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5195A - 비상구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비상구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5195A
KR20130075195A KR1020110143463A KR20110143463A KR20130075195A KR 20130075195 A KR20130075195 A KR 20130075195A KR 1020110143463 A KR1020110143463 A KR 1020110143463A KR 20110143463 A KR20110143463 A KR 20110143463A KR 20130075195 A KR20130075195 A KR 20130075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unit
passage
frame
huma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3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영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3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75195A/ko
Publication of KR20130075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51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3Frames or casing structur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2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indicating emergency ex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2013/05Constructional details indicating exit way or orien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dible And Visible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 통로에 설치되어 비상구 표시등의 기능을 수행하되, 설치 통로에 인체 등장 시에는 통로를 밝게 비추기 위한 통로 조명등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비상구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비상 통로에 설치되어 외장을 구성하는 프레임의 전면에 장착되며, 비상구의 방향 및 비상구를 의미하는 비상구 정보가 표시된 전면 표시부와;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전면 표시부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와;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이 설치되어 있는 비상 통로 내의 인체 존재 유무에 따라 점등/점멸하고, 점등 시 상기 전면 표시부를 통해 광을 방출하여 상기 프레임이 설치되어 있는 비상 통로에 조명을 제공하는 통로 조명부와; 상기 프레임이 설치되어 있는 비상 통로 내의 인체 존재 유무를 감지하여 상기 통로 조명부로 제공하는 인체 감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비상 통로의 천장에 통로 조명등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고, 전력 소비량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비상구 표시 장치{Emergency Exit Display}
본 발명은 비상구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상 통로에 설치되어 비상구 표시등의 기능을 수행하되, 설치 통로에 인체 등장 시에는 통로를 밝게 비추기 위한 통로 조명등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비상구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선박이나 빌딩 등과 같이 층별로 사람이 머물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다층의 건축물에는 화재 사고나 건축물 손상 등으로 인한 대피 상황 발생 시, 사람들이 신속하고 안전하게 건축물 바깥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계단식의 비상 통로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계단식 비상 통로의 측벽, 특히 건축물의 층별로 계단이 꺾이는 지점의 측벽에는 대피자들에게 비상 통로임을 알려주기 위한 비상구 표시등이 설치되어 주간뿐만 아니라, 야간에도 식별 가능하도록 점등되어 있으며, 특히 대피 상황 발생으로 인한 전원 차단시에도 배터리 또는 자가발전기에 의한 비상 전원이 공급되어 점등 상태를 유지한다. 일 예로 특허문헌 1에서는 엘이디를 광원으로 하는 비상구 표시등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한편, 계단식 비상 통로는 대피 상황 발생 시에만 이용되는 것이 아니고, 평상시에도 사람들의 통행이 잦기 때문에, 통행자의 시야 확보를 위해 통로를 밝게 비추는 통로 조명등이 천장에 설치되어 점등 상태로 상시 운용되고 있다. 이러한 통로 조명등 역시 비상구 표시등과 마찬가지로 대피 상황 발생으로 인한 전원 차단 시, 비상 전원에 의해 점등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대피자들이 안전하게 대피하도록 기여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평상시에도 비상 통로에 설치되어 있는 비상구 표시등과 함께 통로 조명등이 항상 점등된 상태로 운용됨에 따라, 전력 소비가 과다하게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100099981 A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비상 통로에 설치되어 비상구 표시등의 기능을 수행하되, 설치 통로에 인체 등장 시에는 통로를 밝게 비추기 위한 통로 조명등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비상구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표시 장치는, 비상 통로에 설치되어 외장을 구성하는 프레임의 전면에 장착되며, 비상구의 방향 및 비상구를 의미하는 비상구 정보가 표시된 전면 표시부와;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전면 표시부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와;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이 설치되어 있는 비상 통로 내의 인체 존재 유무에 따라 점등/점멸하고, 점등 시 상기 전면 표시부를 통해 광을 방출하여 상기 프레임이 설치되어 있는 비상 통로에 조명을 제공하는 통로 조명부와; 상기 프레임이 설치되어 있는 비상 통로 내의 인체 존재 유무를 감지하여 상기 통로 조명부로 제공하는 인체 감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전면 표시부는,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투과시켜 비상구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비상구 정보 표시 영역과; 상기 통로 조명부에서 발산되는 광을 통과시키기 위해 개구부나 투명 패턴으로 형성된 조명 투과 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통로 조명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광 램프와; 상기 형광 램프와 상기 광원부 사이에 설치되어 광을 가이드 하면서 광이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광차단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인체 감지부는, 전면 표시부의 모서리 부위나 상기 프레임의 상하좌우측 중 어느 하나의 부위, 상기 프레임이 설치된 비상 통로의 측벽 또는 천장에 설치되며, 설치 공간의 일정 영역 내에서 인체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구 표시 장치에 의하면, 비상 통로에 설치되어 비상구 표시등의 기능을 수행하되, 설치 통로에 인체 등장 시에는 통로를 밝게 비추기 위한 통로 조명등의 기능도 수행함으로써, 비상 통로의 천장에 통로 조명등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고, 전력 소비량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표시 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표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표시 장치가 설치된 비상 통로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표시 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표시 장치는 비상 통로의 측벽이나 천장 등에 설치되어 외장을 구성하는 프레임(5)의 전면에 장착되며, 비상구의 방향 및 비상구를 의미하는 비상구 정보가 문자와 도형 등으로 표시된 전면 표시부(10)와, 프레임(5)의 내측에 설치되며 전면 표시부(10)로 광을 조사하여 비교적 낮은 휘도로 전면 표시부(10)를 발광시키는 광원부(20)와, 프레임(5)의 내측에 설치되며, 프레임(5)이 설치되어 있는 비상 통로 내의 인체 존재 유무에 따라 점등/점멸하고, 점등 시 전면 표시부(10)를 통해 광을 방출하여 프레임(5)이 설치되어 있는 비상 통로에 조명을 제공하는 통로 조명부(30)와, 프레임(5)이 설치되어 있는 비상 통로 내의 인체 존재 유무를 감지하여 통로 조명부로 제공하는 인체 감지부(40)와, 대피 상황 발생 등으로 인하여 광원부(20), 통로 조명부(30) 및 인체 감지부(40)로 공급되던 상용 전원이 차단되면, 광원부(20), 통로 조명부(30) 및 인체 감지부(40)로 작동 전원을 공급하는 비상 전원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전면 표시부(10)는 광원부(20)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투과시켜 비상구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비상구 정보 표시 영역(11)과, 프레임(5) 내측에 설치된 통로 조명부(30)에서 발산되는 광을 통과시키기 위해 개구부나 투명 패턴 등으로 형성된 조명 투과 영역(12)을 포함하는 반투명 재질의 플라스틱 패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광원부(20)는 예컨대, 형광 램프(31)에 비해 휘도가 낮은 형광등,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 소자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통로 조명부(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광 램프(31)와, 형광 램프(31)로부터 발산되는 광이 비상구 정보 표시 영역(11)으로 유입되거나 손실되지 않으면서, 전면 표시부(10)의 조명 투과 영역(12)만을 통해 소정 각도를 갖고 방출될 수 있도록 형광 램프(31)와 광원부(20) 사이에 설치되어 광을 가이드 하면서 광이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광차단 부재(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인체 감지부(40)는 전면 표시부(10)의 모서리 부위나 프레임(5)의 상하좌우측 중 어느 하나의 부위, 프레임(5)이 설치된 비상 통로의 측벽 또는 천장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인체로부터 발산되는 열을 감지함으로써, 설치 공간의 일정 영역 내에서 인체의 존재 유무를 감지할 수 있는 적외선 센서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비상 전원부(50)는 예를 들어, 자가 발전기 또는 상용 전원에 의해 충전되는 충전식 배터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구 표시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5: 프레임 10: 전면 표시부
11: 비상구 정보 표시 영역 12: 조명 투과 영역
20: 광원부 30: 통로 조명부
31: 형광 램프 32: 광차단 부재
40: 인체 감지부 50: 비상 전원부

Claims (4)

  1. 비상 통로에 설치되어 외장을 구성하는 프레임의 전면에 장착되며, 비상구의 방향 및 비상구를 의미하는 비상구 정보가 표시된 전면 표시부와;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전면 표시부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와;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이 설치되어 있는 비상 통로 내의 인체 존재 유무에 따라 점등/점멸하고, 점등 시 상기 전면 표시부를 통해 광을 방출하여 상기 프레임이 설치되어 있는 비상 통로에 조명을 제공하는 통로 조명부와;
    상기 프레임이 설치되어 있는 비상 통로 내의 인체 존재 유무를 감지하여 상기 통로 조명부로 제공하는 인체 감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표시부는,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투과시켜 비상구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비상구 정보 표시 영역과;
    상기 통로 조명부에서 발산되는 광을 통과시키기 위해 개구부나 투명 패턴으로 형성된 조명 투과 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 조명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광 램프와;
    상기 형광 램프와 상기 광원부 사이에 설치되어 광을 가이드 하면서 광이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광차단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 감지부는,
    전면 표시부의 모서리 부위나 상기 프레임의 상하좌우측 중 어느 하나의 부위, 상기 프레임이 설치된 비상 통로의 측벽 또는 천장에 설치되며, 설치 공간의 일정 영역 내에서 인체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 표시 장치.
KR1020110143463A 2011-12-27 2011-12-27 비상구 표시 장치 KR201300751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3463A KR20130075195A (ko) 2011-12-27 2011-12-27 비상구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3463A KR20130075195A (ko) 2011-12-27 2011-12-27 비상구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5195A true KR20130075195A (ko) 2013-07-05

Family

ID=48989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3463A KR20130075195A (ko) 2011-12-27 2011-12-27 비상구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7519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3604B1 (ko) 화재시 최단거리 출구를 안내하는 비상 유도등 시스템
US20100013658A1 (en) Dynamic emergency escape indicator
KR100985507B1 (ko) 화재 경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0782417B1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안내등
KR20070008794A (ko) 안내 스피커 내장형 비상구 유도등
KR101799910B1 (ko) Led 천정등을 이용한 비상 대피 시스템
KR101849330B1 (ko) 화재시 종합 대피 시스템
KR101407929B1 (ko) 비상구 유도등
JP3181944U (ja) 避難誘導照明装置
KR20050045965A (ko) 비상탈출 유도장치
KR20160069059A (ko) 생명길 유도등
JP2008158830A (ja) 点灯制御システム
KR200416669Y1 (ko) 비상구 표시등
KR200417468Y1 (ko) 피난구 유도등.
KR100699361B1 (ko) 레이저 다이오드와 광학 랜즈를 이용한 문자 및 기호 투영방식의 비상통로 유도등
KR101735264B1 (ko) 비상 유도 및 통화 시스템
GB2516073A (en) Fire Safety Light
JP5709430B2 (ja) 照明装置及び照明システム
KR20130075195A (ko) 비상구 표시 장치
KR20160004745A (ko) 비상 대피로의 안내장치
KR20170010346A (ko) 대피안내 겸용 조명장치
JP2011044246A (ja) 動体検出装置および照明装置
KR100971376B1 (ko) 비상조명등
JP2014213987A (ja) ホールランタン装置
KR101454651B1 (ko) 레이저를 이용한 방화구획의 비상문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