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7228B1 - 프로젝션형 비상 유도장치 - Google Patents

프로젝션형 비상 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7228B1
KR101627228B1 KR1020150161516A KR20150161516A KR101627228B1 KR 101627228 B1 KR101627228 B1 KR 101627228B1 KR 1020150161516 A KR1020150161516 A KR 1020150161516A KR 20150161516 A KR20150161516 A KR 20150161516A KR 101627228 B1 KR101627228 B1 KR 101627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ster prevention
housing
lens
led
heat s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1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동걸
Original Assignee
조동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동걸 filed Critical 조동걸
Priority to KR1020150161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72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7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7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1/00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 F21V11/02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using parallel laminae or strips, e.g. of Venetian-blind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2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with provision for adjustment, e.g. for foc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07Array of lenses or refractors for a cluster of light sources, e.g. for arrangement of multiple light sources in one plan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프로젝션형 비상 유동장치는, 방열기능을 갖는 히트싱크; 상기 히트싱크의 일면에 결합되어 일측으로 발광하는 엘이디; 기준치 이상의 투명도를 갖도록 방재표시가 인쇄된 시트구조로 제작되어, 상기 엘이디의 발광경로 상에 위치되는 마스크;를 포함하여, 상기 마스크에 인쇄된 방재표시 형상으로 건축 구조물의 벽면이나 바닥에 방재표시 이미지를 조사한다. 본 발명에 의한 프로젝션형 비상 유도장치를 이용하면, 보행자의 통행을 방해하지 아니하도록 프로젝션 방식으로 방재표시를 조사할 수 있고, 벽체나 바닥 등 다양한 지점에 방재표시를 조사할 수 있으며, 마스크를 교체함으로써 조사되는 방재표시를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프로젝션형 비상 유도장치 {Projection type emergency leading apparatus}
본 발명은 프로젝션 방식으로 방재표시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비상 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방재표시 종류 및 출력위치를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는 프로젝션형 비상 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화재의 재난 발생시, 정확한 대피 경로 안내는 많은 인명을 구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안전책 중의 하나이다, 우리나라에서 과거에 발생된 화재참사를 살펴볼 때, 초기에 대피 경로를 제대로 안내만 했어도 많은 희생자를 줄일 수 있었으나 안타깝게도 그렇지 못하여 대형 참사로 이어진 적이 있었다.
보통 화재나 지진 또는 정전 사태 등 기타 이유로 인해 비상 대피 경로를 안내해야 할 경우,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세를 엎드리기 때문에 대피자들의 지면 또는 벽면을 통해 대피 경로를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전문가의 의견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주로 천장에 전기설비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비상등이 대피자의 상부 공간에서 켜졌으며, 화재와 같이 연기가 발생할 경우 보통 연기가 상부로 치솟기 때문에 비상등은 연기에 가려져서 효과적인 대피 경로를 안내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비상등을 벽면 하부나 바닥에 설치하는 방안이 상용화되어 있으나, 상기 비상등이 벽면 하부나 바닥에 설치되면 보행자의 통행에 방해를 줄 수 있고, 보행자나 기타 물건과 충돌됨으로 인해 파손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각종 재난 발생 시 사람들이 소화기나 방독면 등과 같은 안전장비를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안전장비의 위치를 표시하는 안전장비 표시등이 상용화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종래의 안전장비 표시등은 일반적으로 벽면에 매립되어 있는바, 안전장비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안전장비 표시등을 새롭게 설치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외에도, 해당 지역에 안전장비의 종류가 변경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안전장비 표시등을 교체해야 하므로, 유지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20-0322858 Y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보행자의 통행을 방해하지 아니하도록 프로젝션 방식으로 방재표시를 조사할 수 있고, 방재표시 조사지점을 벽체나 바닥 등 다양한 지점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마스크 교체만으로 조사되는 방재표시를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는 프로젝션형 비상 유도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프로젝션형 비상 유동장치는, 방열기능을 갖는 히트싱크; 상기 히트싱크의 일면에 결합되어 일측으로 발광하는 엘이디; 기준치 이상의 투명도를 갖도록 방재표시가 인쇄된 시트구조로 제작되어, 상기 엘이디의 발광경로 상에 위치되는 마스크;를 포함하여, 상기 마스크에 인쇄된 방재표시 형상으로 건축 구조물의 벽면이나 바닥에 방재표시 이미지를 조사한다.
상기 엘이디를 덮도록 상기 히트싱크 일측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상기 엘이디의 발광경로 상에 제1 렌즈가 내장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일측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상기 엘이디의 발광경로 상에 제2 렌즈가 내장되는 제2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는 상기 엘이디와 상기 제1 렌즈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 하우징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장착된다.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에 나사결합 구조로 결합되어, 상기 제2 하우징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렌즈와 제2 렌즈 간의 이격거리가 조절된다.
건축 구조물의 천장이나 벽면에 결합되는 체결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히트싱크는 회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체결브라켓에 장착된다.
상기 방재표시 이미지 출력지점이 변경되도록 상기 히트싱크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더 포함한다.
보행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와, 상기 방재표시 이미지가 보행자의 전방 바닥에 조사되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방재표시 이미지가 조사되는 지점과 상기 엘이디 간의 거리에 따라 상기 제1 렌즈와 제2 렌즈 간의 이격거리가 조정되도록, 상기 제2 하우징을 회전시키는 초점조절모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프로젝션형 비상 유도장치를 이용하면, 보행자의 통행을 방해하지 아니하도록 프로젝션 방식으로 방재표시를 조사할 수 있고, 벽체나 바닥 등 다양한 지점에 방재표시를 조사할 수 있으며, 마스크를 교체함으로써 조사되는 방재표시를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프로젝션형 비상 유도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프로젝션형 비상 유도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프로젝션형 비상 유도장치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프로젝션형 비상 유도장치 제2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프로젝션형 비상 유도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프로젝션형 비상 유도장치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프로젝션형 비상 유도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프로젝션형 비상 유동장치는 비상대피 안내표시나 안전장비 표시와 같은 각종 방재표시(이하 '방재표시'라 약칭함)를 조명등 타입으로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프로젝션 타입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구성상의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프로젝션형 비상 유도장치(100)는, 방열기능을 갖는 히트싱크(110)와, 상기 히트싱크(110)의 일면(도 2에서는 좌측면)에 결합되어 일측(도 2에서는 좌측)으로 발광하는 엘이디(120)와, 기준치 이상의 투명도를 갖도록 방재표시가 인쇄된 시트구조로 제작되어, 상기 엘이디(120)의 발광경로 상에 위치되는 마스크(130)를 포함한다. 따라서 엘이디(120)에서 발광된 빛은 마스크(130)를 통과하면서 특정 방재표시를 나타내도록 이미지화된 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구조물의 벽면이나 바닥면에 출력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프로젝션형 비상 유도장치(100)를 이용하면, 방재표시를 벽면이나 바닥에 프로젝션 타입으로 표시하므로, 해당 벽면이나 바닥에 어떠한 돌출 구조물이 존재하지 아니하여 통행자의 보행에 방해를 주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방재표시가 출력되는 지점을 다양하고 간편하게 변경시킬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소화기의 비치 지점이 변경되었을 때, 종래와 같이 표시등을 새롭게 설치할 필요 없이 엘이디(120)의 발광방향을 변경하는 조작만으로, 새로운 소화기 비치 지점에 소화기 표시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프로젝션형 비상 유도장치(100)는, 엘이디(120)의 발광경로 상에 위치되는 마스크(130)에 어떠한 방재표시가 인쇄되어 있는지에 따라 벽면 및 바닥에 표시되는 방재표시 이미지가 결정되는바, 상기 마스크(130)를 다른 종류로 교체하는 조작만으로 벽면 및 바닥에 표시되는 방재표시 이미지를 변경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출력되는 방재표시 이미지를 변경시키고자 할 때, 마스크(130)만을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고 히트싱크(110)나 엘이디(120)는 종래의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할 뿐만 아니라 유지비용이 현저히 절감된다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에 의한 프로젝션형 비상 유도장치(100)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것이 아니라 배터리 등과 같은 전원공급부를 내장하여, 설치위치에 제약이 없고, 설치작업이 매우 용이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출력되는 방재표시 이미지의 초점이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으면, 방재표시 이미지 출력지점이 변경되었을 때 방재표시 이미지가 또렷하지 아니하게 된다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프로젝션형 비상 유도장치(100)는 방재표시 이미지의 초점거리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의한 프로젝션형 비상 유도장치(100)는, 상기 엘이디(120)를 덮도록 상기 히트싱크(110) 일측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상기 엘이디(120)의 발광경로 상에 제1 렌즈(142)가 내장되는 제1 하우징(140)과, 상기 제1 하우징(140)의 일측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상기 엘이디(120)의 발광경로 상에 제2 렌즈(152)가 내장되는 제2 하우징(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스크(130)는 상기 엘이디(120)와 상기 제1 렌즈(142)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 하우징(140)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마스크(130)를 통과한 빛이 제1 렌즈(142)와 제2 렌즈(152)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도록 구성되면, 사용자는 제1 렌즈(142)와 제2 렌즈(152) 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출력되는 방재표시 이미지의 초점을 조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방재표시 이미지를 또렷하게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제1 렌즈(142)와 제2 렌즈(152) 간의 이격거리는 다양한 방식으로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하우징(150)은 상기 제1 하우징(140)에 나사결합 구조로 결합되어, 상기 제2 하우징(15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렌즈(142)와 제2 렌즈(152) 간의 이격거리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하우징(140)과 제2 하우징(150)이 나사결합 방식으로 직렬로 연결되면, 사용자는 제2 하우징(150)을 회전시키는 조작만으로 방재표시 이미지의 초점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제1 하우징(140)을 회전시켰을 때 방재표시 이미지의 초점이 조정되는 원리는 종래의 카메라 등에 적용되고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 하우징(150)이 제1 하우징(140)에 결합되는 구조는, 제1 렌즈(142)와 제2 렌즈(152) 간의 이격거리가 변경되도록 제2 하우징(150)이 제1 하우징(140)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질 수 있다면, 본 실시예에 도시된 나사결합구조 이외에 다양한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하우징(150)은 엘이디(120)의 발광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제1 하우징(140)에 결합될 수도 있고, 제2 하우징(150)이 제1 하우징(140)에 이중관 구조로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제1 렌즈(142)와 엘이디(120) 사이에 위치되는 마스크(130)는, 히트싱크(110)에 결합될 수도 있고, 제1 하우징(14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프로젝션형 비상 유도장치(100)는 일반적으로 높은 지점에 설치되므로, 상기 마스크(130)가 제1 하우징(140)에 결합되어 있으면 제1 하우징(140)을 히트싱크(110)로부터 탈거시키는 작업과 마스크(130)를 히트싱크(110)로부터 탈거시키는 작업을 높은 지점에서 수행해야 하는바, 마스크(130) 교체작업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프로젝션형 비상 유도장치(100)는 마스크(130) 교체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도록, 상기 마스크(130)는 제1 하우징(140)에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마스크(130)가 제1 하우징(140)에 장착되면, 제1 하우징(140)을 히트싱크(110)로부터 탈거시키는 작업은 높은 지점에서 수행해야 하지만, 마스크(130)를 제1 하우징(140)으로부터 탈거시키고 새로운 마스크(130)를 제1 하우징(140)에 장착시키는 작업은 지상에서 수행할 수 있는바, 마스크(130) 교체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프로젝션형 비상 유도장치(100)는 건축 구조물에 장착된 상태에서 방재표시 이미지 출력위치가 간편하게 조정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한 구조로 건축 구조물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프로젝션형 비상 유도장치(100)는, 건축 구조물의 천장이나 벽면에 결합되는 체결브라켓(112)을 더 포함하고, 상기 히트싱크(110)가 회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체결브라켓(11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히트싱크(110)가 체결브라켓(112)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면, 사용자는 체결브라켓(112)을 건축 구조물로부터 탈거하지 아니하고 히트싱크(110)를 회전시키는 조작만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재표시 이미지를 벽면이나 바닥에 출력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프로젝션형 비상 유도장치(100)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프로젝션형 비상 유도장치(100) 제2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프로젝션형 비상 유도장치(100)는 체결브라켓(112)에 장착된 히트싱크(110)가 자동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히트싱크(11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6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히트싱크(110)가 회전되면 방재표시 이미지의 출력지점이 변경되는바, 사용자는 히트싱크(110)를 수동으로 회전시키지 아니하고 구동모터(16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방재표시 이미지의 출력지점을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히트싱크(110)가 자동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면, 본 발명에 의한 프로젝션형 비상 유도장치(100)가 설치된 지점을 지나는 통행자의 위치에 따라 방재표시 이미지 출력지점이 자동으로 변경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의한 프로젝션형 비상 유도장치(10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자의 통행 경로 상에 설치되어 보행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다수 개의 위치감지센서(200)와, 상기 방재표시 이미지가 보행자의 전방 바닥에 조사되도록 상기 구동모터(16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위치감지센서(200)와 제어부가 추가로 구비되면, 보행자의 전방에 출력된 방재표시 이미지가 보행자의 이동 속도에 맞추어 비상구 측으로 이동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보행자는 재난 발생 시 방재표시 이미지를 따라가는 움직임만으로 비상구를 찾을 수 있으므로, 신속하고 정확한 대피가 가능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방재표시 이미지가 이동하도록 히트싱크(110)가 회전될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재표시 이미지 출력방향이 수직 하방을 향하는 경우는 도 5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재표시 이미지 출력방향이 비스듬히 경사진 경우에 비해 방재표시 이미지의 초점이 짧게 설정되어야만 상기 방재표시 이미지가 또렷하게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엘이디(120)로부터 방재표시 이미지 출력지점까지의 거리는 엘이디(120)가 설치된 지점의 높이와 히트싱크(110)의 회전각도에 의해 결정되는바, 본 발명에 의한 프로젝션형 비상 유도장치(100)는 상기 방재표시 이미지가 출력되는 지점과 상기 엘이디(120) 간의 거리에 따라 상기 제1 렌즈(142)와 제2 렌즈(152) 간의 이격거리가 조정되도록 즉, 바닥면에 또렷한 방재표시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상기 제2 하우징(150)을 회전시켜 초점거리를 조절하는 초점조절모터(미도시)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하우징(150)을 회전시켜 제1 렌즈(142)와 제2 렌즈(152) 간의 이격거리를 변경시킴으로써 초점거리를 조절하는 초점조절모터는, 종래의 자동 망원카메라 등에 유사하게 적용되고 있는바, 상기 제2 하우징(150)을 회전시키는 초점조절모터의 내부구조 및 작동원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프로젝션형 비상 유도장치 110 : 히트싱크
112 : 체결브라켓 120 : 엘이디
130 : 마스크 140 : 제1 하우징
142 : 제1 렌즈 150 : 제2 하우징
152 : 제2 렌즈 160 : 구동모터
200 : 위치감지센서

Claims (7)

  1. 방열기능을 갖는 히트싱크(110);
    상기 히트싱크(110)의 일면에 결합되어 일측으로 발광하는 엘이디(120);
    기준치 이상의 투명도를 갖도록 방재표시가 인쇄된 시트구조로 제작되어, 상기 엘이디(120)의 발광경로 상에 위치되는 마스크(130);
    를 포함하여,
    상기 마스크(130)에 인쇄된 방재표시 형상으로 건축 구조물의 벽면이나 바닥에 방재표시 이미지를 조사하고,
    상기 엘이디(120)를 덮도록 상기 히트싱크(110) 일측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상기 엘이디(120)의 발광경로 상에 제1 렌즈(142)가 내장되는 제1 하우징(140);
    상기 제1 하우징(140)의 일측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상기 엘이디(120)의 발광경로 상에 제2 렌즈(152)가 내장되는 제2 하우징(150);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150)은 상기 제1 하우징(140)에 나사결합 구조로 결합되어, 상기 제2 하우징(15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렌즈(142)와 제2 렌즈(152) 간의 이격거리가 조절되고,
    건축 구조물의 천장이나 벽면에 결합되는 체결브라켓(112)을 더 포함하며,
    상기 히트싱크(110)는 회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체결브라켓(112)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형 비상 유도장치(100).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130)는 상기 엘이디(120)와 상기 제1 렌즈(142)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 하우징(140)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형 비상 유도장치(100).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재표시 이미지 출력지점이 변경되도록 상기 히트싱크(11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형 비상 유도장치(100).
  6. 청구항 5에 있어서,
    보행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200)와, 상기 방재표시 이미지가 보행자의 전방 바닥에 조사되도록 상기 구동모터(16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형 비상 유도장치(100).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방재표시 이미지가 조사되는 지점과 상기 엘이디(120) 간의 거리에 따라 상기 제1 렌즈(142)와 제2 렌즈(152) 간의 이격거리가 조정되도록, 상기 제2 하우징(150)을 회전시키는 초점조절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형 비상 유도장치(100).
KR1020150161516A 2015-11-18 2015-11-18 프로젝션형 비상 유도장치 KR101627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516A KR101627228B1 (ko) 2015-11-18 2015-11-18 프로젝션형 비상 유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516A KR101627228B1 (ko) 2015-11-18 2015-11-18 프로젝션형 비상 유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7228B1 true KR101627228B1 (ko) 2016-06-03

Family

ID=56192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1516A KR101627228B1 (ko) 2015-11-18 2015-11-18 프로젝션형 비상 유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722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6168B1 (ko) * 2017-08-08 2017-12-08 주식회사 지화기술단 비상 대피용 소방 표시등
KR101833248B1 (ko) 2017-08-04 2018-03-05 주식회사 지화기술단 소방 피난 유도장치
KR101858010B1 (ko) 2017-11-03 2018-05-16 주식회사 자람앤수엔지니어링 신속 대피를 위한 소방피난유도기구
KR101873934B1 (ko) * 2017-08-24 2018-07-04 주식회사 동남기술단 엘이디 재난 조명 시스템
KR20190018782A (ko) * 2017-08-16 2019-02-26 임선택 Led 비상구 위치 표시등
KR20190020477A (ko) * 2017-08-21 2019-03-04 피디아이주식회사 Led 비상구 위치 표시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7330A (ja) * 1989-10-13 1991-05-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磁気記録媒体の製造方法及び装置
KR200322858Y1 (ko) 2003-05-15 2003-08-14 김후곤 조사 각도조절이 용이한 비상유도장치
KR20100132156A (ko) * 2009-06-09 2010-12-17 김태화 Led 비상 유도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7330A (ja) * 1989-10-13 1991-05-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磁気記録媒体の製造方法及び装置
KR200322858Y1 (ko) 2003-05-15 2003-08-14 김후곤 조사 각도조절이 용이한 비상유도장치
KR20100132156A (ko) * 2009-06-09 2010-12-17 김태화 Led 비상 유도등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3248B1 (ko) 2017-08-04 2018-03-05 주식회사 지화기술단 소방 피난 유도장치
KR101806168B1 (ko) * 2017-08-08 2017-12-08 주식회사 지화기술단 비상 대피용 소방 표시등
KR20190018782A (ko) * 2017-08-16 2019-02-26 임선택 Led 비상구 위치 표시등
KR101958104B1 (ko) * 2017-08-16 2019-07-04 임선택 Led 비상구 위치 표시등
KR20190020477A (ko) * 2017-08-21 2019-03-04 피디아이주식회사 Led 비상구 위치 표시등
KR101957727B1 (ko) * 2017-08-21 2019-03-15 피디아이주식회사 Led 비상구 위치 표시등
KR101873934B1 (ko) * 2017-08-24 2018-07-04 주식회사 동남기술단 엘이디 재난 조명 시스템
KR101858010B1 (ko) 2017-11-03 2018-05-16 주식회사 자람앤수엔지니어링 신속 대피를 위한 소방피난유도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7228B1 (ko) 프로젝션형 비상 유도장치
NL2002295C2 (en) Illumination system including a variety of illumination devices.
FI126595B (fi) Leikkaussalin valaisinjärjestely
KR101638502B1 (ko) 터널 내외의 휘도분석을 통한 터널 출입구 부분의 밝기 조절장치
KR101485115B1 (ko) 지능형 레이저 유도등
KR20170053910A (ko) 재난유도장치
US20160042615A1 (en) Evacuation assistance apparatus
CN103913929A (zh) 红外led照相机中的可移动led阵列瓣片
KR101102280B1 (ko) 피난안내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피난 유도등
KR101799910B1 (ko) Led 천정등을 이용한 비상 대피 시스템
EP0094653B1 (en) Passive infrared intrusion detector
EP0094659B1 (en) Passive infrared intrusion detector
KR101407929B1 (ko) 비상구 유도등
KR100699361B1 (ko) 레이저 다이오드와 광학 랜즈를 이용한 문자 및 기호 투영방식의 비상통로 유도등
KR101875106B1 (ko) 휴대용 비상 조명 장치
KR101575850B1 (ko) 위험감지 비상구 유도등 장치
KR20190001440U (ko) 피난유도등
US20210298200A1 (en) Electronic device and airflow control method
KR102150895B1 (ko) 비상상황에서의 대피유도시스템
KR101958104B1 (ko) Led 비상구 위치 표시등
KR101699702B1 (ko) 다중이용 시설 소방피난 유도장치
KR20160095359A (ko) 화재 발생시 대피로를 알려주는 비상 안내등
JP2013017630A (ja) 放射線撮影装置
KR20100021299A (ko) 경로 표시 장치
KR20090106024A (ko) 빔정형을 위한 광학계 조명장치 및 화재시 이를 채용한 센서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