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7220B1 -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을 위한 아웃렛설치구조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을 위한 아웃렛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7220B1
KR100857220B1 KR1020080031912A KR20080031912A KR100857220B1 KR 100857220 B1 KR100857220 B1 KR 100857220B1 KR 1020080031912 A KR1020080031912 A KR 1020080031912A KR 20080031912 A KR20080031912 A KR 20080031912A KR 100857220 B1 KR100857220 B1 KR 100857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outlet
installation structure
insertion hole
terminal inse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1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종신
Original Assignee
현대공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공영(주) filed Critical 현대공영(주)
Priority to KR1020080031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72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7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7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02G3/121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plain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을 위한 아웃렛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단자삽입구(110)가 형성된 케이스(100)와; 단자삽입구(110) 내에 설치되어 통전되는 아웃렛 단자(200)를 갖춘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을 위한 아웃렛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의 상면이 전방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가장자리를 따라 상하로 개구된 가이드(120)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120)를 관통하여 이동가능하게 현수되도록 상단에 걸림대(311)가 형성되는 다수의 막대(310)와, 다수의 절첩선(321)을 중심으로 절첩가능하게 형성되고 막대(310)에 고정되어서 막대(310)의 이동을 따라 절첩되어 케이스(100)의 전방을 개폐하도록되되 막대(310)는 이웃하는 절첩선(321) 중간에 고정배치되며 절첩선(321)이 후방으로 접히는 가요성 막(320)과, 최외곽에 위치한 막대(310)의 걸림대(311)가 상방으로 연장형성된 손잡이(330)로 된 차단막(300); 상기 손잡이(330)가 위치한 차단막(300)의 가장자리와, 이 가장자리가 접하는 케이스(100)의 전면을 상호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벨크로테잎(400)이 보강되어, 단자삽입구로(110)의 물방울침투가 방지되어 감전에 대한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을 위한 아웃렛설치구조{Outlet Installation Structure for Supplying Power Source of an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아웃렛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웃렛에 플러그가 접속된 상태에서도 케이스 전면으로의 물방울 침투가 방지되는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을 위한 아웃렛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웃렛은, 전기기구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의 아웃렛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삽입구(110)가 형성된 케이스(100)와; 단자삽입구(110) 내에 설치되어 통전되는 아웃렛 단자(200)를 갖추고서 벽면(W)에 매설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100)는, 합성수지 등의 부도체로 형성되며, 단자삽입구(120)가 전면에 형성된 함체로서, 플러그삽입홈(110) 및 단자삽입구(120)가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벽면(W)에 매립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아웃렛 단자(200)는, 벽면(W)에 매설된 전선에 전기적으로 연 결되어, 아웃렛에 전기기구의 플러그(P)가 접속되면, 통전되어 전기기구로 전력이 공급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아웃렛은, 전면에 단자삽입구(110)가 항상 개구된 상태로 노출되어 있어 이물질이 쉽게 침투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종래의 아웃렛이 욕실 등 습도가 높은 곳에 설치된 경우에는, 샤워 후 공기 중의 수분이, 욕실 문이 열리면서 유입되는 찬 공기를 만나 응결되는데, 이때 발생하는 물방울이 단자삽입구(110) 내로 들어가서 누전이 발생되는 경우도 있고, 어린이들이 샤워기를 이용한 물장난으로 샤워도중에 물방울이 단자삽입구(110)에 스며드는 문제도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단자삽입구(110)에 물방울이 스며들면, 누전이 발생되는데 이는 화재 및 감전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게다가, 욕실에 설치된 아웃렛은, 플러그(P)를 삽입한 상태에서도 단자삽입구(110)와 플러그 단자(P1) 사이의 틈으로, 단자삽입구(110)에 물방울이 침투하여 누전으로 인한 화재 및 감전사고의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단자삽입구로의 물방울 유입이 방지되는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을 위한 아웃렛설치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단자삽입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단자삽입구 내에 설치되어 통전되는 아웃렛 단자를 갖춘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을 위한 아웃렛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면이 전방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가장자리를 따라 상하로 개구된 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를 관통하여 이동가능하게 현수되도록 상단에 걸림대가 형성되는 다수의 막대와, 다수의 절첩선을 중심으로 절첩가능하게 형성되고 막대에 고정되어서 막대의 이동을 따라 절첩되어 케이스의 전방을 개폐하도록되되 막대는 이웃하는 절첩선 중간에 고정배치되며 절첩선이 후방으로 접히는 가요성 막과, 최외곽에 위치한 막대의 걸림대가 상방으로 연장형성된 손잡이로 된 차단막과; 상기 손잡이가 위치한 차단막의 가장자리와, 이 가장자리가 접하는 케이스의 전면을 상호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벨크로테잎이 보강된 구조이다.
본 발명은, 단자삽입구로의 물방울침투가 방지되어 감전에 대한 안전성이 향 상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을 위한 아웃렛 설치구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을 위한 아웃렛 설치구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아웃렛 설치구조는, 케이스(100), 아웃렛의 단자(200), 차단막(300) 및 벨크로테잎(4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100)는, 전면에 플러그의 단자(Pl)가 삽입되는 단자삽입구(110)가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케이스(100)의 상면에는, 반원의 호 형상을 이루면서 전방으로 돌출되는데, 그 돌출모양은 변형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0)의 상면에는, 돌출된 가장자리를 따라 상하로 개구된 가이드(120)가 형성된다.
상기 아웃렛 단자(200)는, 단자삽입구(110) 내에서, 케이스(100) 내부에 배치된 전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구의 플러그(P)가 접속되면, 전기구로 전력이 공급된다.
상기 차단막(300)은, 다수의 막대(310)와, 막대(310)에 의해 지지되는 가요성 막(320)과, 손잡이(3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막대(310)는, 손쉽게 부러지거나 휘어지지 않도록 일정 강도를 가지고서, 가이드(120)를 관통하여 이동가능하게 현수되도록 상단에 가이드(120)의 폭 보다 큰 걸림대(311)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걸림대(311)는, 가이드(120)의 폭 보다 크게 형성시켜, 가이드(120)를 관통한 막대(310)의 상단에 꼽아 이동가능하게 막대(310)를 현수하였지만, 가이드(120)에 빠지지 않도록 막대(310)의 상단을 휘어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막(320)은, 방수가 되면서도 가요성의 특징을 지닌 방수천 등이 적용이 가능하며, 절첩선(321)이 상하방향으로 다수 개를 이격형성되어, 절첩선(321)을 중심으로 절첩된다. 그리고, 상기 막(320)은, 절첩선(321)을 중심으로 막대(310)가 이웃하는 절첩선(321)의 중간에 박음질 또는 접착제 등으로 고정배치되어, 절첩선(321)이 후방으로 접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막(320)은, 손잡이(330)가 형성된 막대(310)의 이동에 따라 순차적으로 절첩되어서, 케이스(100)의 전방을 개폐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330)는, 막대(310)를 손쉽게 잡아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가이드(120)의 최외곽 일측에 위치한 막대(310)의 걸림대(311)가 상방으로 연장형성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120)의 최외곽 타측에 위치한 막대(310)의 걸림대(311)가 가이드(120)에 고정설치되면, 손잡이(330)를 잡아 막대(310)를 이동시킬 때, 타측에 위치한 막대(310)의 걸림대(311)가 손잡이(330)를 따라 이동되지 않고 가이드(120)의 최외곽 타측에 고정되므로, 케이스(100)의 전방이 완전히 폐구된다.
상기 벨크로테잎(400)은, 고리부(410)와 갈고리부(420)로 이루어져서, 손잡이(330)가 위치한 차단막(300)의 가장자리에 고리부(410)가 고정되고, 이 가장자리가 접하는 케이스(100)의 전면에 갈고리부(420)가 고정되어, 고리부(410)에 갈고리부(420)가 맞물리면, 차단막(300)이 케이스(100)의 전면을 폐구한 상태를 지속적으 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리부(410)와 갈고리부(420)는, 그 고정위치의 상호이동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에 대한 작동방법에 대해서 도 4 및 도 5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아웃렛 설치구조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상기 손잡이(330)를 잡아 시계방향으로 이동시켜 가이드(120)의 최외곽 타측에 배치하면, 막(320)이 가이드(120)의 최외곽 타측 방향으로 절첩되면서, 케이스(100)의 전방을 개구한다. 따라서, 상기 단자삽입구(110)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플러그(P)를 아웃렛에 꽂을 수 있게 된다(도 4).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아울렛 설치구조에 플러그(P)를 꽂은 후, 상기 손잡이(330)를 잡아 반시계방향으로 이동시켜 가이드(120)의 최외곽 일측에 배치하면, 막(320)이 펼쳐지면서 케이스(100)의 전방을 폐구한다. 상기 케이스(100)의 전방이 완전히 폐구되면, 갈고리부(420)를 고리부(410)에 걸어 차단막(300)을 고정한다(도 5).
본 발명에 따른 아웃렛 설치구조는, 전기구 플러그(P)의 접속여부에 관계없이 상기 차단막(300)으로 케이스(100)의 전방을 폐구할 수 있으므로, 단자삽입구(110)에 물방울이 침투되지 않아, 누전이 방지되고, 화재 또는 감전 등의 안전사고가 예방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웃렛 설치구조는, 플러그(P)를 접속하고자 할 경우, 상기 손잡이(330)를 가이드(120)를 따라 시계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막(320)이 케이스(100)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가이드(120)의 최외곽 타측 방향으로 절첩되어 배치되므로, 케이스(100)의 전방 개구를 위한 여유공간이 요구되지 않아, 케이스(100)가 설치된 벽면(W)의 상하양측면에 대한 공간활용이 좋아지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웃렛 설치구조는, 상기 절첩선(321)을 중심으로 막(320)이 펼쳐져서 케이스(100)의 전방을 폐구하므로, 플러그(P)의 크기에 상관없이 다양한 크기의 플러그(P)를 접속한 뒤에도 케이스(100)의 전방이 폐구되는 장점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아웃렛 설치구조는, 상기 케이스(100)의 폐구시, 막(320)이 케이스(100) 상면 가장자리 내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막(320)이 펼쳐지므로, 상방에서 하방으로 떨어지는 물방울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도 1은 종래 아웃렛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을 위한 아웃렛 설치구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아웃렛 설치구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을 위한 아웃렛 설치구조의 사시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0:케이스, 110:단자삽입구
120:가이드, 200:아웃렛 단자,
300:차단막, 310:막대,
311:걸림대, 320:막,
321:절첩선, 330:손잡이,
400:벨크로테잎, 410:고리부,
420:갈고리부, P:플러그,
P1:플러그단자, W:벽면.

Claims (1)

  1. 단자삽입구(110)가 형성된 케이스(100)와; 단자삽입구(110) 내에 설치되어 통전되는 아웃렛 단자(200)를 갖춘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을 위한 아웃렛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의 상면이 전방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가장자리를 따라 상하로 개구된 가이드(120)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120)를 관통하여 이동가능하게 현수되도록 상단에 걸림대(311)가 형성되는 다수의 막대(310)와, 다수의 절첩선(321)을 중심으로 절첩가능하게 형성되고 막대(310)에 고정되어서 막대(310)의 이동을 따라 절첩되어 케이스(100)의 전방을 개폐하도록되되 막대(310)는 이웃하는 절첩선(321) 중간에 고정배치되며 절첩선(321)이 후방으로 접히는 가요성 막(320)과, 최외곽에 위치한 막대(310)의 걸림대(311)가 상방으로 연장형성된 손잡이(330)로 된 차단막(300);
    상기 손잡이(330)가 위치한 차단막(300)의 가장자리와, 이 가장자리가 접하는 케이스(100)의 전면을 상호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벨크로테잎(400)이 보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을 위한 아웃렛 설치구조.
KR1020080031912A 2008-04-05 2008-04-05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을 위한 아웃렛설치구조 KR100857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1912A KR100857220B1 (ko) 2008-04-05 2008-04-05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을 위한 아웃렛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1912A KR100857220B1 (ko) 2008-04-05 2008-04-05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을 위한 아웃렛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7220B1 true KR100857220B1 (ko) 2008-09-05

Family

ID=40022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1912A KR100857220B1 (ko) 2008-04-05 2008-04-05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을 위한 아웃렛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722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568B1 (ko) 2013-10-23 2014-02-04 (주)한국전설엔지니어링 전원 공급의 안정성을 높인 공동주택 설치용 아웃렛
KR101384620B1 (ko) 2014-02-04 2014-04-11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전기공급아울렛
KR101402993B1 (ko) 2014-02-28 2014-06-03 (주)덕원기술사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전기공급 아웃렛
KR101567801B1 (ko) * 2015-04-14 2015-11-12 (주) 동원엔지니어링 전원 공급의 안정성을 높인 공동주택 설치용 아웃렛
KR102107511B1 (ko) 2019-12-13 2020-05-07 (주)성지이앤씨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전기공급 콘센트 보호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0674A (ja) * 1981-11-25 1983-05-30 Canon Inc 定着装置
JPS6077381A (ja) * 1983-09-30 1985-05-01 松下電工株式会社 防雨形コンセント
JPS6444578A (en) * 1987-08-11 1989-02-16 Nec Corp Medical image control system
JPH02122516A (ja) * 1988-10-31 1990-05-10 Fujitsu Ltd 露光方法
JP2005259411A (ja) * 2004-03-10 2005-09-22 Murao Hiramoto 屋外コンセント用の盗電防止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0674A (ja) * 1981-11-25 1983-05-30 Canon Inc 定着装置
JPS6077381A (ja) * 1983-09-30 1985-05-01 松下電工株式会社 防雨形コンセント
JPS6444578A (en) * 1987-08-11 1989-02-16 Nec Corp Medical image control system
JPH02122516A (ja) * 1988-10-31 1990-05-10 Fujitsu Ltd 露光方法
JP2005259411A (ja) * 2004-03-10 2005-09-22 Murao Hiramoto 屋外コンセント用の盗電防止装置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공개실용신안 소58-090674호
일본공개실용신안 소64-044578호
일본공개실용신안 평02-122516호
일본공개특허공보 소60-077381호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5-259411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568B1 (ko) 2013-10-23 2014-02-04 (주)한국전설엔지니어링 전원 공급의 안정성을 높인 공동주택 설치용 아웃렛
KR101384620B1 (ko) 2014-02-04 2014-04-11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전기공급아울렛
KR101402993B1 (ko) 2014-02-28 2014-06-03 (주)덕원기술사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전기공급 아웃렛
KR101567801B1 (ko) * 2015-04-14 2015-11-12 (주) 동원엔지니어링 전원 공급의 안정성을 높인 공동주택 설치용 아웃렛
KR102107511B1 (ko) 2019-12-13 2020-05-07 (주)성지이앤씨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전기공급 콘센트 보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7220B1 (ko)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을 위한 아웃렛설치구조
KR100889498B1 (ko) 벽면에 매입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0854340B1 (ko) 공동주택 벽면 매설용 콘센트박스
KR100611573B1 (ko) 방수 콘센트
KR101626354B1 (ko) 안전콘센트
KR101784248B1 (ko) 다세대 주택의 벽체 내설용 아웃렛
KR100843697B1 (ko) 공동주택의 전기안전사고방지용 콘센트 하우징
CN105624994A (zh) 一种洗涤支架、使用该洗涤支架的控制面板部件及洗衣机
KR200476291Y1 (ko) 욕실장용 멀티콘센트박스
KR102214004B1 (ko) 공동주택 전기의 벽체 고정형 절전장치
KR200449233Y1 (ko) 파티션 벨트라인 개폐구조
KR100843698B1 (ko) 공동주택의 실내설치형 전기구 절전기
KR100896809B1 (ko) 공동주택의 매설형 콘센트박스
KR101590935B1 (ko)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전기공급 아울렛
KR101028139B1 (ko) 공동주택 내벽의 전기 콘센트함
KR101402993B1 (ko)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전기공급 아웃렛
KR101319295B1 (ko) 공동주택에 사용되는 콘센트커버 구조
KR101384620B1 (ko)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전기공급아울렛
JP6323792B2 (ja) トイレ装置
KR101150377B1 (ko) 벽 매설형 콘센트 박스
KR100815125B1 (ko) 벽면에 매입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JP2012094326A (ja) コンセント
KR100636290B1 (ko) 건축물용 콘크리트 벽체 안전콘센트 구조
KR200459492Y1 (ko) 케이블 트레이용 분기박스
KR102107511B1 (ko)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전기공급 콘센트 보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12