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7468Y1 - 피난구 유도등. - Google Patents

피난구 유도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7468Y1
KR200417468Y1 KR2020060007262U KR20060007262U KR200417468Y1 KR 200417468 Y1 KR200417468 Y1 KR 200417468Y1 KR 2020060007262 U KR2020060007262 U KR 2020060007262U KR 20060007262 U KR20060007262 U KR 20060007262U KR 200417468 Y1 KR200417468 Y1 KR 2004174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light
light emitting
evacuation
in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72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형
Original Assignee
일신전자주식회사
이인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76691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17468(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일신전자주식회사, 이인형 filed Critical 일신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072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74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74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74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14Arrangements of reflectors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8Details of reflectors forming part of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guiding along a path, e.g. evacuation path lighting stri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22Reflec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2013/05Constructional details indicating exit way or orient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2019/225Fire evacuation route indicating means

Abstract

본 고안은 피난구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의 전면에 설치되는 표시판에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케이스의 내측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반사판이 형성되고, 반사판의 중앙에 상하 또는 좌우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가 일렬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피난구 유도등을 발광다이오드의 빛을 반사판을 통해 반사, 굴절시켜 표시판에 조사되도록 하므로 표시판은 선명하게 표시되도록 하여 비상상황 발생시 사람들이 유도등을 쉽게 찾을 수 있게 하므로써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고, 유도등 설치시 전선에 의해 걸리적 거리는 되던 문제점을 해결하므로 유도등의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피난구, 비상상황, 반사판, 경사면,

Description

피난구 유도등.{Guide Lamp for refuge exit}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피난구 유도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피난구 유도등의 내부 구성은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피난구 유도등의 전면케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피난구 유도등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피난구 유도등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반사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따른 부호의 설명*
100: 케이스 110: 전면케이스
111: 전면방열공 112: 체1체결돌기
113: 제1체결공 120: 후면케이스
121: 후면방열공 122: 걸림돌기
123: 고정공 124: 제2체결돌기
125: 제2체결공 130: 힌지부
200: 표시판 300: 반사판
310: 장공 400: 설치패널
410: 발광다이오드 500: 전원부
600: 점검스위치 700: 교류전원등
800: 예비전원감시등
본 고안은 피난구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발광다이오드를 통해 밝기를 더욱 선명하게 하여 피난구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유도등을 피난구의 상부쪽 또는 피난구의 위치를 알리는 곳에 설치가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유도등 전면케이스 일측에 별도의 공간부를 형성하여 회로기판을 갖는 전원부를 구성함으로써 유도등 설치작업이 간단 용이하도록 한 피난구 유도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 병원, 기숙사, 공장, 흥행장(興行場), 백화점, 여관, 음식점, 지하주차장, 전철승강장 등의 건물 등에는 사고나 화재 등의 비상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대비하여 대피용으로 설치한 출구, 즉 피난구를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피난구는 그 위치를 평상시부터 명시하여 둘 필요가 있는 것으로 이를 위해 건물 안의 사람들이 대피하는 통로와 연결된 비상구의 위쪽 벽 또는 계단의 위쪽에는 표시등이나 유도등으로 야간에도 알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전원은 비상시에 일반전원이 끊겼을 경우, 배터리 또는 자가발전에 의한 비상전원으로 자동 으로 바꾸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비상구 표시등은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형의 케이스 본체와; 케이스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며, "EXIT", "비상구"와 같이 비상구임을 알리는 문자 또는 도형이 표시되어 조명등이 켜졌을 때 선명하게 드러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문자판과; 케이스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어둠 속에서도 비상구임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불을 밝혀주는 조명등과; 비상 상황 발생으로 인하여 외부 전원이 차단되었을 경우에도 조명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비상전원 배터리 및 전원 스위치, 전원부, 센서 등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비상구 표시등에 의하면, 조명등으로 사용되는 형광등 불빛의 지향성(빛이 퍼지지 않고 일정 방향으로 어느 정도 직진하는지를 나타내는 성질)이 작아서 화재현장의 자욱한 연기를 뚫고 멀리 까지 이르지 못하고 확산하게 되어, 비상구 근처만을 미광으로 밝히게 됨에 따라 비상구에서 멀리 떨어진 사람들에게는 비상구의 정확한 위치를 지시해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조명등으로 사용되는 형광등은 그 수명이 짧아 관리에 불편함이 많은 뿐만 아니라 소비전력이 높아서 비상시 전원이 차단되었을 경우 비상구 표시등의 점등 시간이 짧은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런 현상은 화재시 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어 화재 등 각종 비상상황 시에 인명피해를 확대시키는 하나의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최근에는 비상구 표시등의 광원인 형광등을 소비전력이 낮은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함으로써 비상시에도 오랫동안 점등이 가능토록 하며, 센서에 의해 화재 발생 여부가 감지되었을 경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비상 신호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엘이디(LED: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비상구 표시등이 실용신안등록 제266079호로 제안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비상구 표시등에 의하면, 건물의 화재발생시 대피를 용이하게 하도록 임의의 장소에 설치되는 비상구 표시등에 있어서, 호재를 감지하는 센서와, 센서에 의해 감지된 화재 경보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유도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와, 문자판을 향해 빛을 조사하도록 각 모서리에 설치되는 발광다이오드와, 전원차단시 전원을 공급하는 비상 전원용 배터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되며,
그 작동에 의하면 문자판에 표시된 내용을 비춰주는 발광다이오드가 케이스의 내부 임의의 위치에 문자판을 향하여 다수 개 설치된 상태에서 건물에 화재나 지진등과 같은 재난이 발생하면 센서가 케이스 저면에 형성된 센서감지부를 통하여 열, 가스, 진동, 충격 등을 감지하여 비상상황을 감지한 다음, 신호를 발생시키게 되고, 센서는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로 보내어 제어부에서 비상구 표시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센서로부터 재난 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는 스피커를 통하여 재난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비상 신호음을 내보내고 사람들이 비상구의 위치를 비상 신호음으로 인하여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그 결과 눈으로 비상구의 위치를 식별할 수 없는 장애인들도 용이하게 비상구의 위치를 식별하고 대피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엘이디를 이용한 비상구 표시등에 의하면, 광원으로 종래의 소비전력이 높은 형광등(약 10Watt) 대신 소비전력이 적은 발광다이오드(약 2Watt)를 사용함으로써 형광등에 비해 우수한 절전의 효과가 있음은 물론, 이에 따라 화재와 같은 비상상황 시 전원이 차단되었을 때 비상구 표시등의 점등 시간이 길어 대피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과 함께 스피커를 통하여 비상상황을 알림에 따라 사람들이 비상구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케이스 내부의 임의의 위치에서 문자판에 표시된 내용을 비춰주는 발광다이오드가 발광다이오드의 주변만을 밝게 비추게 됨으로써, 발광다이오드가 없는 부분 즉, 문자판에서 "EXIT", "비상구"와 같이 비상구임을 알리는 문자 또는 도형이 표시되는 중앙부분은 어둡게 되어 이 역시 지향성이 없었으며, 이로 인해 화재 등의 비상상황 발생시에 비상구 표시등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기존의 유도등은 벽에 피스 등으로 고정되는 케이스 본체 바닥의 일측부에 회로기판과 배터리 등의 전원부를 설치하고, 발광기수는 전면케이스에 설치되는 간계로 유도등을 벽면에 고정시 전선과 전원부에 의해 방해를 받아 설치작업이 난해하고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화재 발생과 같은 비상 상황 시 사람들을 효과적으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도 록 설치되는 피난구 유도등의 내부에 소정의 각도를 갖는 반사판을 형성하고, 반사판의 중앙부에 발광다이오드를 설치하여 그 빛이 전면케이스에 설치된 표시판을 비추도록 하여 굴절 또는 반사되는 현상을 이용해 표시판으로 발광다이오드의 빛이 집중되도록 하여 빛의 효율을 상승시킬 뿐만 아니라 유지비용이 최소화할 수 있으며, 표시판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한 피난구 유도등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는 유도등을 설치할 시에 기존에는 발광다이오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에 의해 설치가 용이하지 못했던 점을 개선하여 유도등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한 피난구 유도등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비상상황 발생시에 피난구를 통한 대피를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임의의 장소에 설치되는 피난구 유도등에 있어서, 케이스의 전면에 설치되는 표시판에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케이스의 내측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반사판이 형성되고, 반사판의 중앙에 상하 또는 좌우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가 일렬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전면케이스와 후면케이스로 구성되고, 전면케이스와 후면케이스의 일측에 힌지부가 설치되어 전면케이스와 후면케이스가 오픈 가능하게 구성되며, 전면케이스의 배면 일측에 발광다이오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가 설치되어 유도등의 설치가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케이스 전면에 설치된 표시판을 선명하고,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전면케이스에 형성된 반사판을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하고, 반사판의 중앙부에 다수의 발광다이오드를 상하방향 또는 좌, 우측 방향으로 일렬로 설치하여 전면케이스에 설치된 발광다이오드의 빛이 굴절 또는 반사가 일어나도록 하여 케이스에 설치된 표시판이 밝게 식별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각종 비상상황에서 피난구 유도등을 쉽고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되어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발광다이오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전면케이스의 배면에 설치하여 유도등의 설치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고안의 피난구 유도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피난구 유도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피난구 유도등의 내부 구성은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피난구 유도등의 전면케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피난구 유도등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피난구 유도등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피난구 유도등은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케이스(110)와 후면케이스(120)로 이루어진 케이스(100)가 구성된다.
전면케이스(110)와 후면케이스(120)의 일측에 힌지부(130)가 설치되고, 힌지부(130)에 의해 전면케이스(110)가 후면케이스(120)에 개폐 가능하게 구성된다.
전면케이스(110)의 전면 일측에는 점검스위치(600), 교류전원등(700), 예비전원감시등(800)이 설치되고, 점검스위치(600)는 유도등이 정상적으로 작동되는지 판단하기 위한 것이고, 교류전원등(700)은 통상의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며, 예비전원감시등(800)은 배터리에 저장된 상태가 충전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전면케이스(110)의 전면에는 피난구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도형 또는 문자 등이 표시된 표시판(200)이 설치되고, 표시판(200)으로 빛이 조사되도록 함과 동시에 반사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반사판(300)이 전면케이스(110)의 전면에서 내측으로 형성된다.
반사판(300)은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빛이 표시판(200)으로 조사될 시에 반사에 의해 선명하게 표시되도록 한다.
반사판(300)은 상부와 하부의 각도가 동일하게 형성되고, 좌측과 우측의 각도 또한 동일하게 형성되나 상부와 좌측의 각도는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반사판(300)의 각도는 발광다이오드(410)의 조사각도보다 약간 작게 형성하여 발광다이오드(410)에서 조사되는 빛이 반사판(300)의 표면에 부딪혀 굴절 현상 또는 반사 현상이 일어나도록 하여 표시판의 전체에 고르게 빛이 조사된다.
그리고 반사판(300)은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만 형성되는 것은 아니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이 형성되지 않은 반사판(300)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제조업체 또는 유도등이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반사판(300)의 형태가 틀린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반사판(300)의 중앙에는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장공(310)이 형성된다.
반사판(300)의 중앙에 형성된 장공(310)에는 표시판(200)으로 빛을 조사하기 위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410)가 설치패널(400)에 설치된 상태에서 설치된다.
발광다이오드(410)에 평상시에는 통상의 교류 전원을 공급하고, 비상상황 시 또는 교류 전원이 단전되는 경우에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전원부(500)가 전면케이스(110) 배면 일측에 설치된다.
또한, 전원부(500)가 전면케이스(110) 배면 일측에 설치되므로 유도등을 설치하기 위하여 힌지부(130)를 중심으로 전면케이스(110)를 회전시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므로 유도등을 설치할 시에 전원부(500) 특히, 전선이 걸리기 때문에 설치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것을 방지하고,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전원부(500)와 발광다이오드(410)에서 발생하는 열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전면케이스(110)의 양측면 상부와 하부에 전면방열공(111)이 형성된다.
후면케이스(120)에는 내측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전면케이스(110)의 일측에 설치된 힌지부(130)와 결합하고, 후면케이스(120)에서 전면케이스(110)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후면케이스(120)의 내측 중앙을 중심으로 둘레에 유도등이 벽면에 설치될 수 있도록 다수의 고정공(123)이 형성된다.
후면케이스(120)의 양측면 상부와 하부에는 전원부(500)와 발광다이오드(41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할 수 있도록 후면방열공(121)이 형성되고, 후면방열공(121)은 전면케이스(110)에 형성된 것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유도등은 작업자가 벽면에 설치할 시에 후면케이스(120)에서 전면케이스(110)를 오픈 하고, 이때 전면케이스(110)는 그 일측에 설치된 힌지부(130)를 축으로 회전하면서 오픈 된다.
오픈 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후면케이스(120)에 형성된 고정공(123)에 못, 피스 등과 같은 고정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벽면에 후면케이스(120)가 고정되도록 한다.
후면케이스(120)가 고정된 상태에서 통상의 교류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전선을 전원부(500)로 연결한 상태에서 전면케이스(110)를 닫는다.
고정된 상태의 후면케이스(120)에 전면케이스(110)를 닫은 상태에서 전면케이스(110)와 후면케이스(120) 측면에 각각 형성된 제1체결돌기(112), 제2체결돌기(124)의 제1체결공(113)와 제2체결공(125)에 나사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통상의 전원이 전원부(500)로 인가되면, 전원부(500)에서는 발광다이오드(410)가 설치되어 있는 설치패널(400)로 전원을 인가하여 발광다이오드(410)가 발광하여 표시판(300)의 배면을 조사하며, 이때 발광다이오드(410)의 빛은 경사면에 반사 또는 굴절되면서 표시판(200)이 선명하게 표시되므로 비상상황의 발생시 사람들이 피난구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게 되어 안전하면서도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전원이 전원부(500)로 공급되면, 전원부(500)에 설치된 배터리에 충전을 행하고, 배터리의 전원이 항상 충전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전원의 단전 시에도 유도등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피난구 유도등을 발광다이오드의 빛을 반사판을 통해 반사, 굴절시켜 표시판에 조사되도록 하므로 표시판은 선명하게 표시되므로 비상상황의 발생시 사람들이 유도등을 쉽게 찾을 수 있으므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도등의 설치시 전선에 의해 걸리던 문제점을 해결하므로 유도등의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발광다이오드(410)를 이용하여 케이스(100) 전면에 설치된 표시판을 조사하여 피난구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 피난구 유도등에 있어서,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반사판(300)을 전면케이스(110)에 일체로 형성하고, 반사판(300)의 중앙부에는 다수의 발광다이오드(410)를 설치하며 전면케이스 일측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전원부(50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구 유도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다이오드(410)는 반사판(300)에 하나의 발광다이오드(410)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구 유도등.
  3. 제1항에 있어서,
    발광다이오드(410)는 상하, 좌우측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다수 개가 일렬로 배치되도록 반사판(300)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구 유도등.
KR2020060007262U 2006-03-17 2006-03-17 피난구 유도등. KR2004174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262U KR200417468Y1 (ko) 2006-03-17 2006-03-17 피난구 유도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262U KR200417468Y1 (ko) 2006-03-17 2006-03-17 피난구 유도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7468Y1 true KR200417468Y1 (ko) 2006-05-29

Family

ID=41766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7262U KR200417468Y1 (ko) 2006-03-17 2006-03-17 피난구 유도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7468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189B1 (ko) * 2009-06-25 2010-08-05 (주)라이팅웰 상시 및 비상 유도용 엘이디 조명장치
KR101672190B1 (ko) 2016-04-08 2016-11-03 주식회사 유일이엔지 피난구 유도등의 설치구조
KR102170760B1 (ko) 2020-03-17 2020-10-27 정인 표시면 일체형 피난구유도등
KR20220065392A (ko) * 2020-11-13 2022-05-20 임채영 교체용이한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한 피난구 유도등
KR20230032614A (ko) * 2021-08-31 2023-03-07 주식회사 코리아라이프라인 축광식 비상구 유도등 표지판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189B1 (ko) * 2009-06-25 2010-08-05 (주)라이팅웰 상시 및 비상 유도용 엘이디 조명장치
KR101672190B1 (ko) 2016-04-08 2016-11-03 주식회사 유일이엔지 피난구 유도등의 설치구조
KR102170760B1 (ko) 2020-03-17 2020-10-27 정인 표시면 일체형 피난구유도등
KR20220065392A (ko) * 2020-11-13 2022-05-20 임채영 교체용이한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한 피난구 유도등
KR102420147B1 (ko) * 2020-11-13 2022-07-11 임채영 교체용이한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한 피난구 유도등
KR20230032614A (ko) * 2021-08-31 2023-03-07 주식회사 코리아라이프라인 축광식 비상구 유도등 표지판
KR102548603B1 (ko) * 2021-08-31 2023-07-05 주식회사 코리아라이프라인 축광식 비상구 유도등 표지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68131B2 (ja) 表示灯
KR101319973B1 (ko) 복합형 피난 유도장치
JP4106381B2 (ja) 消火栓格納箱
US20100013658A1 (en) Dynamic emergency escape indicator
US20120092183A1 (en) Emergency Lighting System with Projected Directional Indication
KR200417468Y1 (ko) 피난구 유도등.
EP2500639A2 (en) Recessed smoke or heat detector
KR101883781B1 (ko) 실내소방용 광축전지 비상유도장치
KR101407929B1 (ko) 비상구 유도등
KR100699361B1 (ko) 레이저 다이오드와 광학 랜즈를 이용한 문자 및 기호 투영방식의 비상통로 유도등
KR20090074848A (ko) 피난문 손잡이 유도조명장치
KR200303073Y1 (ko) 비상구 표시등
KR200266079Y1 (ko) 비상구 표시등
JP2012247845A (ja) 誘導灯装置及び誘導灯システム
JP2017211810A (ja) 防災機器
KR102505235B1 (ko) 비상소화장치용 위치 표시등
KR200406397Y1 (ko) 비상구 유도등
KR20120124888A (ko) 비상유도기능을 가진 방향표시판
KR200346367Y1 (ko) 하프 미러를 이용한 피난 유도등
KR100915581B1 (ko) 조명장치
KR200357402Y1 (ko) 소화기 및 소화전 위치 표시장치
JP2012043534A (ja) 照明装置及び照明システム
TWM618966U (zh) 壁掛式消防平板燈
JP2024061744A (ja) 防災照明器具及び防災システム
JP3130661U (ja) 照明機能を備えたボタン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121

Effective date: 20080530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80121

Effective date: 20080530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EXTG Extinguishment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705

Effective date: 2009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