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2993B1 -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전기공급 아웃렛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전기공급 아웃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2993B1
KR101402993B1 KR1020140024136A KR20140024136A KR101402993B1 KR 101402993 B1 KR101402993 B1 KR 101402993B1 KR 1020140024136 A KR1020140024136 A KR 1020140024136A KR 20140024136 A KR20140024136 A KR 20140024136A KR 101402993 B1 KR101402993 B1 KR 101402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power line
unit
receptacl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4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상진
Original Assignee
(주)덕원기술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덕원기술사 filed Critical (주)덕원기술사
Priority to KR1020140024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29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2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2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2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xcess current as well as by some other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01R13/748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one or more screw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02G3/121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plain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면에 매설되는 통상의 콘센트의 전면부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 가능한 도어를 설치하여 평상시 콘센트의 노출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전기공급 아웃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벽면 내벽으로 매립되는 박스체와, 상기 박스체에 나사로 체결되는 보강패널과, 상기 보강패널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전면에 플러그 삽입공이 형성된 콘센트와, 상기 박스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콘센트의 전면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기 위한 도어가 장착되어 있는 가이드패널과, 상기 도어가 노출되지 않도록 가이드패널의 전면부에 장착되는 마감커버와, 상기 콘센트 내에 전기적인 회로동작에 의해 전력선의 누전 여부를 감지하도록 배치된 누전 차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전기공급 아웃렛 {Apartrment Houses of Outlet for Supplying Power Source}
본 발명은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전기공급 아웃렛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벽면에 매설되는 통상의 콘센트의 전면부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 가능한 도어를 설치하여 평상시 콘센트의 노출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전기공급 아웃렛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이르러, 현대식 주방에는 조리용 오븐이나 냉장고, 전자렌지, 전기밥솥, 전기주전자, 믹서, 토스터기 등의 다양한 전기용품 들은 물론 그 외에도 TV나 세탁기, 식기세척기, 전기다리미, 드라이어 등의 수 많은 가전기기 들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전기량이 급속히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각종 전기용품을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옥외에 시설된 송전선으로부터 제공되는 전기를 통상의 선로를 통해 각각의 실내의 소정 위치까지 유도한 후 벽면에 설치된 아웃렛 및 이 아웃렛에 탈,부착되는 플러그를 통해 전기를 공급받아야 한다.
첨부된 도 1은 통상적인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전기공급 아웃렛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벽면에 매립되는 박스체(1)와, 이 박스체 내로 고정 설치되는 콘센트(2)와, 이 콘센트(2)의 외부면에 조립되는 전면 케이스(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박스체(1)는 통상의 금속 재질로서 전면이 개방된 박스형태로 제작되어 전력선(W)을 인입시키게 되며, 그 상,하부에 형성된 돌출편(4)으로 콘센트(2) 측으로부터 조립되는 나사(5)가 체결된다.
또, 상기 콘센트(2)의 몸체 내에는 도시하지 않은 통상의 접속단자가 매립되어 상기 전력선(W)과 전기적인 접속이 가능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몸체 전면에 플러그가 끼워지는 플러그 삽입공(6a,6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면 케이스(3)는 얇은 판 형태로 제작되어 콘센트(2)가 그대로 노출되는 것을 막아 깨끗한 외관을 유지하게 되며, 플러그가 끼워지는 관통공(7a,7b)이 형성되고 상,하부에 걸림턱(8)이 각각 형성되어 콘센트(2)의 요홈(9)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각종 전기용품의 플러그 단자가 콘센트(2)로 끼워져 통전됨에 따라 전기용품으로 전원을 공급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벽면 설치용 아웃렛과 관련하여 국내 등록특허 제0857220호 공보에는 아웃렛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시에만 플러그접속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공동주택의 전기공급용 아웃렛구조"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고, 등록특허 제0867211호 공보에는 아웃렛에 플러그가 접속된 상태에서도 케이스 전면으로의 물방울 침투가 방지되는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을 위한 아웃렛 설치구조"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04771호 공보에는 유아 또는 어린 아이는 사용하지 못하면서 성인 사용자는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원 공급의 안정성을 높인 공동주택 설치용 아웃렛"에 대해 기재되어 있고, 등록실용신안 제0284640호 공보에는 벽에 매립되는 본체케이스의 내부에 회전되는 회전콘센트부가 내장되게 형성되어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플러그 삽입공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고, 사용할 때에는 플러그 삽입공을 외부로 노출시키며, 플러그와의 연결시에도 물방울이나 이물질등이 상기 플러그 삽입공에 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는 "매립형 방수 콘센트"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구조의 전기공급 아웃렛은, 전원의 사용시에만 플러그 삽입공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함에 따라 플러그가 삽입된 상태에서 물방울이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누전에 의한 화재 및 감전 사고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잇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일반 공동주택의 축조시에 미리 설계된 전기 사양에 따라 콘센트를 벽면에 배설해야 하기 때문에 이미 규격화된 기성품의 사용이 불가능하고, 모든 부품을 새롭게 제작해야만 함은 물론 플러그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없다는 등의 문제로 인해 상용화 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857220호(2008.09.01. 등록) 발명의 명칭: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을 위한 아웃렛 설치구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867211호(2008.10.30. 등록) 발명의 명칭: 공동주택의 전기공급용 아웃렛 구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771호(2010.12.22. 등록) 발명의 명칭: 전원 공급의 안정성을 높인 공동주택 설치용 아웃렛.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284640호(2002.07.24. 등록) 고안의 명칭: 매립형 방수 콘센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전과 같이 벽면에 매설되는 통상의 고정형 콘센트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개폐 가능한 도어를 설치함으로써 콘센트를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전기공급 아웃렛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미 규격화된 기성품에 대한 추가 구성이 가능함은 물론 전기공급 아웃렛을 구성하는 콘센트 내에 누전발생을 차단시킬 수 있는 기능을 부여하여 전기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전기공급 아웃렛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내 벽면으로 매립되어 플러그 삽입공을 가짐과 동시에 플러그의 탈,부착에 의해 통전이 가능하도록 접속단자가 설치되는 통상의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전기공급 아웃렛에 있어서, 벽면 내벽으로 매립되는 박스체와, 상기 박스체에 나사로 체결되는 보강패널과, 상기 보강패널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전면에 플러그 삽입공이 형성된 콘센트와, 상기 박스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콘센트의 전면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기 위한 도어가 장착되어 있는 가이드패널과, 상기 도어가 노출되지 않도록 가이드패널의 전면부에 장착되는 마감커버와, 상기 콘센트 내에 전기적인 회로동작에 의해 전력선의 누전 여부를 감지하도록 배치된 누전 차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보강패널은 내측으로 절곡 성형된 상,하판을 가짐과 동시에 이들 상,하판에 장공이 배열되고 그 내측에 한쌍의 레일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콘센트는 가로 및 세로방향의 격벽을 갖는 몸체를 포함하여 이 몸체 내로 끼워져 장착되는 접속단자 및 이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도통 가능하도록 전력선이 탈,부착되는 마감판 및 고정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패널에 장착된 도어는 모터에 의해 정,역 회동하는 구동기어에 맞물린 랙기어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도어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핀이 상기 가이드패널의 상,하부에 형성된 장공에 끼워져 유지되며, 상기 마감커버에는 모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버튼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누전 차단부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와, 전력선의 누설 전류를 검출하는 영상 변류기와, 상기 영상 변류기로부터 검출된 누설 전류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부와, 상기 증폭부를 통해 증폭된 누설 전류의 감지 여부를 판단하는 회로구동부와, 상기 회로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증폭된 누설 전류값과 기준 전류값을 비교하여 전기의 누설 여부를 판단하는 전자구동부와, 상기 전자구동부로부터의 판단 여부에 따라 전력선을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가동부와, 상기 가동부의 신호에 따라 전력선을 릴레이하는 릴레이부와, 상기 전력선의 개폐 여부를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전기공급 아웃렛에 의하면, 전동 방식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도어를 이용하여 전원 사용시에만 콘센트를 노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린 아이들의 감전에 의한 안전사고의 발생 및 누전에 의한 화재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규격화된 기성품에 대해서도 최소의 비용으로 손쉽게 적용시킬 수 있음은 물론 콘센트를 구성하는 콘센트 내에 누전발생을 차단시킬 수 있는 기능을 부여함에 따라 전기에 의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기공급 아웃렛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공급 아웃렛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a, 도 3b는 콘센트의 배면부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및 평면 구성도,
도 4는 전기공급 아웃렛의 정면 구성도,
도 5는 전기공급 아웃렛의 평면 단면도,
도 6a, 도 6b는 도어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평면 및 측면 구성도,
도 7은 전기공급 아웃렛의 매립상태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그리고
도 8은 전기공급 아웃렛에 부가된 누전 차단부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공급 아웃렛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a, 도 3b는 콘센트의 배면부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및 평면 구성도, 도 4는 전기공급 아웃렛의 정면 구성도, 도 5는 전기공급 아웃렛의 평면 단면도, 도 6a, 도 6b는 도어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평면 및 측면 구성도, 도 7은 전기공급 아웃렛의 매립상태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그리고 도 8은 전기공급 아웃렛에 부가된 누전 차단부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전기공급 아웃렛은 벽면 매립용의 박스체(10)와, 보강패널(20)과, 콘센트(30)와, 가이드패널(40)과, 마감커버(50)와, 누전 차단부(6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박스체(10)의 경우, 콘크리트 벽면의 내벽으로 장착되어 전력선(W)을 콘센트(30) 측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다수의 장공(11)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배열된다.
또, 상기 보강패널(20)은 박스체(10)의 내부로 끼워넣어져 나사(21)로 체결되고 내측으로 절곡 성형된 상,하판(22a,22b)에 장공(23a,23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하판(22a,22b)의 내측에서 전면쪽으로 돌출하는 한쌍의 레일(24a,24b)이 각각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콘센트(30)는 가로 및 세로방향의 격벽(31)을 갖는 몸체(32)와, 이 몸체(32) 내에 끼워져 장착되는 접속단자(33)를 구비함과 동시에 전력선(W)의 전기적인 결속을 위하여 설치되는 마감판(34) 및 이 마감판(34)을 안착시키기 위한 고정편(35)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콘센트(30)의 몸체(32)는 보강패널(20)에 형성된 레일(24a,24b) 내에 장착되며, 그 전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플러그가 장착되는 플러그 삽입공 (36a,36b)이 각각 형성되어 나사(37)에 의해 보강패널(20)에 장착된다.
상기 가이드패널(40)은 콘센트(30)의 전면부가 노출되도록 사각 관통공(41)이 형성되어 박스체(10)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패널(40)의 단턱(42) 상에는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도어(43A,43B)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도어(43A,43B)에는 가이드패널(40)의 내측으로 배치된 랙기어(44)가 구비되어 모터(45)에 의해 정,역 회전하는 구동기어(46a)에 맞물려 있고, 각 도어(43A,43B)의 내측에는 상,하단부에 핀(47a)이 돌출 형성되어 가이드패널(40)에 형성된 장공(47b)으로 끼워져 유지된다.
상기 마감커버(50)의 일측에는 모터(45)를 작동시키기 위한 버튼(51)이 장착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도어(43A,43B)의 작동에 의해 콘센트(30)가 개방되는 경우 외부로 콘센트(30)가 노출되도록 사각 관통공(5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마감커버(50)는 가이드패널(40)과 함께 고정나사(53)에 의해 박스체(10)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누전 차단부(60)는 콘센트(30) 내에 회로적으로 배치되어 전기적인 작동에 의해 전력선(W)의 누설 여부를 감지하여 차단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전원부(61), 영상 변류기(ZCT: zero current transformer)(62), 증폭부(63), 회로구동부(64), 전자구동부(65), 가동부(66), 릴레이부(67) 및 테스트 버튼(6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우선 박스체(10) 내로 인입되어 있는 전력선(W)을 보강패널(20)에 형성된 장공(23a,23b)을 통해 전면부로 유도하여 통상의 방식으로 콘센트(30)의 마감판(34)에 끼워 접속단자(33)와 통전이 가능하도록 조립시킨 후 나사(21)를 이용하여 보강패널(20)을 박스체(10)에 고정시킨다.
그 후, 상기 콘센트(30)의 몸체(32)를 보강패널(20)에 형성된 레일(24a,24b) 사이에 끼우고 나사(37)를 이용하여 보강패널(20) 상에 콘센트(3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콘센트(30)의 전면부에는 도어(43A,43B)가 구비된 가이드패널(40)과 마감커버(50)를 고정나사(53)에 의해 박스체(10)에 체결함에 따라 콘센트(30)를 포함한 가이드패널(40)과 마감커버(50)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콘센트(30)의 사용시에는 가이드패널(40) 및 마감커버(50)의 사각 관통공(41,52a)을 통해 플러그 삽입공(36a,36b)이 노출되므로 손쉽게 이용이 가능해지며, 이와 반대로 콘센트(3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마감커버(50)에 장착된 버튼(51)을 눌러 줌으로써 모터(45)가 작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모터(45)에 연동하여 구동기어(46a) 및 랙기어(44)를 통해 양 도어(43A,43B)가 슬라이드 이동하여 가이드패널(40)의 사각 관통공(41)을 닫아 콘센트(30)를 사용할 수 없는 상태로 되고, 다시 버튼(51)을 누르게 되면 도어(43A,43B)가 개방되어 콘센트(30)의 사용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한편, 가전제품이나 가구의 배치 상태에 따른 콘센트(30)의 위치를 이동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먼저 마감커버(50) 및 가이드패널(40)을 박스체(10)로부터 탈거한 후 나사(37)를 풀어 보강패널(20)로부터 콘센트(30)을 분리함과 동시에 보강패널(20)에 형성된 레일(24a,24b)을 따라 좌,우 수평방향으로 밀어 이동시킴으로써 콘센트(30)의 위치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박스체(10)로 인입되어 있는 전력선(W)의 위치까지 이동시켜야 할 경우에는 상기 콘센트(30)의 몸체(32)에 장착된 마감판(34)으로부터 전력선(W)을 제거하고, 상기 박스체(10)에 형성된 장공(11)이나 보강패널(20)에 형성된 장공 (23a,23b)의 위치를 바꿔 전력선(W)을 인입시킨 후 마감판(34)에 다시 끼워 고정시키면 된다.
이와 같이, 콘센트(30)의 위치가 설정되면 나사(37)를 체결하여 콘센트(30)를 고정시킨 후 다시 상기 가이드패널(40) 및 마감커버(50)를 콘센트(30)의 위치에 맞춰 고정나사(53)를 이용하여 장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콘센트(30) 내에 설치되는 누전 차단부(60)의 회로구성을 설명하면, 전원부(61)의 경우 콘센트(30) 내부의 도시하지 않은 회로들을 통해 누전 차단기능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게 되며, 상기 영상 변류기(62)는 한쌍의 전력선(W)에서 생성될 수 있는 누설 전류를 검출한다.
상기 증폭부(63)는 영상 변류기(62)로부터 검출된 누설 전류를 설정된 소정의 증폭 비율에 따라 증폭하며, 상기 회로구동부(64)는 증폭부(63)에서 증폭된 누설 전류가 감지되는 경우 전원부(61)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따라 누전 차단기능을 구동하여 전자구동부(65)를 작동시킨다.
이 전자구동부(65)가 회로구동부(64)에 의해 작동하게 되면, 증폭부(63)에서 증폭된 누설 전류를 기반으로 전기의 누설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전자구동부(65)는 영상 변류기(62)에서 검출되어 증폭부(63)에서 증폭된 누설 전류값과 기 설정된 기준 전류값을 비교함에 따라 누설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전자구동부(65)에서 누설로 판단되면 전력선(W)을 차단하는 OFF 신호를 가동부(66)로 전송하고, 누설로 판단되지 않으면 전력선(W)을 연결하는 ON 신호를 가동부(66)로 전송한다.
상기 릴레이부(67)는 가동부(66)의 제어에 따라 전력선(W)을 릴레이하게 되며, 상기 가동부(66)는 전자구동부(65)로부터 ON 신호가 수신되면 릴레이부(67)를 릴레이 제어하여 전력선(W)을 연결시키고, OFF 신호가 수신되면 릴레이부(67)를 릴레이 제어하여 전력선(W)을 연결을 차단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누전 차단부(60)에서 전류 누설이 감지되면 릴레이부(67)를 통해 전력선(W)을 차단하여 감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테스트 버튼(68)은 소비자로 하여금 누전 차단 기능을 테스트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전면 케이스(40) 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테스트 버튼(68)을 눌러 전력선(W)이 개방되는 경우 정상 동작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반대로 전력선(W)이 개방되지 않으면 오동작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된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것 외에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만으로도 쉽게 상기 실시예와 동일 범주 내의 다른 형태의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영역의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박스체 2; 콘센트
3; 전면 케이스 4; 돌출편
5; 나사 6a,6b; 플러그 삽입공
7a,7b; 관통공 8; 걸림턱
9; 요홈 10; 박스체
11; 장공 20; 보강패널
21; 나사 22a; 상판
22b; 하판 23a,23b; 장공
24a,24b; 레일 30; 콘센트
31; 격벽 32; 몸체
33; 접속단자 34; 마감판
35; 고정편 36a,36b; 플러그 삽입공
37; 나사 40; 가이드패널
41; 사각 관통공 42; 단턱
43A,43B; 도어 44; 랙기어
45; 모터 46a; 구동기어
47a; 핀 47b; 장공
50; 커버체 51; 버튼
52; 사각 관통공 53; 고정나사
60; 누전 차단부 61; 전원부
62; 영상 변류기 63; 증폭부
64; 회로구동부 65; 전자구동부
66; 가동부 67; 릴레이부
68; 테스트 버튼

Claims (1)

  1. 실내 벽면으로 매립되어 플러그 삽입공을 가짐과 동시에 플러그의 탈,부착에 의해 통전이 가능하도록 접속단자가 설치되는 통상의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전기공급 아웃렛에 있어서,
    벽면 내벽으로 매립되는 박스체(10)와, 상기 박스체에 나사(21)로 체결되는 보강패널(20)과, 상기 보강패널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전면에 플러그 삽입공(36a,36b)이 형성된 콘센트(30)와, 상기 박스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콘센트의 전면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기 위한 도어(43A,43B)가 장착되어 있는 가이드패널(40)과, 상기 도어가 노출되지 않도록 가이드패널의 전면부에 장착되는 마감커버(50)와, 상기 콘센트 내에 전기적인 회로동작에 의해 전력선(W)의 누전 여부를 감지하도록 배치된 누전 차단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보강패널(20)은 내측으로 절곡 성형된 상,하판(22a,22b)을 가짐과 동시에 이들 상,하판에 장공(23a,23b)이 배열되고 그 내측에 한쌍의 레일(24a,24b)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콘센트(30)는 가로 및 세로방향의 격벽(31)을 갖는 몸체(32)를 포함하여 이 몸체 내로 끼워져 장착되는 접속단자(33) 및 이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도통 가능하도록 전력선(W)이 탈,부착되는 마감판(34) 및 고정편(35)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패널(40)에 장착된 도어(43A,43B)는 모터(45)에 의해 정,역 회동하는 구동기어(46a)에 맞물린 랙기어(44)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도어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핀(47a)이 상기 가이드패널의 상,하부에 형성된 장공(47b)에 끼워져 유지되며,
    상기 마감커버(50)에는 모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버튼(51)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누전 차단부(60)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61)와, 전력선의 누설 전류를 검출하는 영상 변류기(62)와, 상기 영상 변류기로부터 검출된 누설 전류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부(63)와, 상기 증폭부를 통해 증폭된 누설 전류의 감지 여부를 판단하는 회로구동부(64)와, 상기 회로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증폭된 누설 전류값과 기준 전류값을 비교하여 전기의 누설 여부를 판단하는 전자구동부(65)와, 상기 전자구동부로부터의 판단 여부에 따라 전력선을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가동부(66)와, 상기 가동부의 신호에 따라 전력선을 릴레이하는 릴레이부(67)와, 상기 전력선의 개폐 여부를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버튼(68)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전기공급 아웃렛.
KR1020140024136A 2014-02-28 2014-02-28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전기공급 아웃렛 KR101402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136A KR101402993B1 (ko) 2014-02-28 2014-02-28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전기공급 아웃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136A KR101402993B1 (ko) 2014-02-28 2014-02-28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전기공급 아웃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2993B1 true KR101402993B1 (ko) 2014-06-03

Family

ID=51131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4136A KR101402993B1 (ko) 2014-02-28 2014-02-28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전기공급 아웃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29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2177A1 (zh) * 2017-09-13 2019-03-21 如皋福大工程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盲人用插座
KR102143458B1 (ko) * 2020-03-02 2020-08-12 이삼종 공동주택 실내 전기의 전선 연결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220B1 (ko) 2008-04-05 2008-09-05 현대공영(주)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을 위한 아웃렛설치구조
KR100867211B1 (ko) 2008-03-05 2008-11-06 (주)신화에프이씨 공동주택의 전기공급용 아웃렛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211B1 (ko) 2008-03-05 2008-11-06 (주)신화에프이씨 공동주택의 전기공급용 아웃렛구조
KR100857220B1 (ko) 2008-04-05 2008-09-05 현대공영(주)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을 위한 아웃렛설치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2177A1 (zh) * 2017-09-13 2019-03-21 如皋福大工程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盲人用插座
KR102143458B1 (ko) * 2020-03-02 2020-08-12 이삼종 공동주택 실내 전기의 전선 연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97238C2 (ru) Электрическое/электронное установ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крытого монтажа системотехники домов и зданий или технических средств связи для дома
KR101704413B1 (ko) 공동주택의 엘이디 합선을 방지하는 전원내선 배전반
KR101402993B1 (ko)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전기공급 아웃렛
KR20130132311A (ko) 전기 패널용 셔터 도어 조립체
KR101673013B1 (ko) 공동주택의 콘센트 전용 매설용 전원박스
CA2734544A1 (en) Controller for a safety shut-off system
KR100739126B1 (ko) 실내 전기접속기구의 감전방지구조
US11121534B2 (en) Kitchen appliance assembly and method of converting a kitchen having one of a slide-in and drop-in appliance to a kitchen having built-in appliances
KR101022746B1 (ko) 감전사고발생을 방지하는 공동주택의 벽체매설형 콘센트박스
KR101357568B1 (ko) 전원 공급의 안정성을 높인 공동주택 설치용 아웃렛
KR101784248B1 (ko) 다세대 주택의 벽체 내설용 아웃렛
KR100857220B1 (ko)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을 위한 아웃렛설치구조
US20190393642A1 (en) Domestic appliance having at least one plug for an electrical connection
KR20150136390A (ko) 안전콘센트
KR20150136906A (ko) 콘센트 안전장치
CN204391012U (zh) 一种漏电保护器
US201901785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ly covering an appliance
US20190081459A1 (en) Power distribution box equipped with busbar integrated electric meter
KR100960146B1 (ko) 공동주택의 가전기기 구동용 전기공급식 멀티탭
KR102214004B1 (ko) 공동주택 전기의 벽체 고정형 절전장치
KR100968075B1 (ko) 공동주택의 절연형 배전함
KR101061676B1 (ko) 대기전력 차단 및 그 차단 해제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0071958A (ja) 開閉器システム、分電盤、開閉器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978641B1 (ko) 공동주택용 콘센트기구
CN203596294U (zh) 用于低压电路的电开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