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6053B1 - 초기소화효율을 높인 공동주택의 실내 소화장치 - Google Patents

초기소화효율을 높인 공동주택의 실내 소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6053B1
KR101786053B1 KR1020160165065A KR20160165065A KR101786053B1 KR 101786053 B1 KR101786053 B1 KR 101786053B1 KR 1020160165065 A KR1020160165065 A KR 1020160165065A KR 20160165065 A KR20160165065 A KR 20160165065A KR 101786053 B1 KR101786053 B1 KR 101786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ixing pipe
fire
extinguishing
fire extingu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5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춘영
Original Assignee
태양기술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양기술단(주) filed Critical 태양기술단(주)
Priority to KR1020160165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60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6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6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03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adjustable, e.g. from spray to jet or vice versa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 A62D1/0007Solid extinguishing substances
    • A62D1/0014Powders; Granu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기소화효율을 높인 공동주택의 실내 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주변에 경보음을 전달하여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입주민 등에게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소화기구가 돌출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소화분말을 사용한 초기 화재진압이 가능하도록 하여 초기소화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초기소화효율을 높인 공동주택의 실내 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초기소화효율을 높인 공동주택의 실내 소화장치{INTERION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OF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초기소화효율을 높인 공동주택의 실내 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주변에 경보음을 전달하여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입주민 등에게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소화기구가 돌출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소화분말을 사용한 초기 화재진압이 가능하도록 하여 초기소화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초기소화효율을 높인 공동주택의 실내 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의 실내에는 벽체에 콘센트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콘센트는 누전 또는 기타 외부적 요인에 의해 화재가 발생되는데 이러한 화재발생시 즉각적으로 주변에 화재발생 사실을 알리기가 어려우므로 인해 초기 진화의 어려움과 함께 대형화재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야간에는 사람들이 화재발생을 직접확인하기가 어려워 화재발생에 따른 신속한 대처를 할 수 없으므로 대형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825415호(2008.04.21.)에는 '공동주택의 화재발생 확인용 소방알람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소방알람장치는 소화기구가 돌출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소화분말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초기 화재진압이 어려운 것은 물론, 이로 인해 초기소화효율을 높일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825415호(2008.04.29.) '공동주택의 화재발생 확인용 소방알람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주변에 경보음을 전달하여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입주민 등에게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소화기구가 돌출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소화분말을 사용한 초기 화재진압이 가능하도록 하여 초기소화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초기소화효율을 높인 공동주택의 실내 소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면이 개방되며, 콘센트에 인접되도록 벽면에 매립 설치되는 하우징; 내부에 소화분말이 저장되는 통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에 출몰가능하게 장착되며 일측에는 상기 소화분말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상기 콘센트의 설치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배출구 둘레면에 힌지결합되어 본체가 하우징의 전방으로 돌출되면 본체의 외측으로 회동되어 배출구를 개방하는 개폐판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제1스프링에 의해 가압되어 본체 내부에 저장된 소화분말을 배출구 쪽으로 밀어내는 피스톤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본체가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개폐판이 하우징의 내부면에 걸려 배출구를 막도록 구성된 소화기구; 상기 소화기구에 연결되어 소화기구가 하우징의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가압하는 제2스프링;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소화기구가 하우징 내부로 삽입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장치; 상기 벽면 또는 콘센트에 구비되어 화재발생을 감지하는 감지기구; 상기 감지기구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유닛; 및 상기 제어유닛에 연결된 알람기구를 포함하는 초기소화효율을 높인 공동주택의 실내 소화장치로써, 상기 소화기구가 돌출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소화분말의 분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분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분사부는, 상기 본체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의 전면부에 구비되는 고정관; 후단부가 상기 고정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전단부로 상기 소화분말이 분사되는 분사호스; 상기 고정관에 구비되어 외부로의 상기 소화분말의 유출을 차단하며, 상기 분사호스가 상기 고정관으로 인입 결합됨에 따라 상기 분사호스의 가압에 의해 찢어지면서 상기 소화분말이 상기 분사호스를 통해 배출 가능하도록 하는 차단막; 상기 분사호스에 구비되며, 상기 소화분말의 배출을 조절하는 개폐밸브; 및 상기 소화분말을 흡인하여 상기 분사호스를 통한 상기 소화분말의 분사가 가능하도록 하는 흡인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소화효율을 높인 공동주택의 실내 소화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주변에 경보음을 전달함으로써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입주민 등에게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화기구가 돌출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소화분말을 사용한 초기 화재진압이 가능함으로써 초기소화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화재발생 감지에 따른 개폐판의 회동에 따라 배출구를 통한 소화분말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짐으로써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초기소화효율을 높인 공동주택의 실내 소화장치가 벽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초기소화효율을 높인 공동주택의 실내 소화장치가 벽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초기소화효율을 높인 공동주택의 실내 소화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초기소화효율을 높인 공동주택의 실내 소화장치를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초기소화효율을 높인 공동주택의 실내 소화장치에서 분사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6에서 분사부를 나타낸 확대 분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특허 제0825415호를 그대로 이용하므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의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0825415호에 기재된 사항들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특허 제0825415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공동주택의 화재발생 확인용 소방알람장치'는 '초기소화효율을 높인 공동주택의 실내 소화장치'로 대체하고,
하기 위한 구조 및 그 작용설명이 더 포함되며 이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0825415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초기소화효율을 높인 공동주택의 실내 소화장치(이하 "실내소화장치"라 한다)는 벽면(1)에 매립 설치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에 출몰가능하게 설치되는 소화기구(200), 상기 소화기구(200)가 하우징(100)의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가압하는 제2스프링(S2), 상기 하우징(100)에 구비되어 소화기구(200)가 하우징(100) 내부로 삽입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장치(300), 상기 콘센트(C)에 구비되어 화재발생을 감지하는 감지기구(400), 상기 감지기구(400)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장치(300)를 제어하는 제어유닛(500) 및 상기 제어유닛(500)에 연결된 알람기구(600)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0)은 전면이 개방된 사각 박스 형상으로 구성되며, 콘센트(C)의 상부에 인접되도록 벽면(1)에 매립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 상하면에는 상기 고정장치(300)가 내설되는 삽입부(I)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I)는 사각 박스형태로 구성되어 그 사이에 삽입 설치되는 소화기구(200)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소화기구(200)는 내부에 소화분말(E)이 저장되는 통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100)에 출몰가능하게 장착되며 일측에는 상기 소화분말(E)이 배출되는 배출구(211)가 형성된 본체(210)와, 상기 본체(210)의 배출구(211)에 구비된 개폐판(220)과, 상기 본체(2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제1스프링(S1)에 의해 가압되어 본체 내부에 저장된 소화분말(E)을 배출구(211) 쪽으로 밀어내는 피스톤(2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210)는 내부에 저장부(240)가 형성된 사각 박스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특히, 상기 삽입부(I)의 사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2스프링(S2)에 의해 하우징(100)의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가압된다.
이때, 상기 배출구(211)는 상기 콘센트(C)의 설치방향을 향하도록 본체(210)의 하측면에 형성되며, 본체(210)의 내부에는 소화분말(E)이 콘센트(C) 쪽으로 분사되도록 유도하는 유도경사면(212)이 형성되어 저장부(240)에 저장된 소화분말(E)이 배출구(211)를 통해 콘센트(C)를 향해 분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본체(210)의 상하면에는 상기 고정장치(300)가 결합되는 걸림턱(213)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개폐판(220)은 본체의 배출구(211) 둘레면에 힌지결합되어 배출구(211)를 개폐하는 것으로, 본체(210)가 하우징(100)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는 외측면에 하우징(100)의 내측면에 걸려 외측으로 회동되지 못하도록 고정되어 배출구(211)를 막고, 본체(210)가 하우징(100)의 전면으로 돌출되면 개폐판(220)이 회동되면서 배출구(211)를 개방한다.
상기 제2스프링(S2)은 하우징(100)의 내측면과 소화기구 본체(210)의 배면사이에 끼워져 소화기구(200)가 하우징(100)의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가압한다.
상기 고정장치(300)는 상기 하우징(100)의 삽입부(I) 내부에 설치되는 한쌍의 솔레노이드를 이용하는 것으로 플런저(310)가 하우징(100)의 내부쪽으로 돌출되어 소화기구 본체(210)의 걸림턱(213)과 맞물려 소화기구(200)가 돌출되지 않도록 고정하며, 제어유닛(500)의 제어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면 플런저(310)가 삽입부(I) 내부로 삽입되어 플런저(310)와 걸림턱(213)의 결합이 해제되고, 이에 따라, 소화기구(200)가 하우징(100)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감지기구(400)는 콘센트(C)에 구비된 열감지기구를 이용하는 것으로, 콘센트(C)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측정된 온도데이터를 제어유닛(500)에 전송함으로써 제어유닛(500)이 콘센트에 화재가 발생 됐는지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유닛(500)은 상기 감지기구(400)의 신호에 따라 콘센트(C)의 화재발생 여부를 감시하고, 화재가 발생된 경우, 상기 고정장치(300)와 알람기구(400)를 작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알람기구(600)는 하우징(100)에 구비된 스피커 및 발광장치로 구성되어 제어유닛의 신호에 따라 소리와 빛으로 경고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실내소화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누전 등에 의해 콘센트(C)에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감지기구(400)의 신호에 의해 제어유닛(500)이 화재발생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 상기 고정장치(300)를 작동시켜 소화기구(200)가 하우징(100)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알람기구(600)를 작동시켜 소리와 빛을 이용하여 주변에 화재발생을 알린다.
그리고, 하우징(100)의 전방으로 소화기구(200)가 돌출됨과 동시에 상기 개폐판(220)이 회동되어 배출구(211)를 개방하고, 상기 피스톤(230)에 의해 가압된 소화분말(E)이 배출구(211)를 통해 콘센트(C)로 배출되어 화재를 진압한다.
이로 인해, 상기 실내소화장치는 벽면(1)에 설치되는 콘센트(C)의 주위에 배치되어 콘센트(C)가 누전 또는 기타 외부 요인에 의해 화재가 발생하였을 시, 신속하게 초기진화를 할 수 있어서 대형화재의 발생을 막을 수 있으며, 또한 즉각적으로 주변에 화재발생 사실을 알릴 수 있어서 인명피해를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화기구(200)가 돌출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소화분말(E)의 분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분사부(700)의 구성이 추가로 구현된다.
즉, 상기 분사부(700)는 상기 감지기구(400)의 늦은 화재감지 및 상기 고정장치(300)의 미작동 등에 따른 상기 소화기구(200)의 미돌출 상황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분사부(700)는 콘센트(C)가 아닌 다른 곳에서의 화재발생시 상기 소화기구(200)가 돌출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소화분말(E)을 사용한 초기 화재진압이 가능하도록 하여 초기소화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분사부(700)는 상기 저장부(240)와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210)의 전면부에 구비되는 고정관(710), 양단부를 가지며 후단부가 상기 고정관(71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전단부로 상기 소화분말(E)이 분사되는 분사호스(720), 상기 고정관(710)에 구비되어 외부로의 상기 소화분말(E)의 유출을 차단하며 상기 분사호스(720)가 상기 고정관(710)으로 인입 결합됨에 따라 상기 분사호스(720)의 가압에 의해 찢어지면서 상기 소화분말(E)이 상기 분사호스(720)를 통해 배출 가능하도록 하는 차단막(730), 상기 분사호스(720)에 구비되며 상기 소화분말(E)의 배출을 조절하는 개폐밸브(740) 및 상기 소화분말(E)을 흡인하여 상기 분사호스(720)를 통한 상기 소화분말(E)의 분사가 가능하도록 하는 흡인수단(75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관(710)은 상기 본체(210)의 전면 하측에 위치되도록 매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관(710)은 상기 본체(210)의 전면부에 매립되며 후단부가 상기 본체(210)의 내측면과 동일면을 이루는 내부고정관(711) 및 상기 내부고정관(711)의 전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외부고정관(712)을 포함한다.
상기 내부고정관(711)은 상기 본체(210)의 전면부에 매립되며, 상기 외부고정관(712)은 상기 본체(210)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외부고정관(712)은 상기 내부고정관(711)보다 내경이 크게 형성되면서 상기 분사호스(720)의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단막(730)은 외부로부터의 가압에 의해 찢어지면서 상기 고정관(710)을 개방하며, 비닐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분사호스(720)는 후단부가 상기 외부고정관(712)에 나사결합되는 한편, 상기 차단막(730)을 가압하면서 상기 고정관(710)이 개방되도록 하여 상기 본체(210)에 수용된 상기 소화분말(E)이 인입,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분사호스(720)는 전,후단부를 가지며 전단부로 상기 소화분말(E)이 분사되는 호스(721), 상기 호스(721)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관(710)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연결관(722) 및 상기 연결관(72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외부고정관(712)에 나사결합되는 연결링(723)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관(722)은 후단부가 상기 고정관(710)을 통과하여 상기 본체(210)의 내측에 위치되며, 표면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다수의 인입공(722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722)은 후단부가 수직을 이루는 상태를 기준으로 전단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연결관(722)이 상기 고정관(710)으로 인입,결합되면서 상기 차단막(730)을 쉽게 찢을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소화분말(E)의 인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연결관(722)은 외주면에 내측으로 함몰되며 상기 연결링(723)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홈(722b)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분사호스(720)는 상기 연결링(723)만을 조임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고정관(7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 호스(72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연결링(723)이 함께 회전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분리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호스(721)는 후단부가 상기 연결관(722)의 전단부와 클램프(미도시) 등에 의한 가압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분사호스(720)는 평상시 상기 고정관(710)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보관되다 화재 등의 긴급상황 발생시 상기 고정관(710)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분사부(700)는 상기 차단막(730)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외부고정관(712)의 내측으로 나사결합되는 보호캡(7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캡(760)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원기둥 형태를 이루며, 전면부에 인위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회전돌기(76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사호스(720)는 상기 본체(210)의 전면부에 거치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스프링(S2)은 상기 분사호스(720)의 무게보다 강한 탄성력으로 상기 본체(210)를 가압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분사부(700)는 상기 본체(210)의 전면부에 구비되며, 상기 분사호스(720)가 거치되는 거치바(7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밸브(740)는 상기 호스(721)의 전단부에 구비되며 개폐에 따라 상기 분사호스(720)를 통해 상기 소화분말(E)이 분사될 수 있도록 하거나, 차단한다.
상기 흡인수단(750)은 상기 호스(721)에 연결되는 흡인팬(751)을 포함하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분사부(700)는 상기 흡인팬(751)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스위치(78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흡인팬(751) 또는 상기 호스(721)의 전단부 외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상기 분사부(700)는 화재 발생시 상기 호스(721)의 전단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스위치(780)의 조절을 통한 초기 화재진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100 : 하우징 200 : 소화기구
210 : 본체 211 : 배출구
220 : 개폐판 230 : 피스톤
240 : 저장부 300 : 고정장치
31 : 플런저 400 : 감지기구
500 : 제어유닛 600 : 알람기구
700 : 분사부 710 : 고정관
711 : 내부고정관 712 : 외부고정관
720 : 분사호스 721 : 호스
722 : 연결관 722a : 인입공
722b : 체결홈 723 : 연결링
730 : 차단막 740 : 개폐밸브
750 : 흡인수단 751 : 흡인팬
760 : 보호캡 761 : 회전돌기
770 : 거치바 780 : 제어스위치
S1 : 제1스프링 S2 : 제2스프링
C : 콘센트 E : 소화분말

Claims (1)

  1. 전면이 개방되며, 콘센트(C)에 인접되도록 벽면(1)에 매립 설치되는 하우징(100);
    내부에 소화분말(E)이 저장되는 통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100)에 출몰가능하게 장착되며 일측에는 상기 소화분말(E)이 배출되는 배출구(211)가 상기 콘센트(C)의 설치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본체(210)와, 상기 본체(210)의 배출구(211) 둘레면에 힌지결합되어 본체(210)가 하우징(100)의 전방으로 돌출되면 본체(210)의 외측으로 회동되어 배출구(211)를 개방하는 개폐판(220)과, 상기 본체(2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제1스프링(S1)에 의해 가압되어 본체(210) 내부에 저장된 소화분말(E)을 배출구(211) 쪽으로 밀어내는 피스톤(2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본체(210)가 하우징(100)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개폐판(220)이 하우징(100)의 내부면에 걸려 배출구(211)를 막도록 구성된 소화기구(200);
    상기 소화기구(200)에 연결되어 소화기구(200)가 하우징(100)의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가압하는 제2스프링(S2);
    상기 하우징(100)에 구비되어 상기 소화기구(200)가 하우징(100) 내부로 삽입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장치(300);
    상기 벽면(1) 또는 콘센트(C)에 구비되어 화재발생을 감지하는 감지기구(400);
    상기 감지기구(400)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장치(300)를 제어하는 제어유닛(500); 및
    상기 제어유닛(500)에 연결된 알람기구(600)를 포함하는 초기소화효율을 높인 공동주택의 실내 소화장치로써,
    상기 감지기구(400)의 늦은 화재감지 및 상기 고정장치(300)의 미작동에 따른 상기 소화기구(200)의 미돌출 상황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콘센트(C)가 아닌 다른 곳에서의 화재발생시 상기 소화기구(200)가 돌출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소화분말(E)을 사용한 초기 화재진압이 가능하도록 하여 초기소화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분사부(7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분사부(700)는,
    상기 본체(210)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210)의 전면부에 구비되는 고정관(710);
    후단부가 상기 고정관(71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전단부로 상기 소화분말(E)이 분사되는 분사호스(720);
    상기 고정관(710)에 구비되어 외부로의 상기 소화분말(E)의 유출을 차단하며, 비닐로 이루어져 상기 분사호스(720)가 상기 고정관(710)으로 인입 결합됨에 따라 상기 분사호스(720)의 가압에 의해 찢어지면서 상기 소화분말(E)이 상기 분사호스(720)를 통해 배출 가능하도록 하는 차단막(730);
    상기 분사호스(720)에 구비되며, 상기 소화분말(E)의 배출을 조절하는 개폐밸브(740); 및
    상기 소화분말(E)을 흡인하여 상기 분사호스(720)를 통한 상기 소화분말(E)의 분사가 가능하도록 하는 흡인수단(750)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관(710)은,
    상기 본체(210)의 전면부에 매립되며, 후단부가 상기 본체(210)의 내측면과 동일면을 이루는 내부고정관(711); 및
    상기 내부고정관(711)의 전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본체(210)로부터 돌출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외부고정관(712)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호스(720)는,
    전,후단부를 가지며, 전단부로 상기 소화분말(E)이 분사되는 호스(721);
    상기 호스(721)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관(710)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연결관(722); 및
    상기 연결관(72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외부고정관(712)에 나사결합되는 연결링(723)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관(722)은,
    후단부가 수직을 이루는 상태를 기준으로 전단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면서 상기 차단막(730)에 대한 찢음과 함께 상기 소화분말(E)의 인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외주면에 상기 연결링(723)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홈(722b)이 형성되고,
    상기 흡인수단(750)은,
    상기 호스(721)에 연결되는 흡인팬(751)을 포함하며,
    상기 분사부(70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외부고정관(712)으로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차단막(730)을 보호하는 보호캡(760);
    상기 본체(210)의 전면부에 구비되고 상기 분사호스(720)가 거치되는 거치바(770); 및
    상기 흡인팬(751)의 구동을 제어하며, 상기 흡인팬(751) 또는 상기 호스(721)의 전단부 외측에 구비되는 제어스위치(7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사호스(720)는,
    평상시 상기 고정관(710)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보관되다 긴급상황 발생시 상기 보호캡(760)을 상기 외부고정관(712)으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관(710)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소화효율을 높인 공동주택의 실내 소화장치.
KR1020160165065A 2016-12-06 2016-12-06 초기소화효율을 높인 공동주택의 실내 소화장치 KR101786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065A KR101786053B1 (ko) 2016-12-06 2016-12-06 초기소화효율을 높인 공동주택의 실내 소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065A KR101786053B1 (ko) 2016-12-06 2016-12-06 초기소화효율을 높인 공동주택의 실내 소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6053B1 true KR101786053B1 (ko) 2017-10-17

Family

ID=60297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5065A KR101786053B1 (ko) 2016-12-06 2016-12-06 초기소화효율을 높인 공동주택의 실내 소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605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3296B1 (ko) * 1996-07-22 1999-12-01 정석종 휴대용 소화기
JP2004089412A (ja) * 2002-08-30 2004-03-25 Hosho Seisakusho:Kk 連結送水管用送水口装置
KR200383623Y1 (ko) * 2005-02-22 2005-05-06 박호진 산불진화용 등짐펌프
KR100825415B1 (ko) * 2007-10-26 2008-04-29 주식회사 아이비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화재발생 확인용 소방알람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3296B1 (ko) * 1996-07-22 1999-12-01 정석종 휴대용 소화기
JP2004089412A (ja) * 2002-08-30 2004-03-25 Hosho Seisakusho:Kk 連結送水管用送水口装置
KR200383623Y1 (ko) * 2005-02-22 2005-05-06 박호진 산불진화용 등짐펌프
KR100825415B1 (ko) * 2007-10-26 2008-04-29 주식회사 아이비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화재발생 확인용 소방알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5415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 확인용 소방알람장치
KR101824100B1 (ko)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경보시스템
KR101010110B1 (ko) 소화가스 분사기 및 재해경보 시스템
US7817048B2 (en) Fire extinguishing systems and methods
KR101825187B1 (ko) 캐비닛 내부 화재 소화 설비
KR101753062B1 (ko) 위치 알림 소화기
KR102165093B1 (ko) 건축물의 화재감시 소방시스템
KR101856103B1 (ko) 건축물의 화재발생시 소화장치 안내경보시스템
KR101761721B1 (ko) 소화 및 제연기능을 갖춘 소방용 방재장치
KR101720184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소방알림장치
KR20080114473A (ko) 자동 소화장치
KR101786053B1 (ko) 초기소화효율을 높인 공동주택의 실내 소화장치
KR100679675B1 (ko) 소화약재 방출헤드 자동개방장치
KR200400018Y1 (ko) 소화약재 방출헤드 자동개방장치
KR102331467B1 (ko) 서버랙용 자동소화장치 및 그 작동 방법
KR200327645Y1 (ko) 소화기
WO2021036234A1 (zh) 一种碰撞掉电保护系统
KR102134693B1 (ko) 건축물의 전기시설물을 이용하는 누수경보 기능을 갖는 소방펌프가 구비된 소방설비장치
KR101993606B1 (ko) 소화가스 및 스프링클러 겸용 분사헤드 및 이를 이용한 소화시스템
JP2007193683A (ja) 火災告知具、および、それを備えた火災報知システム
KR102379362B1 (ko)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컨트롤장치
KR102409440B1 (ko) 화재 감지와 화재 경보 및 위치 알림 기능을 갖는 멀티 기능 소화 장치
KR101845490B1 (ko)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화재감시장치
KR102004876B1 (ko) 건축물의 전기 장치를 이용한 화재발생 알림 장치
KR101918963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시설 작동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