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3660B1 - 통합경보 장치 및 통합경보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합경보 장치 및 통합경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3660B1
KR102603660B1 KR1020210017554A KR20210017554A KR102603660B1 KR 102603660 B1 KR102603660 B1 KR 102603660B1 KR 1020210017554 A KR1020210017554 A KR 1020210017554A KR 20210017554 A KR20210017554 A KR 20210017554A KR 102603660 B1 KR102603660 B1 KR 102603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larm
living space
risk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7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4020A (ko
Inventor
노진석
Original Assignee
노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진석 filed Critical 노진석
Publication of KR20210124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4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3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36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 통합경보 장치는 단위생활공간에 구비되는 전기접속구(세대분전반, 콘센트, 멀티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속되고, 단위생활공간의 위험요소를 측정하는 측정센싱모듈; 상기 측정센셍모듈에서 측정된 데이터와 기설정된 위험 수준정보를 비교하여 위험여부를 판단하는 위험결정부; 상기 위험결정부의 위험 판단에 따라 경보신호를 생성하는 경보생성부; 및 상기 경보신호에 따라 빛 또는 소리를 표출시키는 경보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합경보 장치 및 통합경보 시스템{COMBINATION WARNING APPARUTUS AND COMBINATION WARNING SYSTEM}
본 발명은 통합경보 장치 및 통합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에게 위협이 되는 상황이 많아졌다. 특히, 집안에서도 각종 전자제품, 열원, 가스 사용제품 등이 많이 사용되면서 화재, 유해가스 등 위험 요소가 증가하고 있고, 지구 어디든지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니며, 미세먼지로 인한 호흡기 질환도 최근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이렇게 다양한 위협들을 모두 인지하는 것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안전을 위해서는 보다 빠른 인지가 필요하다. 또한, 집안에서는 위험이 닥치는 경우 주위에 도움을 청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각종 위험 요소를 빠르게 인지하고, 이를 사람들에게 알려 빠른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는 통합경보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사람이 인지하지 못하더라도 위험 요소를 빠르게 인지 및 판단 후 인접한 가정에 알리고, 자동으로 대처가 가능한 통합경보 시스템도 필요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다양한 위험요소를 빠르게 측정하고, 이를 사람들에게 알리는 통합경보 장치 및 통합경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단위생활공간에서 일어나는 위험요소를 인접 단위생활공간에 빨리 알림으로써 빠른 대처가 가능한 통합경보 장치 및 통합경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경보 메시지를 사람이 인지하지 못하더라도, 능동적인 위험 대처가 가능한 통합경보 장치 및 통합경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통합경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경보 장치는 단위생활공간에 구비되는 전기접속구(세대분전반, 콘센트, 멀티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속되고, 단위생활공간의 위험요소를 측정하는 측정센싱모듈; 상기 측정센셍모듈에서 측정된 데이터와 기설정된 위험 수준정보를 비교하여 위험여부를 판단하는 위험결정부; 상기 위험결정부의 위험 판단에 따라 경보신호를 생성하는 경보생성부; 및 상기 경보신호에 따라 빛 또는 소리를 표출시키는 경보출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측정센싱모듈은, 가스의 종류 및 가스의 양을 측정하는 가스센서; 지진의 세기 및 지진의 형태를 측정하는 진동센서; 화재 여부를 측정하는 화재감지센서; 미세먼지의 양을 측정하는 미세먼지센서;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경보 장치는, 상기 측정센싱모듈에서 측정된 데이터, 상기 경보신호를 위험상황과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합경보 장치는, 접속된 상기 전기접속구로부터 구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받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경보 장치는 상기 측정센싱모듈, 위험결정부 및 경보생성부의 데이터를 외부와 무선통신하는 측정통신부; 및 하나 이상이 상기 단위생활공간을 기준으로 매칭되어 상기 측정통신부와 무선 통신으로 접속되고, 상기 측정센싱모듈, 위험결정부 및 경보생성부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단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통합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일 구체예에 따른 통합경보 시스템은 상기 단위생활공간의 집합체인 집합건물 단위로 상기 통합경보 장치를 통합 관리하고, 상기 각각의 단위생활공간의 통합경보 장치와 상기 사용자단말 사이에서 양방향 통신이 이루어지는 관제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정센싱모듈, 위험결정부 및 경보생성부의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단말과 상기 관제서버에 각각 전송되며, 상기 사용자단말과 상기 관제서버 중 어느 하나는, 해당 단위생활공간의 위험요소를 기설정된 범위의 인접 단위생활공간의 통합경보 장치 및 사용자단말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측정센싱모듈, 위험결정부 및 경보생성부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경보시스템에 따르면, 집합건물에서 단위생활공간을 기준으로 단위생활공간별 발생되는 위험요소를 측정하여 사람들에게 신속하게 알려줄 수 있다.
또한, 해당 단위생활공간의 사용자가 휴대하는 사용자단말과의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가 해당 단위생활공간별 위험상황을 실시간 감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측정유닛의 세부 구성 및 사용자단말과의 연계 동작을 통해 경보신호에 따라 단위생활공간을 벗어난 사용자가 단위생활공간에 잔류하는 사용자에게 위험상황을 전파하여 안전사고 및 재난에 대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고처리유닛의 부가 구성 및 사용자단말과의 연계 동작을 통해 경보신호 또는 처리신호에 따라 안전사고 및 재난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제서버를 통해 단위생활공간의 집합체인 집합건물에서의 위험상황을 통합하여 관리 감독할 수 있고, 위험상황이 발생된 해당 단위생활공간에 위험상황을 전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경보생성부 구성을 통해 위험상황을 명확하게 하고, 단위생활공간에서의 안전사고 및 재난에 대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고처리유닛의 부가 구성 및 사고생성부를 포함한 관제서버의 연계 동작을 통해 경보신호 또는 처리신호에 따라 안전사고 및 재난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험상황이 발생되거나, 안전사고 및 재난이 발생했을 때, 주변단말에 통보하고, 골든타임 내에 대피하거나, 이웃의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둑 또는 강도의 침입, 응급환자의 발생 등 위험상황에 포함된 응급 상황에 대응하여 원격으로 이웃의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험상황이 발생되거나, 안전사고 및 재난이 발생했을 때, 전원을 차단하여 화재나 재난에 대한 추가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일러에서 누설되는 가스를 차단하고, 가스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진이 발생했을 때, 단위생활공간에서 발생되는 전기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경보신호에 따라 스프링클러의 출구를 폐쇄함으로써, 스프링클러의 오동작에 따라 소화액에 의해 단위생활공간이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처리신호에 따라 스프링클러의 출구를 개방함으로써, 화재의 초기 진압을 가능하게 하고,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통합경보 장치를 간단히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통합경보 장치의 구성을 간단히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통합경보 장치의 구성을 간단히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통합경보 시스템의 구성을 간단히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통합경보 시스템의 구성을 간단히 도시한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구체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은 여기서 설명되는 구체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여기서 소개되는 구체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 질 줄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출원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각 장치의 구성요소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상기 구성요소의 폭이나 두께 등의 크기를 다소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의 일부만을 도시하기도 하였으나, 당업자라면 구성요소의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전체적으로 도면 설명 시 관찰자 시점에서 설명하였고,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상부에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이는 상기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상부에 또는 하부에 바로 위치하거나 또는 그들 요소들 사이에 추가적인 요소가 개재될 수 있다는 의미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의 사상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복수의 도면들 상에서 동일 부호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기술되는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에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통합경보 장치(10)는 단위생활공간에 구비되는 전기접속구(세대분전반, 콘센트, 멀티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속되고, 단위생활공간의 위험요소를 측정하는 측정센싱모듈(11); 상기 측정센셍모듈(11)에서 측정된 데이터와 기설정된 위험 수준정보를 비교하여 위험여부를 판단하는 위험결정부(15); 상기 위험결정부의 위험 판단에 따라 경보신호를 생성하는 경보생성부(17); 및 상기 경보신호에 따라 빛 또는 소리를 표출시키는 경보출력부(13);를 포함한다.
상기 측정센싱모듈(11)은 가스의 종류 및 가스의 양을 측정하는 가스센서; 지진의 세기 및 지진의 형태를 측정하는 진동센서; 화재 여부를 측정하는 화재감지센서; 미세먼지의 양을 측정하는 미세먼지센서;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들은 통합경보 장치가 구비될 환경 및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 통합경보 장치(10)는 다양한 센서를 포함하여 다양한 위험을 감지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위험 수준정보와 비교하여 위험 여부를 판단하고 경보를 출력함으로써, 단위생활공간에서의 위험을 사람들에게 빠르게 알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 통합경보 장치(10)는 단위생활공간에 구비되는 전기접속구(세대분전반, 콘센트, 멀티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속되어, 접속된 상기 전기접속구로부터 구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받는 것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여행지 숙소로 휴대도 가능하다.
상기 측정센싱모듈(11)의 센서들에서 측정된 데이터들은 상기 위험결정부(15)로 전송된다.
상기 위험결정부(15)는 상기 측정센싱모듈(11)의 센서들에서 측정된 데이터(측정신호)와 기설정된 위험 수준정보를 비교하여 위험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위험 수준정보는 통합경보 장치가 구비될 환경 및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위험결정부(15)의 비교 결과, 상기 측정된 데이터(측정신호)가 기설정된 위험수준정보의 위험 전파 수준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경보생성부(17)에 경보신호 생성을 요청한다.
상기 경보생성부(17)는 상기 위험결정부(15)의 판단에 따라 경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경보출력부(13)는 상기 경보신호에 따라 빛 또는 소리를 표출시킴으로써 사람들에게 위험을 알릴 수 있다.
상기 통합경보 장치(10)는 측정센싱모듈(11), 위험결정부(15), 경보생성부(17), 경보출력부(13), 후술하는 측정통신부(12) 및 표시부(미도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경보 장치는, 상기 측정센싱모듈(11)에서 측정된 데이터, 상기 경보신호를 위험상황과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LCD, LED 및 액정디스플레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통합경보 장치(10)가 구비되는 환경 및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가 상기 통합경보 장치(10)에 구비되는 경우, 이는 일체형 통합경보 장치(1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사항들도 통합경보 장치(10)가 구비되는 환경 및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 및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통합경보 장치(10)는 상기 측정센싱모듈(11), 위험결정부(15) 및 경보생성부(17)의 데이터(및/또는 측정신호)를 외부와 무선통신하는 측정통신부(12)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또한 및 하나 이상이 상기 단위생활공간을 기준으로 매칭되어 상기 측정통신부(12)와 무선 통신으로 접속되고, 상기 측정센싱모듈(11), 위험결정부(15) 및 경보생성부(17)의 데이터(및/또는 측정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단말(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통신부(12)와 상기 사용자단말(20)은 무선통신으로 통신하며, 예를 들어 BLE, LoRa, WiFi, BLE_LoRa, BLE-WiFi, LoRa-LTE, LoRa-BLE 및 BLE-WiFi 등의 방식을 적용할 수 있고, 이는 통합경보 장치(10)가 구비되는 환경 및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단말(20)은 상기 통합경보 장치(10)에서 발생하는 경보출력부(13)의 알람을 직접 인지하지 못하는 환경이나 장소에 있더라도 해당 단위생활공간에서의 위험 상황을 알려줄 수 있으며, 적절한 무선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경우 외부에서도 위험 상황을 인지할 수 있어 능동적이고 빠른 대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 사용자단말(20)은 상기 통합경보 장치(10) 및/또는 후술하는 관제서버(30)과의 무선통신을 위해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경보 장치(10)는 사고생성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사고생성부는 버튼 형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사고생성부는 도둑 또는 강도의 침입, 응급환자의 발생 등 위험상황이 포함된 응급 상황 시 작동시킴(예를 들어, 버튼 누름)으로써, 외부에 있는 사용자단말(20), 관제서버(30)를 통한 인접 단위생활공간(2)의 통합경보 장치(10) 및/또는 인접 단위생활공간(2)에 대응되는 사용자단말(20)로 위험 상황을 알림으로써, 원경으로 이웃의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 통합경보 장치(10)는 사고처리유닛(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 참조)
상기 사고처리유닛(50)은 각종 전자제품의 전기접속부와 전기접속 여부, 보일러의 전기접속 여부, 가스밸브 개패 여부, 소방제품의 작동 여부 등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스위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고처리유닛(50)은 위험결정부(15)의 위험 판단에 따라 통합경보 장치(10) 및 관제서버(30) 중 하나로부터 전송 받는 신호에 의해 전자제품의 전기접속을 해제하거나, 보일러의 전기접속을 해제하거나, 가스밸브를 잠그거나, 소방제품을 작동시키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신호는 위험 상황에 따라 각각 다른 신호를 사고처리유닛(50)으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스위치는 상기 신호에 따라 전자제품, 보일러, 가스밸브 및/또는 소방제품의 접속,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방제품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소화액이 분사되도록 상기 단위생활공간의 천장에 분할 지정된 방호구역에 각각 배치되는 스프링클러; 열에 의해 녹거나 파손되는 감열체로 상기 스프링클러의 출구를 폐쇄하는 헤드; 상기 스프링클러를 기준으로 상기 헤드를 탄성 가압하는 코일; 상기 스프링클러의 출구가 개폐되도록 상기 스프링클러의 출구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부재; 및 상기 개폐부재를 동작시키는 개폐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스위치는 상기 신호에 따라 개방된 상태의 상기 스프링클러의 출구를 폐쇄하거나, 상기 신호에 따라 폐쇄된 상태의 상기 스프링클러의 출구를 개방하도록 상기 개폐부재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연계 동작을 통해 안전사고 및 재난의 확산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통합경보 시스템(100)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인 통합경보 시스템(100)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통합경보 시스템의 구성을 간단히 도시한 블럭도이다.
본 발명 일 구체예에 따른 통합경보 시스템(100)은 상기 단위생활공간(1, 2)의 집합체인 집합건물 단위로 상기 통합경보 장치(10)를 통합 관리하고, 상기 각각의 단위생활공간(1, 2)의 통합경보 장치(10)와 상기 사용자단말(20) 사이에서 양방향 통신이 이루어지는 관제서버(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정센싱모듈(11), 위험결정부(15) 및 경보생성부(17)의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단말(20)과 상기 관제서버(30)에 각각 전송되며, 상기 사용자단말(20)과 상기 관제서버(30) 중 어느 하나는, 해당 단위생활공간(1, 2)의 위험요소를 기설정된 범위의 인접 단위생활공간(1, 2)의 통합경보 장치(10) 및 사용자단말(20)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측정센싱모듈(11), 위험결정부(15) 및 경보생성부(17)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해당 위험결정부(15)에서 판단되는 위험 상황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도면 3 및 도 4에서는 설명을 위해 두 단위생활공간(1, 2)만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지진, 화재 및 가스 누출에 의한 폭발은 해당 단위생활공간(1)뿐만 아니라 인접한 단위생활공간에도 큰 영향을 미치지만, 위험 상황을 인지할 때까지는 시간이 소요된다. 이러한 위험들은 촉각을 다투는 위험 상황이므로, 최대한 빠른 대피가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안이다.
본 발명 통합경보 시스템(100)은 하나의 단위생활공간(1)에서 발생하는 위험 상황을 관제서버(30)를 통해 기설정된 다른 단위생활공간(2)의 통합경보 장치(10) 및 사용자단말기(20)로도 측정신호 및/또는 측정된 데이터를 위험상황과 함께 전송함으로써, 빠른 대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특히, 사람이 없는 단위생활공간(1)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인접 단위생활공간(2)에서 위험 상황을 인지하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리는데, 본 발명의 통합경보 시스템(100)을 적용하는 경우 즉각 인접 단위생활공간(2)에서 위험 상황을 인지할 수 있으므로 집합건물 전체의 빠른 대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 관제서버(30)는 상기 단위생활공간의 집합체인 집합건물 단위로 상기 통합경보 장치를 통합 관리하고, 상기 각각의 단위생활공간의 통합경보 장치와 상기 사용자단말 사이에서 양방향 통신이 이루어 진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단위생활공간(1)의 측전센싱모듈(11)에서 수집된 측정 데이터(측정신호)가 위험결정부(15)가 기설정된 위험 수준정보와 비교하여 위험 상황으로 판단되면, 경보생성부(17)는 경보를 생성하고, 경보출력부(13)는 빛 또는 소리를 표출시킴과 동시에 측정통신부(12)는 사용자단말(20) 및/또는 관제서버(30)로 상기 측정센싱모듈(11), 위험결정부(15) 및 경보생성부(17)의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관제서버(30)로 전송된 상기 데이터들은 다시 기설정된 인접 단위생활공간(2)에 대응되는 통합경보 장치(10) 및/또는 인접 단위생활공간(2)에 대응되는 사용자단말(20)로 해당 데이터들을 위험 상황과 함께 전송한다. 이로써, 빠른 시간 안에 많은 사람들이 능동적이고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관제서버(30)는 수집된 데이터를 각각의 단위생활공간 단위로 저장할 수 있고, 수집 데이터(측정신호)의 평균이 전체 평균에 비해 위험으로 판단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 구체적으로 측정량이 평균의 10%를 초과하여 벗어나는 경우, 해당 단위생활공간의 안전을 전체적으로 점검하여 재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일 예로, 통합경보 장치(10)는 단위생활공간(1) 내의 전기접속부에 구비될 수 있고, 전기접속부에 간단하게 결합 가능하므로 이동 시 휴대하여 여행지 등의 숙소에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위험 상황이 발생하면, 통합경보 장치(10) 측정센싱모듈(11)의 센서들이 해당 데이터들(측정신호)을 수집하고, 위험결정부(15)는 수집된 데이터들(측정신호)을 기설정된 위험 수준정보와 비교하여 위험 여부 및 위험 종류를 판단한다.
상기 위험결정부(15)의 위험 판단에 따라 상기 경보생성부(17)는 경보신호를 생성하고, 경보출력부(13)는 빛 또는 소리를 표출 시켜 사람들에게 알린다. 또한,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는 표시부에 상기 데이터들(측정신호)과 함께 위험상황을 함께 표시됨으로써 사람들은 눈으로도 위험을 확인 가능하다.
또한, 상기 위험결정부(15)의 위험 판단에 따라 상기 측정통신부(12)는 사용자단말(20)로 측정센싱모듈, 위험결정부 및 경보생성부의 데이터들(측정신호)을 위험상황과 함께 전송할 수 있고, 상기 관제서버(30)로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관제서버(30)는 상기 위험 상황을 기설정된 인접 단위생활공간(2)의 통합경보 장치(10) 및/또는 인접 단위생활공간(2)에 대응되는 사용자단말(20)로 측정센싱모듈, 위험결정부 및 경보생성부의 데이터들(측정신호)을 위험상황과 함께 전송하여, 많은 사람들이 능동적이고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토록 할 수 있다.
상기 통합경보 장치(10) 및/또는 관제서버(30)는 상기 위험상황을 사고처리유닛(50)으로도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사고처리유닛(50)의 제어스위치는 전송 받은 신호에 따라 상기 위험상황에 맞게 전자제품의 전기접속을 해제하거나, 보일러의 전기접속을 해제하거나, 가스밸브를 잠그거나, 소방제품을 작동시키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1, 2: 단위생활공간 10: 통합경보 장치
11: 측정센싱모듈 12: 측정통신부
13: 경보출력부 15: 위험결정부
17: 경보생성부 20: 사용자단말
30: 관제서버 50: 사고처리유닛
100: 통합경보 시스템

Claims (6)

  1. 단위생활공간에 구비되는 전기접속구(세대분전반, 콘센트, 멀티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속되어 접속된 상기 전기접속구로부터 구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받고,
    단위생활공간의 위험요소를 측정하는 측정센싱모듈; 상기 측정센싱모듈에서 측정된 데이터와 기설정된 위험 수준정보를 비교하여 위험여부를 판단하는 위험결정부; 상기 위험결정부의 위험 판단에 따라 경보신호를 생성하는 경보생성부; 상기 경보신호에 따라 빛 또는 소리를 표출시키는 경보출력부; 상기 측정센싱모듈에서 측정된 데이터, 상기 경보신호를 위험상황과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상기 측정센싱모듈, 위험결정부 및 경보생성부의 데이터를 외부와 무선통신하는 측정통신부; 및 하나 이상이 상기 단위생활공간을 기준으로 매칭되어 상기 측정통신부와 무선 통신으로 접속되고, 상기 측정센싱모듈, 위험결정부 및 경보생성부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측정센싱모듈은,
    가스의 종류 및 가스의 양을 측정하는 가스센서; 지진의 세기 및 지진의 형태를 측정하는 진동센서; 화재 여부를 측정하는 화재감지센서; 미세먼지의 양을 측정하는 미세먼지센서;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통합경보 장치이고,
    상기 통합경보 장치는, 상기 단위생활공간의 집합체인 집합건물 단위로 상기 통합경보 장치를 통합 관리하고, 상기 각각의 단위생활공간의 통합경보 장치와 상기 사용자단말 사이에서 양방향 통신이 이루어지는 관제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정센싱모듈, 위험결정부 및 경보생성부의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단말과 상기 관제서버에 각각 전송되며,
    상기 사용자단말과 상기 관제서버 중 어느 하나는, 해당 단위생활공간의 위험요소를 기설정된 범위의 인접 단위생활공간의 통합경보 장치 및 사용자단말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측정센싱모듈, 위험결정부 및 경보생성부의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통합경보 장치는,
    응급 상황 시 사용자의 작동으로 사용자단말, 상기 관제서버를 통한 인접 단위생활공간의 통합경보 장치 및 상기 인접 단위생활공간의 통합경보 장치와 대응되는 사용자단말로 상기 응급 상황을 알리는 사고생성부; 및 통합경보 장치 및 관제서버 중 하나로부터 전송 받는 신호에 의해 전자제품의 전기접속 여부, 보일러의 전기접속 여부, 가스밸브 개폐 여부, 소방제품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스위치를 구비하는 사고처리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소방제품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소화액이 분사되도록 상기 단위생활공간의 천장에 분할 지정된 방호구역에 각각 배치되는 스프링클러; 열에 의해 녹거나 파손되는 감열체로 상기 스프링클러의 출구를 폐쇄하는 헤드; 상기 스프링클러를 기준으로 상기 헤드를 탄성 가압하는 코일; 상기 스프링클러의 출구가 개폐되도록 상기 스프링클러의 출구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부재; 및 상기 개폐부재를 동작시키는 개폐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스위치는 상기 신호에 따라 개방된 상태의 상기 스프링클러의 출구를 폐쇄하거나, 상기 신호에 따라 폐쇄된 상태의 상기 스프링클러의 출구를 개방하도록 상기 개폐부재의 동작을 제어하는 통합경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10017554A 2020-04-03 2021-02-08 통합경보 장치 및 통합경보 시스템 KR1026036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172 2020-04-03
KR20200041172 2020-04-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4020A KR20210124020A (ko) 2021-10-14
KR102603660B1 true KR102603660B1 (ko) 2023-11-17

Family

ID=78151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7554A KR102603660B1 (ko) 2020-04-03 2021-02-08 통합경보 장치 및 통합경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366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2785B1 (ko) * 2017-09-20 2018-06-07 ㈜아임시스템 실내 유해물질 및 안전사고 감지장치 및 그 시스템
KR101902958B1 (ko) * 2018-05-03 2018-10-01 동양비엠에스(주) 인공지능 모듈형 복합센서
KR102038559B1 (ko) * 2013-03-14 2019-10-30 구글 엘엘씨 스마트 감지 홈의 보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8559B1 (ko) * 2013-03-14 2019-10-30 구글 엘엘씨 스마트 감지 홈의 보안
KR101852785B1 (ko) * 2017-09-20 2018-06-07 ㈜아임시스템 실내 유해물질 및 안전사고 감지장치 및 그 시스템
KR101902958B1 (ko) * 2018-05-03 2018-10-01 동양비엠에스(주) 인공지능 모듈형 복합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4020A (ko) 2021-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00552A1 (en) Fire containment system, devices and methods for same and for firefighting systems
US10726700B2 (en) Modular carbon monoxide poisoning prevention system
KR101728521B1 (ko) 실시간 소방 화재 감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101842790B1 (ko) 지능형 자동소화발사기
KR101828994B1 (ko) 지능형 통합 방재 시스템 및 방법
KR101703190B1 (ko) 구획 공간을 구비하는 건물 내 통합 화재 관리 방법
CN108780598A (zh) 用于无线灾害火灾探测和犯罪预防的具有便携式灯的社会安全网络系统
KR101439860B1 (ko) 실시간 화재 감지 시스템 및 그 감지 방법
JP2007280167A (ja) 空気調和機
JP5906554B2 (ja) 火災映像監視記録及び公共安全監視制御可能な火災検知システム
JP7376162B2 (ja) 人工知能連動知能型災難安全管理方法およびこのような方法を遂行するシステム
KR102172697B1 (ko) 화학물질 또는 가스 공급시스템에 구성되는 다중화된 자동 소화 시스템
WO2004038826A9 (en) Cordless/wireless automatic detection and suppression system
KR102035764B1 (ko)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전원 컨트롤러장치
CN111311871A (zh) 一种防盗型智能消防柜及其智能消防处理方法
KR20160010896A (ko) 스마트 문화재 소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auda et al. Arduino based fire detection and control system
KR101807265B1 (ko) 지진 감지가 가능한 소방 방재 시스템
KR20130059248A (ko) 자동 소화 시스템
KR102603660B1 (ko) 통합경보 장치 및 통합경보 시스템
KR20070085192A (ko) 이산화탄소(또는 청정소화약제) 소화설비 원격제어 시스템
KR102409440B1 (ko) 화재 감지와 화재 경보 및 위치 알림 기능을 갖는 멀티 기능 소화 장치
KR20170093597A (ko) 소방용 cctv 시스템
TW201926269A (zh) 廚房狀態警示方法及廚房狀態警示系統
KR101722090B1 (ko) 전기밀폐공간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