2017-12-07 피난유도등 KR2019000144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299U KR20190001440U (ko) 2017-12-07 2017-12-07 피난유도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299U KR20190001440U (ko) 2017-12-07 2017-12-07 피난유도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440U true KR20190001440U (ko) 2019-06-17

Family

ID=67002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6299U KR20190001440U (ko) 2017-12-07 2017-12-07 피난유도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144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2570B1 (ko) * 2021-03-25 2022-08-16 더좋은생활 주식회사 컷오프 조명 렌즈를 구비한 비상용 조명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100Y1 (ko) 2007-06-15 2008-03-24 이재희 광섬유를 이용한 비상유도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100Y1 (ko) 2007-06-15 2008-03-24 이재희 광섬유를 이용한 비상유도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2570B1 (ko) * 2021-03-25 2022-08-16 더좋은생활 주식회사 컷오프 조명 렌즈를 구비한 비상용 조명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9973B1 (ko) 복합형 피난 유도장치
US20120092183A1 (en) Emergency Lighting System with Projected Directional Indication
KR100985507B1 (ko) 화재 경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1627228B1 (ko) 프로젝션형 비상 유도장치
KR101466036B1 (ko) 네방향 비상구 유도등
KR101799910B1 (ko) Led 천정등을 이용한 비상 대피 시스템
KR20170053910A (ko) 재난유도장치
KR101407929B1 (ko) 비상구 유도등
KR20190001440U (ko) 피난유도등
JP3181944U (ja) 避難誘導照明装置
KR101735264B1 (ko) 비상 유도 및 통화 시스템
GB2516073A (en) Fire Safety Light
KR20160095359A (ko) 화재 발생시 대피로를 알려주는 비상 안내등
JP5709430B2 (ja) 照明装置及び照明システム
JP2011044246A (ja) 動体検出装置および照明装置
KR102150895B1 (ko) 비상상황에서의 대피유도시스템
JP2014213987A (ja) ホールランタン装置
JPH06325264A (ja) 避難誘導支援システム
JP2011253513A (ja) 避難誘導システム
KR20160076402A (ko) 대피로 방향안내 조명등 장치
KR200489948Y1 (ko) 비상탈출구 유도표시장치
KR102393463B1 (ko) 화재 시 소방용 비상구 유도장치
KR20130075195A (ko) 비상구 표시 장치
JP3147763U (ja) 動態避難指示装置
KR20220109657A (ko) 공조기를 이용한 화재시 비상구 안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1187;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118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408

Effective date: 2020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