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0316B1 - 유종 알람장치 - Google Patents

유종 알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0316B1
KR101910316B1 KR1020180003840A KR20180003840A KR101910316B1 KR 101910316 B1 KR101910316 B1 KR 101910316B1 KR 1020180003840 A KR1020180003840 A KR 1020180003840A KR 20180003840 A KR20180003840 A KR 20180003840A KR 101910316 B1 KR101910316 B1 KR 101910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ain body
guide
fire extinguishing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3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용일
Original Assignee
장용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용일 filed Critical 장용일
Priority to KR1020180003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03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0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0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유종 알람장치는, 차량에 부착되어, 주유구가 열릴 때 노출되는 유종 알람장치로서, 상기 주유구의 개폐를 감지하도록 본체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감지부, 상기 개폐에 따라 사용자에게 유종을 안내하도록 상기 알람장치의 본체에 내장되는 음성출력부, 상기 주유구에 인접한 영역에서 열을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제2 감지부 및 상기 주유구 방향으로 소화액을 분사하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종 알람장치{FUEL TYPE ALARM DEVICE}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은 유종 알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차량의 주유구가 개폐됨을 알리는 동시에, 주유구의 영역에서 화재발생 시 소화액을 자동으로 분사시킬 수 있는 유종 알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차량에는 차량 이동에 필요한 연료를 급유받기 위해 연료 주유구가 설치되며, 주유원이 주유기를 차량 주유구에 삽입하여 연료를 급유받게 된다.
이같은 차량은 연료 급유 이외에 차량의 주유구가 차량 외면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유구는 일정깊이 함몰된 위치에 설치되며, 주유구 상단에는 연료캡이 끼워지고 연료캡 외측에는 개폐패널이 설치되어 개폐패널이 주유구를 가리워 차량의 미관을 저해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한편, 주유소에서 차량을 급유할 경우, 화재발생이나 안전상의 이유로 차량의 시동을 끄고 급유해야 하는데, 대부분의 차량 실내에 탑승한 운전자는 차량의 주유구가 개폐되는 상태인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없어, 시동이 걸린 상태로 주유를 하거나 주유구가 개폐되는 지를 지켜본 후 시동을 끄고, 주유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주유원이 실수로 휘발유 차량에 경유를 잘못 주유하거나, 시동이 걸린 차량에 주유를 하는 경우, 발화물질이 주유구 주변에서 화재에 대한 원인이 되는 문제가 되어, 주유구에서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주유구가 개폐됨을 알리는 동시에, 주유구의 영역에서 화재발생 시 소화액을 자동으로 분사시킬 수 있는 유종 알람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차량의 주유구가 개폐됨을 알리는 동시에, 주유구의 영역에서 화재발생 시 소화액을 자동으로 분사시킬 수 있는 유종 알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화부가 가이드부와 상대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차량의 주행 또는 사고 등의 충격 등에 의해 나선형 홈을 따라 분사되도록 위치한 소화부의 각도가 어긋나지 않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유구 주변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상일 때, 로드부를 이동시켜, 탄성부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되게 함으로써, 나선형 홈과 복수의 분사홈이 구비된 가이드부를 통해 소화액을 분산시켜 분사할 수 있기 때문에, 주유시 주유구 주변으로 확산되는 화재 사고를 보다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유종 알람장치는, 차량에 부착되어, 주유구가 열릴 때 노출되는 유종 알람장치로서, 상기 주유구의 개폐를 감지하도록 본체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감지부, 상기 개폐에 따라 사용자에게 유종을 안내하도록 상기 알람장치의 본체에 내장되는 음성출력부, 상기 주유구에 인접한 영역에서 열을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제2 감지부 및 상기 주유구 방향으로 소화액을 분사하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분사부는, 분사액 저장부, 일측이 상기 분사액 저장부의 출구와 연통되고, 내주를 따라 나선형 홈이 형성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일측에 형성되는 소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일측에서 타측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소화액을 분사시키도록 형성된 복수의 분사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소화부는, 상기 가이드부에 대해 상대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소화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상일 때,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본체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는, 상기 소화부에 형성된 걸림부에 삽입되는 로드부가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로드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온도에 따라 상기 걸림부로부터 이동가능 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유종 알람장치는, 차량의 주유구가 개폐됨을 알리는 동시에, 주유구의 영역에서 화재발생 시 소화액을 자동으로 분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화부가 가이드부와 상대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차량의 주행 또는 사고 등의 충격 등에 의해 나선형 홈을 따라 분사되도록 위치한 소화부의 각도가 어긋나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유구 주변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상일 때, 로드부를 이동시켜, 탄성부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되게 함으로써, 나선형 홈과 복수의 분사홈이 구비된 가이드부를 통해 소화액을 분산시켜 분사할 수 있기 때문에, 주유시 주유구 주변으로 확산되는 화재 사고를 보다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차량의 주유구에 부착된 유종 알람장치의 일 예이다.
도 2는 도 1의 분사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가이드부와 소화부가 위치한 일측의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유종 알람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도면도에 표시된 기능들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각각의 기능은 전용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차량의 주유구에 부착된 유종 알람장치의 일 예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유종 알람장치(100)는 주유구(10)가 열릴 때, 외부에 노출되도록 차량(1)의 주유구(10) 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종 알람장치(100)는 제1 감지부(110), 음성출력부(120), 제2 감지부(130) 및 분사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 감지부(110)는 주유구(10)의 개폐를 감지하도록 본체(101)의 일면에 형성되고, 주유구(10)의 개폐될 때, 외부로부터 투과되는 조도를 감지하거나 주유구(10)의 도어로부터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감지부(110)는 주유구(10)의 도어에 초음파 신호를 송신하여 수신된 시간차를 이용하여 주유구(10)의 개폐상태를 감지하거나, 외부로부터 투과되는 조도량에 따라 주유구(10)의 개폐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음성출력부(120)는 주유구(10)의 개폐에 따라 사용자에게 주유에 따른 유종을 안내하도록 본체(101)에 내장되는 스피커일 수 있다.
여기서, 유종이란, 경유, 휘발유, 수소 등과 같은 해당 연료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예컨대, 차량의 연료가 경유에 해당하는 경우, 음성출력부(120)는 제1 감지부(110)를 통해 주유구(10)가 개방된 것으로 감지될 때, 설정된 유종인 경유를 안내하는 멘트를 스피커를 통해 수회 반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음성출력부(120)는 스위치(미도시)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스위치를 통해 입력받을 때, 설정된 유종 예컨대, 경유를 안내하는 멘트를 스피커를 통해 재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스위치(미도시)의 주변 영역에는 유종을 안내하는 식별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성출력부(120)와 스위치(미도시)는 주유원이 예컨대, 경유 차량에 휘발유를 잘못 주유할 수 있는 실수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제2 감지부(130)는 주유구(10)에 인접한 영역에서 열을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열감지센서일 수 있다.
이후, 분사부(140)는 제2 감지부(130)를 통해 감지된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상일 때, 주유구(10) 방향으로 소화액을 분사하도록 본체(101)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분사부를 설명하기 위한 내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분사부(140)는 분사액 저장부(141), 가이드부(143) 및 소화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분사액 저장부(141)는 분사될 소화액이 저장되는 용기일 수 있다.
다음으로, 가이드부(143)는 일측이 분사액 저장부(141)의 출구(142)와 연통되며, 내주를 따라 나선형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출구(142)는 나선형 홈이 시작되는 영역에 위치하여 소화액이 나선형 홈을 따라 분사될 때 와류가 발생하도록 소화부(145)의 중심으로부터 일 측에 치우져 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부(143)는 소화액을 분산시키기 위한 회전동력을 요하는 구성 없이도, 내주를 따라 나선형 홈을 통해 분사액 저장부(151)로부터 전달받는 소화액을 차량 내부로 분산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때, 소화부(145)는 가이드부(143)의 상기 일측에 형성되어, 분사액 저장부(141)에 저장된 소화액을 출구를 통해 가이드부(143)의 나선형 홈을 따라 분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소화부(145)가 분사액 저장부(141)에 저장된 소화액을 출구(142)로 분사시키는 구성들은 일반적인 소화기의 기능에 대한 설명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에 따라, 가이드부(143)는 상기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소화액을 분사시키도록 형성된 복수의 분사홀(146-1~146-N)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분사부(140)는 분사액 저장부(141)로부터 나선형 홈을 따라 복수의 분사홀(146-1~146-N)을 통해 소화액을 주유구(10) 주변에 분산시켜 분사시킬 수 있기 때문에, 주유구(10) 이외의 영역으로 번질 수 있는 화재에 대해 조기진압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화부(14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외벽에 돌출부(147)가 구비되고, 돌출부(147)가 가이드부(143)의 내측에 구비된 회전홈(148)에 체결되어, 가이드부(143)에 대해 상대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147)와 회전홈(148)은 소화부(145)가 탄성에 의해 본체(101)로부터 돌출될 때, 가이드부(143)가 연동되어 돌출되도록 소화부(145)와 가이드부(143)를 적어도 일측에서 연동 결합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본체(101) 내부에는, 본체(101)로부터 소화부(145)가 돌출되도록 일면에 탄성적으로 분사부(140)를 지지하는 탄성부(65)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분사부(140)는 제2 감지부(130)를 통해 기설정된 온도 이상이 감지되면, 본체(101)로부터 소화부(145)가 돌출되도록 본체(101)의 내부의 일면에 탄성부(65)를 통해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본체(110)는, 소화부(145)를 회전구동시키는 모터(미도시)를 더 구비하고, 이때, 제어부(130)는 감지부(120)를 통해 감지된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상일 때, 소화액 분사시 모터(미도시)를 통해 소화부(145)를 회전구동시켜, 이에 가이드부(143)를 상대회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본체(101)는, 소화부(145)에 형성된 걸림부(63, 64)에 삽입되는 로드부(61, 62)가 양측에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로드부(61, 62)는, 제2 감지부(130)를 통해 감지된 온도에 따라 걸림부(63, 64)로부터 이동가능 하게 형성되는 전기식 또는 유압식 실린더의 형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분사부(140)는 감지부(130)를 통해 감지된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상일 때, 로드부(61, 62)를 걸림부(63, 64)로부터 이격되게 이동시켜, 탄성부(65)에 의해 본체(101)로부터 돌출된 가이드부(143)의 나선형 홈을 따라 복수의 분사홀(146-1~146-N)을 통해 분사시킬 수 있기 때문에, 주유시 화재 사고를 보다 신속하게 대응하는 동시에, 넓은 영역으로 확산되는 화재 위험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유종 알람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주유구
100: 유종 알람장치
101: 본체
110: 제1 감지부
120: 음성출력부
130: 제2 감지부
140: 분사부
141: 분사액 저장부
143: 가이드부
145: 소화부

Claims (5)

  1. 차량에 부착되어, 주유구가 열릴 때 노출되는 유종 알람장치로서,
    상기 유종 알람장치는,
    상기 주유구의 개폐를 감지하도록 본체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감지부;
    상기 개폐에 따라 사용자에게 유종을 안내하도록 상기 알람장치의 본체에 내장되는 음성출력부;
    상기 주유구에 인접한 영역에서 열을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제2 감지부; 및
    상기 주유구의 방향으로 소화액을 분사하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분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부는,
    분사액 저장부;
    상기 분사액 저장부의 출구가 내부로 삽입되어 연통되고, 내주를 따라 나선형 홈이 형성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분사액 저장부가 내장되며,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소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소화부가 접한 일측에서 타측까지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복수의 분사홀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분사홀은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소화액을 분사시키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소화부에 대해 상대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나선형 홈은 상기 출구가 위치한 영역에서 상기 분사홀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종 알람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상일 때,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본체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종 알람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소화부에 형성된 걸림부에 삽입되는 로드부가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로드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온도에 따라 상기 걸림부로부터 이동가능 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종 알람장치
KR1020180003840A 2018-01-11 2018-01-11 유종 알람장치 KR101910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840A KR101910316B1 (ko) 2018-01-11 2018-01-11 유종 알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840A KR101910316B1 (ko) 2018-01-11 2018-01-11 유종 알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0316B1 true KR101910316B1 (ko) 2018-10-19

Family

ID=64102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3840A KR101910316B1 (ko) 2018-01-11 2018-01-11 유종 알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03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48019A1 (fr) * 2017-09-10 2019-03-14 Dahmane Smail Dispositif anti-incendie automatique dans la chambre de la trappe de remplissage de carburant des voitures et des vehicul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415B1 (ko) * 2007-10-26 2008-04-29 주식회사 아이비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화재발생 확인용 소방알람장치
KR101382275B1 (ko) 2012-09-21 2014-04-10 주식회사 다이나젠 방폭 및 화재 방지 기능이 구비된 개폐 감지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415B1 (ko) * 2007-10-26 2008-04-29 주식회사 아이비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화재발생 확인용 소방알람장치
KR101382275B1 (ko) 2012-09-21 2014-04-10 주식회사 다이나젠 방폭 및 화재 방지 기능이 구비된 개폐 감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48019A1 (fr) * 2017-09-10 2019-03-14 Dahmane Smail Dispositif anti-incendie automatique dans la chambre de la trappe de remplissage de carburant des voitures et des vehicul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362085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vehicles
EP2660925B1 (en) Battery cover provided with fire extinguishing function
KR101910316B1 (ko) 유종 알람장치
KR20160020234A (ko) 배터리팩 자동 소화 장치 및 방법
KR101510051B1 (ko) 차량의 혼유 방지 시스템
US20090091438A1 (en) System and method of preventing inadvertent check engine telltale
CN108742164A (zh) 一种蒸煮器具的蒸汽阀防漏装结构及蒸煮器具
KR101373131B1 (ko) 엔진룸 화재 자동 소화장치
KR101746304B1 (ko) 차량의 엔진룸 화재 대응 장치
CN104353204A (zh) 一种车用自动灭火装置
KR20210029352A (ko) 차량의 타이어 화재 진압 시스템
KR20230010031A (ko) 주차된 전기자동차의 화재진압장치
KR20120007594A (ko) 휴대용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 분사장치
KR20160040958A (ko) 차량 손상 방지 자동 소화 장치 및 소화 방법
CN203577189U (zh) 灭火系统及包括该系统的挖掘机
KR101313165B1 (ko) 해적 침입 방지 기능을 갖는 선박
KR20150087442A (ko) 건설기계용 환원제 탱크
KR101410520B1 (ko) 혼유사고 방지장치
CN114151608B (zh) 水龙头的出水控制方法
KR101191927B1 (ko) 진동감지를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를 구비한 차량 주유장치
KR102144697B1 (ko) 슈퍼 커패시터를 이용한 차량용 전압안정기와 점프 스타터용 보조배터리
KR20080015659A (ko) 이종연료 투입 방지 시스템 및 방법
US20230021876A1 (en)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of vehicle
CN210933520U (zh) 压裂车油水散热区灭火装置
KR200434821Y1 (ko) 기계에 장착되는 자동 소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