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5392A - 교체용이한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한 피난구 유도등 - Google Patents

교체용이한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한 피난구 유도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5392A
KR20220065392A KR1020200151850A KR20200151850A KR20220065392A KR 20220065392 A KR20220065392 A KR 20220065392A KR 1020200151850 A KR1020200151850 A KR 1020200151850A KR 20200151850 A KR20200151850 A KR 20200151850A KR 20220065392 A KR20220065392 A KR 20220065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evacuation exit
light
evacua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1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0147B1 (ko
Inventor
임채영
최승일
Original Assignee
임채영
최승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채영, 최승일 filed Critical 임채영
Priority to KR1020200151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0147B1/ko
Publication of KR20220065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5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0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0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3Frames or casing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204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with determination of ambient l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8/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optical means
    • G01V8/1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2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indicating emergency ex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05Illumination controller or illuminated signs including an illumination control syste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22Reflec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45Fram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54Slidable panels or par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10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 H05B45/12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using optical feedback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2013/05Constructional details indicating exit way or orient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ophys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 Alarm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체용이한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한 피난구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 표지면이 인쇄되는 확산판(10); 상기 확산판(10)이 상부에 결합되며, 일측면에는 개방부(23)가 형성되고 하부는 개방되어 형성된 본체(20); 상기 본체(20)의 하부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개방부(23)의 대응되는 위치에 전원접속부(33)가 형성된 하판(30); 및 전면부(41)와 전면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지지판(44)으로 구성되고, LED기판과 PCB기판 및 상기 전원접속부(33)와 클립체결되는 전원체결부(43)가 구비되며, 상기 개방부(23)를 통해 슬라이딩으로 인입 및 인출되는 보드모듈(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피난구 유도등에 의하면, 피난구 유도등의 유지보수 및 교체기능을 향상시키고 LED의 보수 및 교체시점을 쉽게 파악하고, 효율적인 고장수리 등을 신속하고 스마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교체용이한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한 피난구 유도등{Escape exit guidance lamps having sliding module}
본 발명은 피난구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방시설 등에 해당되는 피난구 유도등의 유지보수 및 교체기능을 향상시키도록 보드 모듈을 슬라이딩 결합시키고, LED기판의 휘도 감지 센서를 추가하여 LED의 휘도가 평균휘도 이하일때 이를 경고하도록 하여 보수 및 교체시점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된 교체용이한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한 피난구 유도등에 관한 것이다.
소방법에 의해 일반적으로 사람이 출입하는 건물이나 지하철, 지하공간 등에는 화재로부터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비상구의 상측과 통로(또는 복도)의 일정구간마다 대피방향이 출구쪽으로 안내 표시된 피난구 유도등을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피난구 유도등은 상용전원의 공급과 정전시에도 예비전원을 공급하여 상시적으로 일정 밝기로 점등케 하므로서 화재시 대피방향 표시된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통상적인 피난구 유도등은 화재시 연기 등에 의해 시안성이 떨어져 설치목적의 효용성이 매우 낮다. 현재의 피난구 유도등은 시각적 효과 기능만 가지고 있다 할 것이다.
게다가, 종래의 피난구 유도등은 내부에 구비된 LED기판이나 회로에 문제 발생시 유도등 케이스 전체를 열어 수리하거나 부품교체한 후 재차 조립하여야 하므로 소요되는 유지보수 시간이 길고, 통상 출입문 상단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사다리 등의 보조기구에 올라선 채 소정 시간동안 수리해야만 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실용신안등록 제20-0164722호에는 외함의 커버가 외함에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커버가 슬라이드식으로 결합 또는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고 커버의 이탈이 방지되게 한 피난구 유도등 외함을 공개하고 있으나, 이는 표시커버만을 슬라이딩으로 결합시킨 것으로, 내부 모듈의 보수 내지 교체시 사다리를 놓고 소정시간동안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문제는 여전히 있다.
또한, 종래의 피난구 유도등은 LED의 휘도 변화에 대한 감지기능이 없어 평균이하의 휘도를 가진 유도등이 그대로 방치되어 재난이나 화재발생시 유도등으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본 출원인은 LED기판 등을 장착한 보드 모듈을 케이스 하부에서 슬라이딩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휘도 감지 센서 및 경고등을 추가하여 보수 및 교체가 용이하고 보수교체 시점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된 피난구 유도등을 개발하였다.
실용신안등록 제20-0164722호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피난구 유도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상세하게는 소방시설 등에 해당되는 피난구 유도등의 유지보수 및 교체기능을 향상시키고 LED의 보수 및 교체시점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된 교체용이한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한 피난구 유도등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체용이한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한 피난구 유도등은,
표지면이 인쇄되는 확산판(10);
상기 확산판(10)이 상부에 결합되며, 일측면에는 개방부(23)가 형성되고 하부는 개방되어 형성된 본체(20);
상기 본체(20)의 하부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개방부(23)의 대응되는 위치에 전원접속부(33)가 형성된 하판(30); 및
전면부(41)와 전면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지지판(44)으로 구성되고, LED기판과 PCB기판 및 상기 전원접속부(33)와 클립체결되는 전원체결부(43)가 구비되며, 상기 개방부(23)를 통해 슬라이딩으로 인입 및 인출되는 보드모듈(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한 피난구 유도등에서,
상기 본체(20)는 중심에 상하관통홀(21)이 형성되되 상부면 테두리로부터 상기 상하관통홀(21)까지 하방향 경사면(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한 피난구 유도등에서,
상기 경사면(22)에는 상기 확산판(10)의 휘도의 균등분포 및 LED 광 확산을 보강하는 반사막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한 피난구 유도등에서,
상기 전원접속부(33)는 상기 보드모듈(40)의 전원체결부(43)에 착탈식으로 연결되는 클립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한 피난구 유도등에서,
상기 보드모듈(40)의 전면부(41)의 전방에는 상용전원등(41a) 및 예비전원등(41b)과 휘도 경고등(42) 및 전원확인버튼(41c)이 구비되고, 전면부(41)의 후방 양측단에는 상기 하판(30)의 전원접속부(33)에 대응되는 위치에 전원체결부(4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한 피난구 유도등에서,
상기 보드모듈(40)의 LED기판(L)에는 휘도 감지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PCB기판의 제어부를 통해 LED기판의 점등, 상용전원등(41a) 및 예비전원등(41b)의 점등여부가 제어되며, 휘도 경고등(42)이 제어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한 피난구 유도등에서,
상기 휘도 감지센서는 CDS(조도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한 피난구 유도등에서,
전면부(41)와 전면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지지판(44)으로 구성되고, LED기판과 PCB기판을 구비하며, 슬라이딩으로 착탈식 결합하는 보드모듈(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한 피난구 유도등에서,
상기 피난구 유도등의 PCB기판은,
물체인식센서와 휘도 감지센서로 부터 신호값을 감지하는 센서부(110); 상기 센서부(110)의 감지된 신호값에 따라 제어부(170)의 제어로 조절되는 센서조절부(120);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130); 신호전달을 하는 신호처리장치(140); 전류의 인가 및 차단을 인식하고 이를 신호로 변환하여 데이터로 저장하는 수신기(150); 및 이들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한 피난구 유도등에서,
상기 센서부(110)의 물체인식센서는,
이미지나 동작 등을 토대로 출입하는 사람을 감지하여 출입인원수를 카운팅하는 인체감지기능, 출입하는 사람의 형상 및 형태치수와 피난구 바닥까지의 거리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거리변화감지기능, 장애물의 유무 및 장애물의 크기와 형태를 예측하는 장애물예측기능, 지진발생이나 가해지는 충격력에 의한 피난구의 뒤틀림을 거리변화 강도를 통해 유추해내는 기능, 화재로 인한 연기의 농도량을 측정할 수 있는 연기농도측정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한 피난구 유도등에서,
상기 피난구 유도등은 관제서버(200)와 연동되며,
상기 관제서버(200)는,
상기 피난구 유도등의 수신기(150)로부터 신호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210);
수신받은 신호 데이터 정보를 일정주기별로 저장하는 DB부(220);
이들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체크하는 모니터링부(230); 및
건물의 전력 및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고 수신한 신호 데이터 정보 및 건물의 화재발생 여부, 건물의 구조도면 정보를 구급대서버(300)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중앙제어부(2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피난구 유도등에 의하면, 피난구 유도등의 유지보수 및 교체기능을 향상시키고 LED의 보수 및 교체시점을 쉽게 파악하고, 효율적인 고장수리 등을 신속하고 스마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구 유도등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결합관계를 알 수 있는 분해 평면도와 결합도 및 작동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구 유도등의 결합관계를 알 수 있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구 유도등의 PCB기판의 구성 및 유도등과 관제서버와의 연동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도 4의 시스템에서 피난구 유도등에 장착되는 신호처리장치의 내부구성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구 유도등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결합관계를 알 수 있는 분해 평면도와 결합도 및 작동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구 유도등의 결합관계를 알 수 있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구 유도등의 PCB기판의 구성 및 유도등과 관제서버와의 연동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도 4의 시스템에서 피난구 유도등에 장착되는 신호처리장치의 내부구성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피난구 유도등(100)은 표지면이 인쇄되는 확산판(10), 상부에 확산판(10)이 결합되며, 일측면에는 개방부(23)가 형성되고 하부는 개방되어 구성된 본체(20), 본체(20)의 하부와 결합하며 전원접속부(33)가 구비되는 하판(30) 및 전면부(41)와 전면에 연장되어 형성된 지지판(44)으로 구성되고, 슬라이딩으로 인입 및 인출되는 보드모듈(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확산판(10)은 표지면이 인쇄되는 것으로, 반투명으로 구비되어 내부의 LED로 방사되는 빛을 조명시켜 인쇄된 표지가 인식되도록 한다.
이때, 확산판(10)은 본체 상부에 슬라이딩 결합이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도 있고, 상하방향으로 착탈식으로 결합하도록 체결될 수 있고 다양한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본체(20)는 상부에 확산판(10)이 결합되고 하부에 하판(30)이 결합되는 것으로, 중심에 상하관통홀(21)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면 테두리로부터 상하관통홀(21)까지 하방향 경사면(22)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는 개방되어 구성된다. 또한, 일측면에는 개방부(23)가 형성되어 보드모듈(4)이 개방부(23)를 통해 인입 및 인출되며 본체내부로 슬라이딩 결합한다.
여기서, 상하관통홀(21)은 보드모듈(40)의 LED기판의 조명을 관통시키는 것으로, LED기판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하관통홀(21)에서 이어지는 경사면(22)에는 LED 광의 확산을 보강하고 확산판(10)의 휘도가 고르게 분포되도록 하고, 광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반사막(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하판(30)은 본체(20)의 하부에 결합하는 평판 형상으로, 본체의 개방부(23)에 대응되는 테두리쪽 바닥면의 양단 일정위치에는 전원접속부(33)가 구비된다.
여기서, 전원접속부(33)는 공급전원(미도시)에 연결되어 보드모듈(40)의 LED기판(L)과 PCB기판, 상용전원등(41a) 및 예비전원등(41b), 휘도 경고등(42)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는 것으로, 보드모듈(40)의 전원체결부(43)에 착탈식 연결이 가능한 클립형으로 구비된다.
보드모듈(40)은, 본체(20)의 개방부(23)를 통해 슬라이딩으로 인입 및 인출되는 것으로, 전면부(41)와 전면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지지판(44)으로 구성된다. 전면부(41)의 전방에는 상용전원등(41a) 및 예비전원등(41b)과 휘도 경고등(42) 및 전원확인버튼(41c)이 구비되고, 전면부(41)의 후방 양측단에는 하판의 전원접속부(33)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용전원등(41a) 및 예비전원등(41b)과 휘도 경고등(42)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연결된 전원체결부(43)가 형성되어 있다.
전원체결부(43)는 전원접속부(33)와 착탈식으로 클립체결되어, 보드모듈(40)의 전면부(41)의 당김동작에 의해 전원접속부(33)로부터 이탈되어 슬라이딩으로 분리되며, 미는 동작에 의해 슬라이딩으로 이동하며 전원접속부(33)에 접속된다.
휘도 경고등(42)은 LED광의 휘도값이 평균 휘도값 이하면 점등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보드모듈(40)의 지지판(44)의 소정위치에는 LED기판(L)과 PCB기판이 배치되고, LED기판(L)의 각 모서리에는 휘도 감지센서로 CDS(조도센서)를 구비한다. PCB기판의 제어부를 통해 본체의 상하관통홀(21)을 통해 LED기판의 광이 확산판(10)에 조사되도록 하고, 상용전원등(41a) 및 예비전원등(41b)의 점등여부를 제어하며, 휘도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휘도값이 평균 휘도값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휘도 경고등(42)을 제어조절한다.
여기서, CDS(조도센서)의 평균휘도 이하여부 판단기준은 펌웨어로 수치조정이 가능하므로 하나의 PCB로 대형, 중형 및 소형 등 모든 유도등에 조정이 가능하다. 유도등의 휘도 형식승인 및 기술수준은 다음 표1과 같다.
종별 1대1 표시면(mm) 기타 표시면 평균휘도(cci/m2)
짧은변(mm) 최소면적(m2) 사용점등시 비상점등시
피난구 유도등 대형 250이상 200이상 0.10 320이상
800미만


100이상
중형 200이상 140이상 0.07 250이상
800미만
소형 100이상 110이상 0.036 150이상
800미만
여기서, 피난구 유도등(100)의 PCB기판은, 센서부(110), 센서조절부(120), 전원부(130), 신호처리장치(140), 수신기(150), 조명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센서부(110)는 적외선 센서로 이루어진 적어도 2개의 물체인식센서(미도시)와 휘도 감지센서에서 전송되는 신호값을 감지한다. 여기서, 물체인식센서는, 이미지나 동작 등을 토대로 출입하는 사람을 감지하여 출입인원수를 카운팅하는 인체감지기능, 출입하는 사람의 형상 및 치수와 피난구(출입문) 바닥까지의 거리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거리변화감지기능, 장애물의 유무 및 장애물의 크기와 형태를 예측하는 장애물예측기능, 지진발생이나 가해지는 충격력에 의한 피난구의 뒤틀림을 거리변화 강도를 통해 유추해내는 기능, 화재로 인한 연기의 농도량을 측정할 수 있는 연기농도측정기능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거리변화감지기능은 주적용되고 기타 나머지 감지기능이 복합적용되어 피난구 출입인원에 대한 정보나, 장애물 여부, 피난구 뒤틀림, 연기 농도량 등을 측정 및 예측할 수 있다.
센서부에서 감지된 신호값은 제어부에서 제어되어 센서조절부(120)를 통해 수행하도록 하고 연동된 관제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센서조절부(120)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물체인식센서와 휘도 감지센서의 기능을 제어하고 조절한다.
전원부(130)는 주전원과 예비전원으로 나뉘어 주전원은 상시 전원을 공급하고 예비전원은 비상시 주전원의 공급이 차단되었을 때에도 전원 공급을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이때, 인가되는 전류는 3상 병렬구조의 교류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며, 통상의 조명부로 인가되는 회로와 신호처리장치로 인가되는 회로로 나누어진다.
수신기로 연결되는 전선은 예비전원과 2개의 적외선 센서에 릴레이로 연결되어, 주전원이 정상작동 할때는 예비전원에는 전기가 들어오지 않아 동작하지 않고 두 적외선 센서만이 동작하여 수신기에서 두 적외선 센서의 동작만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수신기에서 적외선 센서의 전압에 의해 센서부의 릴레이가 동작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피난구 유도등의 주전원의 고장으로 예비전원이 동작할 시 반대로 릴레이가 동작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예비전원까지 고장날 시 3번째 릴레이를 통해 수신기까지 고장 정보를 전기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신호처리장치(140)는 3상 권선만으로 신호전달을 하는 것으로, 카운팅 센서에 인가되는 교류전류를 직류로 만들기 위한 컨버터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비되는 변압기(1)와 정류기(2), 정류기(2)에서 나온 전류분의 대역폭을 조절하여 섞여나오는 고조파를 필터링하도록 구비되는 주파수 정류회로인 LC필터(3), 수신기에서의 신호처리를 위한 모셋회로(4,6), 출입인원수 파악을 위한 출입카운팅을 전류의 인가와 차단으로 신호가 아닌 회로로 표현한 카운팅센서 회로(5), 인가된 직류를 다시 교류로 바꾸어주는 인버터회로(7) 등으로 구성된다.
수신기(150)는 전류의 인가 및 차단을 인식하고 이를 신호로 변환하여 데이터로 저장하도록 하는 것으로, 전류의 인가와 차단에 따라 반응하는 전자회로를 구비하여, 전기가 입력되면 제어부를 통해 +1의 신호 데이터로 변환하고, 한시(Time delay)동작된 전기가 입력되면 제어부를 통해 -1의 신호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방식으로 출입인원을 카운팅하고, 이와 같이 전기적 회로해석에 의한 +1 또는 -1로 변환하여 저장된 신호 데이터 정보를 기설치된 전선을 통해 이를 신호선으로하여 관제서버(200)의 수신부로 실시간 또는 일정주기별로 송부한다.
이와 같이 피난구 유도등(100)의 수신기에서의 관제서버(200)로의 데이터 정보전송이 기건축물의 전선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게 됨에 따라, 피난구 유도등(100)의 제어부와 수신기에서 가산되어 복합적으로 종합된 정보는 관제서버로 실시간 저장되므로 데이터 정보의 유실이나 무선 전송에 의한 혼선에 따른 위치나 정보의 혼재 등의 문제발생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이와 같은 특성은, 각 유도등에 신호단말을 부착하고 송수신장비를 이용하여 앱으로 상황을 알려주는 선행기술이 갖는 문제점인 개별적으로 앱으로 신호가 보내지므로 발생하는 혼선 및 고장에 취약한 점, 더욱이 각 유도등에 신호단말을 장착해야 함에 따른 가격 상승 및 피난자는 구비한 스마트폰 등에 앱을 깔아야 이용가능하다는 불편함 등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수신기에서의 출입인원 카운팅 방식을 전류의 인가와 차단에 따라 반응하는 전자회로 이외에 모터 또는 스위칭회로를 이용하여 신호 데이터 정보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전기가 입력되면 제어부를 통해 모터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이를 +1의 신호 데이터로 변환하고, 한시동작된 전기가 입력되면 제어부를 통해 모터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이를 -1의 신호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방식으로 출입인원을 카운팅 할 수 있다.
이외에 전류의 인가와 차단에 따라 반응하는 다양한 카운팅 방식을 접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관제서버(200)의 수신부로 송부된 신호 데이터 정보는 실시간으로 또는 일정주기 단위로 DB부(220)에 저장된다.
조명부(160)는 점멸이 가능한 LED기판(L)과 PCB기판, 상용전원등(41a) 및 예비전원등(41b), 휘도 경고등(42)으로 구성되어, 화재 등 비상사태 발생시에 제어부(17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점멸동작이 제어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피난구 유도등의 하단부에 구비된 GREEN과 RED의 LED램프를 구비하고 이를 예비전원의 상태표시로 하여 교류전원의 감시램프의 정상작동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주전원이 ON되어 LED 및 교류전원의 감시램프가 점등되고 예비전원의 램프가 GREEN으로 점등된 경우에는 피난구 유도등이 정상작동되고 있음을 수신기를 통해 표시하며, 주전원이 OFF되어 LED 및 교류전원의 감시램프가 소등되고 예비전원의 램프가 GREEN으로 점등된 경우에는 예비전원에 의해 피난구 유도등에 오류가 있음을 수신기를 통해 표시하며, 주전원이 OFF되어 LED 및 교류전원의 감시램프가 소등되고 예비전원의 램프가 RED로 점등된 경우에는 피난구 유도등에 작동오류가 있음을 수신기를 통해 표시되도록 한다.
제어부(170)는 센서부(110)에서 실시간으로 감지된 데이터가 신호처리장치(140)와 수신기(150)에서 회로적으로 해석되도록 제어하며, 신호 데이터 정보가 수신기(150)를 통해 관제서버(200)의 수신부(210)를 거쳐 DB부(220)에 실시간으로 또는 일정주기단위로 적절하게 저장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관제서버(200)의 중앙제어부(240)와 연계되어 전원부(130)의 상태 및 센서부(110), 신호처리장치(140)와 수신기(150)의 상태를 제어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관제서버(200)는 수신기(150)로부터 신호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210), 수신받은 신호 데이터 정보를 실시간으로 또는 일정주기별로 저장하는 DB부(220), 이들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체크하는 모니터링부(230) 및 건물의 전력 및 이들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고, 수신기(150)로부터 수신한 신호 데이터 정보 및 건물의 화재발생 여부, 건물의 구조도면 정보 등을 구급대서버(300) 또는 관리자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중앙제어부(240)로 구성될 수 있다. 관리자와는 앱으로 연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제서버(200)가 실시간으로 또는 일정주기단위로 전선을 통해 수신기(150)로부터 신호 데이터를 수신하고 모니터링하며 체크함으로써, 화재발생 여부나 출입인원 체크 뿐만 아니라, 건물의 전력 및 피난구 유도등의 이상유무 등을 실시간 체크가 가능하며 이상이나 고장발생시 해당 정보를 관리자에게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관리자가 신속하고 스마트하게 시설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구급대서버(300)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구급대원의 단말기나 스마트폰 등이 이에 속한다.
본 발명에서는 비록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확산판 20: 본체
21: 상하관통홀 22: 경사면
23: 개방부
30: 하판 33: 전원접속부
40: 보드모듈 41: 전면부
41a: 상용전원등 41b: 예비전원등
41c: 전원확인버튼 42: 휘도 경고등
43: 전원체결부 L: LED 기판
1: 변압기 2: 정류기
3: LC필터 4,6: 모셋회로
5: 카운팅센서 회로 7: 인버터회로
100: 피난구 유도등 110: 센서부
120: 센서조절부 130: 전원부
140: 신호처리장치 150: 수신기
160: 조명부 170: 제어부
200: 관제서버 300: 구급대서버

Claims (11)

  1. 표지면이 인쇄되는 확산판(10);
    상기 확산판(10)이 상부에 결합되며, 일측면에는 개방부(23)가 형성되고 하부는 개방되어 형성된 본체(20);
    상기 본체(20)의 하부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개방부(23)의 대응되는 위치에 전원접속부(33)가 형성된 하판(30); 및
    전면부(41)와 전면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지지판(44)으로 구성되고, LED기판과 PCB기판 및 상기 전원접속부(33)와 클립체결되는 전원체결부(43)가 구비되며, 상기 개방부(23)를 통해 슬라이딩으로 인입 및 인출되는 보드모듈(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한 피난구 유도등.
  2. 제 1항 에 있어서,
    상기 본체(20)는 중심에 상하관통홀(21)이 형성되되 상부면 테두리로부터 상기 상하관통홀(21)까지 하방향 경사면(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한 피난구 유도등.
  3. 제 2항 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22)에는 상기 확산판(10)의 휘도의 균등분포 및 LED 광 확산을 보강하는 반사막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한 피난구 유도등.
  4. 제 1항 에 있어서,
    상기 전원접속부(33)는 상기 보드모듈(40)의 전원체결부(43)에 착탈식으로 연결되는 클립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한 피난구 유도등.
  5. 제 1항 에 있어서,
    상기 보드모듈(40)의 전면부(41)의 전방에는 상용전원등(41a) 및 예비전원등(41b)과 휘도 경고등(42) 및 전원확인버튼(41c)이 구비되고, 전면부(41)의 후방 양측단에는 상기 하판(30)의 전원접속부(33)에 대응되는 위치에 전원체결부(4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한 피난구 유도등.
  6. 제 1항 에 있어서,
    상기 보드모듈(40)의 LED기판(L)에는 휘도 감지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PCB기판의 제어부를 통해 LED기판의 점등, 상용전원등(41a) 및 예비전원등(41b)의 점등여부가 제어되며, 휘도 경고등(42)이 제어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한 피난구 유도등.
  7. 제 6항 에 있어서,
    상기 휘도 감지센서는 CDS(조도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한 피난구 유도등.
  8. 피난구 유도등에 있어서,
    전면부(41)와 전면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지지판(44)으로 구성되고, LED기판과 PCB기판을 구비하며, 슬라이딩으로 착탈식 결합하는 보드모듈(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한 피난구 유도등.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구 유도등의 PCB기판은,
    물체인식센서와 휘도 감지센서로 부터 신호값을 감지하는 센서부(110);
    상기 센서부(110)의 감지된 신호값에 따라 제어부(170)의 제어로 조절되는 센서조절부(120);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130);
    신호전달을 하는 신호처리장치(140);
    전류의 인가 및 차단을 인식하고 이를 신호로 변환하여 데이터로 저장하는 수신기(150); 및
    이들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한 피난구 유도등.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110)의 물체인식센서는,
    이미지나 동작 등을 토대로 출입하는 사람을 감지하여 출입인원수를 카운팅하는 인체감지기능, 출입하는 사람의 형상 및 형태치수와 피난구 바닥까지의 거리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거리변화감지기능, 장애물의 유무 및 장애물의 크기와 형태를 예측하는 장애물예측기능, 지진발생이나 가해지는 충격력에 의한 피난구의 뒤틀림을 거리변화 강도를 통해 유추해내는 기능, 화재로 인한 연기의 농도량을 측정할 수 있는 연기농도측정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한 피난구 유도등.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구 유도등은 관제서버(200)와 연동되며,
    상기 관제서버(200)는,
    상기 피난구 유도등의 수신기(150)로부터 신호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210);
    수신받은 신호 데이터 정보를 일정주기별로 저장하는 DB부(220);
    이들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체크하는 모니터링부(230); 및
    건물의 전력 및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고 수신한 신호 데이터 정보 및 건물의 화재발생 여부, 건물의 구조도면 정보를 구급대서버(300)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중앙제어부(2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한 피난구 유도등.
KR1020200151850A 2020-11-13 2020-11-13 교체용이한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한 피난구 유도등 KR102420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1850A KR102420147B1 (ko) 2020-11-13 2020-11-13 교체용이한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한 피난구 유도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1850A KR102420147B1 (ko) 2020-11-13 2020-11-13 교체용이한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한 피난구 유도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5392A true KR20220065392A (ko) 2022-05-20
KR102420147B1 KR102420147B1 (ko) 2022-07-11

Family

ID=81801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1850A KR102420147B1 (ko) 2020-11-13 2020-11-13 교체용이한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한 피난구 유도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01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4741B1 (ko) * 2022-12-23 2023-09-06 주식회사 신원기술단 스마트 화재 감지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8643A (ja) * 1993-03-09 1994-09-16 Sony Corp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KR200164722Y1 (ko) 1999-07-15 2000-02-15 이금성 피난구유도등외함
JP2002023657A (ja) * 2000-07-04 2002-01-2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表示用照明器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417468Y1 (ko) * 2006-03-17 2006-05-29 일신전자주식회사 피난구 유도등.
KR20130109349A (ko) * 2012-03-27 2013-10-08 주식회사 건국이엔아이 복합형 피난 유도장치
KR101911371B1 (ko) * 2018-04-20 2018-10-25 윈텍정보(주) 부가기능 확장형 화재감지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8643A (ja) * 1993-03-09 1994-09-16 Sony Corp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KR200164722Y1 (ko) 1999-07-15 2000-02-15 이금성 피난구유도등외함
JP2002023657A (ja) * 2000-07-04 2002-01-2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表示用照明器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417468Y1 (ko) * 2006-03-17 2006-05-29 일신전자주식회사 피난구 유도등.
KR20130109349A (ko) * 2012-03-27 2013-10-08 주식회사 건국이엔아이 복합형 피난 유도장치
KR101911371B1 (ko) * 2018-04-20 2018-10-25 윈텍정보(주) 부가기능 확장형 화재감지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4741B1 (ko) * 2022-12-23 2023-09-06 주식회사 신원기술단 스마트 화재 감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0147B1 (ko) 2022-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2067B2 (ja) 照明制御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制御ユニット
JP2013501338A (ja) 光誘導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KR102242787B1 (ko) 화재와 조명 상태 모니터링 및 조명제어통합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조명제어시스템
KR102420147B1 (ko) 교체용이한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한 피난구 유도등
JP4976149B2 (ja) 防災照明システム
CN110896576A (zh) 集中电源智能控制型消防应急照明疏散系统及其施工方法
JP6057220B2 (ja) 照明制御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制御ユニット
KR102189836B1 (ko) 엘이디 센서등 제어 장치
KR101317654B1 (ko) 비상구 유도등
JP5870310B2 (ja) 照明制御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制御ユニット
KR20170071226A (ko) 무선 제어 기능을 적용한 비상 조명 장치 및 시스템
KR20160107959A (ko) 비상 조명시스템
CN112291895A (zh) 一种舞台灯光控制台及灯光切换控制系统
JP5255360B2 (ja) 照明制御システム
KR102597258B1 (ko) 고역률 스마트 유도등 및 이를 위한 점검시스템
KR101031496B1 (ko) 유도등 구동장치
KR102381043B1 (ko) 회로적 해석을 통한 재난 복합 모니터링이 가능한 피난구 유도등 및 이를 이용한 구조시스템
JP2015232827A (ja) 誘導灯信号装置及び誘導灯システム
CN216873439U (zh) 一种变电站应急照明系统
CN212367580U (zh) 集中电源智能控制型消防应急照明疏散系统
CN207674296U (zh) 应急照明和疏散指示检测系统
CN220041213U (zh) 智能安检门及安检系统
JP7339606B2 (ja) 負荷制御装置
KR100690403B1 (ko) 알에프 시스템을 이용한 전원 공급 점검 장치
KR200317420Y1 (ko) 비상등 겸용 램프 점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