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3734A - 영상정보를 이용하는 복합형 화재감지기 - Google Patents

영상정보를 이용하는 복합형 화재감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3734A
KR20140003734A KR1020120068512A KR20120068512A KR20140003734A KR 20140003734 A KR20140003734 A KR 20140003734A KR 1020120068512 A KR1020120068512 A KR 1020120068512A KR 20120068512 A KR20120068512 A KR 20120068512A KR 20140003734 A KR20140003734 A KR 20140003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detection sensor
image
occurred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8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한
Original Assignee
(주)케이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엠에스 filed Critical (주)케이엠에스
Priority to KR1020120068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3734A/ko
Publication of KR20140003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7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Fire Alarms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화재감지센서뿐만 아니라 영상촬영장치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분석한 후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잘못된 화재경보 발생의 감소가 가능한 영상정보를 이용하는 복합형 화재감지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정보를 이용하는 복합형 화재감지기는 화재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화재감지센서(200); 화재 현장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구성된 영상촬영장치(300); 및 상기 화재감지센서(200)와 영상촬영장치(30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분석한 후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400);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화재감지센서뿐만 아니라 영상촬영장치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분석한 후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잘못된 화재경보가 발생되는 것을 감소할 수 있고, 잘못된 화재경보에 의해서 화재감지기에 연계된 소화장치가 작동함으로써 생산설비나 시설물이 파손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정보를 이용하는 복합형 화재감지기{FIRE DETECTOR USING IMAGE INFROMATION}
본 발명은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감지센서뿐만 아니라 영상촬영장치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분석한 후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잘못된 화재경보 발생의 감소가 가능한 영상정보를 이용하는 복합형 화재감지기에 관한 것이다.
화재감지기는 화재가 발생한 경우 이를 감지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화재감지는 경보장치에 연결되어 화재가 발생하였음이 감지되면 경보장치를 통해 외부에 이를 알릴 수 있다. 그리고, 화재감지기는 소화장치에 연결되어 화재가 발생하였음이 감지되면 소화장치를 작동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도 있다.
화재감지기는 화재 발생시의 열이나 연기 또는 불꽃 등을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화재가 발생하여 열이나 연기 또는 불꽃이 발생하면 이를 감지하여 전술한 경보장치나 소화장치에 전기신호를 보내도록 구성된다.
종래, 이러한 화재감지기는 부품의 파손이나 노후 등에 따른 오작동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음에도 화재감지기에 연결된 전술한 경보장치나 소화장치가 작동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화재감지기의 오작동으로 인해 소화장치가 작동되는 경우에는, 분말형태나 액체형태의 소화약제가 분사되기 때문에 생산설비나 시설물이 파손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화재 현장을 직접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기가 어렵고 원격지의 화재를 정밀하게 감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화재감지기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잘못된 화재경보가 발생되는 것을 감소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잘못된 화재경보에 의해서 화재감지기에 연계된 소화장치가 작동함으로써 생산설비나 시설물이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영상정보를 이용하는 복합형 화재감지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화재감지센서뿐만 아니라 영상촬영장치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분석한 후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영상정보를 이용하는 복합형 화재감지기는 화재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화재감지센서; 화재 현장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구성된 영상촬영장치; 및 화재감지센서와 영상촬영장치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분석한 후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화재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와 영상촬영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각각 별도로 분석하여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한 후 이를 종합하여 최종으로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화재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제1판단부; 영상촬영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제2판단부; 및 제1판단부와 제2판단부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화재발생여부를 최종으로 판단하는 최종판단부;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재감지센서와 영상촬영장치 및 제어부는 동일 케이스에 함께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재감지센서와 영상촬영장치 및 제어부는 집적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재감지센서는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센서와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센서 및 불꽃을 감지하는 불꽃감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감지센서는 차동식 열감지센서 또는 정온식 열감지센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기감지센서는 전자파를 조사하는 발광부와 발광부에서 조사된 전자파를 수신하는 수광부를 포함하며, 연기 입자에 의한 전자파의 산란정도를 수광부에서 측정하여 연기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불꽃감지센서는 자외선과 적외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외부에 화재가 발생했음을 알리는 경보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영상촬영장치는 촬영된 영상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화재감지센서뿐만 아니라 영상촬영장치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분석한 후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잘못된 화재경보가 발생되는 것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잘못된 화재경보에 의해서 화재감지기에 연계된 소화장치가 작동함으로써 생산설비나 시설물이 파손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촬영장치에서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서 볼 수 있기 때문에, 원격지의 화재를 정밀하게 감시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화재 현장의 영상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고, 화재가 발생했음을 사용자의 육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초기 화재 진압이 용이할 수 있으며 잘못된 화재경보인지 여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정보를 이용하는 복합형 화재감지기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정보를 이용하는 복합형 화재감지기의 일실시예를 사용하여 화재를 감지하고 소화(消火)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것을 나타내는 순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영상정보를 이용하는 복합형 화재감지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화재감지센서뿐만 아니라 영상촬영장치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분석한 후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정보를 이용하는 복합형 화재감지기(100)는 화재감지센서(200)와, 영상촬영장치(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화재감지센서(200)는 화재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화재감지센서(200)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열감지센서(210)와, 연기감지센서(220) 및, 불꽃감지센서(2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화재감지센서(200)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화재를 감지하는 센서라면 어떠한 센서로도 구성될 수 있다.
화재감지센서(200)에 포함되는 열감지센서(210)는 열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열감지센서(210)는 예컨대, 외부의 열에 의해 센서 내부가 열팽창 되며 팽창된 부분의 접점이 붙어서 열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차동식 열감지센서일 수 있다. 또한, 열감지센서(210)는 센서 내부에 바이메탈이 내장되어 있어서 소정 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바이메탈의 접점이 붙게 되어 열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정온식 열감지센서일 수도 있다.
그러나, 열감지센서(210)는 전술한 차동식 열감지센서나 정온식 열감지센서에 한정되지 않고, 열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화재감지센서(200)에 포함될 수 있는 연기감지센서(220)는 연기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연기감지센서(220)는 적외선 등의 전자파를 조사하는 발광부와 발광부에서 조사된 전자파를 수신하는 수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연기감지센서(220)에서는 연기 입자에 의한 전자파의 산란정도를 수광부에서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광부에서 측정한 전자판의 산란정도를 연기, 예컨대 연기의 농도로 환산하여 연기를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연기감지센서(22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연기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그리고, 화재감지센서(200)에 포함될 수 있는 불꽃감지센서(230)는 불꽃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불꽃감지센서(230)는 자외선과 적외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불꽃감지센서(230)는 0.18㎛ 내지 0.26㎛ 대역의 자외선이나 3㎛ 내지 5㎛ 대역의 적외선 센서를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불꽃감지센서(230)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불꽃을 감지하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영상촬영장치(300)는 화재 현장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영상촬영장치(300)는 가시광 카메라모듈일 수 있다. 이러한 가시광 카메라모듈은 초소형일 수 있고, VGA(Video Graphics Array)급 CCD(Chare Coupled Device)모듈을 적용할 수 있으며, 어두운 환경의 저조도 문제와 불꽃 발생시 백화현상이 제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영상촬영장치(30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영상촬영장치(300)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7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영상촬영장치(300)에서 촬영된 영상은 디스플레이장치(700)를 통해 보여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700)는 예컨대, 영상을 녹화할 수 있는 DVR(Digital Video Recorder)일 수 있다. 그러나, 영상촬영장치(300)에 연결되는 디스플레이장치(70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영상촬영장치(300)에 연결되어 촬영된 영상을 볼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영상촬영장치(300)에서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장치(700)에 의해서 볼 수 있기 때문에, 원격지의 화재를 정밀하게 감시할 수 있다. 그리고, 화재가 발생한 화재 현장의 영상을 사용자가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재가 발생했음을 사용자의 육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초기 화재 진압이 용이할 수 있으며, 잘못된 화재경보인지 여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화재감지센서(200)와 영상촬영장치(300) 및 제어부(400)는 동일 케이스(도시되지 않음)에 함께 내장될 수 있다. 또한, 화재감지센서(200)와 영상촬영장치(300) 및 제어부(400)는 집적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화재감지센서(200)와 영상촬영장치(300) 및 제어부(400)는 인쇄회로기판(도시되지 않음)에 집적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화재감지센서(200)와 영상촬영장치(300) 및 제어부(400)가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제어부(400)는 화재감지센서(200)와 영상촬영장치(30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400)는 화재감지센서(200)와 영상촬영장치(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화재감지센서(200)와 영상촬영장치(300)로부터 전기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달받을 수, 즉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00)에서는 전달받은, 즉 수신한 신호를 분석한 후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400)는 열감지센서(210)나 연기감지센서(220) 또는 불꽃감지센서(230) 등의 화재감지센서(200)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와 영상촬영장치(300)에서 전달받은 신호를 분석하여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어부(400)는 마이크로칩이나 마이크로컴퓨터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화재감지센서(200)와 영상촬영장치(300)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바탕으로 마이크로칩이나 마이크로컴퓨터칩에서 미리 지정된 연산 조건에 의해서 연산한 후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제어부(40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화재감지센서(200)와 영상촬영장치(30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분석한 후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화재감지센서(200)뿐만 아니라 영상촬영장치(30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분석한 후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하기 때문에, 잘못된 화재경보가 발생되는 것이 감소할 수 있다. 즉, 화재감지센서(200)에서 잘못된 신호를 받는다고 하더라도 영상촬영장치(30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분석하여 잘못된 화재경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영상촬영장치(300)로부터 잘못된 신호를 받는다고 하더라도 화재감지센서(20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분석하여 잘못된 화재경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잘못된 화재경보가 발생되는 것이 감소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이러한 제어부(400)는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장치(5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400)에서 화재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소화장치(500)가 구동되도록 하여 화재를 소화(消火)시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이러한 소화장치(50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화재를 소화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예컨대 분말형태나 액체형태의 소화약제를 화재장소에 분사하는 구성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400)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경보장치(600)에도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400)에서 화재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400)는 경보장치(600)를 통해 외부에 화재가 발생했음을 알릴 수 있다. 경보장치(60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외부에 화재가 발생했음을 알릴 수 있는 구성이라면 알람이나 사이렌 또는 경광등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제어부(400)에서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감지센서(200)로부터 전달받은, 즉 수신된 신호와 영상촬영장치(30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각각 별도로 분석하여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한 후 이를 종합하여 최종으로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어부(400)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판단부(410), 제2판단부(420) 및, 최종판단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판단부(410)는 화재감지센서(20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1판단부(410)는 화재감지센서(200)에 포함되는 센서들, 예컨대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열감지센서(210)와 연기감지센서(220) 및 불꽃감지센서(2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이러한 센서들 중 하나 이상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의 상황, 예컨대 열감지센서(210)에서 소정 온도 이상의 열이 감지되거나 연기감지센서(220)에서 소정 농도 이상의 연기가 감지되거나 또는 불꽃감지센서(230)에서 불꽃이 감지되면, 제1판단부(410)에서는 이들의 신호를 전달받아 분석한 후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판단부(41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화재감지센서(20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전술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칩이나 마이크로컴퓨터칩을 포함하여 수신된 신호를 미리 지정된 연산 조건에 의해서 연산하여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제2판단부(420)는 영상촬영장치(30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2판단부(420)는 영상촬영장치(30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영상촬영장치(300)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를 분석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영상촬영장치(300)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수신된 영상신호에서 불꽃과 연기의 패턴을 비교 분석하여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제2판단부(42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영상촬영장치(300)에 연결되며 마이크로칩이나 마이크로컴퓨터칩을 포함하여 수신된 신호를 미리 지정된 연산 조건에 의해서 연산하여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하는 등, 영상촬영장치(300)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최종판단부(430)는 제1판단부(410)와 제2판단부(42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화재발생여부를 최종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최종판단부(430)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판단부(410)와 제2판단부(42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예컨대 제1판단부(410)와 제2판단부(420) 모두에서 화재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된 경우에만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최종판단부(43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제1판단부(410)와 제2판단부(420)에 연결되며 제1판단부(410)와 제2판단부(42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화재발생여부를 최종으로 판단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마이크로칩이나 마이크로컴퓨터칩을 포함하여 수신된 신호를 미리 지정된 연산 조건에 의해서 연산하여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하는 등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정보를 이용하는 복합형 화재감지기를 사용하면, 화재감지센서뿐만 아니라 영상촬영장치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분석한 후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잘못된 화재경보가 발생되는 것을 감소할 수 있으며, 잘못된 화재경보에 의해서 화재감지기에 연계된 소화장치가 작동함으로써 생산설비나 시설물이 파손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영상촬영장치에서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서 볼 수 있기 때문에, 원격지의 화재를 정밀하게 감시할 수 있으며, 화재 현장의 영상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고, 화재가 발생했음을 사용자의 육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초기 화재 진압이 용이할 수 있으며 잘못된 화재경보인지 여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영상정보를 이용하는 복합형 화재감지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화재감지기 200 : 화재감지센서
210 : 열감지센서 220 : 연기감지센서
230 : 불꽃감지센서 300 : 영상촬영장치
400 : 제어부 410 : 제1판단부
420 : 제2판단부 430 : 최종판단부
500 : 소화장치 600 : 경보장치
700 : 디스플레이장치

Claims (12)

  1. 화재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화재감지센서(200);
    화재 현장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구성된 영상촬영장치(300); 및
    상기 화재감지센서(200)와 영상촬영장치(30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분석한 후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400);
    를 포함하여 구성된 영상정보를 이용하는 복합형 화재감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화재감지센서(200)로부터 수신된 신호와 상기 영상촬영장치(30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각각 별도로 분석하여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한 후 이를 종합하여 최종으로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를 이용하는 복합형 화재감지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화재감지센서(20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제1판단부(410);
    상기 영상촬영장치(30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제2판단부(420); 및
    상기 제1판단부(410)와 제2판단부(42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화재발생여부를 최종으로 판단하는 최종판단부(4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를 이용하는 복합형 화재감지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센서(200)와 영상촬영장치(300) 및 제어부(400)는 동일 케이스에 함께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를 이용하는 복합형 화재감지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센서(200)와 영상촬영장치(300) 및 제어부(400)는 집적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를 이용하는 복합형 화재감지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센서(200)는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센서(210)와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센서(220) 및 불꽃을 감지하는 불꽃감지센서(2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를 이용하는 복합형 화재감지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열감지센서(210)는 차동식 열감지센서 또는 정온식 열감지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를 이용하는 복합형 화재감지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기감지센서(220)는 전자파를 조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된 전자파를 수신하는 수광부를 포함하며,
    연기 입자에 의한 전자파의 산란정도를 상기 수광부에서 측정하여 연기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를 이용하는 복합형 화재감지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불꽃감지센서(230)는 자외선과 적외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를 이용하는 복합형 화재감지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0)는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장치(50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를 이용하는 복합형 화재감지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0)는 외부에 화재가 발생했음을 알리는 경보장치(60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를 이용하는 복합형 화재감지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촬영장치(300)는 촬영된 영상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장치(70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를 이용하는 복합형 화재감지기.
KR1020120068512A 2012-06-26 2012-06-26 영상정보를 이용하는 복합형 화재감지기 KR201400037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8512A KR20140003734A (ko) 2012-06-26 2012-06-26 영상정보를 이용하는 복합형 화재감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8512A KR20140003734A (ko) 2012-06-26 2012-06-26 영상정보를 이용하는 복합형 화재감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734A true KR20140003734A (ko) 2014-01-10

Family

ID=50140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8512A KR20140003734A (ko) 2012-06-26 2012-06-26 영상정보를 이용하는 복합형 화재감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373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940B1 (ko) * 2016-10-31 2017-04-11 주식회사 천아엔지니어링 다목적 소방 화재 경보기
KR102026434B1 (ko) * 2018-04-19 2019-11-04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분석을 통한 화재 오탐률 최소화 시스템
KR102242698B1 (ko) * 2021-02-08 2021-04-22 (주)한승이엔씨 공동주택 전기의 안전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940B1 (ko) * 2016-10-31 2017-04-11 주식회사 천아엔지니어링 다목적 소방 화재 경보기
KR102026434B1 (ko) * 2018-04-19 2019-11-04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분석을 통한 화재 오탐률 최소화 시스템
KR102242698B1 (ko) * 2021-02-08 2021-04-22 (주)한승이엔씨 공동주택 전기의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6704B2 (en) Imaging fire detector
KR101993660B1 (ko) 화재감지 및 화재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KR101070340B1 (ko) 도시철도의 화재 감지 시스템
CN106657898B (zh) 用于已验证的威胁检测的系统和方法
CN105844209B (zh) 基于红外辐射探测的访客识别
TW200837662A (en) Heat-ray sensor
KR101863530B1 (ko) 가시광 및 적외선 열화상 이미지를 이용한 화재 예측 보전시스템
GB2472728A (en) Fire detector device and method for fire detection
US11615699B2 (en) Smoke detector availability test
CN103257032A (zh) 用于测试传感器阵列中的像素性能的系统
JP7070844B2 (ja) ガス検知システム
CN203630902U (zh) 一种改进型图像火灾探测器
US6818893B2 (en) Fire detection sensors
JP5151594B2 (ja) 物体検知装置
KR20140003734A (ko) 영상정보를 이용하는 복합형 화재감지기
CN111739251A (zh) 一种火源探测及定位系统、方法
JP2010256194A (ja) 侵入検知装置
CN106056832A (zh) 基于图像型火灾探测器报警系统
KR101413575B1 (ko) 열화상 카메라와 분석처리유닛을 수납할 수 있는 일체형 케이스
KR101379032B1 (ko) 선박감시장치 및 선박감시방법
KR101256452B1 (ko) 산불 감시 시스템 및 방법
JP2009284224A (ja) 赤外線撮像装置
JPH09293185A (ja) 対象検知装置および対象検知方法および対象監視システム
KR101799334B1 (ko) 적외선 광원을 활용한 벽 소실 및 칩임 감지 센서부 및 이를 이용한 침입 감지 방법
KR102659818B1 (ko) IoT 기반 열화진단 기능과 블랙박스 영상 저장기능을 갖춘 배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